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3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current affairs-based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academic learners and proposes practical strategies for improving their pedagogical impact. With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n higher education surpassing 260,000 in 2024, many entering undergraduate or graduate programs do so with Korean proficiency levels below what is typically required for academic success. In response, universities have developed general education and major courses specifically for international students, often using textbooks that integrate current affairs topics to promote both language development and academic engagement. These textbooks commonly draw on news articles and other media texts to strengthen learners’ communicative and analytical skill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five types of current affairs-based Korean language textbooks that were commercially available in bookstores as of February 2025 and were likely to be adopted as university course materials. The analysis focused on textbook structure, text selection,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while the textbooks are well-structured and emphasize logical comprehension, they often lack components that encourage sociocultural interpretation or critical literacy. This study recommends supplementing existing materials with texts and activities that help learners recognize the social dimensions of public discourse and foster critical literacy.
        7,700원
        2.
        202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22 개정교육과정에 신설된 고등학교 「인간과 경제활동」 교과서의 탐구 활동 에서 교육과정의 교수·학습의 방향이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학습 방법이 구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인간과 경제활동 교육과정은 경제학의 기본 원리나 개념에 대한 설명보다는 학생들이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경제 문제를 자신의 삶과 생활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인간과 경제활동」 교과서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다양한 체험 활동을 구현했 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교수·학습 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미디어 활용 학습, 협동 학습, 토의·토론 학습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게임 학습, 프로 젝트 학습, 시뮬레이션 학습, 인공지능 활용 학습 등 기존의 경제 교과서에서는 잘 다루지 않았던 교수·학습 방법들이 새롭게 시도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지역사회 경제 전문가와의 협력 학습은 다루어지지 않았다. 향후 「인간과 경제활동」 교과서에서 시도 된 다양한 체험 활동의 학습 효과에 대한 연구를 통해 경제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고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8,000원
        3.
        202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grammar items in English textbooks used across 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y specific grade levels. To achieve this, we developed an automated grammar item analyzer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which analyzed 52,964 sentences from the textbooks. We selected 173 grammar items from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 methodology used to determine CEFR levels in the English Grammar Profile. The classification results are as follows: 18 items for Grade 3 of elementary school, 6 for Grade 4, 11 for Grade 5, 8 for Grade 6, 29 for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43 for the second year, 22 for the third year, 29 for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and 7 for the second year.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pedagogical implications, focusing on practical applications such as refining assessment tools, more precisely defining curricular objectives, and developing grade-specific instructional materials.
        6,600원
        4.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focuses on the lesson topics in two business Chinese textbooks, Delicious Business Chinese and New Silk Road: Elementary Business Chinese Fast Track (China), aiming to explore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opic selection, content organization, and cultural integration. First, an in-depth analysis of the lesson themes in both textbooks is conducted, examining how they present business scenarios, negotiation strategies, and cultural exchanges. Secon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study reveals that the Korean edition emphasizes integration with Korean corporate culture and workplace etiquette,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practical needs and cultural background of Korean learners. In contrast, the Chinese edition highligh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market and business operation processes. Furthermore, the paper investigates how these differences in topics influence learners’ cross-cultural business communication.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the paper offers recommendations on how to balance the localization needs of learners in developing business Chinese textbooks, providing a reference for future textbook compilation and optimization.
        5,700원
        5.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새로 도입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중국어 기본어휘 865개 항목이 고 등학교 ‘중국어’ 과목 교과서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기본어휘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별 기본어휘 비율, 범위 초과 어휘, 공통 어휘와 미수록 어휘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을 진행 하였다. 각 교과서 어휘 색인의 목록 어휘 비율은 58.8%에서 77.4%까지 다양하였으 나, ‘일러두기’에 따라 기본어휘로 인정되는 낱말들까지 포함하면 모두 80% 이상이었 다. 4종 이상의 교과서에 공통으로 쓰인 범위 초과 어휘는 49개였는데, 대부분은 기 본어휘로 간주되는 경우였다. 7종 교과서에 공통으로 쓰인 낱말은 108개였는데, 이 가운데 1, 2급 어휘가 91.7%로 비중이 매우 높았다. 한편 미수록 어휘는 332개였으 며, 그중 1급 어휘는 55개로 많지 않았다. 기본어휘 활용의 효율성 제고와 학생들의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해 목록 어휘 활용에 관한 공통 지침의 강화가 요구된다.
