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0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red seaweeds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gas production. Five species of red seaweed (Chrysymenia wrughtii Yamada, CW; Hypnea sp., Hypnea sp.; Chondria crassicaulis, CC; Gelidium vagum Okamurae, GV; Hypnea saidana Holmes, HS) were obtained from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NIFS) in South Korea. The collected red seaweeds were washed for 3 minutes, and then samples were freeze-dried and ground to a size of a 1 millimeter. The buffered ruminal fluid (50 mL) was incubated with substrates and seaweeds (5% of substrates) at 39℃ for 48 hours. Total gas production was lower than red seaweed treatments excluding the CW treatment (p<0.05; 63.25 mL). Methane production was the lowest in CC treatment (p<0.05; 9.93 mL/g of digestible dry matter). The rumen pH of the red seaweed treatments ranged from 5.98 to 6.08, which was significantly the lowest in the GV treatment (p<0.05; 5.9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VFA concentration, but propionate (27.53%) was significantly highest in the CW treatment, whereas acetate (53.14%), iso-valerate (3.52%), valerate (1.72%), and A:P ratio (1.93) were significantly lowest (p<0.05). In conclusion, among the five species of red seaweeds, Chondria crassicaulis reduced in vitro methane production without negative effects on dry matter digestibility. Future studies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optimal inclusion level of Chondria crassicaulis as feed additive to reduce enteric methane production.
        4,0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washing pre-treatments of native Codium fragile as a feed additive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and CH4 production in ruminants. Seaweed was included at 0.5% dry matter (DM) based on the experimental feed (forage : concentrate = 3:7). Treatment groups were classified as follows: experimental feed (C), no washing (T1), washing at 0°C (T2), washing at 22°C (T3) and washing at 70°C (T4) each immersed for 6 minutes in distilled water. The pH consistently fell within the ruminal stability range.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st in T2, T3, T4 and C, T4 was the lowest at 48 h (p<0.05). NH3-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st in T4 at 48 h (p<0.05). Total gas production at 48 h was 19% lower in T4 compared to C (p<0.01). CH4 production (mL/g DM) at 48 h was lower in all treatment groups compared to C, with T3 showing a 31% reduction (p<0.01). Similarly, CH4 production (mL/g dry matter degradability, DMD) at 48 h was 39% lower for T3 compared to C (p<0.01). At 24 h, total VFA was significantly highest in T1 and T4 (p<0.05). The proportions of acetate was significantly highest in C and T3 was the lowest at 48 h (p<0.01). The proportions of propionate was significantly highest in T3 and C was the lowest at 48 h (p<0.01). The acetate to propionate ratio was singnificantly highest in C at 48 h (p<0.01). The proportions of butyrate at 24 h was lower for T3 compared to C (p<0.05). Therefore, this study confirms that Codium fragile can reduce CH4 production when used as a feed additive for ruminants and this effect i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washing pre-treatment. However, if washing process is necessary, washing at 22°C i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to remove foreign objects.
        4,300원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도다리 대상 수인성 카드뮴 독성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96시간 동안 0, 2.5, 5, 10, 20, 40 mg Cd2+/L 에 노출시켰으며, 96시간 반수치사농도(LC50)는 21.42 mg Cd2+/L로 나타났다. 혈액학적 성상분석에서 Hematocrit와 Hemoglobin은 20 mg Cd2+/L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혈장 무기성분에서 calcium은 20 mg Cd2+/L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magnesium은 유의적 변화가 없었다. 혈장 유기성분인 glucose는 카드뮴 노출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장 효소 성분인 AST, ALT 및 ALP는 수인성 카드뮴 노출에 의해 20 mg Cd2+/L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인성 카드뮴 급성 노출이 강도다리 혈액학적 성상 및 혈장성분 내 독성을 유발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로 인한 사망률 유발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다.
