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항균활성이 뛰어난 식물 정유를 이용하여 식품가공 기구 및 용기에 다양하게 사용되는 polyethylene과 stainless steel 표면에 형성된 식중독 6종의 biofilm 형성에 대한 억제 효과를 연구하였다. 식물 정유 20종의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disk diffusion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 cinnamon > clove > lemongrass > peppermint > pine needle 순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Cinnamon과 clove 정유의 최소억제농도(MIC)와 최소살균농도(MBC)는 각각 0.63-1.25 mg/mL과 1.25-2. mg/mL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lemongrass 정유의 MIC와 MBC는 각각 1.25-2.50 mg/mL 과 2.50-5.00 mg/mL로 약간 낮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정유 3종의 biofilm 형성 예방효과는 식중독 미생물과 polyethylene 및 stainless steel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0.5% 농도의 cinnamon, clove와 lemongrass 정유를 식품접촉 표면에 미리 코팅하였을 때 biofilm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유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든 식중독 미생물에 대해서 biofilm 형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P<0.05), 0.5% cinnamon과 clove 정유 처리에 의해 L. monocytogenes ATCC 19112와 S. aureus KCCM 11812의 biofilm이 형성되지 않았다. Polyethylene과 stainless steel coupon 표면에 형성된 식중독 미생물의 biofilm의 제거 효과를 측정한 결과, 식중독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정유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biofilm 제거 효과는 높아졌으며, 대체로 clove 정유의 biofilm 제거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0.5%의 cinnamon과 clove 정유는 polyethylene과 stainless steel 표면에 식중독 미생물이 형성하는 biofilm을 예방, 성장 억제 및 제거할 수 있는 천연 소재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닭 진드기 구제를 목적으로 개발된 살비제인 와구잡이 II® (WGJB, 편백정유 : 계피정유 = 20 : 56)에 대하여 토끼와 기니픽을 이용하여 피부 자극성 및 감작성 평가를 각각 수행하였다. 일차피부자극시험에서 토끼의 피부에 WGJB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피부 자극성을 확인한 결과, WGJB는 비찰과 부위에서 홍반과 부종과 같은 어떠한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았으나, 몇몇 토끼의 찰과 부위에서 매우 약한 홍반과 부종을 나타내어 WGJB의 1차 피부자극 지수는 0.625이었다. 따라서 WGJB는 약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되었다. 피부감작성 시험에서 기니픽에 0.1 mL의 WGJB을 피내주사한 후 24시간 동안 감작시켰다. 감작 1주일 후 WGJB를 함유한 패취를 주사 부위에 부착하여 48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2주 후에 WGJB 를 함유한 패취를 부착하여 감작을 야기시켰다. WGJB는 어떠한 알러지 반응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WGJB는 약한 피부 자극성을 가지며 감작성을 야기하지 않는 물질로 평가되었다.
        4,000원
        3.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인체에 해가 없으며 항균작용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오배자, 계피, 로즈마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천연방부제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실험식물의 추출방법으로는 계피의 경우 70% ethanol 추출, 오배자는 열수추출법, 로즈마리는 70% ethanol 추출과 열수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실험 방법으로는 항균력, DPPH를 통한 항산화능, 화장품의 challenge test, 화장품 안정성 및 안전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시험 결과, 항균력 시험에서 오배자 추출물은 세균류, 계피 추출물은 진균류에서 항균력이 우수, 로즈마리 추출물의 경우 항균력이 미비해 제외, 복합 추출물(오배자·계피)의 경우는 1:1비율로 조합한 복합 추출물(complex C)에서 항균효과, 복합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MIC)와 최소살균농도(MBC)에서는 5종의 실험균주에서 억제효과와 살균효과, 천연 단일 추출물과 복합 추출물(complex C)에서는 항산화능이 확인 되었다. 또한 합성 방부제 대신 complex C 10%를 화장품에 적용한 시험에서 제형의 안정성 및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천연방부제 원료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4,600원
        4.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terest in and development of healthy foods and nutraceuticals have increased because of the trend for a health-oriented society. Cinnamon is used as a food ingredient as well as a herbal medicine because of its functional properties. In this study, flavoring compound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innamon extracts were investigated with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and extraction methods. The contents of flavoring compounds such as coumarin, cinnamic acid, cinnamaldehyde, and cinnamyl alcohol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courmarin, cinnamic acid, and cinnamylaldehyde in 70% ethanol extract were higher than those in hot water and subcritical water extracts. The contents of courmarin, cinnamic acid, and cinnamaldehyde in subcritical water extract were higher than those in hot water extract, whereas the content of cinnamyl alcohol was lower. DPPH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the extracts, and the 70% 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The ascorbic acid content of the 70% ethanol extract was largest in the antioxidative activity measurement by FRAP analysis. The ascorbic acid contents of the hot water and subcritical water extracts were similar.
