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문헌 고찰의 목적은 성인 뇌졸중 후 인지장애를 대상으로 한 가상현실 기반 인지 중재가 다양한 인지기능에 미 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베이스 Embase, MEDLINE, PsycINFO, PubMed, Web of Science를 사용하여 문헌을 검색하였 다. 검색된 문헌은 문헌 선정 과정에 따라 1저자의 검토를 거쳤으며, 이를 교신저자가 감독하였고 최종 6개의 논문이 선정 되었다. 선정된 논문은 근거 수준, 실험군과 대조군에 제공된 중재의 구성, 주요 종속변인 및 평가도구에 대하여 분석하였 다. 결과 : 6개의 논문을 분석하여 동향을 살펴본 결과 6편의 논문은 2016년에서 2025년에 출판되었다. 연구의 근거 수준을 살펴본 결과, 5편의 논문이 Level 3인 비무작위 실험연구로 나타났다. 6편의 논문은 모두 뇌졸중을 진단받은 자를 대상 으로 하였고 심각한 인지장애, 주요 정신과적 혹은 신경학적 질환, 시각장애, 우울증 등을 가진 자를 제외하여 중재 적합 성을 높였다. VR 기반 인지 중재 또는 작업치료가 실험군과 대조군에 시행되었고, 일부 연구에서는 기존 작업치료나 로 봇 기기와 병행한 중재가 제공되었다. 중재는 일반적으로 주 3회 이상, 4주 이상의 기간에 걸쳐 시행되었다. 중재 효과 측정을 위해 다양한 인지 평가 도구들이 사용되었으며, MoCA를 이용하여 평가한 논문이 3편으로 가장 많았다. 전반적으 로 VR 기반 인지 중재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전반적인 인지기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주의력, 기억력에서 향 상을 보인 연구가 각각 5건으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5개의 논문이 표본 수의 제한, 비무작위 설계, 평가자 맹검 부재 등의 한계로 인해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이 낮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VR 기반 인지 중재를 사용하여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근거 수준, 연구에서 제공된 중 재의 구성, 주요 종속변인 및 평가도구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작업치료학을 포함한 보건의료학 분야에서 보다 높은 근거수준의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부모 간 폭력을 목격하며 성장한 연구자의 외상 후 성장 경 험에 대한 자문화기술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가 외상을 겪은 후 에 스스로에 대한 성찰과 가정폭력상담원으로서의 진로 개척과 치유 과 정을 내부자적이고 치유자적인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본 연구는 다수의 회상일지와 그림일기, 개인 상담 및 부부 상담 기록, 집단상담 기록 자료 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폭력을 목격하며 경험한 외상 경험은 여러 가지 형태의 부정적인 심리적, 신체적인 증상 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의 경험은 아동기 및 청소년기에 국한되지 않 고, 성인기 이후의 삶 전반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연구자의 삶 속에 내재된 가정폭력이라는 외상 경험을 다양한 시각에서 조망하고 해석하며, 이를 삶의 일부로 인정하고 수용하는 과정 을 통해 가정폭력 상담원으로서 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 정폭력을 목격하며 겪은 외상 경험이 가져오는 부정적인 영향을 이해하 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가정폭력을 경 험하는 동시대의 피해자들에게 고난과 역경을 극복할 수 있는 치유의 단 서를 제공할 것으로 여겨진다.
