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1960-1970년대 동양화단에서 추상회화, 태피스트리, 판화를 거쳐 동양화로 선회한 박래현(朴崍賢, 1920-1976)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동양화단이 주체성과 시대성이라는 대립 양상을 보이며 현대화를 전개했던 주요 흐름을 먼저 살펴본 다. 그리고 박래현이 남긴 다수의 기고문에 나타난 미술 양식과 재료, 태도 등을 통해 현대화에 대한 예술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 는지 고찰한다. 이러한 작업은 그동안 반추상 또는 추상 시기 작품을 통해 동양화를 현대화, 즉 서구화한 사례로 조명하거나, 미국 유학 시기의 태피스트리와 판화만을 조명함으로써 동양화단을 떠나 새로운 장르를 모색한 작가로 여겨졌던 박래현을 재고하려는 시도이다. 본 연구는 박래현의 현대화 방식이 기존에 주로 알려진 동양화단의 이원적 대립 노선 외에 보다 다양한 국면을 형성했 으며, 과거에 대한 반성적 계시와 함께 미래지향적인 자세와 확장된 지평을 제시해 준 것임을 밝힌다.
본 연구는 1960년대에 향수(Nostalgia) 주제를 가진 트로트 곡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1960년대 트로트 가사가 고향에 대한 향수를 어떤 방식으로 다뤘으며, 해당 트로트 가사가 의미하는바가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회상을 표현하는 가사 속 단어들 및 타향을 부정하는 단어들 속에 내재된 감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트로트 곡에서 드러나는 고향에 대한 향수에 관한 내용의 가사를 분석함으로써, 가사 분석의 다양성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 다. 1960년대 트로트 가사에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회상 그리고 가족과 연인에 대한 사랑이 주 로 나타났으며 한국적 정서가 드러나는 시대를 반영한 이야기들을 표현한 단순 명료한 가사로 이 루어져있었다. 또한 1970년대에는 추상적인 이별이야기를 담는데 주력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1960년대에는 직접적인 단어로 표현함으로써 곡의 애절함과 씁쓸함이 보다 더 잘 드러났으며 대중 들 기억에 남는 가사로 공감을 더했다. 대중가요에서 고향을 주제로 한 가사에서는 사람의 감성을 움직이게 하며 향수를 불러일으키지만 시대적 배경과 대중들의 상황과 상태, 염원을 분석한다면 가사에 담긴 함의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많은 창작자들이 가사를 분석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Focusing on Hwaseokjeong in Paju, the work seeks to clarify the social production of Nujeong (樓亭: Korean traditional pavilions) space, which took place over the 1960s and 70s, and its cultural-political implications. To make the effort as such meaningful,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not merely on the thesis of ‘social production of space’ advocated by Henri Lefebvre but especially on some discussions related to ‘state production of space’ is prepared, according to which Hwaseokjeong is analyzed and explained. As a consequence, two principal arguments are put forward: one is that Hwaseokjeong was a social space which had been built and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unique mode of production dominating Korean society at that time called ‘the state mode of production (le mode de production étatique )’; the other is that what lies beneath the denotation of a ‘social space of tradition restoration’ that Hwaseokjeong appears to carry is in fact the connotation of ‘infiltration of anti-communist ideology’. All of these claims are once again supported both by examining Roland Barthes's semiology and mythologies and by considering Hwaseokjeong's Pyeonaek (扁額: a plaque or framed text) as ‘the practice of naming power through J esa (題詞: inscribing dedications)’. While providing a succinct summary, the paper finally evaluates what ‘social production of space’ implies to social practices of architecture and related criticisms by taking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bility and readability of space including building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Namdaemum repair and the Seokguram restoration, which had begun in 1961, as an important repair conducted during the time of seeking the conservation principle of architectural heritage after liberation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inciples described in the repair report issued after the two repairs, meeting records, and related expert announcements, it is shown that the principle of 'preservation of the historic state' had been established at Namdaemun repair and later have changed to the principle of 'restoration of the historic form' which means reconstruction in Seokguram restoration. By analyzing the minutes of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s meeting on the repair of other cultural properties during this period, it is revealed that the key terms related to the preservation principle, 'historic form' and 'restoration', were given meaning as 'object' and 'method' of preservation, and then 'restoration of the historic form' has been gradually used as a conservation principle.
