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01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the preparation of a clinoptilolite-based adsorbent, utilizing natural zeolite, to adsorb and remove ammonia (NH3) emitted from various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to evaluate its performance. To create an adsorbent suitable for humid environments, hydrophobicity was introduced through HCl acid treatment. The impact of acid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ime was analyzed to optimize the preparation conditions. As a result, the adsorbent treated with 0.5 M HCl for 2 hours demonstrated the highest NH3 adsorption perform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veloped adsorbent could serve as an effective solution for controlling NH3 emissions in humid environments, contributing to the mitiga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odor issues.
        4,0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ACT)과 이부프로펜(ibuprofen, IBU)은 수생환경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의약품으로, 다양한 수생생물에서 생물독성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이 해양생물에 미치는 독성영향은 잘 알려져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ACT 및 IBU가 기수산 물벼룩 Diaphanosoma celebensis에 미치는 급성독성영향 및 해독, 항산화, 탈피 연관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급성독성시험 결과, ACT 및 IBU는 D. celebensis에 상대적으로 낮은 급성독성영향을 나타냈다 (48-h LC50 ACT: 120.72 mg/L 및 48-h LC50 IBU: 212.23 mg/L). 해독효소 유전자의 발현은 ACT 노출 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IBU 노출 시 Cytochrome P450 (CYP) 360A8, glutathione S-transferease (GST) theta, 및 ATP-binding cassette (ABC) transporter B1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ACT 및 IBU가 해독 경로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ACT 및 IBU의 노출은 공통적으로 D. celebensis의 항산화 및 탈피 연관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ACT 및 IBU가 서로 다른 작용기전을 통해 대사될 수 있지만, 공통적으로 해양 동물성플랑크톤의 산화환원 항상성과 생식경로에 잠재적인 독성영향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4,500원
        4.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명교체기에 발발한 난수산의 난은 명나라 초기 중국 동남해안 해상 세력의 첫 번째 반란으로 명나라와 그 후세의 동아시아 해양정책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중국 쪽 사료에는 난수산의 난이 평정되었을 때 때까지 만 기록돼 있어 반란자인 난수산민들에 대한 후속처치 결과는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았다. 20세기 말에 이르러서야 학자들은 『이문』, 『고려사』, 『고려사절요』 등 한국사료를 이용하여 난수산의 난이 진압된 후에 난수 산민들이 한반도로 망명하게 된 경위를 밝혀졌다. 하지만 대부분 연구 성과는 사건 자체가 동아시아 해역의 국제정세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 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사건의 주인공인 난수산민들이 한반도에 망명하 게 된 후에 정착한 ‘이주’ 속성은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이주사의 시각에서 한반도에 정착한 난수산민 들의 도주 행방, 인원 구성, 활동 지역, 생계 활동 등에 대한 분석을 통 해 그들이 한반도 서남해안지역을 이주지로 선택한 이유와 이주 이후 어 떻게 생활했는지를 밝혔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이주사 연구의 새로운 역사 실마리를 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600원
        5.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10 different lines of native peppers collected from organic farms in Chungbuk province. The study foun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redness (a*) and ASTA values, which both contribute to the perceived quality of peppers. The highest values were observed in the Iyugsa line. The content of capsaicinoid and beta-carotene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sungcho having the high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 Whil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did not correlate with the other indicators, Chilsungcho again had the highest levels. The Yuwolcho line exhibited the highest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while the Eumseongcho line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Taking into account the overall bioactivity quality, Chilsungcho had the highest values in terms of total polyphenol, beta-carotene, capsaicinoid, and redness. It also had the second highest total flavonoid content,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Chilsungcho can be considered an excellent choice when considering physiological activity.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se 10 native pepper lines, which can assist in selecting the appropriate pepper for food manufacturing and serve as a helpful resource for future research.