        4,000원
        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계피 정유 3종의 구성성분을 분석하였고, 미국선녀벌레에 대한 살충활성을 검정하였다. (E)-Cinnamaldehyde을 포함한 9종의 계피 정유 구성성분과 21종의 유사 물질을 미국선녀벌레 약충에 대해 살충활성을 검정한 결과, hydro-cinnamic acid가 반수치사농도 1.55 mg/cm 2로 가장 좋은 살충활성을 보였으며, geranic acid도 1.59 mg/cm 2로 높은 살충 활성을 보였다. Cinnamaldehyde를 포함한 hydro-cinnamaldehyde, (E)-cinnamaldehyde, cinnamdyl alcohol, cinnamyl acetate, dibutyl phtalate, anethole, a-cyano cinnamic acid, (s)-perillyl alcohol, methyl cinnamaldehyde, bonyl acetate 12종이 중간정도의 활성(1.60 - 4.94 mg/cm 2 )을 보였으며, 다른 물질들은 살충활성이 낮거나 없었다. 미국선녀벌레 성충에 대해서는 eugenol 이 반수치사 농도 10.81 mg로 가장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으며, geranic acid (30.68 mg)도 높은 살충력을 보였다. Cinnamaldehyde 등 9종이 반수 치사 농도 105.44~255.76 mg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다른 18종의 물질은 활성이 낮거나 없었다. 실제 포장인 인삼포장에 발생하는 미국선녀벌레에 대한 적용시험에서 cinnamon bark 정유와 cinnamon green leaf 정유가 각각 82.3%와 82.9%의 높 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농업환경에서 고독성 합성살충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본 논문에서 선발한 계피정유가 미국선녀벌레의 약충 및 성충 방제에 유용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7.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icroencapsulated cinnamon oil (CO)-coated film was developed using a pilot-plant scale film coating system. CO microencapsulated with polyvinyl alcohol was incorporated with a printing ink and the ink mixture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a polypropylene (PP) film as an ink coating using a gravure printing press at a speed of 20-200 m/min. The tensile strength, percentage elongation at break, elastic modulus, and water vapor permeability of the PP films with and without coating with the microcapsu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which indicates that the coating did not alter those properties of the films. Microencapsulation effectively prevented the volatilization of CO in the films. The microencapsulated system may be extended to other food-packaging films for which the same ink-printing platform is use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mply that the oil-microencapsulated films could be potentially produced by a modern film manufacturing system.
        4,000원
        8.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innamaldehyde is known to have the antitumor effects in vitro and in vivo. In this study, we showed a potent and irreversible cytotoxic activity of the Cinnamaldehyde derivative 2'-benzoyloxycinnamaldehyde (BCA) in human Squamous oral cell carcinoma cell, YD-10B. BCA induced YD-10B cell apoptosis in a dose-responsive manner. BCA-induced apoptosis was associated with corresponding increases in a series of key components in the mitochondria-mediated apoptosis pathways, followed by caspase cleavage and PARP activation. We also observed that BCA induced autophagy through Akt/mTOR pathway in YD-10B cells. BCA treatment increased LC3B-II expression, and induced the formation of autophagosomes and autophagic vacuoles. These experimental findings suggest that BCA is a potent inhibitor of cell proliferation in YD-10B cells and provide new insights about leading to the possible development of a new therapeutic agent.
        4,000원
        10.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cinal plant extracts on phys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medicinal plant extracts were added to chocolate at a weight percentage of 0, 3 and 6%. Color values(L-value, redness, and yellowness), total flavonoid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made with varying various medicinal plants concentrations of the additives were measured. In sensory evaluation, significant differences(p<0.05 and p<0.01) were shown in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depending on the addition of plant extract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ocolate aroma and bitterness properties.
