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0

        61.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먼저 국가 안보 위기와 급변하는 정치 상황에서 교회가 평화를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전쟁 발발의 국제적 영향과 냉전체제 내에서 전쟁의 위협에 대응하여 서독의 외교정책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펴본다. 또한 서독 총리 아데나워가 추진한 서독 재무장 정책이 서독 사회와 독일 개신교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졌는지를 추적한다. 한국전쟁이 발발했을 때 독일인들은 독일에서 새로운 전쟁이 일어날까 두려워했다. 이러한 이유로 서독 수상 아데나워는 서독의 재무장을 추진했다. 재무장 정책에 대한 서독의 의견은 엇갈렸다. 독일 개신교회 내부에서도 서독의 재무장을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다. 마틴 니묄러와 그의 그룹은 아데나워의 재무장 정책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그러나 다른 그룹은 먼저 서독이 재무장하고 유럽 안보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독일 개신교회의 논쟁 속에서 이 연구는 교회가 평화를 위해 무엇을 했고, 무엇을 할 수 있었는지를 연구한다.
        62.
        202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창간호부터 2019년까지 「한국교회사학회지」에 수록된 한국기 독교의 역사 연구 논문들에 대한 분석적 연구이다. 「한국교회사학회지」는 해방 후 최초로 발간된 한국의 교회사 학술 연구 논문집이다. 이 기간 동안 135편의 한국교회사 연구 논문이 수록되었다. 이 글은 그 연구 논문들을 분류하여 인물 연구, 사회사, 사상사, 교단사, 문화사 등의 범주로 분류 하였다. 초창기 연구들은 한국교회사의 기초를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1990년대 이후 연구 논문들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였다. 2000년 이후의 논문들은 체제의 완성도가 높아지고 연구 분야도 다양해졌다. 2010년대의 연구 논문들은 논문 심사의 강화로 논문들의 체제와 논문의 주제들이 더욱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연구 분야는 인물 연구와 사회사 논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신학사상, 문화사 연구들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통계자료의 도입과 타 분야와 복합적 연구가 필요하다.
        63.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외국 교회의 지원에 의해 개척된 최초의 재일 한인교회 미카 와시마(三河島)교회의 역사를 재구성하되 특히 동 교회의 설립과 발전, 교회적 특성, 타교단 한인교회들과의 협력과 교류에 주목하였다. 미카와시마 교회는 미국 그리스도의교회와 연계된 재일 요츠야선교회 소속 제5교회의 한국인 교인에 의해 1926년 개척되어 한국인 전문사역자들에 의해 운영되고 성장하였다. 동 교회는 1940년대 초반 ‘일본기독교단’ 산하에 편입되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탈퇴하고 종전의 미카와시마교회로 재건 되었다. 동 교회는 1960년대 초 요츠야선교회로부터 독립하여 자치, 자립 하는 지역교회가 되었다. 미카와시마교회는 개척 후 3년만인 1929년부터 교인 100명 이상이 출석하는 한인교회로 성장하였고, 한국교회와 미국 그리스도의교회(유악기)의 특징을 부분적으로 공유하였다. 동 교회는 한국인 사역자(목사 혹은 전도사 혹은 장로) 혹은 친 한국적 일본인 사역자(오다)의 치리로 한국교회의 특징인 ‘전도(부흥)집회’ ‘새벽기도회’를 정착시켰다. 반면 요츠야선교회와 재정과 인적 유대를 유지하며 그리스도의교회의 특징인 개교회의 자치권 을 계승받아 교단체제에 반대하고, 재일 한인교단교회들의 연합체인 ‘재일 본조선기독교’나 ‘재일본조선기독교연합회’에 가입하지 않았다. 또 성경을 신앙과 실천의 기준으로 중시하는 교회가 되었다. 동 교회는 재일한인교회 연합기구에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복음사역을 위해 타교단 한인교회(특히 연합공의회계 한인교회)와 복음사역에 협력하고 교류하였다.
