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plores the application aspect of The detailed rules of Census (1896) through the change of Kan numbers in Gyeonpyeong-bang. Although Gyeonpyeong-bang was a high-priority area because of its location, it was difficult to trace the operation of the urban situation due to lack of data. This study is focusing on restoring space and society in the Gyeonpyeong-bang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type of houses and the number of Kan listed in the family register of Hanseong-bu. The detailed rules of Census sets out provisions for the family registry and the rules of making Tong. Especially when it comes to the rules of making Tong, this rule deals with the code of making ten Hos into one Tong.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status of the Tong into three types: uncompleted Tong, exceeded Tong without vacant Ho number, and exceeded Tong with the vacant Ho number. Since these three types of Tong are in the process of change towards the complete Tong with 10 Hos, they were thought to be able to demonstrate the specific application of the rules.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as a case study that expands the point of existing research on the Tong making rules, which was not focused relatively on restoring urban conditions at that time,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exceptions that deviated from the Sipgajaktong ru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ree-Kan hipped and gable-roofed Buddhist temples with the construction of their eave curve of part chunyeo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The conclusions have been drawn as follows: First, there are largely three ways to secure symmetry in eave curve of part chunyeo. One is to obtain symmetry in eave curve of part chunyeo by making the size of eaves curves on well sides the same and forming symmetric curves in the front section along with the side roof and then forming the straight line in the central p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long straight line section method). The second is a method to enlarge eaves curves in the front and form eaves curves on the roof section to be symmetric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ront is larger than side eaves curves method). The third is the method to make eaves curves in the roof section to be symmetric by adjusting the roof length and making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side roof’s length minimum(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oof length-controlling method). Second, there are 16 cases applying two or more methods, and they are the mainstream. Third, there are 12 cases applying the front is larger than side eaves curve method and roof length-controlling method both, which seems to be the most universal.
To sum up, they secured symmetry in roof edges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of seonjayeon and pyeongye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ructure, recognition on the directions of entrance into the area of the building, forms of planes, harmony with structures around, recognition on roof curves in accordance with the size, and also structural faults in the chunyeo part.
It is difficult to build a hipped and gable roof in slender rectangular type due to restraint in variation of lateral length caused by gongpo arranged on the side, purlin space and the form of gable part and aesthetical effect of chunyeo maru. Against this backdrop and with the assumption that this phenomenon is more apparent in roofs of three-bay-kan Buddhist temples with the hipped and gable roof among national treasure Buddhist temples, this study has aimed to prove that a roof can be built in a less slender rectangular type than that of flat form and to present the building methodology and foun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ratio of lateral to longitudinal length of the roof has been adjusted by protruding the chunyeo and the method of adjusting the ratio of lateral to longitudinal length of the roof is considered to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of woods to be used in chunyeo.
Second, in order to symmetrically arrange the edge of the roof, which is critical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on morphology, the chunyeo angle has been intentionally adjusted to reduce the gap of length between the front roof and the lateral roof.
To sum up, the characteristic of the hipped and gable roof, which is difficult to be built in slender rectangular type, is more clearly shown in the roof and it is identified that the length of the front roof and the lateral roof has been intentionally adjusted to achieve the symmetrical arrangement of roofline of the roof edg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lan and structural system of 4 kan(間) by 4 kan(間) square church built in early 20th century. At that time, three kinds of traditional wooden structure church had been built under the circumstances of transitional era : Basilica style such as Ganghwa Anglican Church, ‘ㄱ’ shaped style such as Keumsan Church and 4×4 Square style such as Bukok Church and Jacheon Church that are concerned in this study. Traditional plans and structural system were mixed with new religious function and transformed into korean peculiar style. 4×4 Square style is a residual product in that process. Despite of it, little concerns on it till no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as follows. 1. The plan of these 4×4 square churches is divided into three areas : cathedra(1×1), attendance(4×2), and intermediation(4×2). The location of cathedra is commonly the opposition part of main gate and projected out of the building. Attendance area was also divided into two, man and woman, because of keeping a distance with each other. 2. The structural system of these 4×4 square churches are somewhat different because of their size and roof style. In the case of Bukok church, 4×4 square fall off 3×3 and 2×2 gradually and turn into paljak(八作) roof, which enable us to get in traditional entering methods. On the contrary, Jacheon church use hipped roof but almost alike pyramidal roof, which could make us not to recognize entering in the aspect of gable part.
