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양 교과목 <K-POP과 판소리>를 중심으로, 전통예술인 판소리를 현대적 맥락에서 창의적으로 재해석하고 학습자의 전공과 연계 하여 창작활동으로 확장하는 융합형 교육 모델을 개발·적용하고자 하였 다.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 PBL)을 적용 하여, 학습자들이 판소리의 역사, 구성요소(소리, 아니리, 발림 등), 장단 등을 학습한 후 각자의 전공 지식과 결합하여 창작 결과물을 도출하도록 설계되었다. 수업은 전통 판소리 이론 학습, 전통 음악의 현대적 수용 사 례 분석, 직접 실습, 전공 연계 창작 프로젝트의 4단계로 운영되었다. 연 구 결과, 첫째, 학습자들은 전통예술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낮추고 적극 적으로 창작에 참여하였다. 둘째, 창의성, 협업 능력, 표현력 및 예술적 감수성이 향상되었다. 셋째, 판소리가 학생의 전공과 정체성을 융합하는 창의 융합형 교육 콘텐츠로서 실질적 가능성을 지님을 확인하였다. 한편, 소규모 수강인원, 초기 전공 연계의 난이도 등 일부 운영상 한계도 나타 났다. 본 연구는 향후 고등교육에서 전통예술 기반 전공 연계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천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대학에 유학 중인 무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유학동기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무용전공 중국유학생 208명을 연구대상 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 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test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동기는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상관이 있었고, 사회적 지지에서 교수의 지지와 또래의 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상 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부모의 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 둘째, 유학동기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 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교수의 지지와 또래의 지지는 부분매개효과를 보 였다. 그러나 부모의 지지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 과는 무용전공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유학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를 검토하고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차별적 효과를 규명하였다는 점 에서 연구의 시사점을 둔다.
최근 이중설강(double listing) 제도의 도입이 일부 대학에서 추진되거나 논의 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이를 교양교육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주요 쟁점을 분석하 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학사 운영의 유연성 제고와 전공 탐색 기회 확대를 위 한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교양교육 고유의 취지와 방법론에 비추어 신중한 검토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관련 문헌 고찰과 국내 대학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중설강제도의 주요 쟁점을 도출하였다. 이중설강제도는 학문 간 경계 를 완화하고 학생의 전공 탐색을 촉진하는 등의 목적이 있는 동시에, 교양교육의 본래 취지와 학문적 기반을 약화시킬 우려도 있다는 점에서 그 운영에 있어 명 확한 원칙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이중설강제도의 교육적 쟁점을 비판적으로 고 찰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의 본질과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교육과정 운영의 실효 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과 제도 설계 방향에 대한 논의를 더욱 활성화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differences in Chinese receptive vocabulary size and perceived lexical difficulty among three group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Chinese majors, liberal arts students studying Chinese, and students with no formal exposure to Chinese. A total of 156 participants completed a 47-item Vocabulary Level Test (VLT) based on HSK levels 1–5.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Item Response Theory (IRT).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Chinese majors demonstrated the highest lexical competence, followed by liberal arts students and then non-learners. Notably, non-learners achieved a mean accuracy rate of 38.30%, likely due to the influence of Sino-Korean cognates. IRT analysis further indicated that Chinese majors perceived the items as relatively “easy,” liberal arts students as “difficult,” and non-learners as “very difficult.”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critical role of linguistic and cultural familiarity—particularly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in facilitating vocabulary comprehension. The study advocates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strategies tailored to learners’ backgrounds and calls for future research involving students from non-Sinographic language backgrounds to enhance the generalizability of the findings.