        5,400원
        6.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판된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8종에 수록된 굿거리장단의 강세 표기 방식을 분석하 고, 이를 전통 악보 및 명인 연주 음원과 비교하여 차이점을 도출하며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교과서에서는 굿거리장단을 A, B, C 유형으로 구 분하며, 각 유형별 강세 표기 방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특히, 교과서의 강세 표기는 전통 악보의 강세 구조를 충 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전통 악보에서는 '대삼소삼 (大三小三)'의 음양 구조를 반영하여 제1박과 제3박에 서로 다 른 강세를 부여하는데, 교과서에서는 이 강세 구분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아 학생들이 장단의 리듬적 본질을 이해하는 데 어 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명인들의 연주 분석 결과, 전통적 인 강세 구조가 충실히 반영되어 있으며, ‘대삼’과 ‘소삼’의 강약 구분이 명확하게 드러났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음악 교과 서의 강세 표기를 전통적 강세 구조에 맞게 개선할 필요가 있 으며, 특히 B 유형(다는 장단)과 C 유형(맺는 장단)의 강세 표 기 방식을 조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장단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실기 중심의 교수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장구 연주 및 구음 학습을 포함한 체험적 학습을 활성화하고, 전통 음악 연주 영상 및 음원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자연 스럽게 장단의 강세를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음악교육에서 전통 장단의 강세를 보다 정확히 지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전통 음악 교육 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6,400원
        7.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디지털 교육 환경의 확산과 함께 ADHD(주의력 결핍·과잉행 동 장애) 아동을 위한 맞춤형 자기주도적 학습 지원의 중요성 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디지털 교과서는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한 색채 시스템을 설 계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ADHD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시각적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점에 주목하 여, 디지털 교과서의 색채 시스템이 시각적 주의 집중과 학업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 해 아이트래킹(Eye-tracking) 기술을 활용하여 ADHD 아동의 시각적 주의 패턴과 고정 시간을 측정하고 맞춤형 색채 시스템 이 적용된 디지털교과서가 학습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 가하였다. 연구 대상은 ADHD 진단을 받은 초등학교 3학년으 로, 2024년 3월에 2차례에 걸쳐 선행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은 영어 교과목 단원으로 실험을 진행되었다. 연구 설계를 위해 ADHD 유형별 시각적 주의의 차이를 정밀하게 규명하고, 맞춤 형 색채 조정 기능이 적용된 조작형(B) 표본을 설계하여 원본 형(A)과 비교 검증하였다. 아이트래킹과 심층 인터뷰 결과, 학 습자의 선호도를 반영한 조작형(B) 색채 시스템이 원본형(A)보 다 주요 텍스트 영역에서의 응시 지속 시간이 유의미하게 증가 하였으며, 과제 수행 시간 단축 및 학업 수행도 향상이 확인되 었다. 본 연구 결과는 ADHD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디지털 학 습 환경 설계에 기여할 수 있으며, 향후 개인 맞춤형 학습 콘 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7,000원
        8.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시사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시사 한국어 교재 개발 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교재 선정, 교수학습의 측면을 고려한 시사 교재의 내외적 분석 기 준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외적인 면에서 교재의 내구성이 좋고, 사용자 의 편의성이 뛰어난 교재와 그렇지 않은 교재가 있었으며, 자료의 실제 성 면에서 부족한 교재도 많았다. 내적인 면에서는 사용 지침이 불분명 고 읽기 중심이 대부분이었다. 일부 어휘와 번역을 제공한 경우가 있었 고 문법은 제공되지 않았으며, 학습 활동에서는 교재마다 차이가 많았고, 자기주도적 학습 교재가 드물었다. 따라서 시사 한국어 교재는 교수자 중심과 읽기 중심에서 벗어나야 하며, 학습자 수준 및 시의성과 실제성 을 고려한 교재가 필요하다. 또 학습자 요구조사를 고려한 시사 주제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학습 후 활동 문제의 체계성을 갖춘 교재, 새로운 교 수법을 고려한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다만 분량상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상기 분석 교재들의 보다 구체적인 내용상 분석과 특징은 향후 연구로 계속하겠다.