In this paper, the uniaxial tensile mechanical characteristics after synchronous biaxial pre-tension analysis are investigated on a ETFE film crown model. After the biaxial pre-stretching is completed, the rectangular specimens are cut along the MD and TD directions of the biaxially pre-stretched ETFE film to conduct the uniaxial stretching test. The uniaxial tensil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ETFE film after biaxial pre-stretching are investigated, the specific uniaxial tensile mechanical property parameters of the biaxially pre-stretched film are determined, and the influence of biaxial pre-stretching on the uniaxial tensil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ETFE film is analyzed.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각막 굴절교정 수술을 받은 지 1년 이상 경과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근시 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각막 굴절교정 수술 후 1년 이상 경과된 20세 이상의 성인 44명을 대상으로 자각적 및 타각적 굴절검사, 원거리 및 근거리 사위도 검사, AC/A비, 각막 불규칙도(CIM) 및 고위수차를 측정하였다. 결과 : 원거리 및 근거리 사위도, AC/A비 및 트레포일 수차에서 그룹별 근시도 차이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 며, 근시 퇴행과의 상관성도 나타나지 않았다(p>0.050). 연령이 많을수록, 수술 후 경과한 기간이 길수록 근시 퇴 행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0). 각막 불규칙도(CIM)에서는 정상 각막 불규칙도가 이상 각막 불규칙도보다 근시 퇴행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0). 코마수차는 양안 모두 정상 코마수차 그룹에서 이상 코마수차보다 근시 퇴행이 유의하게 높게 보였다(p<0.050). 구면수차에서는 우안에서만 정상 구면수차 그룹이 이상 구면수차 그 룹보다 근시 퇴행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50), 좌안에서는 그룹 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p>0.050). 결론 : 본 연구는 각막 굴절교정 수술 후 근시 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나이가 많 을수록, 수술 후 경과한 기간이 길수록 근시 퇴행이 많이 진행되었고, 각막 불규칙도(CIM), 코마수차와 구면수차가 낮을수록 근시 퇴행이 많이 진행되었다.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에서 콘택트렌즈 착용 여부에 따라 음주와 전자기기 사용이 안구건조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 대학생 32명(64안)을 콘택트렌즈 착용군(16명)과 미착용군(16명)으로 나누었다. 순목 횟수, 비침입성 눈 물막 파괴검사(NIBUT), 오큐튜브 검사를 기본 검사, 스마트폰 20분 시청 후, 목표 혈중 알코올 농도 0.03% 달성 후 측정하였다. 결과: NIBUT는 미착용군에서 착용군보다 일관되게 낮았으며, 기본 검사 및 전자기기 사용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0, p=0.001). 음주 후에는 경계선상의 유의성을 보였다(p=0.057). 오큐튜브 검사값은 미착용군에서 높았으며, 음주 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6). 미착용군은 전자기기 사용 후 순목 횟수와 오큐튜브 검사값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고(p=0.001, p=0.000), 음주 후에는 모든 검사값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p=0.039, p=0.000, p=0.000). 착용군은 전자기기 사용 후 순목 횟수(p=.034), 음주 후 오큐튜브 검사(p=0.008)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성안의 유병률은 미착용군에서 전자기기 사용 후(p=0.028), 착용군에서 음주 후 (p=0.022)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 음주와 전자기기 사용은 콘택트렌즈 착용 여부와 관계없이 대학생의 안구건조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절화 장미‘All For Love’에 대해 과산화초산 (peracetic acid, PAA)의 보존용액 적용 가능성과 적정 처리 농도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보존용액 처리는 Distilled water(DW), PAA 50, 100, 200μL·L-1, FloraLife 1%로 하였 다. 절화수명은 대조구 DW(5.27일)에 비해 PAA(5.87~6.20 일)와 FloraLife(5.87일) 처리구에서 절화수명 연장효과가 있었 다. 모든 처리구에서 80% 이상 꽃목 굽음(Bent neck)과 20% 이상 꽃잎 청변화(Blueing) 현상이 나타났다. 화색 변화율과 잎의 엽록소 함량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화폭변화율의 경 우, DW(135%)보다 PAA 50μL·L-1(155%), 100μL·L-1(154%), 200μL·L-1(161%) 처리구에서 높은 개화율을 보였다. 상대생체 중은 DW와 FloraLife 처리구에서는 2일, PAA 처리구에서는 3일까지 증가 후 감소하였다. 수분균형은 DW에서 가장 빠르게 (-)의 값을 나타냈고, PAA 50μL·L-1 처리구에서 가장 길게 수분 균형이 유지되었다. PAA와 FloraLife 처리구에서 보존용액과 줄기 절단면 모두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PAA 50μL·L-1 처리는 DW에 비해 장미의 절화수명 연장 및 품질 유지에 효과적이었다.