        4,200원
        4.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마늘 절임에서 분리 동정된 Leuconostoc citreum SK2556 균주에 의한 마늘 발효 배양액 급여가 산란계의 계란 생산성, 계란 품질,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동물은 33주령 산란계(Hy-Line Brown) 180수를 공시하였고, 5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 다. 전체 사양기간동안 산란율은 대조구, FG (발효마늘) 0.3 및 FG 0.5 처리구는 78.02~78.53의 범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FG 0.1 처리구(75.37±3.22)는 다른 처리구들에 비교하여 감소하였다(P<0.05).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 전기간 Haugh unit에서는 마늘 발효액 FG 0.1이 대조구와 FG 0.5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혈액 내 Glucose는 모든 마늘 발효액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1). 간 기능의 이상 여부를 나타내는 알칼리인산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ALP)는 FG 0.3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본 연구 결과, 산란계 사료 내 마늘 발효 배양액 급여는 계란의 Haugh unit의 향상으로 계란의 신선도를 개선시켰을 뿐만 아니라, 건강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사료첨가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4,000원
        5.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이오로거 외부 부착방법이 점농어 Lateolabrax maculatus(평균 체중 2630.8 g)의 혈액 특성과 바이오로거 부착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바이오로거 미부착구(대조구), anchor attachment (AA), monofilament attachment (MA) 및 silicon tube attachment (SA) 방식의 4가 지 실험구를 설정하였다. 바이오로거 부착 후 1, 7, 14, 28, 56 및 84일에 혈액성상과 바이오로 거 부착효율을 조사하였다. 혈액 내 hematocrit, Na+, Cl-, GPT, total protein 농도 및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은 바이오로거 외부 부착방법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p>0.05). AA 그룹의 GOT (부착 1일), hemoglobin(56일) 및 total cholesterol(56일 및 84일)와 MA 그룹의 glucose와 cortisol (14일) 및 total cholesterol(84일)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실험 기간 동안 SA 그룹의 모든 혈액 특성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p>0.05). AA, MA 및 SA 그룹 의 바이오로거 부착효율은 부착 84일 후 각각 0.0%, 33.3%, 그리고 100.0%였다. 이상의 결과 에서 최적의 외부 바이오로거 부착방법은 SA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점농어의 생체원격측정 기술 개발을 위한 기본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6.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인성 질산 노출에 대한 향어의 독성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96시간 동안 0, 4, 20, 100, 500 및 2,500 mg NO3 -/L의 수인성 질산에 노출을 실시하였다. 질산 96시간 급성 노출에 의한 향 어의 반수치사농도(LC50)는 1,433.54 mg NO3 -/L로 나타났다. 혈액학적 성상을 통해 수인성 질 산 노출이 향어에게 미치는 생리학적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RBC count는 유의적인 감소를 나 타내었다(p < 0.05). 혈장 무기성분을 통해 수인성 질산 노출에 따른 향어의 이온 조절 능력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혈장 무기성분에서 calcium과 magnesium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 < 0.05). 혈장 유기성분을 통해 수인성 질산 노출로 인한 향어의 건강도와 스트레스 상태를 평 가하였으며, 혈장 유기성분인 glucose는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 < 0.05). 혈장 효소성분 을 통해 수인성 질산 노출로 인한 간 손상도 및 효소 활성의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혈장 효소 성분인 AST, ALT 및 ALP는 높은 수준의 수인성 질산 노출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 < 0.05). 본 연구의 결과는 C. carpio nudus에 대한 수인성 질산 노출이 생존율, 혈액학적 성상 및 혈장성분에 독성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4,000원
        7.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γ-aminobutyric acid (GABA) is a natural stress-reducing substance and is actively used as a human health supplement. However, minima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its use in cattl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GABA on the growth performance, complete blood count, blood metabolit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fattening Hanwoo steers. Twenty-one fattening ste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treatments: control (basal diet: concentrate feed + rice straw), T1 (basal diet + GABA supplement at 0.8% of feed/head/day), and T2 (basal diet + GABA supplement at 1.6% of feed/head/day). Feed intake and conversion ratio did not differ among the treatments. However, the average daily gain during the early fattening period increased linearly to 0.80 kg, 0.86 kg, and 0.92 kg in the control, T1, and T2 groups (p<0.05). Plasma γ-glutamyl transferase (37.5, 58.2, 42.8 U/ℓ) and creatinine (1.32, 1.34, 1.49 ㎎/㎗) levels in the GABA supplement group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carcass weight (422.7, 427.1, 454.1 kg), rib eye area (86.67, 92.57, 91.14 cm2), and marbling score (3.67, 4.29, 4.14) were numerically higher in the GABA supple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us, GABA supplementation positively affected the average daily gai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However, the effect of the GABA supplement level of GABA was small, and further research using rumen-protected coating technology on GABA is necessary.