        4,000원
        11.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consumer's demand for natural preservatives is increasing because of residual toxicity, mutagenicity and etc. of synthetic preservatives and the study of natural preservatives is being done. In this study, antimicrobial activity of spices was investigated Fungi occurred in bread and a noodle without mustard after 3days and 4days, respectively. However, they didn't occur in bread and noodle with mustard ball. Temperature of the water used in mixing-up mustard powder didn't affect antimicrobial activity of mustard. Fungi occurred in bread with cinnamon, Japanese pepper or horseradish after 4days, 4days or 6days,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n't the occurrence of fungi in bread with mustard after 8days, yet. Mustard and horseradish of extracts by water of spices had a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But the extracts by ethanol had low antimicrobial activity.
        3,000원
        12.
        200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액체형태의 건강보조식품이나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에 이용하기 위한 계피 extract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건조방법을 선정하고자 농축 및 건조방법이 계피 extract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추출 시험에서 선정된 최적조건 즉, 물을 용매로 할 때는 80℃에서 10배량의 물을 가하여 1시간씩 3회 추출하고, 70% 에탄올을 용매로 할 경우에는 80℃에서 5배량의 용매를 가하여 1시간씩 2회 추출한 다음 각각의 추출액을 오븐건조, 감압농축건조, 분무건조, 냉동건조의 방법으로 건조시켜 농축물을 조제하였다. 이때 지표성분인 cinnamic acid, 유효성분인 eugenol과 cinnamic aldehtde가 건조방법에 의한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아서 물추출액의 경우에 오븐건조 시에는 추출액의 4.76%∼44.12%, 감압건조 시 5.30%∼48.05%, 분무건조 시 3.66%∼21.83%, 냉동건조 시에는 56.21%∼88.76%, 잔존율을 나타냈고, 70% 에탄올 추출액의 경우에는 감압건조 시 9.40%∼25.40%, 냉동건조 시 76.05%∼88.38의잔존율을 나타냈다. 항산화활성도의 변화도 이와 유사하였으며 70% 에탄올 추출구가 물추출구에 비하여 감소율이 적었다. 갈색도는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탄닌과 유리당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다. 물리적 성질 중 용해도는 오븐 건조했을 때 가장 낮았으며 70% 에탄올 추출액을 건조하였을 때 용해도가 더욱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물추출액의 경우에는 냉동건조, 70% 에탄올 추출액의 경우에는 냉동건조와 감압농축 건조방법이 지표성분이나 유효성분함량, 항산화활성도의 변화가 적으며 용해도 등의 품질 변이가 적으므로 계피 추출액의 농축에 적합하였다.
        4,000원
        13.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녹차의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합성보존료인 potassium sorbate와 sodium benzoate의 식중독세균(Listeria monocytogenes, Staphu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녹차추출물과 보존료를 0∼2%(w/v) 첨가한 tryptic soy broth(TSB)에 균액을 약 105 CFU/ml가 되게 접종하여 35℃에서 24∼48시간 배양하여 생균수를 측정한 후 세균의 생존곡선으로부터 최소저해농도(MIC)와 최소사멸농도(MBC)를 구하였다, 식중독세균에 대한 녹차추출물의 항균활성은 pH가 높을수록 컸으나 보존료의 항균활성은 pH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S. aureus는 녹차추출물에 의하여 가장 쉽게 사멸되었으나 보존료에 대하여느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pH 5.5∼7.0에서 녹차추출물들의 S. aureus에 대한 MIC는 0.25∼0.35%, MBC는 1.0∼2.0%였다. Potassium sorbate와 sodium benzoate의 S. aureus에 대한 MIC는 pH 5.5∼6.0에서 0.52∼0.98%였으나 pH 7.0에서는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지 않았다. pH 6.5∼7.0에서 녹차추출물들의 S. typhimurium에 대한 MIC는 0.46∼1.62%였으나 pH5.5에서는 세균 증식이 억제되지 않았다. S. typhimurium에 대한 보존료의 MIC는 pH5.5∼6.0에서 0.30∼1.30%였으며 pH 5.5 potassium sorbate 2.0% 농도에서 이 세균은 사멸되었다. L. monocytogenes를 제외한 모든 시험균주는 pH7.0에서 1.0∼2.0%의 녹차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에 의해 사멸되었다.
