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계 어휘 습득을 교육내용으로 설정하고, 이에 필요한 학습용 어휘와 한자를 다양한 언어자료(코퍼스)를 활용하여 추출하여 선정한 후, 이를 다시 학습 단계별로 위계화하려는 목표 아래 진행된 두 번째 연구성과물이다.
첫 번째 연구에서 기존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현재의 한문교육용 기초한자는 한문고전적 독해는 물론, 한자계 어휘 습득의 목표에도 부적절하다는 점을 실례를 통하여 확인할수 있었다. 후속 연구인 본 단계에서는 한자계 어휘 습득을 위한 한자어와 한자를 선정하는 이론과 실제를 제시하고, 다양한 코퍼스 자료를 분석하여 추출하였다. 세 번째 단계의 연구에서는 한문고전을 독해 학습에 필요한 한자를 선정하고, 마지막으로 한자의 학습층위별 위계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표 아래 진행된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을 ‘한자계 어휘 습득’으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현실 언어 생활에 사용되는 한자어와 이를 구성하는 한자를 추출하기 위해 다양한 코퍼스를 이용하였다. 관련 통계 프로그램을 별도로 설계 제작하였으며, 한국어에 사용되는 다양한 언어 자료에서 높은 빈도를 가진 어휘와 한자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한자어는 모두 3732개(사용된 한자 1794개), 개별 한자는 2600개이다. 이는 순수하게 한국어 언어 생활에 활용되는 한자어와 한자를 추출한 것이므로, 기존의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와는 그 대상이나 목적이 다르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첫째, 한자와 어휘 선정은 교육의 대상과 그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추출 및 선정 어휘와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둘째, 연구 방법에 있어 코퍼스의 특성과 언어의 특성 등을 모두 고려한 별도의 오픈소스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 대상 자료는 사회적 합의를 기초로 객관적이며 대표적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넷째, 본 연구 결과물과 같은 소논문 형태로는 그 연구의 합리성을 대표하기 어려우므로 관련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별도의 연구 프로젝트 플랫폼을 구성하고 공동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한 개인의 연구가 아닌 집단 연구의 결과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저작권을 지닌 공개자료로 제공되어야 한다.
Yoo, Hye-won. 2012. The study on speech education by self-evaluation results analysis of speech learner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1). pp. 111-134. In this paper, I suggested the ideas for developing efficient educational contents and educational methods of speech education in the university by analyzing the self-evaluation results of college students' speeches. To do this study, I gave the students the checklist to be able to evaluate their speeches. The students had to submit the checklist and evaluation report for their speeches. The students' self-evaluations were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analyzed and extract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speech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 suggested some ideas as follow. First, to improve their speech ability, it is important to gain confidence. So four strategies to gain confidence were proposed. Second, we must enforce the non-verbal education contents. Many students think that non-verbal elements in the speech are very difficult to do well. Therefore efficient educational methods as well as educational contents of non-verbal must be developed. Third, as to do high level speech, students must enhance linguistic sensitivity, so I proposed the methods of enhancing linguistic sensitivity. Last, I represented the meaning of speech contents. What this study is empirical is its good points.(208)
목적 : 본 연구는 수행에 대한 지식과 결과에 대한 지식이 정신지체 성인의 운동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한 명의 정신지체 성인 여성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교대중재 방법을 적용하였다. 운동학습 과제는 기능적으로 독립된 두 가지의 서로 다른 타이핑 하기였고, 결과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타이핑과 수행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타이핑을 연습하게 했다. 그 이후 훈련 직후, 훈련 후 1시간 경과 후에 기초선 측정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 시간과 실패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훈련 효과의 보존을 알아보기 위해 이틀이 경과한 후에 다시 측정하였다.
결과 : 두 중재 모두에서 운동 학습 과제에 대한 수행시간과 오류가 감소하였다. 연습 직후에서는 수행에 대한 지식 중재가 결과에 의한 지시 중재보다 과제 수행시간 단축 백분율이 높았지만, 연습 1시간 후와 유지기간에서는 결과에 대한 지식 중재가 수행에 의한 지식 중재보다 과제 수행시간 단축 백분율이 높았다. 수행에 대한 지식 중재보다 결과에 의한 지식 중재는 각 시점에서 실패율이 낮았다.
