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5

        82.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10년간(2001 2010) IMCA에 보고된 DP 선박 LOP(Loss of Position)사고 612건에서 인적오류에 의한 사고 103건을 확인하여 이를 HFACS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를 베이지안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인적오류의 조건부 확률을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103건의 인적오류관련 사고는 모두 불안전한 행동에 의해서 발생하였고 이들 중 기술 기반 오류가 70건(68.00 %)으로 가장 큰 인적오류 비율을 차지하였다. 기술 기반 오류 중에서는 부주의한 DP 선박 운용 60건(58.3%), 절차 미 준수 8건(7.8%)이었고, 의사결정 오류에 의한 잘못된 조종이 21건(20.8%)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HFACS 분류의 베이지안 네트워크 적용을 통해서는 불안전한 감독(68%)이 불안전한 행동의 가장 큰 잠재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HFACS와 연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는 인적오류를 분석하는 데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DP 선박안전 운용을 위한 정책, 내부 관계, 훈련등과 같은 인적오류를 경감 및 제거하기 위한 권고 9가지를 제안하였다.
        4,000원
        8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ggregate Production Planning determines levels of production, human resources, inventory to maximize company’s profits and fulfill customer's demands based on demand forecasts. Since performance of aggregate production planning heavily depends on accuracy of given forecasting demands, choosing an accurate forecasting method should be antecedent for achieving a good aggregate production planning. Generally, typical forecasting error metrics such as MSE (Mean Squared Error), MAD (Mean Absolute Deviation), MAP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and CFE (Cumulated Forecast Error) are utilized to choose a proper forecasting method for an aggregate production planning. However, these metrics are designed only to measure a difference between real and forecast demands and they are not able to consider any results such as increasing cost or decreasing profit caused by forecasting error. Consequently, the traditional metrics fail to give enough explanation to select a good forecasting method in aggregate production planning. To overcome this limitation of typical metrics for forecasting method this study suggests a new metric, WACFE (Weighted Absolute and Cumulative Forecast Error), to evaluate forecasting methods. Basically, the WACFE is designed to consider not only forecasting errors but also costs which the errors might cause in for Aggregate Production Planning. The WACFE is a product sum of cumulative forecasting error and weight factors for backorder and inventory costs.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ric by conducting intensive experiments with demand data sets from M3-competition. Finally, we showed that the WACFE provides a higher correlation with the total cost than other metrics and, consequently, is a better performance in selection of forecasting methods for aggregate production planning.
        4,000원
        84.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asuring body size with a 3D scanner can reduce inter-measurer variability and provide better accuracy compared to using a traditional methods of measurement (Park, Nam, & Park, 2009). Many size measurement projects (or studies) that measure body size established a size measurement method prior to the development of a 3D scanner and automatic size measurement programs that produce 3D virtual body size measurements (Park, &Nam, 2012). Size data measured through an automatic size measurement program are more accurate and have a lower variability that is more appropriate for body measurements (Han, & Nam, 2004; Nam, Choi, Jung, & Yun, 2004). However, this method is limited to healthy subjects who can maintain a correct posture in a 3D scanner. It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for body measurements in ‘Basic Human Body Measurements for Technological Design’ of ISO 7250(1997). Body measurement definitions are based o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onsequently, it is hard to measure those with a bent body type even if they stand in a correct posture. Most body measurement items are automatically measured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because current automatic size measurement programs utilize algorithms based on typical body measurement definitions. The size measurement method based on a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ends to have a problem for elderly individuals with a bent body type who have difficulty maintaining a correct posture for 3D scanning as defined in ISO 7250(1997)(Ashdown, & Na, 2008).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 of present auto-measurement programs that use elderly’s 3D body scan data.