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1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연하장애 정도를 파악하고 흡인의 위험을 예측하기 위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위한 연하장애 위험성 평가(Dysphagia risk assessment for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DRACE)의 국내 사용을 위해 한국어로 번안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DRACE의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번역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타당도 검증위원회 10인의 검증 과정을 통해 2회에 걸쳐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산출하였다. 검증위원회의 의견을 바탕으로 문항 수정 및 보완 후 역 번역 과정을 거쳤으며, 완성된 한국판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위한 연하장애 위험성 평가(Korean version of dysphagia risk assessment for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K-DRACE)를 만 65세 이상 노인 10인에게 제시하여 내용이해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연하 재활 임상 경력 10년 이상의 전문가로 구성된 검증위원회의 검증 결과, 1차 내용타당도 지수(CVI)의 전체 평균은 0 .80으로 0.75 이하의 항목은 I tem 5, 6 , 7에 해당하였다.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전체 항목 수정 및 보완 후 시행한 2차 검증 결과 CVI 전체 평균은 0.90였으며, 부적합한 항목은 없었다. 내용이해도 검증에 참여한 노인의 평균 연령은 73.40 ± 6.11세로, 평균 4.88(점수 범위: 4~5)의 높은 이해도를 나타냈다. 결론: 지역사회에서 활용 가능한 DRACE를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번안 및 전문가와 사용자집단의 타당도 연구를 통해 한글판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위한 연하장애 위험성 평가(K-DRACE)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K-DRACE가 지역사회 내 연하장애 위험이 있는 노인을 선별하고 최적의 중재를 실행할 수 있도록 임상 현장과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5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lossoms is a novel published by Jin Yucheng in 2013 and is currently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work of Shanghai urban literature in China. The novel is told from three different points of view: before and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and in the 1990s. The primary setting is the activities and living spaces of the three protagonists, who are friends. The novel includes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multi-dwelling housing in Shanghai from the 1930s to the 1970s, including old lilong housing, new lilong housing, apartment, Workers’ Village. These types of multi-dwelling housing symbolized the social status of the protagonists, and the protagonists' move to different residences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signified a change in status. This study analyzes Blossoms from an architectural perspective to examine the types of multi-dwelling housing in modern Shanghai. It aims to understand the formation background of each multi-dwelling kind of housing, related urban planning and policies,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floor plans, structures, and materials to better understand the urban residential culture and life of Shanghai residents at that time.
        4,900원
        4.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불면증 노인의 수면 질, 우울, 스트레스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 소재 시니어센터와 복지관에 등록된 노인 가운데 60세 이 상이며, 최근 3개월 이상 불면증을 호소하는 111명을 대상으로 수면 질, 우울, 스트레스 및 인지기능을 평 가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을 이용하여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 출하였으며 영향요인은 multiple regression 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인지기능은 수면의 질(r=-0.45, p<.001), 우울(r=-0.32, p<.001), 스트레스(r=-0.56,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인지기 능의 예측요인은 수면 질, 스트레스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인의 설명력은 35.0%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거주 불면증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수면 질과 심리적 증상을 관리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4,000원
        5.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인간작업 모델을 기반으로 한 여가활동이 지역사회 거주 장애인의 삶의 질, 자기효능감, 시간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보건소 지역사회 재활 사업에 참여하는 지역사회 거주 장애인 15명을 선정하여 대상으로 했다. 대상자와 작업치료 학부생 봉사자 2~3명을 매칭하였고, 지역사회 재활 담당 작업치료사와 작업치료학과 교수의 지도하에 평가와 중재를 제공하였다.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했다. 중재는 10주 동안 10회기 실시하였으며 중재 전⋅후를 비교하기 위해 삶의 질 평가를 위해 한국판 WHO 삶의 질 척도-단축형(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Brief Version), 자기효능감 평가를 위해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General Self-efficacy Scale), 시간 사용 평가를 위해 작업 질문지(Occupational Questionnaire; OQ)를 사용하였다. 결과: 10주간의 인간 작업모델을 기반으로 한 여가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거주 장애인의 삶의 질은 전반적 삶의 질, 신체적 건강, 사회적 관계에서 상승을 보였다.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시간사용은 OQ의 전 문항에서 유의하게 변화가 있었다. 결론: 지역사회 거주 장애인이 삶에서 원하는 여가활동을 할 수 있도록 많은 방문재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4,200원
        7.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overcome the challenges in tracking insects underground, a detection method consisting of a metal detector and aluminum tag was developed for tracking a dung beetle, Copris ochus (Coleoptera: Scarabaeidae). First, detection rate was evaluated for varying volumes of aluminum tags varying orientations of the tags under soil. Then, the detection efficacy was evaluated in the field at varying depths of hidden tags in two types of vegetation. Finally, the effect of aluminum-tagging on the survivorship, burrowing depth, and horizontal movement of C. ochus adults were assessed. Generally, an increase in tag volume resulted in a greater detection depth with maximum depth of 17 cm. Orientation, however, did not affect detection rate except when tag was placed perpendicular to the soil surface. In the field, metal detectors could detect aluminum-tagged models with success rates ≥85% up to 10 cm and 45−60% at 20 cm under soil. Finally, no significant effect of tagging on survivorship and behaviors of C. ochus was observed.
