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미지를 이용하여 대구광역시 내 반려견 산책 선호장소와 특징을 분석하 였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약 2년간의 시간적 범위를 기반으로 ‘#반려견산책’ ‘#강아지산책’, ‘#개산책’ 세 가지의 인스타그램 해시태그를 활용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추출된 622 건의 위치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구광역시 내 반려견 인기 산책 장소는 총 13개인 것으로 나타났으 며, 상위 세 개 장소의 경우 국채보상공원, 두류공원, 수성못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려견 동반 산책 선호장소의 공간적 특징 및 경향성 파악을 위한 719개의 사진분석결과 ‘수변산책로’, ‘거주지 주변’, ‘공원’, ‘도시/도시인프라’, ‘반려견운동장/카페’ 총 다섯 가지 분류체계 항목으로 조사되었 다. 사진들의 다양한 요소 및 특성(Attributes) 분석틀에 의한 유형분류 결과 반려견만을 집중하여 확대, 촬영한 사진들을 제외하고 ‘경관’, ‘자연요소’, ‘활동/레저’, ‘사람’, ‘도시/장소’의 다섯 유형 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반려견 산책 선호장소와 유형들을 파악하여 반려견 산책환경 개 선방안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fire officers’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subsequent forest healing on their occupational burn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ing, and relieving stress by stroll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The more fire officers are exposed to traumatic events, the more they lose self-control in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the lower the level of stress relieved through strolling, the higher the level of burnout. Thi sresult suggests that the more fire office rsare called out for fire fighting, the more they see their colleagues with severein jurie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mental and physical an xiety, the more they areex hausted. Moreover, for es thealing help store duce the irmental and physi calfatig uecaused by traumatic events, thu spreven ting them from suffering from burn out. Second,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ing, and relieving stress by stroll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ccupational stress. The more fire officers are exposed to traumatic events, the more they lose self-control in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the lower the level of stress relieved through strolling, the higher the level of occupational stres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o relieve job stress caused by fire fighting, increased forest healing activities, including various programs such as psychotherapy, develop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control, and creating a positive mind-set, can reducejobstress and help fire officers recover from it. Lastly, job stress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forest healing on burnout. This implies that burnout can be prevented when fire officers gain high emotional stability through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ing and stress-relief strolling over a traumatic experience, and stronger support from the organization and family can keep them from being emotionally drained, thus contributing to the prevention of burnout.
본 연구는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을 증진을 돕는 새로운 방법을 제본 연구는 만2세 영아에게 영아 주도의 놀이중심 숲산책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영아의 인지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Y시에 소재한 4개 어린이 집에 재원 중인 만 2세 6개반 42명을 대상으로 3-6월까지 12주 동안 실외놀이시간에 실험집단 은 영아 주도의 놀이중심 숲산책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실외놀이터 놀이를 실시하 였다. 인지발달 검사도구는 이영자 외(2002)의 교사용 1, 2세 영아발달 평가도구 척도를 이용 하였고,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으로 통계처 리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시함으로써 추후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첫째, 영아 주도의 놀이중심 숲산책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영아들이 인지발달의 하 위요소 중 물체영속성, 모방상징, 패턴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 교사, 부모의 인터뷰에서 나타난 영아 주도의 놀이중심 숲산책프로그램의 평가 결과는 영아의 모험놀이가 증가하였고, 스스로의 놀이 선택 및 또래끼리의 놀이가 증가하였으며, 자신의 경험을 말로 표 현하는 태도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영아 주도의 놀이중심 숲산책프로그램의 활발한 운영의 시사점과 영아 대상 숲산책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복귀를 예정하고 있는 수형자들의 원예치료 및 원예활동에 대한 요구와 선호도를 조사하여 사회복귀예정 수형자를 대상으로 한 교정ㆍ교화 원예치료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식물 및 원예활동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설문지 분석 결과, 남성, 40대, 고졸이하가 가장 많았고 사기에 기독교가 가장 많았다. 교정·교화프로그램으로써 원예치료가 제공되는 것에 대해서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약 70%, 교정·교화프로그램으로써 원예치료가 제공되었을 때 60% 이상이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원예활동 경험은 없는 사람이 많았고, ‘산책, 견학, 여행 등의 식물감상활동’을 가장 선호하고 다음으로‘실내외에서 식물 가꾸기’,‘식물을 이용한 장식 및 공예활동’순이었다. 