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경추 척수손상 장애인이 스마트 홈 기술을 통한 일상생활의 변화를 경험하는 과정을 탐구하여, 이 기술 이 기존의 가정환경수정 프로그램에 어떻게 통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경추 척수손상 장애인 1명으로, 질적 연구 방법 중 사례연구를 통해 스마트 홈 기술 사용 전후의 변화와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였다. 인터뷰는 2021년 7월 초기 인터뷰 1회, 8월 중간 인터뷰 1회, 12월 스마트 홈 사용 경험 인터뷰 1회를 대면으로 30분~1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으로 진행되는 반복 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자료 분석 결과 ‘스마트 홈 적용 환경’, ‘스마트 홈 사용 경험’, ‘스마트 홈 사용으로 겪은 변화’라는 세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 주제들은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주요 스마트 홈 기술’, ‘적용한 스마트 기기’, ‘스마트 홈에 대한 기대’, ‘주관적 실제’, ‘내적 변화’, ‘독립적인 일상생활’이라는 개념으로 정리하였다. 도출된 개념은 15개의 의미 단위와 51개의 중심의미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스마트 홈 기술이 경추 척수손상 장애인의 일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오며, 장애인 삶의 질 향상에 뒷 받침하는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스마트 홈의 임상 적용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4,500원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추 MRI는 연부 조직에 대한 대조도와 분해능이 우수하여 경추 부위의 퇴행성 질환 및 추간공의 협착, 척수염, 추간판 탈출증 등의 신경 질환 검사에 특히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경추 MRI 검사는 신경 질환에 의한 배경 신호 강도가 증가되어 SNR이 감소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여기 횟수가 증가되어 검사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교통사고나 낙상을 원인으 로 경추 MRI 검사를 진행할 시 검사 시간이 길어 호흡과 질환의 통증에 의한 움직임 등을 최소화해야 최적의 영상을 획득 할 수 있어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가 요구되며 적정한 검사 시간의 단축을 통해 인공물이 없는 진단 가능한 영상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최근 개발된 SwiftMR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는 경추 MRI 검사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T2 시상면, T2 축상면, T1 시상면, T1 축상면 SwiftMR 영상의 SNR은 목뼈 몸통 223.82 ± 30.82, 척수 273.03 ± 32.38, 가시돌 기 및 가로돌기 378.61 ± 27.64로 측정되었다. 고속스핀 에코 기법의 SNR은 목뼈 몸통 116.51 ± 11.46, 척수 182.1 ± 22.24, 가시돌기 및 가로돌기 227.79 ± 35.55로 측정되었다. 고속스핀에코 기법의 CNR은 182.12 ± 13.24, SwiftMR 기법 CNR은 346.8 ± 41.84로 측정되었다. 고속스핀에코와 SwiftMR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가 적용된 영상을 통해 화질 선명도, 신호 강도의 균일성, 목뼈 몸통 주변의 인공물의 관찰자 간 병변에 대한 일치성 평가는 K값이 0.87로 평가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경추 MRI 검사에 SwiftMR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진단 가능한 질 좋은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o evaluate whether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ESWT) in the pain point is a more effective treatment than the trigger point for myofascial pain syndrome (MPS) of the upper trapezius.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ost effective areas when applying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Methods: A total of 30 patients with MP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rigger point in the ESWT (n = 15) and pain point ESWT (n = 15) groups. Interventions in both groups were performed in one session, i.e., 2,000 shocks with 1.5 bar intensity. Pain and function were assess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and cervical range of motion (ROM) and based on mechanical muscle propertie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repeated measures two-way analysis of variance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between pre- and post-test. Results: Changes in mechanical muscle properti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VAS and cervical RO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pre- and post-intervention, regardless of the group (p < 0.05). Conclusion: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intervention effect, applying an extracorporeal shock wave to the pain point rather than the pain trigger poin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save time in effectively and accurately identifying the pain trigger point and site.