        5,800원
        9.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독일 역사 교과서의 동아시아사 서술 특징은 유럽 이외의 역사를 ‘제 국’라는 틀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성과 다문화를 강조한다. 또한, 유럽의 우월성을 은연중에 드러낸다. 독일 역사 교과서의 문제점은 동아 시아라는 개념을 사용하지만, 동아시아를 ‘낯선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으 며, 한국과 일본은 중국을 다루면서 간략하게 부수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는 것이다. 그리고 중국을 ‘경계하는’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다. 무엇보다 지나치게 현대사를 강조하는 시대별 서술 비중의 편중성도 드러난다. 독 일 역사 교과서에 드러난 동아시아 중국 서술의 주요 관점은 ‘비민주성’, ‘위험성’, ‘오만함’, ‘피해자 프레임’, ‘중국의 성장 원인 찾기’ 등이다. 여 전히 동아시아의 지역적 범위나 동아시아를 묶는 어떤 사상이나 공통된 속성, 상징은 합의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독일이라는 외부의 시선을 통해 내부에서는 인식하지 못했던 동아시아의 모습을 찾아내는 데 도움 이 될 것이다. 독일이라는 동아시아 외부의 시선을 동아시아 내부의 시 선과 비교하고 우리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5,800원
        10.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통·번역 교재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중국에서의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에 도움이 되는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중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한 국어 번역 교재로 평가되는 ‘신경전 한국어 번역 시리즈’ 교재를 분석 대 상 교재로 선정하였으며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교재 분석 틀을 설정하였 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통·번역 교재 개발 시 실제적이고 다양한 주제 의 텍스트, 통·번역 이론, 풍부한 문화 내용, 체계적으로 설계된 연습 문 제, 참고 답안, 평가 및 피드백 등을 포함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이는 통·번역 교재 개발에 있어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학습자와 교사 가 교재를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5,800원
        1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중국 초등학교 語文 교과서의 직유 표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語文 은 중국의 문화, 역사 등을 이해하는 기본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내용을 간추리면 첫 째, 직유 표현의 연결어의 빈도수를 알아보았다. ‘像’이 가장 많고, 학년별로 꾸준히 교재에 등장하였다. 이어서 ‘好像’, ‘像∼一樣’, ‘如’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각 분류 에서 시각적 표현이 가장 많고, 청각적 표현이 그 다음이었다. 시각적 표현은 색깔, 모양, 크기, 양이 중심이었고, 청각적 표현은 자연의 소리가 중심이었다. 셋째, 추상 성에 따르면, 구체적 사물을 구체적 사물로 비유하는 것이 가장 많았고, 추상적인 것 을 추상적인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었다. 넷째, 문화적 특징에서 살펴본 9개의 표현은 모두 시각적이었다. 그리고 직유 표현의 비유 대상을 기준으로 할 때 특징은 ‘별’, ‘바다’, ‘거위’, ‘비취’, ‘기둥’, ‘비단’ 등이다. 語文의 직유 표현은 비유 대상 기 준으로 인류의 보편적인 사고와 중국 고유의 문화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6,100원
        1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a long time, the teaching concept of “monism” has made the field of international Chinese teaching focus on “words”, not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that are difficult to teach and learn have not been effectively improved. In 2021, the introduction of the “Chinese Proficiency Grading Standards for Internation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set a new direction for international Chinese education, and the practice of listing a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 list separately for the first time also reflects the importance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 Long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Grading Standards”, a small number of international comprehensive Chinese textbooks had compiled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 lists, but there were many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Grading Standards”. This kind of Chinese characters or have a large number of strokes, or the shapes of the strokes are more difficult, or the structures are more complex, or the ability to form words is weak, etc., which is exactly the opposit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ding Standard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levant analysis, it can provide practical reference for the compil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textbooks in the future.
        6,000원
        13.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재일동포 역사 교과서와 강좌제 민족대학(民族大学) 교재의 내용분석을 통해 그들의 정체성 강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 펴보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일동포 강좌제(在日 同胞講座制) 민족대학 교재는 1990년대 초반 일본 출생 재일동포 3세들 이 재일동포 사회에 증가하면서 민족에 대한 기초지식과 모국에 대한 이 해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재일동포가 차세대와 일본인과 의 소통의 폭을 확대하고자 제작되었다. 둘째, 재일동포 역사 교과서는 2000년대 초반 재일동포 1세의 급격한 감소로 재일1세의 역사를 재일3 세~4세에게 전달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주요 내용은 해방 전후 재일동포 의 이주-정착 생활-차별철폐 운동-헤이트스피치-다문화 공생 등으로 재 일동포의 전반적인 활약상이나 모국 공헌 등으로 구성되었다. 결론적으 로 연구 결과, 재일동포 교과서와 교재는 재일동포 사회의 세대교체와 더불어 재일동포 청년 세대들에게 그들의 역사와 세대 변화에 대한 자각 을 심어 주고 오늘날까지 많은 일본학교와 민족학교에서 부교재로 활용 하거나 한국에 대한 민족적 지식 습득과 ‘재일동포 역사’ 강의 교재로 활 용하면서 그들의 정체성 함양에 크게 공헌하였다.