        64.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1930년 이전 한국장로교회의 신학이 개혁신학이 아니라 복음주의신학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이 논문에서 복음주의의 특징을 세 가지로 핵심요소로 규정한다. 그것은 성서, 회심체험, 영적인 생활의 변화이다. 1930년 이전으로 시대를 한정한 이유는 1930년 이후 신학이 분화되기 때문이다. 장로교와 감리교는 선교초기부터 예배공동체, 성경번역, 순회전도를 함께 했는데, 이런 연합사역이 가능했던 것은 복음주의신학이라는 공유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1907년 대부흥운동은 성서를 통한 사경회를 기초로, 기도를 통한 체험, 말씀과 기도를 통해서 은혜 받은 자의 새로운 생활을 통한 도덕성이라는 복음주의신학의 모습이 나타난다. 이런 성서, 회심체험, 영적인 생활의 변화는 한국교회신학을 복음주의 전통으로 견고하게 뿌리 내리게 한다. 1907년 한국장로교회는 4개 선교부가 하나의 장로교 치리회인 독노회를 조직한다. 이때 채택한 대한장로교회신경은 장로교회와 감리교의 연합정신과 복음주의신학의 산물임을 통해서 초기 한국장로교회의 신학이 개혁신학이 아니라 복음주의신학임을 다시 한 번 규명하게 된다. 한국장로교회 신학이 개혁신학이라면 신학교와 학계에서 칼뱅에 대한 교과과정이나 연구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교과과정과 칼뱅연구를 보면 교과과정은 성경중심이며, 칼뱅연구사에서 1930년 이전까지는 이에 대한 깊은 연구는 없음을 알 수 있다. 한국장로교회의 복음주의 영성은 개인구원과 체험을 강조한다. 즉 부흥적 특성으로 인간의 감정을 강조한다. 그러나 개혁신학은 그렇지 않다. 복음주의는 개인구원, 개인윤리, 사회관심으로 자연스럽게 발전되어간다.
        65.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한국장로교회 동사목사의 기원과 제도적 확립 및 확장과정, 폐지에 이르는 역사적인 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동사목사라는 직제는 미국장로교회의 영향으로 1909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제3회 노회에서 8명의 한국인 목사를 선교사와 함께 일하는 동사목사로 임명하면서 시작되었다. 그 후 이 직제는 제도적 확립과 확장 과정을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확대 시행되어 1914년 제3회 총회에서 목사를 위임목사, 임시목사, 위임동사목사, 임시동사목사로 구분했으며, 1917년 제6회 총회에서는 목사를 칭호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하고, 1929년 제18회 총회에서 헌법 중 정치 제4장 4조에 목사칭호 조항을 추가함으로서 동사목사의 제도적 확립을 완결했다. 목회 현장에서는 선교사와 한국인 동사목사 뿐만 아니라 1920년대를 전후해서는 한국인 위임목사와 한국인 동사목사가 함께 목회하는 형태로 발전했다. 이후에는 한국인 위임목사와 위임동사목사, 한국인 위임목사와 임시동사목사가 목회하는 형태로 세분화 되었다. 동사목사 직제는 한국장로교회 안에서 공동목회를 통한 협동적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했는데, 이와 같은 직제가 해방 이후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면서 지속된 것을 보여주는 사례가 영락교회에서 한경직과 강신명이 위임목사와 동사목사로 공동목회를 한 경우다. 그러나 동사목사 직제는 1955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제40회 총회에서 부목사 직제를 신설하면서 폐지되었다. 이런 결정은 동사목사 직제의 역사적 공헌을 간과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결국 동사목사의 폐지와 부목사의 신설은 공동목회를 통한 협동적 지도력 대신에 위임목사 중심의 단일지도체제로의 변화를 가속화시키는 전환점이 되었다.