        4,000원
        4.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본 연구에서는 인체 조직밀도와 유사한 실리콘을 이용하여 인체구조상 공기와 맞닿은 굴곡진 경추부위에 적용하여 자화율 인공물을 줄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인체부위 중 굴곡이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은 경추를 대상으로 10명(평 균연령 53.3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방법은 1.5T MRI(Avanto, Siemens medical system), 16 channel head-neck coil로 화학적 이동 선택 기법인 SPIR(Spectral Presaturation with Inversion Recovery)지방소거영상을 실리콘 적용 전과 후에 동일한 조건으로 획득하였다. 정량적 분석방법은 경추 부위 중 vertebra body 와 subcutaneous fat의 신호강도(Signal intensity)와 대조도 잡음비 (Contrast to ratio)를 측정한 후 비교하였으며, 정성적 분석방법은 영상의학과 전문의 3명이 영상의 지 방소거 정도에 따라서 좋음=3, 양호=2, 나쁨=1로 평가하였다. 통계적 방법은 대응표본 T 검정을 이용하 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 과:기존에 실리콘 적용 전에는 vertebra body와 subcutaneous fat의 신호강도는 386.15±65.31, 681.57±103.28로 적용 후 177.83±37.62, 332.72±75.29로 적용 전보다 상대적으로 36.13% 낮았 으며, 대조도 잡음비는 19.56±4.13, 14.82±3.64로 적용 후 35.88±9.62, 33.28±8.17로 적용 전 보다 적용 후에 높게 측정되었다, 정성적 평가는 적용 전 1.30±0.33 적용 후 3.00±0.00으로 측정되었 다. 두 기법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위와 같은 분석결과는 지방소거가 효과적 으로 제거가 되면 주변 조직보다 신호가 더 낮게 되므로, 신호강도는 낮게 대조도 잡음비는 높게 나타났 다. 이로 인하여 실리콘 적용 후에 지방소거가 높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 론:본 연구는 체적소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근본적인 문제인 공기와 인체의 자화율 차이를 보상하는 방법 이다. 또한 추가 소프트웨어나 검사시간의 증가 등의 복잡한 과정 없이 적용할 수 있는 근본적인 개선방 안이다.
        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경추 MRI 검사 시 고식적 2D T2 TSE 시상면 영상과 3D T2 SPACE 시상면 영상에 대해 비교하고, 얻어진 3D 볼륨 데이터에 다중 평면 영상 재구성 기법(이하 MPR)을 이용해 양측 신경공 축에 수직 방향으로 사위 시상 재구성 영상을 획득하여 3D T2 SPACE영상의 진단적 유용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6월부터 2016년 1월 까지 경추의 통증으로 본원에 내원하여 경추 MRI 처방을 받고 검사를 시행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령군은 남자 12명(평균나이=42.23세), 여자 8명(평균나이=40.38세)이었으며, 총 평균나이는 41.52세 이었다. 영상 평가는 영상의학과 근골격계 전문의 1명, 정형외과 전문의 1명이 환자의 사전정보를 모두 배제 시킨 고식적 2D T2 시상면, 3D T2 SPACE 시상면, 3D T2 SPACE 재구성 사위시상면에 대해 각 시퀀스 별로 해부학적 구조물(Neural foramen, Intraspinal nerve roots, Foraminal fat tissue, Spinal cord, CSF, Bone. Disc)들의 관찰정도를 리커트(Likert scale) 5점 척도로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통계적 기법의 검증 결과는 일원배치 분산분석 검증 후, p< 0.05일 때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두 평가자 간 신뢰도를 위한 일치성 검증은 Cohen’s weighted kappa 95% 신뢰구간에서 평가 하였다. 결 과 : 정성적 평가에서 2명의 평가자에 의한 리커드 5점 척도 결과. 고식적 2D T2 시상면, 3D T2 SPACE 시상면, 3D T2 SPACE 재구성 사위시상면의 평가 결과는 Neural foramen에서 1.8±0.516, 3.525±0.505, 4.8±0.405, Intraspinal root에서 2.325±0.797, 4.325±0.474, 4.75±0.438, Foraminal fat tissue에서 3.0±0.877, 3.675±0.572, 4.15±0.735, CSF에서 4.85±0.483, 4.4±0.59, 4.2±0.822, Spinal cord에서 4.7±0.464, 4.0±0.555, 3.45±0.504, Bone에서 4.15±0.662, 3.4±0.496, 3.35±0.483, Disc에서 4.43±0.500, 3.7±0.464, 3.85±0.579 라는 결과를 얻었다. 평가된 값의 평균을 비교해본 결과 Neural formen, Intraspinal root, Foraminal fat tissue는 3D T2 SPACE 재구성 사위시상면, 3D T2 SPACE 시상면, 고식적 2D T2 시상면 순으로 높은 결과가 나왔고, CSF, Spinal cord, Bone, Disc에 대해서는 고식적 2D T2 시상면이 3D T2 SPACE 시상면, 3D T2 SPACE 재구성 사위시상면 보다 높다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두 평가자 간 평가결과의 일치성 검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01). 결 론 : 3D T2 SPACE 시상면 영상과 3D T2 SPACE 재구성 사위시상면 영상은 높은 공간 분해능과 T2 대조도를 가지고 있으며, CSF, Spinal cord, Bone, Disc의 해부학적 구조물 관찰정도가 고식적 T2 시상면 영상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Neural foramen, Intraspinal nerve root, Neural foramen fat tissue의 구조물들이 잘 관찰되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신경근병증, 디스크 탈출증 의증을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에게 3D T2 SPACE 시상면 시퀸스를 적용한다면 Neural foramen, Intraspinal nerve root, Neural foramen fat tissue에 관한 높은 진단적 영상정보를 제공하므로 질환의 감별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4,000원
        6.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sculoskeletal disorders are generally caused by physical activity and job stress, lack of exercise, neck, shoulders, and back. In this paper, we were implemented using the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sensor rehabilitation contents and measurements of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that can help th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system. It was compared to the CROM method for verification of the IMU sensor data, the error rate was the result of less ±0.3󰔆. In other word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no problem to measure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So we were calculated the quaternion angle for each flexion, extension, and lateral flexion and extension, the contents for these was implemented. 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of a virtual reality-based contents using the Google cardboard was to show the possibility to replace existing high virtual reality contents.