        8.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slower gait speed is closely related to the ground reaction force. In the elderly with fall experience, stride length and gait speed, and other gait parameters are closely related to gastrocnemius activation. Objectives: To investigate whether medial gastrocnemius stiffness influences gait parameters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who experienced falls. Design: Cross sectional study. Methods: A total of 149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ere assigned to the faller and non-faller groups. Gait parameters (step length, stride length, step width, cadence, heel and toe ground reaction force, heel and toe contact time), and stiffness of the medial and lateral gastrocnemius and tibialis anterior were measured using shear wave elastography. Results: Elderly fallers had shorter step and stride length, lower cadence and toe ground reaction force and heel contact time, and lower medial gastrocnemius stiffness than non-fallers. In elderly fallers, medial gastrocnemius stiffnes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ep and stride length, step width, toe ground reaction force, and heel contact time. Conclusions: Lower medial gastrocnemius stiffness in the elderly fallers decreases gait parameters, which can be a risk factor for falls. Therefore, medial gastrocnemius stiffness is a major factor that may associated gait parameters that can determine the risk of fall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4,000원
        9.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population decline in Gobiobotia naktongensis, substrate preference and burying behaviour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In general, the species was shown to prefer a substrate size of 1 mm or less, depending on the flow. In addition, the burying depth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sh and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water temperature. Our findings showed that the main cause of the population reduction was the physical changes in the substrate structure due to the dams or barrages construction. Notably, the accumulation of silt and mud in the substrate upon the formation of an upstream lentic water region for structural construction and bed armouring caused by scouring and reduced downstream inflow of fine sediment were deterministic in the fish habitat changes, causing problems in burying. As sand substrate structure is critical for the survival and inhabitation of psammophilous species, efficient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with proper habitat management to reduce the anthropogenic damage
        4,000원
        10.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 연구에서 적용한 평가도구의 특성과 사회적 지지의 측면 및 하위요인의 분류 및 고찰을 통해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자료수집은 PubMed, Cumulative Index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CINAHL),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국내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12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문헌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social support assessment”, OR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OR “social support scale” AND “older adults” AND “community dwelling” AND “health”를 사용하였다. 결과 : 총 3,897편의 연구 중 최종적으로 24편의 문헌이 선정되었고, 선정된 문헌에서 14개의 사회적 지 지 평가도구가 포함되었다. 사회적 지지 개념적 측면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도구는 총 14 개 중 8개(57%)가 포함되었다. 평가도구의 하위요인은 사회적 지지의 개념적 측면의 기능과 제공 및 수혜 형태의 복합적인 요인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의 특성, 측면 및 하위요인을 분류하 여 제시하였으며, 표준화된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5,100원
        12.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한국어판 Eating Assessment Tool-10(K-EAT-10) 연하장애 선별 검사를 활용하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연하장애 유병률 및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 경기도 내 일개 보건소에 내소하는 정상 인지 수준의 지역사회 거주 노인 89명을 K-EAT-10과 연하장애 설문지를 통해 연하장애 증상을 평가하였다. K-EAT-10로 유병률을 확인하였으며, K-EAT-10 3점을 기준으로 연하장애 정상군과 위험군을 나누어 두 그룹 간 차이 및 특성을 Mann-Whitney U로 분석하 였다. 결과 : K-EAT-10 총점 3점 이상의 연하장애 유병률은 24.7%(22명)이었다. 연하장애 증상이 있다고 자각하는 대상자 12명 중 7명은 실제로 연하장애 위험군에 속하였다. 정상군과 위험군 사이에는 연하장 애 증상 및 심리적 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K-EAT-10 항목 별로는 먹을 때 사레 걸림, 목에 음식물이 걸린 느낌, 알약 삼킬 때의 어려움이 주요한 증상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일반 노화 과정의 연하장애 증상이 없거나 문제를 호소하지 않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도 내재되어 있는 연하장애 증상 확인을 위한 선제적 검사와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지역사회 전문가들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연하장애에 대한 관심을 갖고 그에 맞는 종합적인 관리 및 중재를 통한 질 향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4,600원
        14.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낙상과 관련된 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 관련 특성과 주거환경 사이의 관련성을 확인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65세 노인을 대상으로 낙상과 일반적 및 건강 관련 특성, 주거환경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변수의 결측치를 제외한 9,411명의 자료 를 활용하였다. 노인의 낙상 여부에 따른 일반적 및 주거환경, 건강 관련 변수들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지난 1년간 낙상을 경험한 노인은 585명(6.2%), 낙상을 경험하지 않은 노인 8,826명(93.8%)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의 연령은 65~74세가 6,069명(64.49%)으로 여성이 59.78%에 해당하였다. 낙 상과 가장 큰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주택 종류 중 기타 3.91배(95% CI: 1.85, 8.27)로 나타났으며 배 우자가 없을 때 2.30배(95% CI: 1.37, 3.85), 일한 경험은 있으나 현재 일을 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 2.13배(95% CI: 1.49, 3.0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낙상 위험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고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대상자 분류 및 선정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900원
