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sing corn flakes, produced by pressurized steam chamber, on nutrient disappearance rate and energy value in three Hanwoo and three Holstein cows, implanted with a ruminal fistula. Corn flakes were categorized in 2 groups based on the chamber type: control (corn flakes produced using a steam chamber) and treatment (corn flakes produced using a pressurized steam chamber). Dry matter (DM) disappearance rate was 5.17% higher in treatment than in control (p<0.01). Starch disappearance rate was also higher in the treatment than in the control (p<0.01). Nitrogen free extract (NFE) and non-fiber carbohydrate (NFC) disappearance rates were 6.08 and 5.71% higher in treatment compared to control, respectively (p<0.01). In comparison by breed and incubation time, DM, starch, NFE, and NFC disappearance rates were higher in treatment than in control. The mean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was higher in treatment than in control (p<0.05). In comparison between Hanwoo and Holstein, TDN of corn flakes was slightly but not significantly higher in Holstein than in Hanwoo. Th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the pressurized steam chamber is recommended to increase the nutrient (starch, NFE, NFC etc.) disappearance rate and TDN.
        4,200원
        3.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약추출 부산물의 영양가치 및 사료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in vitro 소화율 및 in situ 반추위 분해 시험을 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10가지 한약추출 부산물은 인삼(Ginseng radix alba), 백복령(Hoelen), 감초(Glycyrrhizae radix),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천궁(Cnidii rhizoma), 작약(Paeoniaeradix), 황기(Astragali radix), 생강(Zingiberis rhizoma crudus), 대추(Ziziphi fructus), 진피(Aurantii nobilis pericarpium)로 한약재 중 빈번하게 사용하는 약재이다. 반추위 누관이 장착된 체중이 평균 620kg인 홀스타인 2두를 이용하여 in vitro 소화율 및 in situ 건물 소실률을 평가하였다. 건물소화율은 한약추출 부산물 3%, 5% 첨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펩신 소화율의 평균은 68.17%로 옥수수, 대두박보다 낮았다. 반추위 건물 소실률은 인삼(Ginseng radix alba),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및 대추(Ziziphi fructus)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백복령(Hoelen), 감초(Glycyrrhizae radix) 및 황기(Astragali radix)는 티모시 건초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한약추출 부산물의 12시간과 24시간대 건물 소실률 평균은 38.10, 44.43%이며, 티모시 건초의 평균 건물 소실률인 36.60, 43,25%보다 높았다. 이는 시험에서 사용된 한약추출 부산물은 한약재를 열수 추출 후 사용된 재료로써 한약추출 부산물의 물리적 처리에 의한 영향으로 건물 소실률이 티모시 보다 높은 결과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약추출 부산물의 유효분해도는 인삼(Ginseng radix alba), 천궁(Cnidiirhizoma),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대추(Ziziphi fructus) 및 진피(Aurantii nobilispericarpium)가 높은 추정치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한약추출 부산물은 반추동물용 조사료 대체자원으로 이용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된다.