        66.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대한민국 제1공화국 속에서 태극기에 대한 국기 경례 방식으 로 인해 발생한 교회와 국가 간의 첨예한 갈등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았다. 해방을 맞이한 직후인 미군정기부터 한국 사회에서 시행된 국기 경례 방식 은 세이케이레이, 번역하여 최경례, 흔히 배례라고 불리우는 일본식 경례 방식이었다. 한국 기독교는 이와 같은 국기 배례에 대하여 민족적으로는 일제의 잔재라는 측면, 신앙적으로는 우상 숭배라는 측면, 종교적으로는 미신적이라는 측면 등 세 가지 이유 때문에 거부하였다. 이러한 국기 배례 거부 움직임은 해방 직후부터 손양원 목사를 필두로 해서 장로교회가 주도 하였다. 그렇지만 국기 배례는 대한민국 제1공화국이 수립되면서, 국가 지 상주의 혹은 민족 지상주의의 일환으로 한국 사회에서 더욱 강력하게 시행 되었다. 다시 말해 대종교인으로 초대 문교부 장관이었던 안호상이 종교의 식이 아닌 국가의식이란 명분하에 더욱 강력하게 시행한 것이다. 이렇게 국기 배례가 자리한 한국 사회에서 가장 빈번하게 시행된 공간은 일선 학 교들이었다. 이로 인해 특히 전국에서 산발적으로 교회에 출석하는 유년 주일학교 학생들이 국민학교에서 시행하는 국기 배례를 거부함으로 인하 여 수난을 당하였다. 그런 가운데 장로교를 넘어서 한국기독교연합회에서도 국기 배례에 대 한 거부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렇지만 궁극적으로 한국 기독교가 동일한 목소리를 낸 것은 아니었다. 특히 일제 강점기 신사참배를 종교의식이 아 닌 국가의식으로 받아들였던 감리교는 일제 강점기의 신학과 신앙 전통을 계승하여 국기 경례에 대해서도 종교의식이 아닌 국가의식으로 간주하였 다. 그리하여 국기 배례든, 혹은 국기 주목례든 간에 어느 것도 무방하다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그 직후, 1950년 4월 25일에 국기 배례 폐지 건이 국무 회의에 상정되었다. 국무회의에서는 국기에 대한 배례를 국기에 대한 주목 례로 변경하였다. 이와 같은 국기 경례 방식 변경은 이승만 대통령의 지원 이 결정적이었다. 이처럼 이승만 대통령이 지원하게 된 것은 지금까지 알 려진 바와 같이 한국 기독교의 지속적인 국기 배례 거부 운동도 한몫했지 만 지금까지 한국 기독교에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두 수난 사건들이, 제 각각 그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는 개연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 하나는 국 기 배례 거부로 인하여 감옥에 수감되었던 안중섭 전도사의 수난과 또 다 른 하나는 국기 배례 거부로 인하여 위천교회 주일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이 겪은 대환난이다. 이 두 가지 수난 사건 모두 이승만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제각각 수난 해결을 위한 인적 연결 고리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설득 력을 가지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국기 경례 방식에 대한 변경은 국 기 배례 거부로 인한 수난 속에서 그 해결 방안의 결과물이었다고 할 수 있다.