        15.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델파이 방법을 적용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상 노인의 치매 예방을 위한 비대면 인지-운동 이중과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1년 9월부터 12월까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는 문헌 고찰, 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 개발, 델파이 설문조사 과정을 거쳤다. 문헌 고찰은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세 명의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어 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검토하였으며 이후 1차 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1차 델파이 설문조사는 2021년 10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진행되었다. 델파이 설문조사의 전문가 패널은 총 20명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기준을 설정하였으며 1그룹은 국내외 대학교 작업치료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노인 연구를 1회 이상 수행하였거나 노인 기관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자이며, 2그룹은 노인 작업치료 임상 경력이 5년 이상이거나 작업치료학 석사 및 박사과정 재학생인 자이다. 1차 델파이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중재 프로그램의 수정과정이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12회기의 비대면 인지-운동 중재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수정된 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2차 델파이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의견을 수렴하였다. 결과 : 1차 델파이 설문조사의 결과에서는 61개 모든 항목의 content validity ratio (CVR)값은 기준값인 .5 이상이었으므로 삭제해야 할 문항은 없었다. 그러나 전문가 패널의 조언 및 의견을 수렴하여 과제의 난이도와 연결된 인지 영역을 수정했다. 2차 델파이 설문조사 결과 65개 모든 항목의 CVR값은 .7~1.0이었으며 안정도는 .5 이하로 전문가 패널의 응답이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수렴도는 .125~.5였으며 합의도는 .67~1.0였다. 결론 : 본 연구는 근거 기반의 중재를 제공하고자 문헌 고찰과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해 12회기의 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은 과제의 적합도, 난이도의 적절성, 인지 패러다임과 인지 영역에 대한 매칭의 타당도가 적합하였으므로 근거 중심의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5,400원
        16.
        202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Given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in Korea, many studies have emphasized the community efforts to slow down or prevent frailty of older adults who are living alone. However factors that affect frailty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remain unclea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frailty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living alone. Methods: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used data of 126 older adults who are living alone. Levels of frailty, depression, social activity and social support were self-reported and physical function (Timed up and go test results and handgrip strength) wer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s. Results: The overall mean score for frailty was 5.13 out of 20. Age, timed up and go test results,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frailty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Conclusions: Identification of significant physical and social factors affecting frailty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s beneficial for developing community-based healthcare. The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multi-component intervention or facilitating home-visit nursing care should be considered to slow down frailty and promote good health.
        4,200원
        19.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참여한 커뮤니티 케어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일상생활활동, 낙상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2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커뮤니티 케어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의 회의를 통해 의견 수렴 후 복합적으로 제공하였다. 평가 도구는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 평 가(Assessment of Home-based Activities; AHA), 한국어판 낙상 효능 척도(Korean version of Fall Efficacy Scale; K-FES), 한국형 노인우울척도(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KR)를 사용하였으며, 면담과 초기평가를 실시한 다음 주 1-2회(1회 60분), 총 6회기 동안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재평가와 함께 만족도, 효과성을 묻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 : 커뮤니티 케어 프로그램 전과 후의 일상생활활동, 낙상효능감 및 우울 평가 점수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프로그램 전보다 후에 일상생활활동(독립성, 어려움, 안전성)과 낙 상효능감은 향상, 우울은 감소를 보였다. 또한, 프로그램 후 만족도와 효과성은 모든 문항에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대답하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작업치료사가 참여한 커뮤니티 케어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일상생활활동, 낙상효능감 및 우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다른 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의 결과가 커뮤니티 케어 관련 정책 수립 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 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200원
        20.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therapeutic exercise method using kinesiology taping (KT)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in activating the suprahyoid muscle in healthy adults. However, its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are not known to the physically vulnerable elderly.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inesiology taping on the activity of suprahyoid muscles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Design: Repeated measure design. Methods: We enrolled 23 healthy elderly adults (age range 60–75 years) with no history of neurologic disease. Participants performed five consecutive spontaneous swallowing actions at 5-second intervals under three conditions (KT with 80% stretch, placebo-KT, and non-KT. Activation of the suprahyoid muscles during swallowing in the three conditions was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In addition, a 0–10 numerical rating self-report scale was used to evaluate the required effort and the resistance felt during swallowing. Results: KT with 80% stretc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EMG mean value, peak value, required effort, and resistance felt during swallowing compared to other two conditions (P<.05, all). KT with 80% stretch required the most effort during swallowing and, consequently, has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suprahyoid muscle activation. Conclusion: Our results c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rapeutic exercise method for suprahyoid muscle in dysphagia rehabilitation.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