        4,200원
        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반추가축에게 주로 이용되는 조 사료원들의 영양소 함량 및 반추위 in situ 소실율을 평가 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착유우 30두 이상의 50여개 농가 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선정한 12종류의 조사 료를 다양한 수입원을 고려하여 확보한 다음, 주요 영양소 성분과 미네랄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 중 5개의 조사료원 (티모시, 알팔파펠렛, 볏짚, 클라인글라스 및 톨페스큐)을 선정하여 반추위 cannula가 장착된 거세 한우 2두(평균체 중 526 ± 14 kg)를 이용하여 반추위 in-situ 소실율을 평가하 였다. 조사한 조사료원들의 영양소 함량은 한국표준사료성 분분석표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최종 반추위 in-situ 건물 소실율은 클라인글라스가 가장 높 게 나타났으며 티모시, 알팔파 펠렛, 톨 페스큐, 볏짚 순으 로 낮아졌다. 최종 조단백질 소실율은 알팔파 펠렛이 가장 높았으며 클라인 글라스, 티모시, 톨페스큐, 볏짚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000원
        5.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dherent cells, such as those found in epithelial tissues, must be physically associated with extracellular matrix (ECM)components to survive. Though stimulation by growth factors is an essential factor in cell survival, normal cells also requires cell adhesion to ECM proteins. The cessation of these anchorage-mediated signals seems to be a common mechanism to physiolog ically t erminate t he l ife cycle of t hese c ells b y apoptosis. This form o f cell death has been termed anoikis.In cancer, resistance to anoikis of cancer cell is important in invasion and metastasi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tracellular mechanism involved in anoikis, especially in cells treated with epigallocatechin- 3-gallate(EGCG). To induce anoikis, cell culture plates were coated with 10 ㎍/ml poly-HEMA. A549 lung adenocarcinoma cells were grown in RPMI 1640 medium with/without 10% fetal bovine serum, and then cells were replated on cell culture dishes coated with poly-HEMA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erum. On the other hand, EGFR inhibitor, PI3K inhibitor, and EGCG were treated to the anoikis status cells, in order to evaluate the factors of anoikis. The result revealed that growth factors or loss of adhesion can increase phosphorylate Akt. In addition, lack of cell adhesion fails to activate pro-apoptotic factors directly. Activity of Erk kinase depends on not only EGFR signaling but also cell adhesion. Akt activation is mainly affected by EGCG whereas Raf-1 activation is controlled by the presence of cell contact. In addition, EGCG increased the level of NFkB, whereas phophroylated PTEN and total PTEN were not different. In this report,increase of NFkB was correlated with Akt phosphorylation, suggesting that EGCG can protect cells from detachment–induced cell death through Akt activation and subsequent NFkB
        4,000원
        7.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입력된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상호관련 있는 견실한 소실점추출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의 소실점 추출기법들은 단일 영상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이를 스테레오 영상에 적용하면 영상 간에 상호관련성이 적은 소실점을 추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방법은 입력된 스테레오 영상을 허프 공간으로 변환하고 이 공간상에서 각 영상의 기하특징들을 정합하여 두 영상의 상호관련 있는 기하정보를 추출하도록 하였다. 또한 추출된 기하정보들에 대해서 적절한 범위 내에서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여 계산량을 줄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식이 스테레오 영상에서 기존의 소실점 추출 방식에 비해 두 영상사이에 상호관련 있는 기하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 기하정보로부터 보다 견실한 소실점을 추출함을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4,600원