        67.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한치진이 『基督敎人生觀』을 통해 1930년대 한국교회의 문제 점을 진단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한 논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 연구에서는 그의 대표적인 저서 『基督敎人生觀』 뿐만 아니라 본 주제와 관련된 다른 주요 문헌들도 참고할 것이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인 1934년 에 출판되었으며 기독교윤리관에 입각하여 저술되었다. 그는 목사도 신학 자도 아닌 평신도의 위치에 있었지만 기독교윤리에 뛰어난 지식을 갖춘 인 물이었다. 한치진의 저서 『基督敎人生觀』이 남긴 중요한 교훈들을 정리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혁에 대한 관점이다. 그는 당시 한국교회가 여러 방면에서 심각 하게 타락했다는 점을 직시하고, 그리스도인들이 사회를 개혁해나가기 위 해서는 먼저 교회 안에 내재되어 있는 내적 부패상부터 척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둘째, 실천적인 관점이다. 한치진은 엄격한 규범을 제시했다.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사회에서 선행을 추구함으로써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가르침 을 따라 기독교윤리를 실천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 저서에 높은 실업률, 젊은 세대 교육, 병약한 환자들, 삶과 노동, 파시즘과 권위주의 등 다방면 에서 윤리적 주제들을 담았다. 셋째, 세계에 대한 관점이다. 그는 교회는 반드시 만물의 궁극적 중생(重 生)을 고대하면서 현세와 지복(至福)의 내세 양 지평에 동등한 관심을 가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가 향후 한치진의 ‘기독교 윤리관’, ‘기독교 심리학’, ‘기독교 교 육학’, ‘신앙적 사고’ 등의 연구 작업으로 더욱 확장되어지기를 기대한다.
        68.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7년은 종교개혁 500주년의 해이다. 독일의 루터10년 프로젝트처럼, 한국교회 역시 많은 학술 심포지엄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종교 개혁 내지는 루터 신학의 세계적인 의미를 찾을 것이다. 본 논문은 루터의 신학에서 “무엇이 종교개혁적인가?”를 다루었다. 관점에 따라서 루터 신학 의 핵심은 다르게 선택될 수도 있다. 필자는 한국교회의 개혁과 갱신을 염 두에 두었고, 그 결과 루터 신학의 바른 이해와 적용을 위해 ‘이신칭의’, ‘십자가 신학’, ‘만인제사장직’을 선택하여 논했다. 칭의의 조건은 그리스 도를 믿는 믿음이다. 그렇지만 칭의는 종결이 아닌 온전한 그리스도인을 향한 시작이다. 신자의 거룩한 삶이 칭의와 더불어 시작되고, 이 세상에서 생을 다하기까지 함께 간다. 그것이 무엇이건 인간이 할 일이 있다면, 칭의 이후의 일이며, 칭의 이후의 일이 역으로 칭의에 영향을 줄 수 없다. 즉 칭 의를 위해 인간이 할 일은 없지만, 거룩한 삶은 칭의와 더불어 가는 것이 다. 십자가 신학은 하나의 일하심의 한 방법으로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난을 통해 하나님을 인식한다. 이것은 가시적인 것 혹은 외적인 권위와 규모 를 통해 신을 파악하려했던 중세교회의 영광의 신학 내지는 스콜라신학을 거부한다. 물질주의에 대한 한국교회의 의존성, 기복 및 개교회 지상주의 는 중세교회의 영광의 신학과 다를 바가 없다. 만인제사장직은 세례 받은 모든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의 자녀라는 신분적 평등의 선언이자, 직업 활동 을 통한 소명의 성취를 요구한다. 한국교회 역시 성직자와 평신도라는 이 분법적 틀을 희석시켜야 하며, 동시에 교회 밖 직장과 사회에서 직업 소명, 즉 제사장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 한국교회는 종교개혁의 자랑스런 유산을 물려받은 프로테스탄트의 후예이다. 마르틴 루터의 이신칭의, 십자가 신학, 만인제사장직을 바르게 이해하고, 실천하여 교회의 교회됨을 회복하는 분 기점으로 삼아야 한다.
