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 서비스 종사자들의 행동 루틴이 서비스수행 및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 향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경기 소재 뷰티 소비자 311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확인적 요 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델 및 bootstrapping 기법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 련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행동 루틴은 자기효능 감, 서비스수행, 업무성과에 모두 통계적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 서 비스 종사자의 자기효능감은 서비스수행 및 업무성과에 통계적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행동 루틴과 서비스수행 및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4,300원
        2.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이용 여부에 따른 장애인의 장애수용, 우울, 자아 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를 비교하고 SNS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우울, SNS 활용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삶 3차 패널조사(2020년)를 활용하였다. SNS 이용 여부에 따른 장애인 의 장애수용, 우울,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SNS를 이용하는 장애 인의 삶의 만족도와 장애수용, 우울, 자아존중감, SNS 활용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 였다. SNS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SNS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이용하지 않은 장애인보다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는 높고 우울은 낮은 것 으로 나타났으며, SNS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는 장애수용, 우울, 자아존중감, SNS 활용도, 삶의 만족도와 상 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SNS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성별, 우울, 자아존중감, SNS 활용도로 나타났다. 결론 : SNS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 기 위해 SNS의 접근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중재 전략과 보조기기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300원
        3.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육서비스 기업 경영자의 교육리더십이 조직의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를 검토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서비스 기업의 개인적·조직적 주요 변인을 검증하여 교육적 조직으로서의 교육서비스 기업의 실제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 확보 의 토대가 될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교육서비스 기업 임직원을 연구대상으로 설 정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409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SPSS 26.0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행된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서비스 기업 경영자의 교육리더십이 조직의 학습조직화 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교육서비스 기업 경영자의 교육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교육서비스 기업 조직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조직의 학습조직화에 정(+) 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교육서비스 기업 경영자의 교육리더십과 조직의 학습조직화의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리더십, 학습조직화, 자기효능감 등 교 육서비스 기업의 개인 및 조직 변인 관계를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6,400원
        4.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상현실과 현실 세계를 융합한 공간으로서 가상의 세계 안에서 다양 한 상호작용과 경험을 제공하는 메타버스 서비스는 사용자들이 자아일치 성을 공유하고 강화하는 공간을 형성해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 버스 서비스 특성이 사용자의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를 매개하는 자아일치성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수집한 245개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메타버스 서비스 특성 중 실재감과 매개변수인 자아일치 성은 고객의 메타버스 재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매개효과분석 결과에 따르면 자아일치성은 메타버스 서비 스 특성 중 실재감과 재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유용성과 재이용의도 간의 관계, 상호작용성과 재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변화된 환경과 소비자 특성으로 인 해 전통적 브랜드 마케팅 방식의 한계에 직면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메타 버스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 도출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6,300원
        5.
        2023.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utomation of frontline service encounters, or the replacement of frontline employees by technologies, is increasingly more common. This new service style, often called self- service,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service providers who are looking to cut costs (Lin & Hsieh, 2007; Walker et al., 2002) and increase efficiency (Bitner et al., 2002; Curran et al., 2003; Dabholkar, 1996). On the other hand, a major disadvantage of self-service is that it puts the burden of service delivery on consumers (Lu et al., 2019). In other words, the introduction of self-service means a shift from consumers being served by frontline employees to their serving themselves by interacting with technologies. This means that consumers’ acceptance is key for self-service to be implemented successfully.
        4,000원
        7.
        202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 및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구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고등학 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 개선을 유도하고,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학원교육 및 학원경영 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입시·검정 및 보습학원에서 수강 중인 고등학생 6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BM SPSS StatisticsDHK 25와 AMOS 2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은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 유형성, 응답성 순이고, 변혁적리더십은 지적자극, 개별적배려, 영감적동기화, 이상적영향력 순으로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순이고, 구전의도는 주관적구전의도, 적극 적구전의도, 객관적구전의도 순으로 보통 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과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서비스 품질은 변혁적리더십, 자기 효능감, 구전의도에, 변혁적리더십은 자기효능감과 구전의도에, 자기효능감은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서비스 품질과 구전의도 관계에서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과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원장이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과 학원강사의 리더십을 제고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구전의도를 높이는 구조적 관계 속에서 경영활동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5,500원
        8.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 서비스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두 가지 통합연구방법을 통하여 자기관리 구성개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경기 소재 뷰티 서비스전문가 151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실시하였으며 뷰티종사자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일련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형 질문지의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는 건강관리, 대인관리, 외모관리, 기술관리의 지적관리로 4가지로 도출되었다. 둘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에서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보다 타당성 있게 지지하고, 뷰티서비스 현장 중심적인 면담 사례들이 심도 있게 다루어져 비대면관리와 지식관리의 2개 속성이 추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성공적인 직업인으로서의 생활을 위한 전략 수립과 뷰티 서비스전문가들의 자기관리 측정도구 개발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9.