Many researches on the typology of 'Maru'(Wooden deck) in Korean traditional hous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high-class houses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They were mainly concerned on defining Maru's typology by social status of the owner, based on the researches regarding its physical and spatial properties. Maru in the high-class traditional houses has been served as an essential architectural feature showing the social status of owners as well as adapting in the region of humid and hot summer.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typology of Maru's placement in traditional single houses of four Kan in Chonnam province, which shows many differences in its placement according to the regions.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typology of Maru's placement and openness is different with the location of houses within the region. This difference affects on the circulation of movement, which eventually affects on the pattern of space use. The difference is also very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natural environment of geography and climate of the region.
Consumers keep demanding for diversified high quality products, valuable services and safety. With this in mind, Distribution Industry is being updated rapidly to accomodate this demand. Meanwhile, Distribution Information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has been in slow progress with little in-depth studies. In this study, it has been analyzed the usage of Bar code which is the key element for agricultural Distribution Information Technology.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utilizing questionnaire covering 5 Hypermarkets(Super-centers) including big 3 companies. Also, Japanese market trends have been studied to visit a Japan Government Organization concerned, GS1 Japan, an Agricultural Cooperative, an Agricultural Wholesale Market, and a Retail Company. If we could use KAN code for all agricultural products, we could collect and analyze the information of price and trade quantity of them. It opens a new era to understand the agricultural products supply and demand easily. This will certainly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evol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From this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collective efforts by suppliers, wholesalers, retailers and Government Officers are needed to make large scale mutual marketing Organizations, which specialize in sending out agricultural products. The Organization is recommended to standardize and pack every final agricultural products, to promote the use of KAN code.
샌프란시스코 조약과 태정관지령의 관련성을 간단히 논하면 다음과 같다. 샌프란시스코 조약 제2조 a항은 ① 독도에 대한 미국의 제한된 정보와 ② 1905년 이전 독도가 한국의 영토로 간주된 적이 없다는 두 가지의 점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 대해 다음과 같은 반론이 가능하다. ① 울릉도 쟁계에서 일본이 독도와 울릉도에 대한 한국의 영유권을 인정했고, 태정관 지령이 이를 승계한 것이므로 적어도 1699년 이후 일본에 의해 독도는 한국의 영토 로 인정되어왔다. ② 아무리 양보를 해도, 적어도 1905년 일본이 독도 편입 조치를 취하기 이전에 까지 태정관지령은 계속 효력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일본에 의해 독도에 대한 한국의 영유권이 인정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록 독도에 대한 한국의 관할권을 인정할 만한 직접적인 증거가 없더라도, 일본에 의해 독도에 대한 영유권이 인정되고 있었다는 사실은 독도에 대한 한국의 관할권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③ 앞의 ①과 ②가 사실인 이상, 미국의 제한된 정보라는 것은 결국 1905년 일본의 독도편입조치 이후의 정보에 의존하고 있었다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1905년의 일본의 독도편입을 사실로서 전제를 하고 작성된 샌프란시스 코조약 제2조 a항에 대한 해석은 변경을 요할 수밖에 없다. 즉 제2조a항에 독도가 언급되지 않았다고 해서 그것이 곧 일본이 포기해야 할 섬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샌프란시스코조약 제2조 a항은 미국의 잘못된 정보에 의해 작성된 것이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일본이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은 일본의 자기부정에 해당한다. 태정관 지령의 현재적 의미는 여기에 있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메이지(明治) 초기 일본의 국가최고통치기관인 태정관太政官의 기능과 성격을 밝히고, 1877년 독도의 영유권애 관련된 ‘태정관지령(指令)’의 의미와 효력을 분석한 것이다. 태정관은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이해되고 있는 행정부의 최고기관으로서의 성격을 가진 것이 아니라 입법, 행정, 사법의 3권을 통할하는, “천하의 권력은 태정관에 귀결되는” 국가 최고통치기관이었다. ‘태정관지령’으로 사법부의 판결도 무효화되는 경우도 있었다.