        4,000원
        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자기공명영상은 물과 지방 사이에 화학적 이동 현상을 가지고 있고 지방에 의해 구조적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지방은 기본적으로 강한 신호를 나타내어 잘못된 인공물을 형성함으로써 병변 주변부의 진단을 어렵게 한다. 이런 이유로 효과적인 지방소거기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본 논문은 평소 균일한 지방제거 영상을 얻기 어려운 경추 근골격에 대해 기존의 지방소거 기법과 Dixon 기법을 정량적 평가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0월 0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본원에 방문한 경추 근골격에 대한 병변이 없는 환자 20명(평균나이: 62.2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장비는 3.0T Skyra(SIEMENS, Germany)와 20 channel Head & Neck coil을 이용하였으며, 사용한 sequence는 TSE(turbo spin echo)이며, sacn parameters FOV:250×250 mm/ TR:2500 ms/ TE:96 ms/ Image Matrix:269×384/ thickness:3 ㎜/ Gap:0.3 ㎜/ Slice No.11/ Scan time: 2:30 sec로 동일하게 하였고 지방 소거 기법만을 FS(Spectral fat saturation), SPAIR(Spectrally Adiabatic Inversion Recovery), Dixon(Water only excitation)으로 변화하여 경추부위 근골격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근골격계 중 가장 높은 신호를 나타내는 부위와 가장 낮은 신호 부위에 관심 영역 ROI를 측정하여 [1- (Imax-Imin)/(Imax+Imin)]x100 식을 통해서 지방제거영상의 균일성을 백분율로 계산하여 정량적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SPSS 21.0의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ment ANOVA)으로 통계학적 처리를 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결 과 : 정량적 분석결과 FS 11.83±3.27%, SPAIR 10.11±4.03%, DIXON 93.27±8.83%으로 Dixon기법 지방소거 영상의 균일성이 다른 기법에 비해 아주 높게 나왔다. 각각의 기법으로 구한 값을 RM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구형성 가정의 유의확률이 0.00으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을 때, 기존의 지방소거 기법인 FS 기법과 SPAIR 기법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p>0.05), FS 기법과 DIXON 기법 간 및 SPAIR 기법과 DIXON 기법 간에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결 론 : 본 실험을 통하여 세 기법을 적용했을 때 경추 근골격의 지방소거 균일성 정도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알 수가 있었다. FS, SPAIR 기법은 인체 굴곡부위에 검사를 할 경우에 중심 주파수 값이 굴곡 부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굴곡 정도가 심하지 않은 마른 체형의 환자를 검사 할 경우에는 비교적 나은 균일성을 보였지만, 일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체형에서는 균일성이 많이 떨어졌다. 반면 Dixon기법은 물성분과 지방성분의 위상이 동일한 동위상(in-phase)영상과, 180° 다른 반대위상(opposed-phase) 영상을 얻어, 위상보정(phase correction) 과정 및 두 가지 영상을 이용한 calculation을 통하여 지방소거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3.0T MRI에서의 흔히 발생되는 B0와 B1에 의한 불균일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기존의 지방 소거 기법들 보다 월등히 균일한 지방 소거 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본 논문에서 연구한 Dixon 기법은 경추 근골격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위와 병변에 적용되어 진다면 임상적으로 더욱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본 논문은 임상적으로 정형화된 경추부 MR 검사에서 틀니 제거와 침 삼킴 등의 불수의적 구강 운동에 의한 움직임 인공물을 개선하기 위하여 구강 삽입 유도기구를 이용한 추가적인 검사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2월 01일부터 2014년 1월 31일까지 경추부 질환으로 내원한 환자 중 틀니를 착용한 13명(남자: 7명, 여자: 6명, 평균 연령: 59±7.23세)을 대상으로 C-Spine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선정 시 폐쇄 공포증 환자, 진정제 사용 환자는 검사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기공명기기는 경추부 MR 검사에 최적화된 1.5T(Magnetom Avanto, Siemens,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고 신호 강도를 획득하기 위한 경추 전용 위상배열코일(Neck matrix coil)을 사용하였다. 