오늘날 과학기술 혁신은 경제 발전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며, 이에 따 라 이공계 인재 육성이 국가적 차원에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대학 교육과정에서 이공계 학생들은 성적에 맞춰 진학하는 경향 이 있어, 이후 학문의 높은 난이도와 기초 학력 부족으로 중도 탈락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공선택동기가 학습몰입을 넘어 전공 몰입으로 이어지는 주요 매개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 공선택동기의 내재적 및 외재적 요인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고, 그 과정에서 그릿의 하위 요인인 노력지속과 흥미유지가 매개변수 로 작용하는지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B시 소재 K대학 공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104부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SPSS 29.0 프로그 램을 사용하여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가설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재적 전공선택 동기만이 전공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내·외재적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노력지속)의 부분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공대 대학생들의 전공몰입을 촉진하기 위 해 내재적 전공선택동기를 강화하고, 그릿(노력지속) 역량을 함양하는 것 이 중요함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국제경영전략 관점에서 해외자회사가 이전한 지식은 기업 경쟁력 강화에 언제나 긍정 적일 것이라는 가정을 비판하기 위해, 해외자회사의 역지식이전 수준과 기업성과 간 관계를 분석하 였다. 글로벌 기업 직원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해외자회사가 본사로 이전한 지식 수 준이 높을수록 높은 기업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해외자회사의 역량 및 해외자회사와 본사 간 비전공유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외자회사의 역량이 낮거나, 비전공유 수준이 낮은 조직의 역지식이전은 기업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제공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역지식이전 과정에서 글로벌 기업의 형태적 통제기제와 사회 적 통제기제가 요구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and analyze the experiences of nurses regarding department transfers following the sudden closure of a ward due to the collective resignation of resi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 to 29, 2024, an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employed. The participants were 11 nurses who were transferred to different departments following a ward’s sudden closure owing to the residents’ collective resignation. Results: A total of six themes and 24 sub-themes were identified. the first theme is ‘After the resident left, the ward was closed’. The second theme is ‘Various job placements were assigned after the ward’s unfortunate closure’. The third theme is ‘Difficulty adjusting to the new environment and leaning to adapt’. The fourth theme is ‘Changes in the nurse-physician relationships’, and the subtheme is ‘Surprised by doctors seeking nurses' opinions due to the absence of residents. The fifth theme is ‘Become an expert at adapting’. The sixth theme is ‘Worries about the future and a faint glimmer of hope’.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challenges nurses encountered in adjusting to new departments following the unprecedented mass resignation of residents and the ensuing ward closure. Nurses initially faced difficulties, feeling expendable in the new environment. However, through the support and collaboration of their colleagues, they demonstrated resilience and adapted effectively. The study also noted that, despite the absence of residents,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staff and patients continued to function smoothly, facilitating their involvement in treatment planning alongside specialists and professors. Although departmental transfers can lead to increased job stress for nurses, successful adaptation during these transitions fosters professional growth by enhancing their knowledge, skills, and influence. Furthermore, knowledge sharing among nursing staff contributes to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To promote both personal growth and organizational advancement, nursing managers must actively listen to nurses’ perspectives about departmental transfers and provide compassionate support to assist in their adaptation. Creat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recognizes and values the contributions of colleagues who have undergone transfers is essential. By establishing a systematic approach that facilitates successful adaptation and fostering a positive, accepting nursing culture, departmental transfers can be transformed into an effective strategy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and capabilities of nursing staff.
본 연구는 <항공면접실무> 교과목에서 실시한 면접훈련 프로그램에 대 한 학생들의 인식과 교육적 성취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항 공서비스학 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습동기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교과 목 학습 전·후의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학습에 대한 개인의 평가와 개선 을 위한 방법으로 면접훈련 프로그램의 항목인 시각적 면접행동, 음성적 면접행동, 내용적 면접행동에 대한 중요도와 성취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을 위해 <항공면접실무> 교과목을 수강한 항공서비스학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첫째, 학습동기의 하위요인인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모두 수업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 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통해 노력이 집중되어야 할 항목은 자연스러운 얼굴 표정과 미소, 면접관에 대한 시선 처리, 면접 시 자연스러운 동작, 복장/헤어/메이크업의 완성도 등 시각적 면접행동 등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학습 전략을 구축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본 연구는 스포츠 전공 대학생의 배경적인 부분을 탐색하고,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 및 진로 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2023년 9월 1일~2024년 6월 28일까지 210명을 분 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는 전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는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특히, 외재적 동기는 낮은 수준의 결과를 나타내는 바 주변의 지지에 대한 영향력 향상에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전공만족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 합 해보면, 스포츠 전공자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분명한 목적을 들어내고자 하는 행동 즉 직업적 삶을 좌우하는 운동 기술, 커뮤니케이션 등 모든 영역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문학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 관련 어려움 극복과 성공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에서는 인문학 전공 대학생들의 취업 불안의 원 인과 불안 극복의 맥락, 극복 전략, 결과를 분석하고 인문학 전공 대학생 들의 취업 성공을 지지할 수 있는 논의와 제언을 하고자 했다. 연구에는 인문학 전공을 했으나 취업에 성공한 5명의 직장인이 참여했다. 자료는 1:1 심층면담으로 수행하여 구성했다. 자료 분석 결과 59개의 의미 요약 과 16의 범주가 나타났다. 이러한 범주를 취업 불안의 원인, 불안 극복 의 맥락, 극복 전략, 결과의 분석 단위에 재배열했다. 