        2021.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 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 자기효능감,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해 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서 자기효능감은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는가로 설정하였다. SPSS Ver.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기법으로는 측 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영향관계와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 요인이 서비스 질에 중요하고 긍정적인 영향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자기효능감에 많은 긍정적 영 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자본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매개변인로서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7,000원
        10.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uses risk theory to explore factors mitigating consumers’ intention to use SSTs. The findings of an empricial study reveal that the perceived time, security and addiction risk indirectly reduce consumers’ intention to use SSTs through the per-ceived psychological risk. Most importantly, this study’s findings show that an increas-ing autonomy of SSTs strengthens the effects of perceived addiction risk.
        4,000원
        11.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consumer traits(technology anxiety and need for interaction) explain attitude toward self-service technologies in fashion retail stores. We examined if technology anxiety influences perceived productivity and attitude toward self-service technologies, and if so, how the need for interaction with employees moderates the impact of technology anxiety on perceived productivity and attitud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web-based survey with Korean consumers was conducted. The final sample size was 214.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PROCESS in SPSS were employe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echnology anxiety negatively affected perceived productivity and attitude toward self-service technologies in which perceived productivity affected attitude positively. Need for interaction with employees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xiety and perceived productivity. It also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xiety and attitud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elf-service technology literature by identifying two antecedents of consumer attitude toward selfservice technologies: technology anxiety and the need for interaction. The findings further provide valuable insights to retailers and marketers as to how technology anxiety, perceived productivity, and the need for interaction work in enhancing consumer attitude toward self-service technologies in the context of fashion retail.
        4,300원
        12.
        2020.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자아효능감을 매개로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 히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 스가 서비스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자아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요양보호사의 자아효능감이 서비스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요양 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인가?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통계프로그램인 PASW(SPSS) Ver.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기법 으로는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쳤다. 직무스트레스는 직접적으로 서비스 질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자아효능감은 서비스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사이에서 간접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로서의 매개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와 자아효능감과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 요소를 반영하여 자아효능감과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의 시행이 필요하다.
        6,100원
        13.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methods of improving sustained learning participation by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chool support consisting of professor support, friend-senior suppor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were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by female students than by male students. Second, school support directly influence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chool satisfaction, but did not directly influence the learning persistence. Instead, school support influenced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directly by the medium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directly influenced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and indirectly influenced learning persistence by the medium of school satisfaction. Lastly, school satisfaction directly influenced the learning persistence, implying that school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learning persist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These results show that, because school members and environmental support cannot exclusively make learning persistence, diverse systems and programs must be developed and applied to improve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chool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4,000원
        15.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il-care services are growing rapidly. If causes for the increase in nail-care service consumption is diversion or self-satisfaction, we can speculate that consumers perform self-care through nail-care services. Nail-care-service consumption should be allowed to increase because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effects such as improving mood or alleviating depressed emotions. Moreover,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nail-care services differ according to consumers’ tendencies. Therefore, this study divides the types of consumer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nail-care services depending on the types.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ub-factors of self-esteem, extracted as two factors, were “personal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Consume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self-esteem into four group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nail-care services according to these four groups. It was found that all groups had psychological effects above the average value. This result indicates that only the degrees of psychological effects differ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self-esteem, and that psychological effects generally play a large role in all types. Since psychological effects were positive for everyone regardless of their self-esteem, utilizing nail-care services considerably reduces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modern people. Nail-care services expected to become the basis of the nail therapy field.