실험 도구는 구강 삽입 유도 기구(Endo-piece, Vision, Korea)를 사용하였다. 실험 방법으로 대상에게 고정도구의 안정성과 검사에 관한 사항을 먼저 설명을 한 후 정상 체위앙와위(supine position)로 T₁-TSE-Sagittal, T₂-TSE-Sagittal, T₁-TSE-Axial, T₂-TSE-Axial을 획득하고 환자의 입에 구강 삽입 유도 기구를 삽입한 후 다시 T₁-TSE-Axial과 T₂-TSE-Axial을 검사하였다. 영상의 평가와 분석은 환자의 임상 소견과 판독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성적 분석(qualitative analysis)과 SNR(signal to noise ratio)과 CNR(contrast to noise ratio)을 바탕으로 한 정량적 분석(quantitative analysis)을 사용하였다. 결 과 : SNR은 고정도구 삽입 전 T₁-TSE-Axial이 22.33±8.59, 고정도구 삽입 후 T₁-TSE-Axial이 25.21±7.93, 고정도구 삽입 전 T₂-TSE-Axial이 14.49±5.74, 고정도구 삽입 후 T₂-TSE-Axial이 16.61±6.72이었다. CNR은 T₁-TSE-Axial이 0.236±0.21이고 T₂-TSE-Axial이 0.219±0.22로 측정되었다. 정성적 분석 결과 고정도구 사용 전 T₂-TSE-Axial 에서 3.25±0.18점, 고정도구 사용 후 T₁-TSEAxial 영상이 3.95±0.14점을 나타내었다. 결 론 : 고정도구를 사용한 추가적인 검사기법의 적용으로 환자들의 불수의적 인공물이 저감화됨에 따라 영상의 대조도와 분해능이 향상되었고, 영상 판독과 질환의식별에도 기존 검사 기법에 비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움직임 인공물로 인해 질환의 경계가 불분명했던 부분이 명확해 졌으며 업무의 질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2.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3.
        201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studied clinical utility of open door laminoplasty with foraminotomy in CSM with multilevel radiculopathy. W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underwent laminoplasty with formainotomy, and the second group underwent laminoplasty and multiple ant. approaches. In the first group, the JOA score increased from a preoperative 13.3 to postoperative 16.0 (range, 10 to 18), and in the second group from 12.8 to 15.5 (range, 10 to 18). However, the pre-operative VAS score was 6.1, 6.5 and, 2 weeks after surgery, had decreased to 2.4, 1.4, the last score was the same, 1.8, finally. The open door lami-noplasty with foraminotomy was easily performed and clinical profiles were similar to those for the laminoplasty and multi-ple anterior approach.
        14.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임상적으로 정형화된 경추부 MR 검사에서 틀니 제거 환자들의 불수의적 구강운동, 침 삼킴 등의 불수의적 구강 운동에 의한 움직임 인공물을 개선하기 위해 구강내 삽입 유도 기구를 이용한 검사방법을 제안하고 인공물을 최소화하여 질환의 경계가 불분명했던 부분을 명확하게 하여 최적의 영상을 만들고자 하였다. 2014년 1월 1일부터 2014년 6월 31일까지 경추부 질환으로 내원한 환자 중 틀니를 착용한 30명을 대상으로 경추 자기공명검사를 시행하였다. 방법으로는 틀니를 제거한 후 바로 누운(supine position)자세로 T1-TSE-Sagittal, T2-TSE-Sagittal, T1-TSE-Axial, T2-TSE-Axial을 획득하고 환자의 입에 구강내 삽입 유도 기구를 삽입한 후 T1-and T2-TSE-Axial을 검사하였다. 결과로는 정량적 분석 SNR은 구강 삽입 유도 기구 사용 전 T1-TSE-Axial이 22.33±8.59, 사용 후 25.21±7.93, T2-TSE-Axial은 사용 전 14.49±5.74, 사용 후 16.61±6.72이었다. CNR은 T1-TSE-Axial이 0.23±0.01, T2-TSE-Axial이 0.21±0.01로 측정되었다. 정성적 분석으로는 T1-TSE-Axial에서 구강내 삽입 유도기구 사용 전 3.49±0.11, 사용 후 3.95±0.14로 나타났으며 T2-TSE-Axial에서는 구강내 삽입 유도기구 사용 전 3.25±0.18, 삽입 후 3.68±0.09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구강내 삽입 유도 기구의 사용으로 움직임 인공물이 해소되어 영상의 대조도와 분해능이 향상되었고 영상 판독에 있어 질환의 식별능력이 우수하여 영상의 질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15.