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elderly’s body sizes using an auto-measurement program from virtual 3D body scan data and direct measurement with traditional measurement methods. We establish 34 typical body size measurements for the use of data from 464 males and 472 females (total 936) between the ages of 70 to 85. For error analysis, data separated to normal values and outliers compared with ISO 20655(2003). ISO 20685 defines the accuracy of extracted measurements by classification and measurement type (segment lengths, body height/breaths/depth, large/small circumferences, and head/hand/foot dimensions). The majority of outliers for the male and female body height type was “height”. Total number of persons with outliers for Height’s data was 603; consequently, 64.4% of subjects (elderly group of 70-85 yrs.) could not maintain a correct posture when scanning. Other data also had many errors from inaccurate measurement postures. A total of 72.3% of males and 70% of females have incorrect values in small circumferences. The segment lengths’ error data was 76.5% of males and 75% of females; in addition, the head dimension’ outliers were 87% for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Especially 57.46% of males had incorrect data, while 74.67% of females had a type of large circumference. Female chest circumference had significant errors due to sagging breasts. The differences identify with a correlation between type of large circumference (chest, hip, under bust, waist, waist of omphalion) and gender. There were several correlations between the many measurement errors because values over 70% of data have outliers; however, each measurement type has properties in regards to correlation. A substantial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ll measurements (except hip circumference) in the type of large circumference; in addition, one-way ANOVA indicated that the measurements influenced height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utliers found in height data for the elderly’s were more likely to have errors in the type of large circumference. The type of body height indicated a strong correlation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axilla height and other measurements (height, waist, crotch, lateral malleolus). Axilla height with more outliers indicated that other type of body height measurements had a higher potential for errors. The posture for body measurement was standardized as standing erect; however, this study indicated that many measurement errors were possible between using an auto-measurement program and direct measurement. The value of outlier about a particular measurement item can expect increased errors about any group (height: large circumference group/ axilla height: body height group). We have to study the relation in measurements in these types ‘large circumference’ because ‘head dimensions’ types correlate between measurements in each group. We need a more detailed analysis about outliers to find the major factors for measurement errors in regards to the elderly as well as discuss the possibility of ISO measurement-standard’s application for the elderly.
        85.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the increasing interest in noticing by second language (L2) learners during the output process,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 L2 learners’ noticing and output. Thu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at child L2 learners of different English proficiency levels noticed as they composed a text and received written corrective feedback (WCF) (error correction vs. models), and how they incorporated the noticed features into their revised texts. Data were collected from twenty-six child pairs throughout three stages (composition, comparison, and revision stages) and note-taking was employed as a means of measuring learner noticing. It was found that learners were able to initiate noticing on their own when composing texts, and that highproficiency learners tended to attend to grammatical problems more frequently than medium/low-proficiency learners. WCF played a facilitative role in leading learners to notice, and their attention to language was mediated differently by different types of WCF. Learners incorporated the noticed features into their revisions, and textual revisions were mostly lexical. Error correction (EC) triggered more grammatical revisions, while the model text helped learners to notice something beyond what they could produce on their own. These findings suggest a facilitative role for output and WCF as a means of learner noticing, and the different roles of EC and model texts.
        6,100원
        86.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자는 2013년 1월 15일부터 2015년 3월 25일까지 약 2년 2개월에 걸쳐 우리나라 9개 자연사박물관을 방문하고 오류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7개 박물관에서 총 28개의 오류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오류가 왜 발생하는가, 또 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하거나 발생한 오류를 조기에 수정하는 방법은 없을까 하는 대안을 찾는데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 선행논문과 서적을 연구하고 대상 자연사박물관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세부전공 분야별 학예사 인력을 확충하되, 단기적으로는 대학 등과 연계하여 자료 발굴, 보전, 연구, 전시자료 작성 등에 전문가를 참여시킨다. 둘째, 전시과정에서 미리 분류체계를 수립하며 보전전문가를 확보한다. 셋째, 전시과정에서 외부 전문가의 심의과정을 만들고, 관람자의 의한 오류 시정 절차를 구축한다. 넷째, SNS, 도슨트,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학생과 주민이 오류시정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대중매체를 통해 명확한 학술적 배경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고생물들의 참신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기존의 문화적 관성을 해결한다.