        4,000원
        8.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료내 비테인, 글라이신, 그리고 콜린의 혼합 첨가가 고온 스트레스 환경에서 노령 산란계의 생산성, 난품질, 면역 반응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총 336마리의 86주령 로만 갈색종 노령 산란계를 6처리 7반복, 반복당 8수씩 임의 배치하였다. 대조구는 모든 영양소 및 에너지 요구량을 충족하거나 초과하도록 배합하였다. 대조구를 제외한 사료 처리구는 0.2% 비테인, 0.62% 글라이신, 그리고 0.32% 콜린을 단독, 두 가지 혼합, 혹은 세 가지 혼합으로 사료내 첨가하였다. 실험은 8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모든 산란계는 매일 8시간 동안 평균 온도 31.7±1.7℃, 습도 57%의 고온 스트레스 조건에서 사양되었고, 이외 시간에는 평균 온도 27±1.3℃, 습도 57%에서 사양하였다. 실험 결과, 비테인, 글라이신 및 콜린의 첨가는 생산성, 난품질, 그리고 면역 반응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0.2% 비테인과 0.62% 글라이신을 혼합 첨가한 처리구에서 혈청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다른 혈청 지표들은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현재 수준에서 사료내 비테인, 글라이신, 그리고 콜린의 혼합 첨가는 고온 스트레스 환경에서 사양되는 노령 산란계의 생산성, 난품질, 면역 반응 및 혈액 성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4,000원
        9.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온 환경에서 사료내 트립토판과 나이아신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난품질, 지방간 지표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를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총 384수의 25주령 로만 갈색종 산란계를 4처리 8반복으로 반복당 12수씩 무작위 임의 배치하였다. 기본 사료는 트립토판과 나이아신의 추가적인 첨가는 없으며 모든 영양소 및 에너지는 로만갈색종 산란계의 요구량에 충족하거나 초과하도록 배합되었다. 사료 처리구는 2 × 2 요인 실험 설계법으로 두 가지 수준의 트립토판(0 및 0.16%)과 두 가지 수준의 나이아신(0 및 0.03%)이 포함되었다. 모든 산란계의 사양환경은 일반 농가에서 낮시간에 온도가 올라가는 점을 고려하여 일일 중 8시간은 온도 31.4 ± 1.17℃, 습도 86.0 ± 4.28%으로 설정하였으며, 나머지 16시간은 온도 26.7 ± 1.10℃, 습도 61.7 ± 6.34%로 유지하여 주기적인 고온 환경을 조성하였다. 실험은 10주간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사료내 트립토판과 나이아신의 주요 효과와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유사하게, 난각 강도, 난각 두께, 난각색, 난황색 및 호우유닛에 대한 상호작용 도 나타나지 않았다. 주요 효과로 0.03%의 나이아신 첨가는 난황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나 호우유닛은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하지만, 0.16%의 트립토판 첨가는 난품질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지방간 지표와 혈액성상에서 사료내 트립토판과 나이아신의 주요 효과 및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농도의 사료내 트립토판과 나이아신의 첨가는 고온 환경에서 사양되는 산란계의 생산성, 난품질, 지방간 지표 및 혈액성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200원
        10.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맥 위주 사료에 xylanase 효소제의 첨가가 육성돈의 사양성적,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분 중 휘발 성 지방산 및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총 192두(4처리, 8반복, 반복당 6두)의 육성돈(25.14±0.11 kg)을 공시하여 xylanase 첨가수 준(0, 0.0125, 0.025, 0.0375%)으로 6주간 사양시험을 실시 하였다. xylanase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사양 구간에서의 일당증체량(ADG), 일일사료섭취량(ADFI) 및 사료요구율(FCR)이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냈 다(p<005).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 xylanase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phase Ⅰ에서는 건물 및 에너지, phase Ⅱ 에서는 조단백질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며, 또 한 육성돈의 혈중 GLU 농도는 사료 내 xylanase의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 다(p<0.05). 반면에, 휘발성 지방산 및 암모니아성 질소 농 도에서 xylanase의 유의적인 첨가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결론적으로, 소맥 위주의 사료 내 xylanase의 첨 가는 육성돈의 사양성적, 영양소 소화율 및 혈중 GLU 농 도를 증가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육성돈 사 료내 소맥을 주원료로 사용할 경우 xylanse의 적정 첨가 수준은 0.0375%으로 사료된다.