본 연구는 1960-70년대 서부 미니멀리즘의 작업 경향에서 드러난 지역성을 통해 이들의 독자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서부 미니멀리즘은 로스앤젤레스 화단이 주체적으로 형성한 예술 운 동이라는 의의가 있다. 서부 미니멀리즘은 동시대 뉴욕 미니멀리즘과 유사성을 공유함에도 불구 하고, 이들은 로스앤젤레스의 지역성에 기반한 독자성을 형성하였다. 이들의 독자성이 구축되는 과정은 회화 매체를 주축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뉴욕 미니멀리즘과 구별되는 주요한 지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부 미니멀리즘의 지역성이 특히 이들의 회화 작업에서 드러났음에 주목한다. 20세기 중반 기존 추상표현주의를 모방하던 로스앤젤레스 화단은 셰이프트 캔버스 및 하드 엣지 형태의 비(非)-전통적 회화 작업을 통해 서부 미니멀리즘을 발단시켰다. 이후 서부 미니멀리즘은 동시대 팝아트와 맞물려 피니쉬 페티쉬(Finish Fetish)로 이어졌다. 이때 피니쉬 페티쉬는 로스 앤젤레스 자동차 문화라는 지역성을 바탕으로 로스앤젤레스 팝아트로서의 정체성을 구축하였 다. 또한, 서부 미니멀리즘의 회화에 대한 지속적 관심은 1970년대 오브제 및 공간 작업으로 전 환한 일부 작가들의 회화로의 복귀로도 나타난다. 회화의 복귀는 3차원 형태의 작업으로 총체적 으로 전환한 뉴욕 미니멀리즘과 비교되는 서부 미니멀리즘의 특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Masan region’s restaurant industries from the late 1960s to the early 1980s. Within this period, there were 1,597 numbers of restaurants found in ‘Masansanggongmyeonggam’. During the same period, 313 restaurants appeared in the ‘Gyeongnamsinmun’ restaurant advertisem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taurant industry in Masan during this period are as follows. In Korean food, meat menus such as ‘Bulgogi’ became popular, and local foods such as ‘Masan Aguijjim’, ‘Kkosirak’, ‘Hoebaekban’, and ‘Jinjubibimbap’ were commercialized. Due to the government's ‘Punshik Changny-ö’ policy, the flour food became popular and the number of Chinese restaurants rapidly increased. New western foods were also introduced, such as hamburger and pizza. Grilled whole chicken at ‘Yeongyangcenter’ became popular, and the emergence of ‘Food Department Store’. These new changes were introduced so quickly that there was almost no time difference with the metropolitan area, and it is thought that this is because the young people who moved in as the Masan area was industrialized actively accepted the new changes.
한국현대미술에서 예술적 아방가르드는 물론 정치적 아방가르드의 시대로 1960년대를 주목한다. 그 시작점의 4․19 혁명은 한국 민주주의의 이정표와 같은 사건이었고, 청년 작가들이 정치적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계기였다. 정치 주체로 성장했고 또한 좌절했던 청년세대가 사회적 억압의 탈출구로서 미술현장에서 폭발시킨 매체 다양성은 반예술 담론으로 확장 가능성을 갖는다. 하지만 ‘저항’의 시기에 모더니즘 비평은 미술과 사회를 분리하며 시대의 전위에서 사회적 의미를 축소시켰다. 1960년 《벽전》에서부터 1970년대를 문 연 AG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고수된 모더니즘적 주류 비평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본 논의는 시작된다. 저항의 시기에 평론가 이일이 제시한 ‘참여’의 화두를 중심으로 현실 인식의 간극을 살펴 ‘전위’의 의미를 환기한다.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to examine Masan’s regional food service industry, which experienced drastic changes due to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Analysis of restaurant advertisements in ‘Masanilbo’ revealed a total of 92 restaurants during this period. The numbers of restaurants classified by the time periods are 18 (1946 to 1950), 27 (1951 to 1955), 17 (1956 to 1960), and 30 (1961 to 1966). ‘Gomguk’ gained popularity in the early 1900s and became a speciality of Masan, resulting in the appearance of numerous Gomguk restaurant advertisements. After independence, Japanese foods were predominant in Masan since the population was used to eating Japanese dishes during the colonial era. Moreover, there was a major influence of the people who returned to the homeland. Masan was the place for refugees during the 6.25 war, resulting in the popularity of ‘Naengmyeon’; advertisements largely displayed ‘Pyeongyangnaengmyeon’ during the early 1950s, and ‘Hamheungnaengmyeon’ during the early 1960s. Western food advertisements usually introduced ‘Dongaseu’ and ‘Kareraiseu’, which were deeply influenced by Japanese culture. These various contributions resulted in alterations in the food menu, such as the rise of fusion food which is not bound to any nation, spread of Japanese food culture, and popularity of ‘Naengmyeon’.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관련 문헌들에 대한 내용분석과 분석적 서술을 통해 1960-1970년대 우리나라 중공업발전 사례에서의 발전모습을 산업추격관점에서 분석해보고, 그 과정에서의 KIST의 역할을 재조명하였다. 중공업 발전 초기 단계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주도의 산업 전반에 걸쳐 새롭게 요구되는 산업추격전략이 필요했다. 산업추격전략에서는 개별 기업의 기술학습능력 보다는 국가 수준에서 산업 전반을 고려한 산업 설계역량이 필요 했으며, KIST 그러한 산업기획 및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산업계획가로서 역할을 했다.