        5,200원
        14.
        202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and to what extent ‘critical’ global citizenship is reflected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in Korea. Framed within Freire’s concept of critical literacy, the study is concerned with analyzing the written texts in two English textbooks, with a focus on the issue of representations. Using critical content analysis, the research centers on unpacking how race, racism, or racialization, especially in the United States, is represented, and to what extent these representations may be associated wit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English language learning. The major findings indicate a notable absence of sufficient socio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of race in the United States as presented in the concerned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analysis, this paper calls for an expansion of the dimensions of critical global citizenship in English language learning settings, aiming to provide students with broader opportunities to question colonial discourse and challenge issues related to power and systemic oppression.
        7,700원
        15.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풍은 지구 시스템 내의 해양-대기-육상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매우 중요한 현상으로 특히 태풍의 특성 인자 중 하나인 풍속은 중심 기압, 이동 경로, 해수면 온도 등의 매개변수에 의해 복잡하게 변화하여 실제 관측 자료를 기반으 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중등학교 교과서에서 태풍 풍속은 본문 내용 및 삽화의 형태로 제시되고 있어 풍속에 대한 심층적 이해가 가능한 탐구활동이 무엇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학습 과 정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태풍의 풍속을 이해할 수 있도록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시각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2023년 발생한 태풍 마와르, 구촐, 볼라벤의 천리안 위성 2 A호 RGB (Red-Green-Blue) 영상 자료를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다. 태풍 주변의 구름 이동 좌표를 입력하여 태풍의 풍속을 산출하고 태풍 중심 기 압, 폭풍 반경, 최대 풍속 등의 매개 변수를 입력하여 태풍 풍속 분포를 시각화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GUI 기반 프로그램은 천리안 위성 2 A호로 관측 가능한 태풍에 대해 오류 없이 적용 가능하며 교과서의 시공 간적 한계를 벗어난 실제 관측 자료 기반의 과학탐구활동이 가능하다. 학생과 교사는 별도의 유료 프로그램 및 전문적 인 코딩 지식이 없어도 실제 관측 자료를 수집, 처리, 분석, 시각화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정보 화 사회에서의 필수 역량인 디지털 소양을 함양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400원
        16.
        202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수어 교육의 양적 확장이 이뤄졌음에도 농인들과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청인들이 증가하지 않은 이유를 한국수어 교재의 문제점들에 주목하였다. 한국수어 교재들이 언어학적인 교육과정을 담아내야 한다는 전제하에 한국수어 교재들과 미국수어 교재들을 비교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한국수어 교재의 재구조 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분석 대상은 한국수어 교재 12권과 미국수어 교재 2권이었 다. 연구 결과, 외적 구성과 교재 내적인 차원에서의 전체 구성, 학습 내용에서의 주제와 어휘 및 회화 영역에서 한국과 미국 교재들 간의 뚜렷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이에 따른 몇 가지 논의사항은 첫째, 미국수어 교재의 외적 구성은 미국농인이 익숙하며 선호하는 시각적 정보화에 충실했다는 것이다. 둘째, 한국수어 교재들은 미국수어 교재들에 비해 내적 구성에서 ‘계속성’과 ‘계열성’이 미흡하였다. 셋째, 양질의 수어교재 들이 미국에서 개발될 수 있었던 계기들로는 수십 년에 걸친 기초연구들이 뒷받침되어 있었다. 넷째, 언어 교수·학습을 위한 교재가 학습자들에게 유용하도록 짜임새 있게 구성되기 위해서는 언어이론에 근거한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의 제언으로는 첫째, 현재 진행 중인 국립국어원에서 발주하여 전문 연구진에 의해 연구되고 있는 한국수어능력 등급별 평가기준 마련, 한국수어교원 2급 교육과정 개선, 한국수어교원 1급 교육과정 개발 등이 최대한 빨리 이뤄져야 한다. 둘째, 미국수어 교재에서 적용하는 농인 친화적인 외적 구성 형태를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 셋째, 학습 주제, 학습 어휘 및 회화 등 실제 학습 내용을 구성하게끔 하는 한국수어 교육과정의 이론과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넷째, 기존 교재들의 재구조화와 그에 따른 향후 신규 개발된 한국수어 교재들을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지침과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8,400원
        17.