        69.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리아 내전 이후 난민은 세계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 가운데 하나가 되 었고, 이 문제가 교회와 사회에 대해 지니는 의미는 매우 크다. 한국사회와 한국교회가 원하건 말건 간에, 난민문제는 이미 다가왔고, 전 세계로부터 이에 대한 책임을 요구받고 있다. 사실 난민문제는 성경과 교회역사 가운 데 항상 접해왔던 유구한 문제이며, 특히 세계화 현상을 맞은 오늘날 그 중요성이 더욱 인식되기 시작한 문제이다. 급기야 2016년 브라질 리오에서 개최된 하계 올림픽에서는 난민들이 한 팀을 이뤄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 런 맥락에서, 우리는 종교개혁가 칼뱅의 삶과 사역을 통하여, 난민사역의 한 측면을 들여다보았다. 본 논문은 칼뱅을 종교난민, 난민목회자, 난민사역의 관점에서 살펴보았 다. 먼저 칼뱅은 종교난민이었는데, 그는 이방인에서 이웃으로 다시 시민 으로 신분이 바뀌었지만, 난민의 정체성을 지녔고, 그것이 그의 신학과 사 역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칼뱅은 난민목회자였는데, 그는 난민목회에 대 한 문제의식을 지녔고, 이를 해결하고자 구조와 사역자를 마련하였다. 이 런 칼뱅의 난민사역의 유산을 검토하면서, 난민의 정체성, 난민의 연대, 상 황과 목회라는 교훈과 도전을 살펴보았다. 특히 칼뱅의 삶과 사역을 통하여, 난민 나아가 이주민이 경험할 이주, 추방, 외국인혐오 등의 문제를 들여다볼 수 있었으며, 따라서 환대의 신학 의 중요성이 다시금 대두되었다. 더구나 기독교가 중심이 아닌 주변의 위 치에 설 때 신학적 개혁이 가능하다는 도전도 살펴보았다. 이제 한국교회 도 난민사역의 근거가 되는 난민신학을 구성하고, 난민사역을 개발해야할 당위성에 직면하고 있다. 이주민, 특히 난민은 이동, 즉 이주와 관련된 존재인데, ‘이동 중인 인간’ 은 가장 위약한 존재이고, 가장 도움이 필요한 존재이며, 동시에 복음에 대 한 수용성이 가장 높은 존재이다. 따라서 난민은 마태복음 28장의 복음선 교는 물론이고 마태복음 25장의 긍휼선교의 우선적인 대상이요, 또한 주체 인 것이다.
        7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1916 had come Dr. Frank W. Scofield as a Medical Professor at the Severance Medical College in Korea. In 1958 after the reacquisition of independence he visited Korea again but as a state guest, and then acquired the Korean citizenship. His love of Korea and the Korean People has been same now and then. His life as such can be evaluated with threefold frame of reference from Korean Church History. First, he was a Christian man of nationalistic movement for the Korean independence. He contributed for enhancing it in publicizing throughout the whole world the real features of the movement by means of the pictures which he had taken at the very spots of the March-First Independence Movement at the request of Kap-Sung Lee, one of the 33 national representatives. Besides, he visited and took care of many Koreans who had been suffered from severe punishment because of joining it. During this time he heard fact of Japanese putting Koreans to the brutal and barbarous tortures, which caused him to call out for stopping such things to the Japanese authority. It was very meaningful in relation with the movement that he visited the place of massacre at Chaiamm-ni during this time and reported its misery to the whole world, and that he aroused global interest in the Korean independence. He was banished from Korea under the pressure of Japanese regime because of his suppor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Second, he was a church reformer who succeeded the spiri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Dr. Scofield saw a real state of the Korean Church. He hoped that she should return to and stay all the time in the spirit of the movement. He diagnosed her as corrupted in an article with the title ‘Korean Church, Yesterday and Today’ in <Christianity Thought>printed in March 1961. According to Dr. Scofield, the Korean Church, 40 years ago, was devoted to the Bible-study and was alive with a self-sacrificing spirit. But she at that time became secularized and lost power of sanctification. Dr. Scofield emphasized on the fact that she should restore the spirit of the March-First Independence Movement 40 years ago. Third, he has been a medical missionary and educator who accomplishes his mission at his own expense. At the first time, he had come to Korea as a missionary of the Canadian Presbyterian Church, but after reacquisition of the Independence he discarded relationship with any other foreign missionary societies. Though in such a status, he accomplished his mission with self support. Along with the main job of teaching at universities, he grouped young students and led them in the Bible study for hoping them to become future leaders of Korea. Also, he supported regularly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provided the poor students with scholarship, so that they could complete their education. While he himself lived a thrift way of life, he practiced completely non-possessive life style for the sake of his neighbors. It was faithful living up to his conviction on the Christian value as such that made him fulfilled a admirable life. In short, his whole life manifested a true way of sharing, caring, and praying. His direct involvement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missionary works is so marvelous as to one human being. However, the Korean Church has been neglecting in the right evaluation. As for me the only reason for that is due to his independent missionary works as of lay person outside of any denominational relation. Now, it is the urgent task that the Korean Church is to explore his life and thought, and to apply them to herself.