결과는 일의 진정 성, 더 좋은 세상 만들기의 정체성, 사회적 통찰력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논의했고, 인문학 전공 대학생들의 취업 능력 강화를 위한 논의와 제언을 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적 성취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항공서비스학전공 대 학생이 인식한 현장학습 프로그램 속성이 학습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현 장학습 프로그램을 경험한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 시하였으며, 총 25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항공서 비스전공 대학생이 인식한 현장학습속성의 하위요인인 즐거움, 교육성과 는 학습만족에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동반만족과 이탈 감의 요인은 학습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둘째, 학 습만족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효율적인 현장학습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본 연구는 중국 기악연주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전공선택 동기가 학습몰입과 연주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 다. 이를 위해 2024년 3월 20일부터 2024년 4월 10일까지 중국 산시성 지역에서 기악연주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1,153명을 통해 설문지를 수 집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분석, 단일표본 t -검증, 일원 배치 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기악연주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 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수법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기 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중국 기악연주 전공 대학생의 교육의 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방향 제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에도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이 자아존중 감과 취업불안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충청 및 경기도 소재 항공서비스 관련 학과 대 학생 4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 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관리행동은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모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은 취업불안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모관리행동과 자아존중 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취업불 안은 진로준비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 아존중감과 취업불안은 외모관리행동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취업불안을 낮 추고 진로준비행동 강화를 위해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진 로준비 과정에서 직업에 적합한 이미지를 찾고 이에 대한 외모관리행동 을 한다면 취업역량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호텔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취 업 준비 행동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 260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가설검정 결과 교과 만족, 인식 만족, 관계 만족이 모두 취업 준비 행동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식 만족이 높을수록 직간접적 취업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높았 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는 인식 만족이 높을수록 취업 준비 행동에 높 은 영향 관계를 맺는 것에 주목하여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호텔산업 고 용시장의 구인난을 해결하는데 촉매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밝혔고, 실무 적으로는 다양하고 혁신적 교수법과 교과목 개발, 실무수업과 이론 수업 의 적절한 조합, 학생 맞춤형 상담과 취업지도, 커뮤니케이션 강화 등을 통해 호텔 전공학생의 전공만족도를 향상하고 이를 바탕으로 취업 준비 행동을 촉진 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수채화 전공 대학생의 정서불안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 해 중국 후베이성, 산동성, 헤이룽장성에 소재한 수채화 전공 대학생 574명을 통해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WIN 22.0 프로그램과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 들의 정서불안감을 야기시킬 수 있는 환경들을 제한하고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정책과 적절한 지원책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정 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대학교에서 국악을 전공한 20~30대의 진로장벽과 진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30대 국악전 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78부의 유 효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상자들의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의 평균은 3점 이상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진로장벽은 진로 스 트레스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진로장벽과 진로성숙 도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는 하위요 인별로는 영향의 방향성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는 진로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진로장벽과 진로 스트레스의 관계에 있어 매개변수인 진 로성숙도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국악전공자의 개인적 문제와 불안정한 직업 환경, 대학 내 진로지도의 부족 등 환경 적 문제의 개선을 위한 진로 연구가 촉진되기를 기대한다.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그 영향 관계에서 직업가치관의 매개적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시와 K시의 성인대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중 응답에 누락이 있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14 부를 제외한 총 306부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전공선택과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대학생의 전공선택이 전공만족도 관계에서 직업 가치관이 부분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 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직업 가치관 그리고 전공선택과 직업가치관이 전 공만족도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성인대학생이 직 업가치관 형성을 통한 전공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였다.
최근에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Generative AI 도구와 플랫 폼 수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Generative AI 도구는 텍스트와 이미지, 소리, 비디오, 그리고 3D 모델을 생성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롬프트만으로도 아이디어와 콘텐츠를 포함하여 복잡한 작품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연구는 Generative AI 도구와 플랫폼이 디지털 아트 전공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구 하였으며, 특히 창작 과정에 그들의 역할과 작품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Generative AI 작품에 의해 디지털 아트 전공 학생들에게 필요한 기술이나 특징에 대한 질적 연구법 중의 주체 분석 방법으로 자세히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를 내재적·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로 구분하여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충청지역 4년제 J대학의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 236명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과 같다. 첫째, 내재적 전공선택동기는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 공만족도는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효과 검증결과 내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전공 만족도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없지만,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전공만 족도를 매개로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성 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 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공만 족도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항 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건강한 대학생활적응을 돕고, 학생들의 진로상 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