결론 : 결과에 대한 지식 중재는 수행에 대한 지식 중재에 비해 좀 더 빠르게 학습을 촉진하고 오래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지체인의 운동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되먹임으로 결과에 대한 지식 중재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Several studies have evaluated the effects of types of relative frequency and delay interval of knowledge of results(KR) on motor skill learning independ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more effective types of KR relative frequency and KR delay interval for motor learning. Forty-six healthy subjects (15 female, 31 male) with no previous experience with this experiment participated. The subjects ranged in age from 20 to 29 years (mean=23.9, SD=0.474). All subjects were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a high-instant group, a high-delay group, a low-instant group, and a low-delay group. During the acquisition phase, subjects practiced movements to a target (400 mm) with either a high (83%) or low (33%) KR relative frequency, and with either an instantaneous or delayed (after 8s) KR. Four groups were evaluated on retention (after 3min and 24hr) and transfer (450 mm) tes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between-group differences in acquisition and short-term retention (p>0.05, (2) a low (33%) KR relative frequency during practice was as effective for learning as measured by both long-tenn retention and transfer tests, compared with high (83%) KR practice conditions (p<0.05), (3) delayed (8s) KR enhanced learning as measured by both long-term retention and transfer tests, compared with instantaneous KR practice conditions (p<0.05), and (4) there were no interactions between KR relative frequency and KR delay interval during acquisition, retention, and transfer phases. The results suggest that relatively less frequent and delayed KR are more effective types for motor learning than more frequent and instantaneous KR.ㅂ
본 연구의 목적은 결과지식 수준(잘한 수행과 못한 수행에 따른 결과지식)과 신체 및 관찰연습이 시간타이밍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n=40)는 잘한 수행에 대한 결과지식을 받는 신체_good 집단, 관찰_good 집단, 못한 수행에 대한 결과지식을 받는 신체_poor 집단, 관찰_poor 집단중, 하나의 집단에 10명씩 무선 할당되어 참여하였다. 실험과제는 컴퓨터 키보드의 J와 F키를 이용하여 제시되는 시각정보의 길이에 일치시키는 타이밍 과제이다. 9회의 사전연습단계 후에 네 개의 집단은 각각의 신체연습 집단이 수행한 3회의 시행 중, 가장 잘한 수행에 대한 결과지식(신체_good 집단과 관찰_good 집단)과 가장 못한 수행에 대한 결과지식(신체_poor 집단과 관찰_poor 집단)을 받았다. 그리고 약24시간 후에 결과지식 제공 없이 파지 및 전이검사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은 상대적 타이밍 오차와 절대적 타이밍 오차이다. 통계분석을 위해 사전검사에서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습득단계에서는 집단과 블록에 대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파지 및 전이단계에서는 결과지식수준과 연습형태에 대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연습단계는 집단 간에 상대적 타이밍 및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습득단계에서는 연습이 진행됨에 따라 상대적 타이밍 오차와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다. 셋째, 파지 및 전이단계에서 잘한 정보를 받았던 good 집단이 poor 집단보다 상대적 타이밍 학습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절대적 타이밍 학습은 결과지식 수준과 연습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기술 학습에 있어 결과지식의 정밀성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전체 48명의 피험자는 매우 빠른 共時的 調時(coincident timing)課題를 수행했으며 결과지식의 정밀성 형태는 두 가지로 제시되었다; 양적인 결과지식(quantitative KR)과 질적인 결과지식(qualitative KR). 양적인 결과지식의 경우 피험자들은 반응오차의 크기와 방향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수적으로 제공받았으며 반면에 질적인 결과지식의 조건에서 피험자들은 단지 수행된 동작의 정확성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었다. 실험에서 독립변인은 결과지식의 정밀성 형태와 연습시행이었으며, 결과지식의 정밀성 형태는 연습시행에 전반적으로 양적이거나 또는 질적인 결과지식이 제시된 경우와, 연습단계에 따라 양적인 결과지식 형태와 질적인 결과지식 형태를 다르게 제시하는 조건의 4집단별로 10회 시행을 1분단으로 하여 반복시행 측정하는 4×10(결과지식의 정밀성 형태×연습시행(분단)) 요인설계 하에서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은 제시된 시각정보에 따른 피험자의 동작수행에 대한 시간오차였다.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특히 본 실험에서와 같이 피험자가 매우 빠른 조시과제를 수행하도록 요구될때 운동수행에 있어 결과지식의 정밀성 효과는 연습단계에서 혼합되여 결과지식의 정밀성이 제시되는 경우(연습단계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지식 정밀성 형태가 제공되는 조건)보다는 전적으로 질적이거나 또는 양적인 결과지식이 제공하는 경우가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운동기술의 학습에 있어 결과지식 제시시기에 따른 학습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2가지 실험(실험Ⅰ, 실험Ⅱ)으로 구성되었다. 