        71.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is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church history of the Korean Presbyterian Seminary from 1901 to 1935. The Korean Presbyterian Seminary was established in 1901. The seminary was built for the spread of the gospel not for the research of theology. W. L. Swallen was one of the founders of the seminary and he wrote the first textbook of church history in the Korean language in 1913. The book was entitled Kyohoisaki (敎會史記) : the Book of Church History. The editorial system of the Kyohoisaki was a dictionary of history. The theological foundation of the book was evangelical. A new text of church history of Presbyterian Seminary was published in the 1930’s. The new text’s theological foundation was evangelical, the same as Swallen’s text. But the level of study of church history was developed further. The new text included the advanced objectivity of historical description, methodology of history and the system of editing. The Presbyterian seminary could offer the academical curriculum of the church history in the 1930’s.
        72.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was in the year of 2010 that the news, which the thirteenth General Assembl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ould be held in Pusan in 2013, was reported. Since then,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community has been extremely divided. While many Christians welcomed the news in jubilation, some opposed it in anger. Those church leaders and theologians in opposition have said that the WCC denies the orthodox doctrine of proselytism and promotes a religious pluralism through its program of dialogue among various religions The WCC’s theological orientation, they argue, “anti-Biblical, anti-Christian and anti-church.” The WCC’s theology and ecumenical movement ia “a Satanic challenge to the church. Therefore, they oppose the scheduled General Assembly of the WCC. However, their seemingly theological argument and accusation is, it seems, is political rather than theological. An anti-WCC movement in Korea, which began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more specifically after the north-south division, was also begun not by theologians but by some politicians and ultra-conservative church leaders during the Korean War in Pusan.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is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anti-WCC movement was begun. Who did initiate it, when and why? This article thus discusses such concepts as the Cold War, the emergence of a new world order, the division of Korea, the Korean War, McCarthy’s anti-communist hysteria, ‘red complex and so forth. All of these elements brought about a new doctrine that communism is anti-Christianity and Christianity is anti-communism. In this peculiar historical context, a strong militant anti-communist element is so strong in the Korean church community that some church leaders have stood militantly against the WCC.
        73.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교회에서 여성의 절대적인 수적우세에도 불구하고 교회음악에서 여성의 역할은 젠더 화된 구조아래 리더십의 부재라는 현상으로 특징 지워진다. 한국교회음악에서 일어나는 젠 더역학은 음악을 여성의 영역으로, 말씀을 남성의 영역으로 이분화 된 음악의 사회적 의미와 도 연관되어 있다. 이글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초기한국교회시기에 여성 들이 어떻게 자신의 목소리를 내어 정체성을 이루어 갔는지를, 노래하는 여성, 찬송가사 작 사자, 그리고 반주자로서의 영역으로 나누어 알아본다. 초기한국교회에서 여성들은 찬송을 노래하면서 강요된 침묵의 안방으로부터 공적인 공간으로 나올 수 있었으며, 찬송가사 작사 를 통해 창작능력을 표출하였으며 풍금과 피아노 반주자로서 전문음악가로서의 가능성을 찾 고자 하였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