Carbonized blocks with different porosities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particle size of the filler and subsequent impregnation. The impregnated carbonized blocks were re-carbonized. The use of smaller particles in the filler in the carbonized block was associated with larger porosity, smaller pore size, and a higher impregnation ratio. The block with the smallest average particle size (53 μm), CB-53, had a porosity of 35.9% and pores of approximately 40 μm, while the block with the largest average particle size (413 μm), CB-413, had a porosity of 30.5% and pores of approximately 150 μm. CB-53 had the highest bulk density, electrical resistivity, flexural strength, and impregnation ratio. This is due to the large porosity,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presence of more interfaces between particles during the re-carbonization of the impregnated carbonized block, resulting in a better pore-filling effect.
담도 스텐트 삽입 및 제거 시술 과정에서 담도 주위 혈관에 손상을 주어 혈액 담즙이 유발되는 경우가 드물게 보고된다. 불안정한 활력 징후를 동반할 만큼 심각한 혈액 담즙증이 발생한 경우, 구조요법으로 피막형 팽창성 금속 스텐트를 삽입할 수 있다. 본 증례는 급성담관염을 동반한 총담관 담석 환자에게 기계적 쇄석술을 시도하던 과정에서 발생한 바스켓 장치 감돈을 해결하던 중 다량의 혈액 담즙증이 발생하였고, 피막형 팽창형 금속 스텐트 삽입을 통해 내시경적 지혈술에 성공하였으나 이후 경과 관찰 중에 스텐트가 원위부로 이탈 되면서 주위 혈관에 가성동맥류를 동반한 재출혈을 경험하였고 혈관 중재술과 추가적인 지혈술에도 불구하고 결국 사망에 이른 사례이다. 지혈을 위해 삽입한 스텐트가 적절한 위치에 삽입되더라도 지혈이 잘 안될 수 있고, 스텐트가 이탈하게 되면 혈액 담즙증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출혈이 다시 발생하는지를 면밀하게 살피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증례는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lazertinib 치료 중 췌장 전이 병변에서 소세포암 전환이 발생한 드문 사례를 보고하였다. 소세포암 전환은 치료 저항성의 기전을 나타내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조직 생검이 중요하다. Tyrosine kinase inhibitor 치료 중 병변의 선택적 진행이 의심될 때는 조직학적 평가를 통해 전환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치료 전략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Intraductal papilloma is a rare benign epithelial neoplasm of the salivary duct system, characterized by papillary proliferation of ductal epithelium into a cystic lumen. It predominantly occurs in minor salivary glands, particularly in the lips and buccal mucosa, and is rarely found in the mandibular region. We report a case of intraductal papilloma in the left retromolar trigone of a 46-year-old woman. Clinically, the lesion presented as a painless, well-circumscribed bluish submucosal mass. Radiographic findings were nonspecific, and a provisional diagnosis of hemangioma was made. The lesion was surgically excised under general anesthesia.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a cystic cavity lined by cuboidal to columnar epithelial cells with intraluminal papillary projections, consistent with intraductal papilloma. Scattered mucous-producing cells were also noted. No evidence of recurrence was noted at the 24-month follow-up. This case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histopathological confirmation in diagnosing intraoral submucosal lesions.
The 2020 revision of Japan's Wholesale Market Act aimed to improve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wholesale companies. Before the revision, the wholesale market saw a continuous decline in transaction volume and value, and the operating profit margin of wholesale companies was 0.18% in 2018, with 38.2% of wholesale companies experiencing operating losses. After the revision of the Wholesale Market Act, the operating profit margin of wholesale companies significantly improved to 0.41% by 2022. The reasons for this improvement are as follows: The transaction amount and the rate of change between 2022 and 2018 showed little difference. The number of markets increased by one central wholesale market, and while the number of buying and selling participants decreased, individual purchase volumes increased. The proportion of auctions further declined, and the number of direct transactions rose. As consignment collection decreased, purchased collection increased, leading to an improvement in financial performance. Ultimately, despite the short time frame, the revision of Japan's Wholesale Market Act led to positive changes that improved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wholesale companies.