선호하는 식물은 화훼를 가장 선호했고, 화훼식물 중에서는‘난초류’를, 채소식물 중에서는‘열매채소’를, 열매채소 중에서는‘토마토’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관 교육은 대부분 전시와 연계하여 전시 기획의 방향과 의도에 맞추어 개발된다. 수원시립 미술관은 “예술로서의 삶”의 실천이라는 뚜렷한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2021년 기획전 “< >이 살아가는 새로운 방식”전시와 연계한 비대면 온라인 교육 “미술관 산책”을 개발하였다. 미술관 산책은 COVID-19로 인해 미술관 방문이 어려워진 시기의 비대면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이다. 비대면 교육이기 때문에 교육용 키트를 사전 제작하여 참여자들에게 배송해주고 교육 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진행 과정은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ZOOM)을 활용해 전시 이해를 위한 1부의 도슨트 전시 해설, 2부 예술 강사와 함께 키트를 활용한 작품 활동 과정으로 계획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아름다운 작품을 완성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 경험을 통해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나’와 연결된 주변을 살펴보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수원시립미술관 전시연계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통해 참여자들과 의미 있는 예술 경험을 공유하고 삶을 위한 미술관 교육의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Post-Occupancy Evaluation (POE) of cherry blossom trails ‘Cherry Road’ in Daegu Catholic Univ. campus, at Gyeonsan-city, Korea. The evaluation focused on imag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users i.e., students, using questionnaire surveys. A total 201 questionnaire samples were analyzed and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in the age group of 20.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demographics, use behavior, reliability, and mean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user satisfaction and image preference. Over 80% of visitors came with companions during daytime. The most common motives for use were strolling and walking, event and meeting, passing. For user satisfaction the mean scores were highest for landscape beauty (4.22), image improvement (4.14), campus image (4.08). Night lighting facility received the lowest score (3.32). Factor analysis concerning user satisfaction was categorized into environment-human behavior and physical facto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user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ive independent variables: ‘harmonious’ (β=.214), ‘night lighting facility’ (β=.173), ‘landscape beauty’ (β=.208), ‘lawn care’ (β=.154), and ‘walking trails’ (β=.123). The mean scores of image variables were highest for ‘beautiful’ (5.81), ‘bright’ (5.67), and ‘open’ (5.64). The lowest scores was for ‘quiet’ (4.47). Exploratory factor analysis led to three factors being categorized: aesthetics, comforts, and simplicity.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reference of space imag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ive variables: ‘bright’ (β=.397), ‘refreshing’ (β =.211), ‘cool’ (β=.219), ‘clean’ (β=.182), and ‘natural’ (β=.-142). Hence, Cherry Road has a high level of user satisfaction and image evaluation, which is interpreted as having various cultural events and value for students on campu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Cherry Roa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ecure night lighting, to manage trash cans, and to secure rest spa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efficient management measures for the trails of urban parks. For this purpos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the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of users of trails in Gwanggyo Lake Park.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level of importance was 4.2 and satisfaction was 3.54. Overall,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tems was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The factors that need intensive management were the convenience of moving with a wheelchair or a stroller, the amount of shades and vegetation, nearby amenities, pedestrian safety facilities, and separation of walking trails and bicycle trails. It was found that management strategies and improvement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safety facilities of trails and convenience of users.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uggest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measures and improve the satisfaction of users.