        4,000원
        1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첨가에 따라 거세한우 비육우 분의 이화 학적 특성, 미생물 성상, 가스발생량 및 퇴비 부숙도에 미치는 영 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4주 후,미생물 첨가구에서 수분, 유기물, 총질소 함량 및 pH가 낮았으며, 나머지 이화학적 특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산균과 효모균 수는 증가하였으며, 대장균 수는 감소하였다. 12주 후, 미 생물 첨가구에서 유산균과 고초균 수는 높았으나, 수분, 효모 및 대장균 수는 낮게 낮았다. 하지만 암모니아, 황화수소 발생량과 퇴비 부숙도는 미생물 첨가에 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 서, 거세한우 분에 미생물을 첨가하면 유익균은 증가하고, 병원성 미생물은 감소하여, 비육우의 생산성은 증진될 것으로 사료되지 만, 가스 발생량 및 퇴비 부숙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는 지속적 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2.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붕어(무게 28.1±3.7 g, 길이 10.0±1.0 cm)에 0, 2.0×104, 2.0×105, 2.0×106, 2.0×107 CFU/ml의 Aeromonas hydrophila를 주사 후 2주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A. hydrophila로 인위감염한 Carassius carassius의 2주 뒤 반수치사농도는 19.776×105 CFU/ml이었다. 혈액학적 지표에서는 A. hydrophila에 의해 혈색소와 적혈구 수가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적혈구 용적은 유의적 변 화가 없었다. 마그네슘, 칼슘과 같은 혈장 무기 성분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유기 혈장 성분 에서 A. hydrophila 인위감염에 의해 혈장 포도당과 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총 단 백질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장 효소 성분인 ALP는 A. hydrophila 인위감염에 의해 유의하 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C. carassius에 대한 A. hydrophila의 인위감염이 치명적인 병원성 세균으로 혈액학적 성상 및 혈장 성분에 유의한 생리학적 변화를 유도하였음을 의미 한다.
        4,000원
        13.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붕어(무게 42.4 ± 9.0 g, 길이 15.0 ± 1.0 cm)를 96시간 동안 0, 5, 10, 20, 40 및 80 mg Zn2+/l의 수 인성 아연에 노출시켰다. 수인성 아연에 노출된 붕어의 96시간 반수치사농도(LC50)는 51.58 mg Zn2+/l였다. 혈액학적 지표에서 48시간에 40 mg Zn2+/l 농도에서 RBC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 한 반면, 헤마토크릿은 아연 노출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MCV (μl)와 MCH (pg)는 40 mg Zn2+/l 농도에서 48시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칼슘, 마그네슘, 포도당, 콜레스테롤, 총 단백질 및 ALT와 같은 혈장 성분은 아연 노출에 의해 크게 변화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붕어에 대한 아연 노출이 독성으로서 혈액학적 매개변수 및 혈장 성분의 유의한 생리학적 변화를 유발함을 시사한다.
        4,000원
        14.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붕어(Crucian carp, Carassius carassius)(무게 39.7±3.1 g, 전장 14.8±0.5 cm)의 수인 성 니켈 0, 10, 20, 40, 80 및 160 mg Ni2+/l 농도로 96시간 급성 노출을 실시하였다. 수인성 니 켈에 노출된 붕어의 반수치사농도(LC50)는 117.69 mg Ni2+/l으로 나타났다. 혈액학적 성상에서 RBC count는 수인성 니켈 96시간 급성 노출 중 48시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96시간에 서 유의적 감소가 나타났다. MCV와 MCH는 96시간에서 80 mg Ni2+/l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증 가했다. Calcium, magnesium, glucose, cholesterol, total protein, AST, ALT 및 ALP 와 같은 혈장 성분은 수인성 니켈 노출에 의해 유의적 변화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수인성 니켈 노출 에 따른 붕어의 생존율, 혈액학적 성상 및 혈장 성분의 변화를 확인하고 이는 수인성 니켈의 독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했다.