This study evaluated changes in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aerosol particle concentrations following the use of certain spray-type household chemical products in an indoor environment. Four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 South Korea (including sticker/tar removers, a razor cleaner, and a fabric stain remover) were analyzed using real-time VOC monitoring with proton-transfer-reac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PTR-ToF-MS) and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measurement with an Optical Particle Sizer. Immediately after spraying 17 grams of each product, VOC concentrations increased sharply, and hazardous substances such as benzene, 1,3-butadiene, formaldehyde, and acrolein remained at elevated levels for a certain period. Additionally, some products exhibited benzene concentrations exceeding levels of potential exposure concern, and the operation of an air purifier reduced VOC levels by 73%. This research provides insight into changes in indoor air quality and associated exposure risks due to household chemical use, and it may serve as a basis for future air quality management and regulatory standards.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ffect of elapsed time after air flow cutoff on the germination rate of Italian ryegrass seed with different moisture contents during natural drying on reclaimed land, Jangheung and Kimje of Korea from 2023 to 2024, respectively. Seeds with moisture contents of 15.3, 22.3 and 28.0% were placed in vinyl bag (30 × 40 cm) at storage thicknesses of 10, 15, and 20 cm, and air flow was cutoff for 48 h. Seed moisture content, seed temperature (℃) and germination rate were investigated at 12-h intervals. After 48 h of airflow cutoff during natural drying, seed moisture conten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storage thickness treatment (p>0.05). When Italian ryegrass seeds with moisture contents of 27~28% were stored under conditions with air flow cutoff at 15~20cm thickness for 48 h, the seed temperature reached up to 30℃ and the germination rate was excellent at around 70~80%.
Waxy corn (Zea mays L.) is mainly consumed fresh, resulting in a significant amount of stover being left behind, including stalks, leaves, and tassels. Since approximately 1 kg of stover is produced for every 1 kg of corn grain, the potential to utilize stover as a valuable resource is substantial.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feed value of major variety of waxy corn. Each waxy corn variety showed notable differences in traits like days to silking, plant height, and leaf characteristics, some varieties were found to be more suitable for silage production. Chalok 5 and Suwon 97, in particular, were found to be well-suited for silage due to their high dry matter yield and relative feed value, while Heukjinjuchal had a lower feed value, making it less suitable.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important feed value indicators, such as relative feed value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were inversely related to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This relationship helped to clearly differenti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axy corn variety. Therefore, selecting waxy corn varieties with high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such as Chalok 5 and Suwon 97, can enhance farm income through both the sale of ears and the use of residual stover as a valuable resource, supporting sustainable agricultu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nutritional components of six domestically bred soybean cultivars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with Rhizopus oligosporus. Analysis of five vitamins and minerals showed that levels of vitamin B2, vitamin B3, phosphorus, and calcium increased in all cultivars following fermentation, with notable variations among the cultivars. Specifically, the vitamin B2 content in Daepung and Daewonkong increase significantly, by 6.8-fold and 6.7-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pre-fermentation levels. Additionally, Danbaekkong exhibited the highest calcium content after fermentation, at 3.90 mg/g. Before fermentation, soybean oligosaccharides contained 3.4 to 9.0 times more stachyose than raffinose; however, these levels decreased by over 80% across all cultivars after fermentation with Rhizopus oligosporus. The total dietary fiber content rose from 9.28%~11.32% before fermentation to 12.57%~14.86% afterward, 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cultivars. This study confirms that fermentation with Rhizopus oligosporus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domestically bred soybeans, particularly regarding vitamin B2, vitamin B3, calcium, phosphorus, oligosaccharides, and total dietary fi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