        4,000원
        87.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근시성 굴절이상자의 주시방향과 각도에 따른 사위와 폭주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안질환과 현성사시가 없고 교정시력이 0.9 이상인 61명(남 29, 여 32)을 대상으로 하였다. 굴절검 사를 실시하여 대상자들의 굴절이상을 완전교정한 후, 프리즘바를 사용한 자각적 교대가림검사로 원거리 (5m)에서 정면과 우측 및 좌측 10˚, 20˚, 30˚ 주시방향에 따른 사위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정면과 우측 및 좌측 10˚, 20˚, 30˚ 주시방향에서 폭주근점을 측정하였다. 결 과: 정면주시 상태에서 측정한 사위와 비교하여 주시각도가 커짐에 따라 외사위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주시방향에 따라 사위도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는 대상자가 더 많았으며, 좌측방향으로 주시하였 을 때 외사위도의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주시각도가 증가할수록 폭주근점은 유의하게 멀어졌다. 결 론: 주시방향과 각도에 따라 사위도와 폭주근점은 변한다. 따라서, 시기능 평가시 주시방향과 각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8.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To asses the prevalence of refractive error in school-aged children. Methods: A total of 735 school-aged children in Jenman province were included. In all participants, visual acuity, auto Ref-Keratometer, and subjective refraction were determined. A spherical equivalent of -0.5 diopter(D) or worse was defined as myopia, +0.5D or more was defined as hyperopia, and a cylinder refraction greater than 0.75D was defined as astigmatism. Myopia was categorized as either low myopia -0.75∼ -2.00D, medium myopia -2.00 to -6.00 D or high myopia -6.00D or greater. Hyperopia was categorized as low hyperopia +0.75D to 2.00D, and medium hyperopia +2.00D or more. Results: The prevalence of presenting, spectacle corrected visual acuity of 0.5 worse eye was 28%, 48.2%. The prevalence rate of myopia, hyperopia, astigmatism were 43.7, 7.6%, 12.1%. The prevalence of myopia was the highest and followed by the prevalence of astigmatism. The prevalence of hyperopia decreased with age. Conclusion: Compared with other reported rates, the prevalence of myopia in the school-aged children of Jennam is similar to that in most places excluding the other countries, and that hyperopia is in the mid range.
        89.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위성관측 표면온도 및 해당 온도경향의 불확실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북반구(30-90˚N) 해양 지역에서 2003-2014년 4월 16-24일 기간에 세 종류의 위성관측 자료(MODIS IST, AIRS/AMSU SST, AIRS only SST)를 상호 비교하였다. AIRS/AMSU 표면온도값에 비하여 MODIS는 해빙과 해수의 경계지역에서 계통적으로 최대 1.6 K 높은 반면에, 해빙 지역에서는 2 K 낮았다. 이러한 주요 원인은 표면온도 산출알고리즘의 해표 정보(e.g., 해빙 탐지)를 위하여 MODIS는 적외 채널만을 사용하는 반면에, AIRS/AMSU는 마이크로파 및 적외 채널을 함께 사용하는 데에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s Goddard Space Flight Center; NASA/GSFC)은 AMSU-A의 노후화를 대비하기 위하여 AIRS/AMSU 알고리즘을 일부 수정하여 AIRS only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AIRS/AMSU와 AIRS only 표면온도 사이에 평균 제곱근 오차(RMSE)값은 30-90˚N 해양 지역에서 0.55 K이며, 편차(bias)는 0.13 K이었으며, 해빙/해수 경계 지역에서는 이들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해빙 경계지역에서 AIRS/AMSU와 AIRS only 간의 차이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큰 이유는 AIRS only 알고리즘이 AMSU 마이크로파 자료 대신에 GCM (NOAA Global Forecast System) 온도 산출물을 사용하는 데에 있다. 세 종류의 위성관측 표면온도 자료는 70-80˚N 위도대에서 유의적인 온도증가(0.23-0.28Kyr-1)를 보였다. 위성관측 표면온도들 간에 계통적인 불일치는 같은 방향(온도증가 또는 온도감소)으로 해당 온도경향 값들 간의 차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5,400원
        91.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는 미취학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굴절이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경을 착용 하지 않거나 미교정한 자의 시력실태파악을 통해 안보건 및 눈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 해 미취학 아동 및 청소년으로 안경착용 완전교정 318명과 안경 미(未)착용 미(未)교정자 232명을 대상으로 안과검사 여부 및 시기, 연령대, 가구소득의 상관성을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으며, 유의 수준 은 p<0.05로 처리하였다. 결 과: 안경을 미착용하거나 미교정한 자들의 연령별 교정 전·후 시력은 5~6세는 0.53에서 0.81, 7~9 세는 0.44에서 0.91, 10~12세는 0.42에서 0.91, 13~15세는 0.38에서 0.94, 16~18세는 0.38에서 0.96으로 각각 현재는 매우 낮은 시력의 상태이지만, 교정 후 매우 높은 교정시력을 나타내었다. 