        4,300원
        16.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service encounter, value creation comes not only from customer-to- service provider interaction but also from customer-to-customer interaction (CCI). A number of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the CCI plays an important role in perceived service quality, value cre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Although prior researcher have explored the effect of CCI, they have focused more on traditional service encounter which service employee is present than on technology-based self-service (TBSS) encounter without employee presence. TBSS is an activity or benefit based on hard technologies that service providers offer so that customers can perform the service, or parts of the service by themselves. Focal customers can be influenced directly or indirectly by other customers in service encounter. To examine the effect of ICCI on service quality in TBSS, we conducted two studies. Study 1 focus on the impact of ICCI on service quality and the mediation of service experience. Study 2 explore whether the service failur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CCI and service experience. In experiment 1, a single factor (other customers: presence VS. absenc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wo different level of ICCI. Results show that compared with other customer absences when other customer presences focal customer perceived service quality is lower. That is, ICCI h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service quality. In addition, Experiment 1 provided evidence that a partial mediating factor underl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CCI and service quality was customers’s emotion. In experiment 2, A 2 (other customers: presence VS. absence) × 2 (service failure: yes VS. no) between subject design was conducted. An ANOVA on negative emotion yielded a significant ICCI × service failure interaction. The participants in the other customer presence condition experienced service was more discomfortable when the service was failed than when the service was succeeded. However, this effect was strengthened for the other customer absence condition. With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there has been a proliferation of self-service technologies across the services sector in the past decade. The quality and experience of technology-based self-service are very much worth the attention of service providers. Our study reveals the effect of ICCI on service quality and the mechanism by the mediation of negavtive emotion and the boundary condition of the link between ICCI and negative emo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rvice providers should avoid ICCI, such as providing closed ATM, kiosk, and so on. In addition, the firms should try their best to guide customer to ensure the production and delivery of self-service to reduce service failures.
        17.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lourishing trend of using multiple technology-based self-service channels (hereafter, SSCs) can be found across various service industries. So far, no studies have explored the effect of multichannel interaction on breadth consumer relationship breadth (i.e., cross-buying intention). Based on brand extension theory and the cross-buying literature, this study proposed a conceptual model for understanding the key determinants of consumer cross-buying intention in the context of multiple SSCs. A total of 262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 with using both online and mobile banking were collected. The result revealed that perceived online banking quality (i.e., original SSC), image congruity, and value congruity facilitate consumer trust and satisfaction toward a mobile banking service (i.e., extension SSC). In addition, the trust and satisfaction toward mobile banking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rossbuying inten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not only provides an academic contribution to the multichannel service and SSC literature but also provides suggestions for service providers who wish to develop their multiple-SSC strategies.
        18.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aims to extend previous research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organisational empowerment and frontline employees’ behaviors,and explores the role of the self-regulating process and its impact on service recovery performance by using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Following the procedure of applying fsQCA (data calibration, truth table construction and fsQCA analysis) on the data of express mail firms in China, the results explore the combination of several causes as solutions that lead to both high and low service recovery performance. The findings show that the organisational empowerment is a sufficient antecedent for high service recovery performance, especially in case where frontline employee have full awareness and positive work involvement. Moreover, in the context of organisational empowerment, a reasonable level of emotional exhaustion represents a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in service recovery. This study offers more comprehensive insights for practitioners to empower frontline employees and monitor their emotions and behaviors using more appropriate approaches.
        1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사범 대학 과학교육학부에 재학 중인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에서의 지구과학 선택 과목의 이수 여부와 대학 전공이 일반지구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광역시 소재 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소속의 학생들 중 2012년 2학기부터 2015년 2학기까지 총 4개 학 기 동안 일반지구과학 강의를 수강한 273명의 학생들이다. 현재 전공과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목 이수 여부가 일반지 구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및 시험 체감 난이도,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SPSS 23.0을 활용하여 이원분산분석 (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구과학교육 전공 학생들과 타 과학교육전공 학생들 사이에는 일반지구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와 시험 체감 난이도에 대해서 차이가 없었지만, 고등학교에서 지구과학의 이수 여부는 학생들의 태도와 성취도에 영향을 미쳤다. 즉, 고등학교에서 지구과학 I과 지구과학 II를 모두 이수한 학생은 지구과학 I만 이수한 학생 또는 지구과학을 전혀 선택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일반지구과학 수업 태도가 더 좋았으며 높은 성취 수 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 대학의 교육에서는 학생들의 요구와 수준을 반영한 교수학습적 접근이 필요하며, 과학 교사로서 필요한 교과 지식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사범 대학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보완이 있어야 할 것이다.
        4,200원
        20.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and service qua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ponses from 232 employee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ppeared as follow; 1)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effected negatively on all service quality factors(empathy, reliability, responsiveness). 2) the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effected negatively on two service quality factors(reliability, responsiveness). 3) self-efficacy effected positive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service quality. 4) self-efficacy effected positive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and service quality.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