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

        5.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최근 항공사의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확장에 따른 고객 경험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이용에 따른 서비스 편 익이 브랜드 가치, 브랜드 신뢰,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항공사의 기술기반 서비스를 경험한 이용객 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26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항공사 기술기반 서비스 이용에 대한 서비스 편익의 하 위요인인 사회적 편익을 제외한 기능적 편익, 심리적 편익은 브랜드 가 치에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기능적 편익을 제외한 심리적 편익, 사회적 편익은 브랜드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브 랜드 가치는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신뢰는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와 항공사 브랜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근거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7,000원
        6.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역방언은 해당 지역이 가지고 있는 언어 문화자원이며, 분명한 지역 성을 나타내준다. 오늘날 지역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역방언이 활용되 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방언과 브랜드디자인 의 개념과 기능을 바탕으로 브랜드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선행을 통해 지 역방언 브랜드 사례 중 전라도방언을 활용한 브랜드 ’역서사소‘를 사례로 총 365명으로 설문을 시행하고, SPSS 29.0을 이용하여 분석 및 t-검정 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에 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지역방언을 활용한 디자인과 브랜드태도 간 관계에서, 지역방언을 활용했을 때 브랜 드태도의 영향이 높다는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지역방언 이 특정 지역이나 집단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변형으로 그 지역이나 집단 의 독특한 문화와 정체성이 반영되었으며,브랜드디자인에 지역방언을 활 용함에 따라 소비자들이 브랜드와의 강한 정서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지를 탐구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방언을 활용한 디자인상 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브랜드태도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6,300원
        8.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brand’ metaverse is a virtual space where customers experience the brand via digital avatars. With the advancement of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a brand metaverse is an important medium for communicating the brand with customers.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resemblance between a customer’s self and his/her avatar (i.e., self-avatar resemblance) in the brand metaverse and examine its influence on brand attitude. Prior studies examine self-avatar resemblance exclusively in non-brand-related virtual gaming platforms and test its effect on identity perception and immersion in the platforms. However, few studies probe the extent to which self-avatar resemblance influences customers' exploration in a brand metaverse and their attitude toward the brand. We fill this research gap by uncovering the positive effects of self-avatar resemblance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Moreover, we proffer that the customers’ engagement toward the brand metaverse platfor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vatar resemblance and brand attitude. In addition, based on the interactive nature of metaverse, we hypothesize copresence―the number of avatars exploring the brand metaverse at the same time―to be a moderator, which strengthens the mediation. We conduct an experiment using a fashion brand’s virtual world positioned in a popular metaverse platform. In this experiment, participants create an avatar and freely roam around in the brand metaverse with their avatars. By reviewing the screen recording of each participant’s brand exploration in the metaverse, we measure self-avatar resemblance and other constructs. We also collect responses from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attitudinal and behavioral variables. With the accumulated data, we test the hypotheses using partial least squar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find the results largely consistent with the hypotheses. With the findings, we provide important and interesting implications to marketing practitioners considering and doing ‘metaverse marketing.’
        1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가 구단에 대한 태도 및 애착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여 구단 소속 스타 선수들의 브랜드 관리의 중요성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따라서 K리그 구단 소속 축구 선수를 선호하고 있는 사람을 표본으로 선정해 2021년 1월 14일부터 3월 5일까지 모바일 조사를 실시했으며, 총 348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이용했다. 자료처리는 SPSS(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해 빈도분석, 내적일관성 및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는 윤리성, 매력성, 차별성 순으로 구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는 윤리성, 매력성, 차별성 순으로 구단에 대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2.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rand slognas that are effective in explaining how brand identity affects consumers. The effect of congruity between brand slogan and self-image (low and high) on attitude to slogans and brands were anaylz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monitoring (low and high) was also investigated. Survey data from 177 people in their 20s-30s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wo-way ANOVA. First, congruity between slogan and self-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slogan and brand attitud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congruity between slogan and self-image,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toward the slogan and brand. Second, no interactive effect was found in congruity between slogan and self-image and self-monitoring on slogan attitude; however it was identified for brand attitude. Again, in a group with high congruity between slogan and self-image, attitude toward the brand was more positive when self-monitoring was higher than when it was low. In conclusion, brand slogans that can represent the self-image of highly self-monitoring consumers are effective. In particular, this is meaningful as it has revealed its relationship with the impact of identity self-image congruity and self-monitoring on brand attitudes in fashion brands. These results offer meaningful guidance in determining brand slogans according to consumers’ personal characteristics.
        4,500원
        14.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uxury companies are striving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while paying attention to online promotion and marketing activities. As companies interact with customers in luxury brand communities via various channels, they yield consumers higher value throughout the effective consumption process. In addition, this connection enhances customers’ understanding of the company, making it easier for companies to acquire empathy from custome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value factors that affect luxury brand community members’ purchase intention and brand attitude. This study utilizes online survey results of four hundred prestige brand community users in China. The results reveal the positive effects of customer engagement on customer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flow, the positive impacts of customer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flow on community identity and brand attachment, the positive effects of community identity on purchase intentions, and the positive effects of brand attachment on purchase intentions and brand attitude. Furthermore, the results show that community types and fashion involvement partially moderate customer engagement.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suggestions for relationship marketing in the luxury brand community environment. Last, this study present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ompanies could utilize to create an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ir community members, resulting in an increase of customer support.
        5,200원
        15.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프로야구 소비자를 대상으로 프로야구 PPL광고속성이 브랜드인지, 브랜드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프로야구 구단과 모기업의 다양한 마케팅 활용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프로야구 소비자 41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25.0 Window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신뢰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상관관계 분석(reliability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평균분산추출지수(AV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와 개념신뢰도(CR: Construct Validity)를 산출하여 집중타당도(Convergent Validity) 및 판별타당도(Discriminant Validity)를 검증하였다. 또한, AMOS 25.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PPL광고속성의 하위요인인 오락성, 정보성, 불편성은 브랜드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PL광고속성의의 하위요인인 오락성, 정보성, 불편성은 브랜드태도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PL광고속성의의 하위요인인 오락성, 정보성, 불편성은 행동의도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인지, 브랜드태도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600원
        16.
        202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Korea, whe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well-being has been especially developed, marketing using well-being brands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and more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well-being brand experience and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consum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veal that the experience of well-being brands increases the attitude and confidence of brands, and consequently positively acts on the intention and loyalty of purchasing them. First of all, the well-being brand experience not only works positively on brand trust and attitude, but also raises the intention of buying again. Second, well-being brand trust is showing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s and intent to buy back. Third, the well-being brand attitude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repurchase. Unlike conventional well-being brand-related research, this study focuses on brand experience, so it provides a new understanding of well-being brand experience and consumer psychology and behavior in well-being brand marketing. Thus, adding a new perspective to existing well-being brand research, the company's perspective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successful well-being marketing.
        4,000원
        18.
        2019.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mployed the social comparison theory, brand signally theory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PB)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attributes of a celebrity endorsing a brand and brand values impact on young adults’ cosmetics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Data was collected from 301 young adult South African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results revealed that cosmetics brand attitude was influenced by celebrity attractiveness, credibility, celebrity product expertise and the symbolic brand value enjoyed from the brand. The brand attitude in turn predicted purchase intention.
        3,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