        4,000원
        7.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담양군 치재산(가마골) 일원 관속식물상 조사를 통해 자생식물, 희귀식물과 특산식물의 분포를 밝히고 효율적인 생태계 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현장조사는 2022년 3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총 21차례 실시하였 으며, 그 결과 101과 304속 444종 10아종 35변종 3품종 총 492 분류군의 식물표본을 채집하여 목록화하였다. 제작된 표본목록을 분석한 결과, 산림청 지정 특산식물 14 분류군, 희귀식물 9 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환경부 지정 국가적색식물 7 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68 분류군으로 등급별로 보면 I등급 45 분류군, II 등급 5 분류군, III 등급 16 분류군, IV 등급 2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155 분류군이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외래식 물은 38 분류군으로 7.7%의 귀화율과 6.1%의 도시화지수를 나타냈다. 외국으로부터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된 생태계교란식물은 4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치재산의 특이식물에 대한 자생지 보전과 증식을 통해 정원식물로 활용한다면 담양만의 특색있는 경관을 연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400원
        8.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icroplastics and nanoplastics (NMPs) are considered one of hazardous contaminants in marine ecosystems due to their toxic effects, such as reproduction disorder and oxidative stress, on marine organisms. Although water temperature is rising due to global climate change, little information on the toxicological interaction between NMPs and temperature is available.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toxicity of NMPs (polystyrene [PS] beads; 0.05- and 6-μm) on brackish water fleas (Diaphanosoma celebensis) depending on increased temperature (30°C and 35°C) at individual and molecular levels. In the chronic toxicity test, the group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showed an earlier first reproduction time compared to the normal temperatures group, but it was delayed by co-exposure to NMPs at 35°C. Notably, the total reproduction decreased significantly only after 0.05-μm PS beads exposure at 30°C. Interaction analysis showed that first reproduction time, modulation of the antioxidantrelated gene (GSTS1), heat shock gene (Hsp70), and ecdysteroid pathway-related genes (EcR_A, EcR_B, and CYP314A1) were closely related to temperature and PS beads siz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icroplastics have size-dependent toxicity, and their toxicity can be enhanced at high temperatures. In addition, higher temperatures and PS beads exposure may have negative effects on reprodu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various factors such as water temperature should be considered when evaluating the toxicity of microplastics in marine ecosystems, and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toxic interaction between water temperature and microplastics for marine zooplankton.
        4,600원
        9.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토양 용토, 호르몬 종류 및 농도, 잎의 모양 차이 에 따른 넓은산꼬리풀의 삽목 발근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 었다. 토양 용토는 단일 원예용상토와 녹소토 그리고 원예용 상토:녹소토(1:1) 혼합용토를 사용하였다. 호르몬 종류는 IBA 와 NAA를 사용했으며 각각 무처리, 100, 500, 1000㎎·L-1를 처리했다. 잎의 모양은 잎 두매가 온전하게 달린 삽수, 잎 두 매를 반으로 자른 삽수 그리고 잎 한매를 반으로 자른 삽수를 조제하여 사용했다. 용토에 따른 발근은 녹소토를 단일로 사 용한 처리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원예용상토를 단일 로 사용한 처리에서 발근이 저조하였다. 호르몬에 따른 발근 은 IBA와 NAA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생물의 biomass를 나타내는 건물중이 NAA 보다 IBA에서 높게 나 타난 것으로 보아 IBA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잎 모 양에 따른 발근은 잎 한장을 반으로 자른 삽수가 가장 높은 생육이 나타났으며 온전한 잎 두장이 붙어있는 처리는 생육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넓은산꼬리 풀은 삽목시 반으로 잘린 잎이 한장만 붙어있는 삽수를 저농 도의 IBA에 침지 후 녹소토에 꽂는 것이 삽목에 효과적일 것 으로 보여 진다.
        4,000원
        1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quarium pet trade is a source of potentially invasive crayfish species, which can be subsequently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introduced into new environments. There were 34 species of freshwater crayfish imported into Korea for ornamental purposes. Starting with 1 species in 2008, it shows a trend of continuous increase every year with the maximum of 25 species in 2020. The number of freshwater crayfish imported into Korea for ornamental purposes was 1,172,159, with an annual average of 78,144 being imported. The population also recorded a record high in 2017 with a 38% increase in population import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mong the 34 pet crayfish imported into Korea, four species classified as high-risk and managed in the US and Europe were American crayfish (Procambarus clarkii), Cherax quadricarinatus, Cherax cainii, and Cherax destructor. In addition to American crayfish (P. clarkii), 3 types of high-risk invasive crayfish are designated as legally managed species by conducting an ecological risk assessment, raising awareness among importers, retailers and consumers through awareness-raising education on freshwater crayfish, and measures for route management such as species identification and improvement of labeling methods are needed.
        4,000원
        13.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five kinds of fresh vegetables produced in trees in early spring and trie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wild vegetable producers and processed food manufacturers using wild vegetables. The crude protein, minerals, ascorbic acid, folate,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were determined. Five spring wild vegetables contain high protein and phosphorus, indicating that they are useful food ingredients as sources of protein and phosphorus. Vitamin C content was high in R. venicifera and C. sinensis shoots, and in particular, R. venicifera and A. cortex shoots have high folic acid (folate) contents of 1,903.91 ug% and 1,525.35 ug%, respectively, which is considered a good food for folic acid intake in spring.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between 0.52% and 1.27%, and it was the highest in C. sinensis of 1.27%, followed by the order of R. venicifera, A.cortex, K.pictus, and A. elata, which tended to be consistent with the total flavonoid content. As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C. sinensis (55.93%)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nd ACE inhibitory activity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A. cortex (88.04%).