        4,200원
        16.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표는 S. boulardii 유래 세포벽 추출물 (CWSB)의 첨가가 반추위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in vitro 발효 실험은 CWSB의 첨가용 량이 다른 2개의 실험으로 구성되었다. 실험 1에서는 대 조구(CON, 시험사료)와 CWSB0.05(시험사료+CWSB 0.5g/kg 첨가), CWSB0.075(시험사료+CWSB 0.75g/kg 첨 가)의 처리구로 구성되었고, 실험 2의 처리구는 대조구 (CON, 시험사료)와 CWSB0.5(시험사료+ CWSB 5g/kg 첨 가), CWSB1.0(시험사료+CWSB 10g/kg 첨가)의 처리구로 구성되었다. In vitro 배양 이후 3, 6, 12, 24, 48h 동안 발 생한 가스 발생량 및 48h 배양 이후 발효 성상을 분석하 였다. 실험 1에서는 CWSB0.05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 았던 Vmax(p<0.01)를 제외한 모든 반추위 발효성상에서 처 리구간 유의적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고, 이에 따라 사료 내 0.5%, 1%의 고용량 첨가 수준을 설정한 실험 2를 수행 하였다. 실험 2에서의 CWSB1.0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총 VFA 발생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전체 배양시간 내 가스 발생량 및 건물 소화율, 섬유소 소화율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 해 볼 때, CWSB의 첨가수준은 0.5% 이상에서 반추위 발 효 개선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17.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oybean silage as a crude protein supplement for corn silage in the diet of Hanwoo steers. The firs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replacing corn silage with soybean silage at different levels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vitro. Commercially-purchased corn silage was replaced with 0, 4, 8, or 12% of soybean silage. Half gram of the substrate was added to 50 mL of buffer and rumen fluid from Hanwoo cows, and then incubated at 39°C for 0, 3, 6, 12, 24, and 48 h. At 24 h, the pH of the control (corn silage only) was lower (p<0.05) than that of soybeansupplemented silages, and the pH numerically increased along with increasing proportions of soybean silage. Other rumen parameters, including gas production, ammonia nitrogen,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s, were variable. However, they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proportions of soybean silage. In the second experiment, 60 Hanwoo steers were allocated to one of three dietary treatments, namely, CON (concentrate with Italian ryegrass), CS (concentrate with corn silage), CS4% (concentrate with corn silage and 4% of soybean silage). Animals were offered experimental diets for 110 days during the growing period and then finished with typified beef diets that were commercially available to evaluate the effect of soybean silage on animal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With the soybean silage, the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of the animal were more significant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s during the growing period (p<0.05). However, the dietary treatments had little effect on meat quality except for meat color. In conclusion, corn silage mixed with soybean silage even at a lower level provided a greater ruminal environment and animal performances, particularly with increased carcass weight and feed efficiency during growing period.
        4,300원
        18.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사료 원료인 마늘 껍질의 사료적 가치와 메탄 발생량을 조사하기 위해 in vitro 발효 실험을 수행하였다. Garlic husk를 제외하고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4가지 조사료 원료(Oat hay, Annual ryegrass, Timothy, Tall fescue)를 실험의 처리구로 구성하였다. In vitro 48 시간 발효 후 건물 소화율, 섬유소 소화율, 암모니아태 질소, 휘발성 지방산, pH, 메탄 발생량을 평가하였다. 가스 발생량은 3, 6, 9, 12, 24, 36 및 48 시간에 각각 측정되었다. 최종 가스 발생량에서 Oat hay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1). Garlic husk는 처리구 중 가장 높은 메탄 발생량을 나타내었다(p<0.01). Garlic husk의 건물 소화율은 Oat hay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지만 Annual ryegrass, Timothy, Tall fescue보다 높았다(p<0.01). 섬유소 소화율은 Annual ryegrass에서 가장 낮았다(p<0.01). 총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은 Oat hay에서 가장 높았고(p<0.01), Garlic husk, Timothy, Tall fescue는 유사하였다. 본 연구의 in vitro 발효 성상과 메탄 발생량을 고려할 때, Garlic husk는 국내 주요 조사료를 대체할 영양적 가치를 포함하고 있으나 메탄 저감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20.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에서 미세플라스틱의 노출은 넙치의 혈액학적 성상인 hemoglobin 및 hematocrit 수치의 유의적인 감소를 유발하였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의 노출은 넙치 혈장 무기 성분인 calcium, 유기성분인 glucose 및 cholesterol, 효소성분인 AST의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바이오플락 환경에서 미세플라스틱의 노출이 어류의 혈액생리에 영향을 주며 독성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일반 해수와 바이오플락 환경으로 각각 양성한 넙치를 이용하여 사육환경의 변화에 의한 미세플라스틱 노출 영향의 차이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어종에서 종별 미세플라스틱의 농도 연구에서 미세플라스틱 노출에 따른 종별 독성영향 비교평가를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바이오플락 환경에서 미세플라스틱의 응집은 미세플라스틱의 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Choi et al. 2020), 향후 연구에서 철저한 모니터링과 함께 다양한 미세플라스틱 독성에 미치는 요소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