태정관이 발하는 법령의 형식으로는 포고布達, 달達, 고시, 지령이 있다. 1886년에 ‘공문식公文式’의 제정으로 포고와 달은 법률로, 그 이하의 법령은 내각 및 각성의 명령 즉 각령 및 성령 등의 형태로 흡수된다. 지령은 하급기관의 질의에 대한 유권해석의 성격을 가진 회답이다. 1877년의 독도관련 ‘태정관지령’은 내무성괴 시마네 현의 질의에 대한 태정관의 유권해석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태정관지령’은 영토(주권)의 판도에 관련되는 것이기 때문에 질의를 한 하급기관만을 구속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 전체에 효력을 미치는 것으로 봐야 한다. 즉 1877년의 ‘태정관지령’은 헌법의 영토조항에 상당하는 가치를 기진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당시의 법령이 그 후에 제정된 법령에 모순되지 않는 한 현재까 지도 그 효력이 미치는 것으로 봐야하기 때문에, 독도의 조선 귀속을 확정한 1877년의 ‘태정관지령’은 현재도 유효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연장선상에서 헌법적 가치를 지닌 ‘태정관지령’을 무시하고 일본이 1905년 2월 시마네 현 고시를 통해 독도를 편입한 것이 법리적 정당성을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된다. 극단적으로 이야기하면, 일본 정부가 태정관지령의 변경을 명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취한 시마네 현 고시는 상위 법령(태정관지령)을 위반한 무효의 행위로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정치한 이론화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긴다.
종친은 국왕의 8촌 이내의 친족이다. 조선시대에는 종친에게 종반직 을 수여하여 왕실구성원으로서 품위를 지킬 수 있도록 대우하였다. 종 친은 친진되어 종친의 지위에서 벗어나면 과거를 통해서 관직에 진출 할 수 있었다. 이것은 왕실구성원에서 사대부가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종친이라 하여 사회·경제적 지위가 한결같지 않았다. 관직 진 출의 통로인 문과·무과·생원진사시 합격자를 고루 배출한 왕자군파는 94개 왕자군파의 51%에 지나지 않는다. 과거합격자를 배출한 왕자군 파 내에서도 여러 갈래 지파로 나뉘기 때문에 사대부가로 정착한 집안 이 많은 편은 아니다. 본고에서는 정종의 10남 덕천군파 이유간 가계가 종친에서 사대부 가로 더 나아가서는 문관관료 가문으로 성장해간 과정을 통해서 종친 에서 사대부가로 변모해갈 수 있었던 요인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덕 천군 이후생은 정종의 아들로 태어나서 친왕자로서 봉군되지 않았다. 이후생은 덕천정이란 종반직에 처음 제수된 후 1460년(세조 6)에 봉 군되었다. 그의 아들 이효백·이효숙·이효성·이효창 등은 모두 무예가출중하였으며, 장남 이효백과 3남 이효성은 세조 때에 무과에 급제하였 다. 덕천군 가문은 종친으로서 세조·예종·성종·연산군·중종 등 여러 국 왕의 신임을 받아 당대에 봉군되어 핵심 위치에 있었다. 게다가 덕천군 집안은 명문가문과 혼인하여서 정치·경제·사회적으로 확고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유간은 덕천군 장남 신종군 이효백-장남 완성군 이귀정-4남 함 풍도정 이계수 가계 계통이다. 함풍도정 이계수의 아들 이수광이 이유 간의 부친이다. 이수광은 종친의 지위에서 벗어난 정종의 5세손이었 다. 그는 관직에 나가지 못하였고, 국왕 친족이 들어갈 수 있는 특수 군종인 충의위에 입속되었다. 그에게는 3남 2녀가 있었는데, 3남인 이 유간이 생원시를 거쳐 관직에 나감으로 사대부가로서의 기반을 마련하 였다. 이유간이 관직에 나갈 수 있었던 요인은 생원 획득과 그를 문음으로 추천할 관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수광이 정종의 5대손으로 충의위에 소속되는 데 그쳤기 때문에, 이유간과 그의 형제들이 가문을 배경으로 문음에 추천되기는 어려웠다. 이유간은 생원을 획득하여 문음 추천 대 상이 되었고, 그를 추천해 줄 현직 관원이 있었다. 즉 과거와 종친 가문 출신이었기에 형성된 왕실 친인척 그리고 관료 가문과의 인적 네트워 크가 그를 기신하여 관계로 진출할 수 있게 한 바탕이었다. 게다가 이유 간의 아들 이경직·이경설·이경석이 모두 과거에 합격하여서 관계로 나감으로써 이유간 가계가 사대부 가문으로 성장해갈 수 있는 탄탄한 기반이 되었다. 장남 이경직은 광해군대 관료 생활을 시작하여 어려움 이 있긴 했으나 인정반정 이후에는 평탄하게 관료 생활을 하여 당상관 에 올랐다. 3남 이경석은 문과에 급제한 후 7년 만에 당상관에 올른 탁월한 엘리트 관원이었다. 