        4,000원
        14.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dium-large cladoceran species Simocephalus spp. predominantly occur in habitats with developed aquatic vegetation. Accordingly, due to Simocephalus’ high contribution to zooplankton community biomass in the lake’s littoral zone and wetland habitats, estimating their biomass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atter cycling based on biological interactions within the aquatic food web.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length-weight regression equations used previously to estimate Simocephalus biomass, directly measured S. serrulatus’ body specification (length, width and area) and their biomass (dry weight) using instruments such as a microscopic digital camera and a microscale, and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ach other. When S. serrulatus biomass was estimated using the equation (Kawabata and Urabe, 1998) presented in 『Biomonitoring Survey and Assessment Manual』, Korea, errors between estimates and measures were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S. serrulatus species-specific biomass estimate equation developed by Lemke and Benke (2003). In addition, both equations showed not only increasing trends in error (estimate-measure) with increasing S. serrulatus’ body length, but also in error variance among similar-sized individual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with dry weight by body specifications indicated that the most appropriate equation for estimating the biomass of S. serrulatus was derived from the width-dry weight exponential regression equation (R2=0.9555). The review and development study of such species-specific biomass estimation equations for zooplankton can be used as a tool to understand their role and function in aquatic ecosystem food webs.
        4,200원
        15.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 담도기 이미지에서 CAIPIRINHA, 압축 센싱(CS), 딥러닝(DL) 기법을 비교하여 주관적 영상의 질과 국소병변 을 평가하였다. 후향적 연구로 간 담도기 이미지를(획득 시간, CAIPIRINHA 16초, DL 11초, CS 15초; 절편두께, 3mm, 3mm, 1.5mm) 포함한 가도세틱산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51명의 환자에서 3개의 이미지와 국소 간 병변은 주관적 이미지 질 평가를 분석하였다. 간 가장자리 선명도는 CAIPIRINHA(3.9±0.8), DL(4.5±0.6), CS(4.5±0.8), 호흡에 의한 운동 허상은 CAIPIRINHA(4.3±0.9), DL(4.7±0.6), CS(4.5±0.8)를 보였다. 21명 환자의 48개 병변에서, 가장자리 선예 도는 CAIPIRINHA(4.3±0.7), DL(4.5±0.6), CS(4.6±0.5), 선명도는 CAIPIRINHA(4.4±0.7), DL(4.7±0.5), CS (4.7±0.5)을 보였다. DL은 검사 시간을 줄이면서 CAIPIRINHA와 비슷한 질을 보이고 호흡 허상을 줄일 수 있다. CS는 얇은 절편 영상의 획득이 가능하여 비슷한 영상의 질을 보여 선택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4,000원
        19.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박달산(363m), 명봉산(245.3m) 지역을 중심으로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2개 산지 식물상 조사 결과, 87과 261속 363종 8아종 32변종 2품종으로 총 405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조사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6과 12분류군, 나자식물이 2과 6분류군, 쌍자엽식물이 70과 290분류군, 단자엽식물이 9과 9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은 특산식물 은사시나무, 키버들, 외대으아리, 서울제비꽃, 개나리, 오동나무, 병꽃 나무, 백운산원추리 8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3분류군으로 취약종(VU) 왜박주가리, 약관심종(LC) 태백제비꽃, 이팝나무가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소리쟁이, 미국자리공, 유럽점나도나물, 흰명아주, 좀명아주, 콩다닥냉이, 족제 비싸리, 아까시나무, 토끼풀 등 총 35분류군으로 조사되어, 조사식물 405분류군의 8.5%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DMZ 서부 미조사 지역의 연구를 통하여 식물들을 규명하고, 희귀식물, 특산식물의 자생지 확인 및 생태계 교란 식물에 대한 관리방안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6,100원
        20.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Seongdeok (Ganghwa-gun) in Korea. From the results of nine field surveys from March 2020 to July 2022, a total of 445 total taxa, representing 397 species, nine subspecies, 35 varieties, two forms and two hybrids were identified, which were placed in 273 genera and 93 families. The plant formation of Mt. Seongdeok is a deciduous broad-leaved and conifer mixed forest, which is common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Most of the mountain is covered by a young secondary forest, which is mainly composed of Quercus ssp. and Pinus ssp. Among them, five taxa were endemic to Korea, one taxon were endangered plant and two taxa were red list plants. The floristic target plants amounted to 27 taxa, specifically one taxon of grade V, four taxa of grade III, seven taxa of grade II, and 15 taxa of grade I. And 43 taxa were northern lineage plants. A total of 46 species of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with a Naturalized Index of 10.3%, an Urbanization Index of 11.7%, and six plants that disturbed the ecosystem. Our results provide basic data on vascular plants flora, and plant diversity and distributional change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