        202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ocial construction and continual (re)production of the cultural Other through educational materials, focusing on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welv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from four publis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a focus on how they (mis)represent cultures and practices of minority groups. Utilizing critical content analysis to examine both visual and written texts in the textbooks, this research uncovers recurring patterns of exoticizing and commodifying Hawai’ian culture, homogenizing African culture, and romanticizing Indigenous peoples. The findings contribute significantly to our understanding of how cultural representations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textbooks shape perceptions and influence societal dynamics. They also illuminate how these representations reflect and perpetuate Eurocentric colonialist discourse. Moreover, the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equipping educators, especially English teachers, with critical literacy. This empowers them to identify hidden power relations that reinforce stereotypes, and actively engage in the construction of a more inclusive and equitable society.
        6,700원
        18.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말·민국 시기 중국 지리교과서는 한국 관련 서술이 풍부하여 당시 중국인들이 한국을 어떻게 인식했는지 연구하는 데 유용한 공적 자료이 다. 한·중 양국은 수천 년 동안 정치, 경제, 문화 등 많은 방면에서 교류 했으며, 19세기 말 이전까지 한국은 중국 주도 하의 중화질서에서 가장 중요한 일원으로서 중국의 전통 지리 문헌에서 항상 ‘소중화’와 ‘예의지 방’으로 높은 명성을 누렸다. 그러나 20세기 들어 중국 지리교과서 속 한국의 이미지는 이전과는 확연히 달라졌다. 본 논문은 청말·민국 시기 중국의 교육 근대화 이후 편찬된 일련의 신식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의 개화기 및 일제강점기 관련 서술과 인식을 비교연구로 하였다. 19세 기 말 이후 한·중 양국 관계는 불평등에서 평등으로, 상하급에서 동반자 로 전환되었고 이에 따라 청말·민국시기 중국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의 이미지도 대체로 ‘소중화’에서 ‘후진국’으로, 그리고 다시 ‘동반자’로 바뀌는 과정을 거쳤다. 중국 지리교과서 속 한국의 이미지는 시기별로 중국이 직면한 여러 가지 현실적인 곤경에 영향을 받아 변화해 왔다. 대 중의 지리 지식과 타국 인식을 양성하는 주요 매체인 지리교과서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당시 중국 정부와 교과서 편찬자가 자라나는 후속세대에게 한국을 어떻게 인식시키려고 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견문록, 신문 잡지 등 사적 자료를 연구 내용으로 한 기존의 선행 연구와 상호 검증과 보완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5,500원
        19.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브라질 공교육에서 사용되는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한국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올바르게 정보가 전달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이에 따라 브라질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서 한국에 대해 언 급하고 있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5년에서 2021년 사이에 발간된 브라질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의 역사·지리 교과서 45권을 대상으로 정량적·내용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정치, 경제, 사회·문화, 역사, 환경 및 지리의 다섯 가지 주요 분야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 중 특히 역사 및 사회·문화 분야에서 한국에 대한 잘못된 정보가 다수 발견되었다. 이러한 정보의 오류는 청소년기에 학습되어 성인기까지 지속적 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는 한국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의 왜곡으로 이어 질 위험이 크다. 따라서 교과서 속의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는 것은 단순한 교육적 필요를 넘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2000년대 이후 브라질 사회는 한류 열풍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는 한 국에 대한 관심과 호감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 국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정확하게 교정하는 작업은 단순히 오류를 수정하 는 것을 넘어서 한국과 브라질 간의 양자 관계를 강화하고 한국의 글로벌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크게 기여함과 동시에 한국과 브라질 양국의 문화적 이해와 상호 작용의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700원
        20.
        202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2015 개정 고등학교 사회과 통합사회에서 금융과 관련된 영역을 분석하여 금융 교육의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하는 논문이다. 이를 위해 통합사회 교과서 금융 영역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 상품의 특성을 다루는 부분에서 주식, 채권과 같은 상품들을 수익성과 안전성이 고정된 금융 상품으로 제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예금의 경우 수익성과 안전성이 일정 부분 정해져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주식과 같은 경우 경제 환경이나 개인의 정보 획득 노력, 종목 배분 등에 따라 수익성과 안전성이 스펙트럼이 넓게 분포되어 있다. 둘째, 자산 관리의 원칙에 대한 탐구활동이 현실과 괴리를 보이는 부분이 있었다. 예금, 주식, 채권에 분산 투 자하는 것을 합리적 자산 관리의 원칙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단순히 세 가지 금융 자산을 배분하는 것만으로는 현실에서 목표로 하는 자산을 형성하기는 어렵다. 현실성 있는 금융 교육을 위해서는 주식, 채권 등의 금융 상품을 투자할 때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 지, 그리고 그러한 노력이 수익성과 안전성을 어떻게 조정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현실을 잘 반영할 수 있는 탐구활동이 구성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4,8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