        8.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람의 타액선 종양 중 선양닝성암종(adenoid cystic carcinoma) 과 기저세포선암종(basal cell adenocarcinoma)‘ 기저세포선종(basa l cell adenoma) 은 발생학적 기원과 조직학적 소견 등 비슷한 점이 많으나 선양낭성암종은 5년 이후의 생존율이 매우 낮으며 기저세포신 암종은 저 등급의 악성도를 보이는 둥 임상적인 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조직병리학적으로 비 슷한 소견을 보이는 이 들 타액선 종OJ을 대상으로 이 형접합성 소실 (Loss of Heterozygosity. LOH) 을 분석하여 종양의 발생학적 기전을 파악하고자 히 였다 띤 구 방법으로는 기저세포선 종 4 예 기저세포선암종 5 예 선양낭성암종 30예에서 종양 상피세포의 유전자 변이 분석을 위해 레이저 포획 미세 절제법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을 이용하여 조직에서 각각 종양 상피세포를 채취하였다 이 조직에서 각각 DNA를 추출한 후 11 쌍의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표지 자(Mi crosatellite instability marker) 를 사용하여 PCR 반응을 시행하였고 이 산물을 8% p이 y acrylamide gel 애 1시간 30분간 전기 영동하여 종양 상피세포의 이형접합성상실의 양상을 판독한 후 SPSS 1400을 사용하여 통계학적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조직에서 종양 상피 세포의 LOH가 나타났으며 11개 표지자 중 LOH가 말현되지 않은 표지자는 없었 다 기저세포선종, 기저세포선암종‘ 선양낭성암종의 LOH 발생 빈도는 기저세포선종과 기저세포신암종과 비교하여 선양낭성암종에서 통 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21번 염색체와 8번 염색체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 중 D21S1922와 D9S171 표지자에서 특히 높은 빈도 차 이 를 보였다. 기저세포선종과 기저세포선암종을 비교하였 을 때 전체 표지자에서 LOH 빈도 차이는 없었으나 21번 염색체와 9 번 염색체에 서 기저세포선암종의 LOH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3종류의 티액선 종양에서 선양냥성암종에서 D9S168의 발생 빈도가 가장 많았다 D9S168은 기저세포선종에서 는 LOH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기저세포선암종 선양낭성암종의 경우 발현 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 가하여 종양 발생 과정에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9.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구강면평 세포의 종양화는 여러 단계의 발생 순서를 거치는 다단계 발생과정 (multistep carcinogenesis) 으로 이루어지며 구강백 반증 (Ol'al leukoplakia)은 구강암 진행단계에서 악성암종으로 이행하기 전단계의 전암병소로 알려져 있다 이러힌 구강백빈 증이 악성 암종으 로 진행하는 빈도는 상피 이형성의 여부에 따라 6 6~36%로 니타나는데 이렇게 정상 상피 세 포가 암세포로 변환히는 과정에서는 종양 유전.7-}. 종양 억제 유전자.ONA 수복 유전지- 등 여러 유전자에 대한 지속적인 변이의 축적 이 나타난다 본 연구애서는 구강암의 전암벙 소인 구강백반증 조직 에서 싱피와 섬유모세포의 유전자 변이 분석을 위해 레이저 포획 미 세절제법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을 이 용하여 16여| 의 겁체 에서 상피세포와 성유모세포를 각각 채취하고 구강암과 구강백반증에서 유전자 변이 분석에 사용된 26쌍의 mlCI'Osatellite( MSl) 표지자를 선정하여 각각의 이 형접합성상실 (Loss of Hetel"Ozygosity‘ LOH) 과 현미부수체 불안정성(Microsatellite in stability. MSI)을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구강 백반증 조직의 상피와 섬유모세포 모두에 LOH/MSI 가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구강백반증 전체 조직에 서 LOH가 많이 나타나는 유전자의 위치는 염색체 21qll.l-21.1. 9p21-22. 3pI4-25. 17p12-14였고. MSI는 17p12-14‘ 5q21-23, 10q22-23 부위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LOH는 섬유모세포 보다 상피세포에서. MSI는 상피세포 보다 섬유모세포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발현하였다 상피이형 성이 있는 구강백반증을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06S264 표지자에서만 특이적으로 상피이형성이 있는 검체에서 LOH가 니티 났으며 나머지 표지자에서는 상피이형성괴 LOH 딸현 사이에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10.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quality including in situ degradability in the rumen of Holstein of the orchardgrass silage added with apple pomac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amount of apple pomace added in different treatments were 0, 20, 40 and 60% respectively. With high
        4,000원
        11.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quality of the rice straw silage added with apple pomac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nd the amount of apple pomace added in different treatments were 0, 20, 40 and 60%, respectively. Crude protein contents (6.4-7.5%) of rice straw silage added wit
        4,000원
        12.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연소실식 디젤기관에 있어서 박용부하운전조건에 따른 연소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예언소실의 압력데이터를 single-zone, single-chamber의 열역학적 해석에 적용하여 연소해석을 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최고압력이 상승하고 그 위치가 크랭크각도상 후진되었다. 2) 착화 지연시간은 부하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고, 부하가 증가할수록 가연 혼합기 형성에 소요되는 흡열량은 겉보기로 감소하였다. 3) 예혼합 연소단계의 열발생 양상은 부하에 관계없이 거의 비슷하고, 예혼합 연소시간은 부하가 증가할수록 짧아졌다. 4)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예혼합 연소량은 다소 증가하나 일정 연공비 이상에서는 거의 일정했다. 5) 예혼합 연소분율은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했다.(이 논문의 결론부분임)
        4,000원
        13.