        2013.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ervical epidural injection is a common treatment for management of neck, shoulder, and upper extremity pain. Although several complications are possible, cardiopulmonary arrest and intraventricular pneumocephalus are rare serious complications, mainly occurring when the dura has been punctured. We report on a case of cardiopulmonary arrest and intraventricular pneumocephalus after cervical epidural injection with loss of resistance technique using air. After performanc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or 30 minutes, a pulse was regained; however, the patient’s mental status was coma. Despite receiving conservative treatment, the patient ultimately died without recovery of consciousness.
        16.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자동노출제어장치에 의한 X선질 보정 및 다양한 수학적 보정 알고리즘 적용이 가능한 전산화단층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의 사용 유‧무에 따라 영상의 질과 환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 측면에서 견부강제 견인법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부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79명을 대상으로 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를 사용하기 전‧후의 측면 투영 scout 영상과 횡단면 영상을 획득하여 횡단면 영상의 일정 크기의관심영역 내의 화소 및 평균 HU 값을 비교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고 인공물과 해상도 및 분해능에 대한 임상 영상평가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환자가 느끼는 불편 정도를 자가 진단 설문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측면 투영 scout영상에서 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를 사용한 경우 묘출되는 경추의 수가 증가되었으나 횡단면 영상의 관심영역 내에서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를 사용하기 전‧후에 대한 화소 및 평균 HU 값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인공물과 해상도 및 대조도와 관련된 정성적 분석 결과에서 관찰자간 특이한 결과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의 사용에 대한 자가 진단 설문 평가에서 환자의 82.27%는 불편함을 호소하였으며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영상의 질을 분석한 결과에서 사용에 따른 영상의학적 이점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근 다양한 수학적 보정 알고리즘에 의한 전처리 필터 과정의 적용과 더불어 절편 두께의 감소 및 자동노출제어장치 등에 의한 선질 보정 등이 가능한전산화단층촬영 장치가 보급되면서 선속 경화에 의한 영상의 잡음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어 영상의 질에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거나 추가적 위험성이 있는 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의 사용은 더 이상 임상적 유용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7.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서산시에 거주하는 자로 2007년 1월 1일부터 2007년 11월 31일까지 본원 에 내원한 환자 중 방사선 경추 전․후면, 측방향 촬영을 실시하여 총 113명(40세 이하)을 대상으로 조 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의 분포는 14~40세 까지로 남자 57명(50.4%), 여자 56명(49.6%)이었으며, 연령그룹이 30~40 세 80명(70.8%), 20~29세 27명(23.9%)에서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2) 경부통의 발생 원인으로는 교통사고, 실족, 원인 모름이 대부분으로 조사 되었는데 원인 알 수 없 음이 81명(71.7%)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증상 발현되는 시기는 만성 87명(77%)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나 경부통의 발생원인과 증상발현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3) 113명 중 20~29세 27명(23.9%), 30~40세 80명(70.8%)로 증상발현이 급성, 만성 모두 높은 분포를 보였다. 4) 본 연구자는 전체 113명 중 왼쪽 견부 39명(34.5%), 경추부위 31명(27.4%), 양쪽 견부 20명(17.7%) 에서 각각 주요 통증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측만된 방향으로는 왼쪽측만 62명(54.9%)이 가장 많 은 빈도로 나타났다. 5) 전 후 만곡방향에서 전만곡 48명(42.5%)으로 나타났으며, 수축기 혈압에서는 160mmHg에서 전만곡 19명(16.8%), 이완기 혈압에서는 총 69명(61.0%)이 전만곡 31명(27.4%)이 100mmHg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