본 연구는 간접적인 숲 체험활동이라 할 수 있는 숲 이미지 산책 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유 활동이 제한된 여자 소년원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시행 후 그들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의 공격성은 통계적으로 의미있 는 수준은 아니지만 다소 완화된 결과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간접적인 숲 체험활동 이 시설에 수용된 비행청소년들의 정서에 일정부분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년원의 여건상 많은 인원을대상으로 실험하지 못 하였으므로 이번 결과를 일반화시키기는 힘들 것이다. 따라서 청소 년이 아닌 성인, 통제된 시설 수용자가 아닌 일반인 등 다양한 사람 을 대상으로 다양한 척도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보다 풍부 하고 심도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실행된 숲이미지 산책은 시설수용자, 환자, 통제된 작업장 근로자처럼 여건상 직접적인 숲 활동에 제약을 받는 사람들에게 적용하기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우선적으로 자연접 촉의 기회가 부족하고 자유롭지 못한 시설수용자에 대한 시행이 정 책적으로 검토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imely characteristics of phytoncide in forest trail of Ulsan Metropolitan. Ai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July to October 2011. The phytoncide were detected and quantified using a 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er(GC/MSD).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highest levels of phytoncide concentration of August is higher than other months in Munsu Mt. and Samho Mt.(town mountains). The higher phytoncide emission rates found in the morning and in the evening. The concentration of phytoncide was understanded to be greatly influenced by environment change of day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asonal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phytoncide in trail of Ulsan Metropolitan. Ai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y to December 2011. They were collected using Tenax Ta tube and phytoncides were detected and quantified using a 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er (GC/MSD).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easonal concentrations of phytoncide are Munsu Mt. 272.3 ㎍/㎥, Samho Mt. 192.4 ㎍/㎥, Shinbul Mt. 50.9 ㎍/㎥, Sibli Bamboo forest 22.4 ㎍/㎥ and Joongbu Fire Station 24.4 ㎍/㎥. In Munsu Mt., Samho Mt. and Shinbul Mt. major component ratio is α-Pinene >β-Pinene+Myrcene >Limonene >Camphene >γ-Terpinene >α-Terpinene. Bamboo forest and Joongbu fire station major component ratio is α-Pinene >Limonene >β-Pinene+Myrcene >Camphene >α-Terpinene. The variation of seasonal concentration is summer >spring >fall >winter. The phytoncide concentration of coniferous forest(Munsu Mt., Samho Mt.) is higher than broadleaf forest(Shinbul Mt.).
본 연구는 유아가 숲과 들판, 하천에서 자유롭게 산책활동을 하며 자연과의 만남을 통해 발현되는 생명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경기도 Y군 농촌지역에 소재한 N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4명이었다. 연구과정은 2011년 3월 30일(수) ~ 7월 15일(금)까지 16주에 걸쳐 주 1~2회씩 총 26회로, N유치원 주변 자연 속에서 이루어졌다. 산책활동 시간은 오전이나 오후 자유선택활동시간에 60분 정도 실시하였다. 유아들은 자연 속을 거닐며 생명체와 자연물을 오감으로 탐색하고, 생각과 느낌을 이야기 나누고, 몸짓으로 표현하고, 능동적으로 생명체와 교류하며 자연과의 직접적인 만남을 가졌다. 자료수집은 질적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삼각측정법(Merriam, 1988/1994)에 의하여 녹화자료의 전사와 유아들의 활동사진, 연구일지, 유치원 일과일지, 유아들의 작품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자료의 조직화, 영역분석, 자료 분류 및 분석, 분석결과의 해석 단계를 거쳤다. 연구 결과 산책활동에 참여한 유아생명에 대한 태도는‘생명에 대한 무관심’, ‘생명체와 교감하기’, ‘생명체와 즐겁게 놀이하기’, ‘생명을 새롭게 이해하기’, ‘생명을 소중히 여기며 존중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심 수목원의 산책이 남자대학생의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은 도시 내 수목원, 대조실험은 시청주변의 도시에서 실시하였다. 성인 남자 대학생 24명이 피험자로 참여하였으며, 실험은 무작위로 세 개의 그룹으로 총 3일간 실시하였다. 실험 장소는 수목원 내 소나무 숲, 수목원내 연못, 세 번째 도시로 정하였다. 각 경관의 감상은 10분간, 산책은 15분간 실시하였으며 측정 지표로는 POMS, STAI, SD method을 이용하였다. SD method로 쾌적함, 자연감, 진정감, 개방감, 단순함, 편안함, 친근함, 아름다움 등의 항목으로 평가한 결과 모든 항목에 있어 수목원의 소나무숲과 연못이 있는 공간의 산책이 도시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p<0.01). POMS의 분석결과도 T-A(Tension and Anxiety), A-H(Anger and Hostility), V(Vigor), F (Fatigue,)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총정서장애(TMD, total mood disturbance)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1). STAI 측정결과 실험 중 심리적 안정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01). 