        198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top dressing on the thatch losses in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Top dressing materials used were clay loam, sand, zeolite, and sawdust. Data were taken on July 10 (T1), Aug. 7 ((T2 ) and Sep
        4,000원
        14.
        202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 기법(EMDR)이 운동선수의 경쟁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fNIRS를 활용해 전전두엽 피질의 활성화 차이를 비교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불안요소면담, 경쟁상태불안검사지(CSAI-2), 스포츠심상능력질문지(SIAQ)를 활용하여 대학부 운동 선수 9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OBELAB fNIRS장비와 Matlab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는 시간 순서대로 전전두엽의 활성화를 측정하였으며, 기저선, 사전심상, 양측성안구운동프로그램, 사후심상 순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경쟁불안을 유발하기 위해 심상을 활용한 결과, 전반적인 전전두엽의 활성화가 낮아졌다. 둘째, 양측성 안구운동 프로그램 적용 결과, 사전심상과 사후심상에서 우측 전전두엽의 활성이 낮아졌다. 셋째, 양측성 안구운동 회기별 측정 결과, 양측성 안구운동 중 우측 전전두엽이 활성화되었다. 결론: EMDR이 운동선수의 경쟁불안과 관련된 기억으로 인한 부정적인 정서상태를 긍정적으로 빠르게 재처리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스포츠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예기치 못한 경쟁불안을 빠르게 조절하는 데에 EMDR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15.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present a robust power transmission lines detection method based on vanishing point estimation. Vanishing point estimation can be helpful to detect power transmission lines because parallel lines converge on the vanishing point in a projected 2D image. However, it is not easy to estimate the vanishing point correctly in an image with complex background. Thus, we first propose a vanishing point estimation method on power transmission lines by using a probabilistic voting procedure based on intersection points of line segments. In images obtained by our system, power transmission lines are located in a fan-shaped area centered on this estimated vanishing point, and therefore we select the line segments that converge to the estimated vanishing point as candidate line segments for power transmission lines only in this fan-shaped area. Finally, we detect the power transmission lines from these candidate line segment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robust to noise and efficient to detect power transmission lines.
        17.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quality including in situ degradability in the rumen of Holstein of the black locust silage added with apple pomac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amount of apple pomace added in different treatments were 0, 20, 40 and 60% respectively. With higher amount of addition of apple pomace in black locust, crude protein content in the silage decreased. Crude protein contents in the apple pomace added silage were in the range between 11.7 and 13.7% and thos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16.3% of 100% black locust silage. The contents of ADF, NDF and crude ash were in the same trend as with crude protein, which were shown more clearly in the 40~60% addition of apple pomace. Moisture content of 100% black locust silage was 56.7% however it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levels of addition of apple pomace(67.1~73.8%). pH, lact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ntents in 20~60% addition of apple pomace were 3.7~4.3, 1.3~2.2%, and 2.1~6.0% respectively, however in 100% black locust silage those were significantly lower except pH as 5.4, 0.6% and 1.0% respectively. In situ disappearance rates of dry matter and NDF in the ru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stages of incubation after 12h and 24h respectively in 20~40% addition of apple pomace than in 100% black locust silage.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quickly degradable fraction (a) in the disappearance rates of dry matter and NDF. In dry matter, however slowly degradable fractions (b) of 100% black locust and 60% addition of apple pomace were significantly higher as 99.7 and 99.8% respectively than 37.7~50.5% of 20~40% addition of apple pomace. On the contrary, fractional rate of disappearance (c) and effective degradability(E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20~40% addition of apple pomace as 0.0115~0.0149 and 30.4~31.9% respectively than the respective values of 0.0027 and 24.9% of 100% black locust. In NDF, b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pple pomace added silage(38.5~99.8%) than in 100% black locust silage(14.9%). However, C was significantly lower in apple pomace added silage than in 100% black locust sil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