산업계획가는 ‘국가 경제발전을 위하여 미래 수요를 예측하고 분석하여 국가 수준에서 산업을 설계, 계획하고 우선순위를 정하여 이를 실천에 옮기는 사람 또는 기관’ 이라고 정의 할 수 있으며, KIST는 ① 산업발전을 위한 필요 범용기술의 인지와 기술선택, ② 전후방 효과에 대한 분석과 가치사슬 설계, ③ 다학문 융합적 사고 또는 다분야 집단지식의 발현, ④ 사명감 및 애국심에 의한 동기부여 등의 역할 및 속성을 가지고 있었다.
본고는 이성자의 1950-1960년대 프랑스에서의 활약을 ‘누벨 에콜 드 파리’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전후 프랑스는 미국과 문화 종주국으로서의 입지를 두고 경쟁하는 와중 ‘에콜 드 파리’ 개념에 주목했고 ‘전통’과 ‘자연’을 중시하는 아시아 작가들을 대거 포함시켜 ‘누벨 에콜 드 파리’ 라 칭했다. 문화적 충돌과 번역을 거듭하는 ‘사이 공간’으로 작용했던 파리라는 특수한 장소에서, 이성자는 프랑스 미술에 대한 깊은 이해와 중국, 일본과 차별화되는 한국성을 은유적이고 혼성성이 두드러지는 작업을 통해 드러냈다. 이를 통해 이성자는 ‘누벨 에콜 드 파리’의 일원으로 인정 받고 국제적으로 활약한다.
The retail store, which appears in various ways of the modern city, is the architectural result that the merchandise is finally delivered to consum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erce based on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and the retail store as urban architecture can be understood not only from the viewpoint of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but also the problem of the formation of urban history and urban organization. The modern industrial development in Korea had been progressed by the state led, as the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developed in turn. This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retail store of the city. This is different from the West, which the development has been conducted together. The cosmetics sales space,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has changed in various forms from the 1960s to the 1990s. Cosmetics brand retail shop is a corporate brand-based space, but paradoxically, it has a historical characteristic of urban architecture in that it is branding city street. This specificity of Seoul is unexplained by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Western and does not exist as a physically huge or special construction sometimes. However, it operates as a urban architecture in Seoul where the complicated.
연구자는 1960년대 후반, 한국의 미술가들이 자신의 신체를 이용하여 퍼포먼스에 대한 실험 성을 펼친 사례를 청년작가연립전에 참여한 작가들이 시도한 해프닝, 1970년대 중반의 이건용 과 이강소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한국의 퍼포먼스 아트에서 처음으로 신체를 ‘매개’로 사용한 점 을 분석하며 예술가의 몸과 일상을 서로 중재해 나가는 예술적 과정과 실천을 검토한다. 초기 한국 의 퍼포먼스 아트에서 정강자와 같은 여성 퍼포머를 바라보는 방식, 이건용의 ‘로지컬-이벤트’에서 는 언어의 개념과 상황을 매개하는 예술가의 몸과 타자성, 이강소의 1973년 <선술집>을 설명한다. 1960-70년대 한국의 퍼포먼스 아트는 미술가들의 신체가 갖는 불확정성, 비결정성을 중심으로 처음으로 ‘미술가의 몸’을 중요한 개인, 사회, 정치적 사이트라는 문화적 (콘)텍스트로 인식하는 한 국 아방가르드의 특징을 구축했다.
After the Korean war, two major attempts were made to reconstruct Gwanghwamun Gate as an important part of Korea’s lost cultural heritage. In December 2006, the Korean government replaced the concrete gate with a wooden one, yet traces of the attempts made in the 1960s to transform Gwanghwamun Gate and the main road remain to this day. At the time, the Third Republic of Korea, sought to legitimize itself in the name of modernity, and went on to modernize the architecture and urban landscape of Seoul. The location and design selected for the rebuilt Gwanghwamun illustrated the symbolic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 heritage and urban development. The reconstruction of the gate began as part of the Third Republic’s project to restore the Central Administration Building and culminated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main road in front of the gate. By reconstructing the traditional gate using concrete, the military government intended to convey the message that we could inherit our proud tradition using modern materials, and that we should actively adopt the new technologies of the modern era. This study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the Gwanghwamun reconstruction project of 1968 represents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ical thinking to Korea’s architectural style, and has two objectives. The first is to summarize the reconstruction process and method using the records and drawings from the 1968 project, which was then under the leadership of architect Kang Bong-jin. The second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style and structure of the reconstructed Gwanghwamun so as to re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tradition and modern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