실험Ⅰ은 결과지식의 제공시기가 전체 연습시행의 초기, 중기, 후기에 집중됨으로써 나타나는 기술 학습효과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각 집단별로 8시행을 1분단으로 반복시행 측정하는 3×20(결과지식의 제시조건×분단) 요인 설계하에서 이루어졌다. 실험Ⅱ는 실험Ⅰ에 대한 결과를 지지하기 위해 결과지식의 제시방법에 있어 집단별로 각기 다른 점감절차(fading procedure)를 이용하였으며, 연습시행의 초반, 중반, 후반 중 한 부분에서 점진적으로 집중되는 절차와 전체시행중 골고루 결과지식을 부여하는 조건의 4가지 집단별로 10회 시행을 1분단으로 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4×16(결과지식의 제시조건×분단)요인 설계하에서 이루어졌으며 각 실험이 끝난 1시간후에 전이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Ⅰ의 결과에서는 결과지식이 연습회기의 중간부분에서 제공되어지는 집단이 가장 큰 수행효과를 보였으며 전이효과는 40msec조건에서 유의성이 나타났으나 200msec조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Ⅱ의 결과에서도 결과지식이 전체 연습회기의 중간부분에 점진적으로 집중되어지는 조건이 연습단계에서 가장 큰 수행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때 연습단계에서 결과지식의 제시시기는 유의한 학습변인은 아니며, 동작수행에 있어 가장 효율적인 결과지식의 제공시기는 전체 시행의 중간부분에서 제공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Post-KR delay interval is one of the variables in motor learning. It also aims at showing how the intervals vary according to different age groups. Theories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forgetting are disscussed with the assumption that longer the Post-KR delay interval is, the better peformance subjects show when dealing with simple tasks. Three groups, each comprising 30 subjects of age 7, 11, and adults were given curvilinear repositoning task, under 3 different time sequences of 3, 10, and 20 seconds. The thre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conducted in the acquisition pha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age groups, temporal conditions, and blocks. The two-way ANOVA conducted in the transfer phase resulted in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fferent age groups. Extended Post-KR interval brought about poor learning.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character of the task, which indicates that theories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forgetting, specially their attributory interpretations can not be applied in the task of simple tasks.
We could say that the knowledge of results is very important factors in the motor skill learning. This paper was analyzed to stipulate how inside-kick of soccer affect to perform when we present the accuracy of the knowledge of results and post-knowledge of results interval. I randomly selected 60 students in the Hakjin elementary school in Busan, and divided 6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knowledge of results in the early motor learning stage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other of the exercise and the transfer performance. 2. When we tried various time interval of the post-knowledge of results interval in the early motor learning stages, there was very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level in transfer performance . 3. There was no significant between the accuracy of the knowledge of results and post-knowleclge of results in interaction effects. 4. The most effectively performed group in this experiment was as the quantitative knowledge of results who performed 6 seconds of post-knowledge of results interva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effect of motor learning if quantitative knowledge of results and qualitative knowledge of results are presented according to task natures. As the experimental method, I execute a kind of linear positioning task adopting 36 college students as objects of this study. After measuring movement time and distant error using a touch pad adhered a circuit and a programmed personal computer system, I calculate the mean of distant error and standard deviation. I come to get these results as followings to perform factorial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providing a basis for this computation. The task natures and forms of knowledge of results have not influences on the effect of motor learning. The performance effect according to task natures makes a meaningful difference, that is students show high accuracy of motion when they have enough time to perform the task voluntarily tha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y have to do the task as soon as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