        4,000원
        14.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velop antimicrobial substances, many kinds of medicinal herbs were extracted with absolute ethanol and then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various microorganisms were investigated. Ethanol extract from cinnamon bark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on the growth of almost all submitted microorganisms. Specially, molds such as Aspergillus sp. and Pencillium sp. were inhibited strongly. Therefore, the crude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the ethanol extract was fractionated with various solvents such as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n-butyl alcohol and then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tested. Among the various solvent fractions from the ethanol extract, n-hexane fraction was the best in antimicrobial activity especially against mold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n-hexane fraction by heat treatment at 100℃ for 60 min or 121℃ for 15 min and by the change of pH 4.0-10.0. We could get the results that the n-hexane fraction of cinnamon bark extract showed not only antimutagenicity but also no mutagenicity by Ames test with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and TA 100.
        4,000원
        15.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A critical features of Alzheimer’s disease (AD) is cognitive dysfunction, which partly arises from decreased in acetylcholine levels. AD afftected brains are characterized by extensive oxidative stress, which is thought to be primarily induced by the amyloid beta (Aβ) peptide. In a previous study, Cinnamomum loureiroi tincture inhibited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y. That study identified AChE inhibitor in the C. loureiroi extract. Furthermore, the C. loureiroi extract enhanced memory in a trimethyltin (TMT)-induced model of cognitive dysfunction, as assessed via two behavioral tests. Rosa laevigata extract protected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cytotoxicity. Administrating R. laevigata extracts to mice significantly reversed Aβ-induced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as shown in behavioral tests. Methods and Results: We conducted behavioral to examine the synergistic effects of C. loureiroi and R. laevigata extracts in inhibiting AChE and counteracting TMT-induced learning and memory losses. We also performed biochemical assays. The biochemical results showed a relationship between increased oxidative stress and cholinergic neurons damage in TMT-treated mice. Conclusions: A diet containing C. loureiroi and R. laevigata extracts ameliorated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s in the Y-maze and passive avoidance tests, and exerted synergistic inhibitory effect against AChE and lipid peroxidation.
        16.
        201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LCBC) and cinnamon extract (Control: water 700 mL, sample A: water 670 mL+LCBC 30 mL, sample B: water 670 mL+LCBC 22.5 mL+Cinnamon extract 7.5 mL, sample C: water 670 mL+LCBC 15 mL+Cinnamon extract 15 mL, sample D: water 670 mL+LCBC 7.5 mL+Cinnamon extract 22.5 mL and sample E: water 670 mL+Cinnamon extract 30 mL). The weight of dough was not significant between samples, and the weight of bread was highest in samples D. The volume and specific volume were the highest in sample C but the baking loss rate was highest in the control (p<0.05). The L valu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were decreased as addition of cinnamon extract increased. However, a value, b valu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reversed. The sourdough bread produced by adding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improved the volume and texture. It was thought that it is helpful to add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and cinnamon extract for manufacturing a loaf of bread.
        17.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제형 내에서 천연 방부제로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선별된 15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병원성 세균(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과 효모균(Candida albicans), 곰팡이균(Aspergillus niger)에 대한 paper disc법(disc diffusion method)과 최소저해농도측정법(MIC)을 이용하여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자, 오배자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인 S. aureus와 그람 음성균인 P. aeruginosa, E. coli 에 대한 항세균 활성이 우수하였고, 계피 추출물은 효모균인 C. albicans와 곰팡이균인 A. niger에 대해 우수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냈다. 최종 선별된 3종 외 식물추출물은 효과가 없었다. 항균 활성 효과가 우수한 최적 조합비로 구성된 가자, 오배자, 계피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화장품 제형에 첨가하여 제형 내 방부 활성을 측정한 결과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파라벤 혼합 방부제와 유사한 정도의 방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화학 방부제를 대신하여 천연 식물 추출물로만 이루어진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갖춘 방부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최근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화학 방부제의 단점을 극복한 천연 방부제를 함유한 화장료의 개발에 응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18.
        200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곶감은 상온 유통 시 백분과 곰팡이가 발생하고, 갈변과 조직의 경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품성을 유지하고자 계피추출물처리와 포장재에 따른 곶감의 품질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계피추출물에 곶감을 침지한 후 대조구(무포장), LDPE(low density polyethylene)필름포장구과 적층필름포장구(Nylon/LDPE)로 각각 포장하여 상온()에서 100일간 저장 시 다른 포장구 보다 적층필름포장구(Nylon/LDPE)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