결 론: 시력보정 기기를 통해 충분히 더 낳은 시 생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하는 학생들의 더 높은 삶의 질을 제공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과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안경원에서 쉽게 구입 할 수 있는 15%, 30% 착색 렌즈를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오류수정작업과 읽기 속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방 법: 남녀 대학생 28명을 대상으로 Blue, Green, Yellow, Red렌즈를 각각 15%, 30% 농도에 따라 오류수정작업과 분당 단어 수 읽기 속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분당 단어 수 읽기 속도를 측정한 결과 N-0(110.607 word/min)을 기준으로 G-15에서 125.928(word/min), B-30에서 126.464(word/min), G-30에서 127.428(word/min)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오류수정작업 소요시간은 N-0의 1.331(sec)을 기준으로 B-30과 R-15의 착색렌즈에서 각각 1.3261(sec)과 1.3282(sec)로 감소하였다. 오류수정작업의 정확도는 G-15에서 95.357(%)로 가장 높았고 G-30(90.357%)과 Y-30(90.357)에서는 동일한 낮은 정도를 보였으나 기준 N-0의 77.857(%)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 론: 착색 렌즈의 색상과 농도에 따라 오류수정작업의 정확도와 읽기 속도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특히, R-15에 비해 B-30에서 오류수정작업 소요시간은 감소하였고, 정확도는 같고, 읽기 속도가 증가하므로 근거리 시작업 시 착색 렌즈 B-30의 착용을 권장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4,000원
        9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rror cases induced during the proficiency test of certified odor measurement agencies. In the case of the homogeneity test performed in three panel groups, the geometric mean dilution factor of the site boundary PTMs(proficiency testing materials) was 1.4 ± 0.2, 1.7 ± 0.2, 1.8 ± 0.1 and that of the outlet PTMs was 3.7 ± 0.2, 3.7 ± 0.3, 3.7 ± 0.3,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stability test for 72 h, the geometric mean dilution factor of the site boundary PTMs was 1.6 ± 0.1 and that of the outlet PTMs was 3.6 ± 0.1. Among error cases induced during the proficiency test of certified odor measurement agencies, the proportion of error cases was in the order of case II(discontinuance of estimation)(40.0%) > case I(error on estimation procedure by panelist)(33.3%) > case III(miswriting of estimation result)(13.3%) > case IV(miswriting of dilution factor) and V(writing of wrong estimation result)(6.7%). Therefore, it seems likely that additional education related to error cases II and I is required.
        4,000원
        94.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람들의 생각, 태도, 개인적인 신념 등에 관한 조사는 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지 않고 주로 모집단의 일부인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함으로써 전체 모집단의 특성을 추정한다. 이러한 표본조사방식은 시간·비용적인 면에서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표본을 이용한 동시에 조사는 많 은 오차를 수반한다. 그렇기에 표본조사시 발생하는 오차에 대한 관리가 조사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조사 과정에 잠재되어 있는 모든 오차를 일컬어 종합조사오차 (Total Survey Error)라고 하는데, 종합조사오차를 구성하는 오차들을 유형화 해보면 모집단의 일부만을 조사함으로써 생 기는 표본오차(sampling error), 목표모집단과 표본추출틀 (sampling frame)과의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커버리지오차 (coverage error), 표본추출을 통해 생성된 모든 조사대상자 들과 (단위 무응답자들을 제외한) 응답자들의 체계적인 응답성향의 차이로 나타나는 무응답오차(nonresponse error), 면접원, 응답자, 질문지, 사회소망성(social desirability)현상 등에서 비롯되는 측정오차(measurement error), 그리고 조사 후에 코딩 등의 오류로 인한 처리오차(processing error) 등 크게 다섯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사연구 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차들의 유형별 제 개념 및 이러한 오차 들이 조사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고 한국의 비표본오차에 대한 조사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9,300원