수목원의 산책은 심리적으로 쾌적함, 자연감, 진정감, 개방감, 단순함, 편안함, 친근함, 아름다움 등 순간의 감정을 나타내는 지표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상태불안의 감소와, 분노, 적의, 긴장, 불안 등의 부정적 감정이 완화되어 심리적 안정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산책과 텃밭가꾸기를 통한 자연친화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자연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자연친화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경험을 분석하여 문화기술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대상은 만5세 유아 6명으로, 4월에서 7월까지 약 4개월 동안 유치원 일과활동 중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산책과 텃밭가꾸기를 통해 자연을 접하고 놀이하고 탐색해 보며 자연과의 직접적인 경험을 가졌다. 분석자료는 자연친화활동에 대한 참여관찰과 비디오 녹화자료, 연구자의 관찰일지, 연구자의 기록 및 메모, 유아면담자료, 유아기록물, 사진자료 등이었다.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유아의 자연에 대한 태도는 「활동초기의 자연에 대한 무관심」, 「자연과 즐겁게 놀이하기」, 「친근함을 느끼며 정서적 교감 나누기」, 「자연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기」, 「경험한 자연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 갖기」, 「자연을 소중히 여기며 존중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산책활동에 기초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책활동에 기초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한 뒤 만 4세 유아에게 8주간 총 16회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실험집단 유아 20명과 통제집단 유아 20명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책활동에 기초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은 표상, 탐색, 예술성 영역에서 미술표현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Wished to measure and analyzes blood pressure change of that walk forest walking path to woman among slight illness hypertensive who move into silver town and when walked asphalt walking path so that this study searches positive effect about that it so that may recognize widely positive side through that walk for blood pressure coercion of hypertensives exercise do and walks in forest exercise and clear benefit of forest walking path. Through this study, proved study finding is as following.
1) Exercise to walk estimates distance more than minimum 1200m that can see positive effect though do exercise.
2) According to result that blood pressure change of asphalt walking path and forest walking path does comparative analysis, significance probability was recognized at systolic blood pressure, and change of blood pressure was recognized significance probability at systolic blood pressure after exercise on the forest walking path.
3) Result that woman old man and slight illness high blood pressure old man woman blood pressure does comparative analysis, forest walking path after exercise in contraction period, relaxation period blood pressure significance probability recognize. These result estimates by thing which it can maximize effect of exercise that walk on the forest walking path that do exercise.
4)Appeared by thing which synonymy is between sequence, two circles that emotion state on forest walking path and asphalt walking path does comparative analysis, and change of emotion state was recognized significance probability in the most articles after forest walking path exercise. This can judge kinetic effect that keep emotion state that can maximize in case of do exercise on the forest walking path.
This studies are giving effect that walk exercise is positive in old man woman's body, but examines closely that the floor was displaying effect that was surrounded by the tree than hard asphalt walking path and walks on forest walking path of soft earth road exercise is positive in body and confirmed necessity of forest walking path.
최근 개인의 수입증대와 여가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사람들은 도시에서 수변공간의 확대와 워터프런트의 발친 가능성 확대를 요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연안역에 위치한 영도절영해안산책공원 이용자의 이용패턴조사와 행태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절영해안산책공원은 산책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며 바다를 보래, 조깅, 휴식 등의 순으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산책로로서의 안전성과 편의성이 더욱 편의성이 더욱 확보되어야 하며,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매점 수의 부족과 주차장의 개발확보 등 대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