성공적으로 사대부가로 자리 잡은 후에도 이경직·이경석 후손은 지속적으로 생원진사시 그리고 문과에 합격하였다. 한 집안에서 3~4 대 연속적으로 문과급제자가 배출되기는 어려운 일이었다. 이경직·이경석 후손은 번갈아가며 각 세대마다 끊임없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그 러나 이들은 소론 핵심 관료이었기 때문에, 숙종 후반 과옥과 영조대 나주 괘서사건 등 노론과의 정쟁으로 집안이 멸문지경에까지 이르렀 다. 이러한 정치 상황에서 이경직 후손 중에는 학문에 몰두하여 양명학 을 연구하는 강화학파로 이름난 집안도 있었다. 18세기 후반 정조대 이유간 가계는 다시 문관 관료가 배출되기 시작하여 19세기 외척 세도 정치기에도 문관관료 가문으로서의 위상을 지켜갔다.
It is said to be that most part of Seo-in(西人) scholars (e.g. Song, Si-yeol(宋時烈) and his pupils) regarded Neo-Confucianism(朱子學) as the absolute one, and only admitted it for their orthodoxy. In contrast, however, there was a bunch of scholars who tried to accept Neo-Confucianism critically participating in Seo-in party such as Jo, ik(趙翼), Choi, Yu-hae(崔有海), Choi, Yu-Ji In terms of this viewpoint, I focused on the fact that Gan-ho(艮湖) Choi, Yu-Ji(崔攸之) had revised the book of "Dae-hak-jang-gu"(『大學章句』), and studied his revised contents and its significance to this paper. Gan-ho's revision on " Dae-hak-jang-gu" proofread by Chu-tzu(朱熹:1130-1200) are summarized as follows; (1) Gan-ho regarded next two chapters of 'mul-yu-bon-mal(物有本末)……' and 'gi-bon-ran-yi-mi-chi-ja(基本亂而末治者)……' included in the major text(經) as the explanation of 'Gyeok-mul(格物)', so remade it into the 4th chapter of the minor text(傳) combining with the chapter of 'Cheong-song(聽訟章)' (2) Gan-ho regarded next two chapters of 'ji-ji-yi-hy-yu-jeong(知止而后有定)……' included in the major text and 'gi-bon-ran-yi-mi-chi-ja(基本亂而末治者)……' included in the 5th chapter of the minor text as the explanation of 'Chi-ji(致知)', so remade it into the 5th chapter of the minor text combining the two chapters. The significance of revision on the book of "Dae-hak-jang-gu" by Gan-ho can be valued as follows; (1) Several Seo-in scholars had succeeded progressively traditional scholarship without falling in the trap of adhesion under highly 'Neo-Confucianism dominated circumstance'. (2) Gan-ho had revised some part of "Dae-hak-jang-gu" with his trailblazing viewpoint based on the peculiar studying method mentioned above. (3) Gan-ho had succeeded and developed the former theories digestion well enough advocated by Dong, Goi(董槐) and Gueon, Geun(權近) (4) The separation of the two chapter of 'Gyeok-mul' and 'Chi-ji' from Chu-tzu's "Dae-hak-jang-gu" by Gan-go is outstanding opinion never found on former theories. In interpretation history of "Dae-hak", therefore, it must be valued to quite a new theory that no one had ever mentioned bef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