        9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성인과 아동에서 굴절이상 정도와 안광학 상수 간에 상관성이 감소하는 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 다. 방 법: 청주에 거주하는 194명(성인 116명, 아동 78명)을 대상으로 자동굴절력계와 안구계측기로 굴절검 사와 안광학 상수를 측정하였다. 각막곡률반경과 전안방 깊이는 전안부 안광학 상수로, 안축장은 후안부 안 광학 상수로 이용하였다. 전안부와 후안부의 통합된 안광학 상수인 안축장 대 각막곡률반경의 비(AL/CR ratio)와 굴절이상 정도의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각 안광학 상수와 굴절이상 정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한 후 안축장에 따라 안광학 상수 간의 상관성이 없어지는 값을 찾고, 이를 등가구면굴절력으로 제시하였다. 결 과: 성인과 아동에서 굴절이상 정도와 안광학 상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안축장과 각막곡률반경을 각각 적용하였을 때 보다 안축장 대 각막곡률반경비(AL/CR ratio)로 나타날 때 설명력이 높았다(아동 그룹 r2=0.681, p=0.000, 성인 그룹 r2=0.723, p=0.000). 성인과 아동에서 전안부와 후안부의 안광학 상수 사이 에 상관성이 없어지는 안축장의 길이를 찾았다. 아동에서 각막곡률반경과 안축장의 상관성은 안축장 24 mm 를 기준으로(r=-0.174, p=0.238), 전안방 깊이와 안축장은 25 mm를 기준으로(r=-0.153, p=0.585) 안축장 이 길어질 때 상관성이 없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에서 각막곡률반경과 안축장의 상관성은 24.5 mm를 기준으로, 전안방 깊이와 안축장은 26.0 mm를 기준으로 안축장이 길어질 때 상관성이 없어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r=0.178, p=0.083, r=0.054, p=0.796). 기준점이 되는 각 안축장 값을 등가구면굴절력으로 나타냈 을 때 아동에서 24 mm는 약 -1.30D, 25 mm가 약 -3.20D로 나타났고(r2=0.609) 성인에서 안축장 24.5 mm가 약 -2.10D, 26 mm가 약 –4.30D로 나타났다(r2=0.450). 결 론 안광학 상수 간의 상관성은 정시를 벗어나 어느 정도 비정시가 된다 하더라도 지속적인 상관관계 를 나타낸다. 따라서 정시화는 특정 나이나 시력에 대한 기존의 기준과 더불어 지속적 연구를 통해 안광학 상수 간의 상관성 유무에 대한 고려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200원
        99.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정시화가 이루어지는 만 6세 아동의 과거와 현재 평균 굴절이상 정도에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하 고자 한다. 방 법: 1999년부터 2014년까지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만 6세 아동 8,966명(남아 4,674명, 여아 4,292명) 을 연구대상으로 현성굴절검사를 시행하였다. 굴절검사 결과를 토대로 이들의 평균 굴절이상 정도에 변화가 있는지를 연도별로 비교하고, 평균 굴절이상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판단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통해서 출생연도에 따른 굴절이상 정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 과: 출생연도에 따라 굴절이상 종류의 분포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특정 연도를 기준으로 이전 연도 군과 이후 연도 군으로 나누어 평균 굴절이상 정도를 비교했을 때 근시군에서 (-)방향으로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만 6세 아동의 출생연도가 빠를수록 이들의 평균 굴절이상 정도가 더 (-)방 향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 론: 정시화가 완료되는 만 6세 아동의 평균굴절이상 정도가 세대에 따라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음 은 향후 근시 유병률의 증가뿐만 아니라 근시 발생시기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현재 미취학 아동에 대해 향후 근시 유병률과 진행률을 고려한 관리가 필요하다.
        4,000원
        100.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ccupational fatal injury rate per 10,000 population of Korea is still higher among the OECD member countries. To prevent fatal injuries, the causes of accidents including human error should be analyzed and then appropriate counter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There was an severe converter furnace accident resulting in five people death by chocking in 2013. Although the accident type of the furnace accident was suffocation, many safety problems were included before reaching the death of suffocation. If the safety problems are reviewed throughly, the alternative measures based on the review would be very useful in preventing similar accid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nverter furnace accident by using human error analysis and accident scenario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ccident was caused by some human errors, inappropriate task sequence and lack of control in coordinating work by several subordinating companies. From the review of this case,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 systematic human error analysis should be included in the investigation of fatal injury accidents. Second, multi man-machine accident scenario analyis is useful in most of coordinating work. Third, the mor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system state will lessen human errors. Fourth, the coordinating control in safety should be performed in the work conducting by several different companie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