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1.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하나님은 모든 인간이 구원받기를 원하신다. 그러나 모든 인간이 구원을 받지는 못한다. 왜냐하면, 성령은 인간이 그리스도 안에 있을 때, 회복과 갱신을 통한 구원의 효력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믿음의 행위는 고백이나 열정, 그리고 감성의 산물로 이해될 수 없으며, 누구든지 하나님과 사귐이 있다면 반드시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을 통하여 나타난다. 하나님과 인간의 사귐이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을 통하여 나타난다는 것은 성령을 기능적으로 이해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하나님의 영적 존재를 부각하는 선교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을 통한 이론은 영이신 하나님이 인간 에너지의 원천이라는 사실을 확고하게 한다. 그러므로 거듭난 인간은 하나님의 의지에 따라 창조목적 안에서 샬롬을 실천하는 능력을 행사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성령은 인간이 그리스도 안에서 지혜를 얻으며, 사랑 안에 서 연약한 자들과 함께하고 모든 사람들과 화목하게 한다.
        9,800원
        2.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오페라 작곡가 이건용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한국어의 음악적 표현 을 ≪동승≫(2004)과 ≪왕자와 크리스마스≫(2010)의 몇몇 아리아 및 합창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를 행함에 있어 한국어 고유의 특징인 장단, 고저, 억양, 음절언어적 특성, 말토막 개념 및 음악 에서의 박자 악센트와 리듬 악센트 등을 활용했다. 그 결과 이건용의 오페라에서는 문장 및 말토막이 본래의 언어적인 호흡을 유지한 채 음악화 되었으며, 한국어의 장단구조, 수식구조, 단어의 높낮이, 문장의 억양 등이 다양한 박자 악센트 및 리듬 악센트와 결합하여 해당 텍스트의 음운론적인 측면을 강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건용의 오페라는 단어 및 문장에 새로운 장단이나 악센트 등을 부여하기도 하였다. 이 경우 해당 선율들은 ‘방언’을 구사하거나 특정 인물의 성격을 구체화하는 것으로 다가왔다. 이외에 도 한국어의 음절언어적 특성을 드러내듯 음악의 흐름 안에 또렷하게 인지되는 고른 텍스트의 분 포가 존재했다. 그리고 이런 성부를 토대로 하는 대위법적인 짜임새의 표현성이 두드러졌다. 화성적으로 반음계 섹션을 등장시킴으로써 해당 구간에서 발화되는 텍스트를 독특한 방식으로 청취되도록 하거나, 실제 언어 수행 시 나타나는 상호작용적인 담화방식, 감정이 섞인 말의 반복, 특정 연령 집단이 보여주는 언어적 행동 등을 오페라 안에 음악적으로 구현한 경우도 있었다. 예컨대 이건용의 오페라는 한국어를 민감하게 다루고 있으며, 한국어의 다양한 음운론적인 특 징과 담화 상의 속성 등을 음악적으로 반영함으로써 표현력을 강화한다. 따라서 이건용의 오페라 는 개인의 오페라 작법을 구축한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한국오페라’로서의 기본적인 속성을 스 스로 구체화한 것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8,300원
        4.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주명리학 이론 중에 용신이론(用神理論)은 몸의 정신에 비유할 정도로 운 명을 추론(推論)하기 위한 가장 핵심이론이다. 용신(用神)은 일간(日干)의 역량 을 저울질하여 음양의 균형을 맞추고 오행의 구성과 조화를 기준으로 구(求) 한다. 이러한 용신(用神)의 종류와 취용법은 다양하다. 대표적 사주명리서 중에서 滴天髓는 중화사상을 근본으로 억부, 통관, 조 후, 병약용신을 취용하며, 또한 강한 기세를 따르는 종화론(從化論)을 원칙으 로 취한다. 子平眞詮은 격국에서 취하는 격국용신을 쓰며 순용용신과 역용 용신을 취한다. 窮通寶鑑은 십간을 12월에 배치하여 주용신과 보좌용신을 두며, 전체적으로 조후용신을 기반으로 하지만, 오행의 기능적 용신(用神)역할 이 스며들어 있다.窮通寶鑑 <희용제요>와 본문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15개 부분 중 가을 甲木과 1월 庚金의 용신을 계절의 관점과 오행의 관점에서 체(體)와 용(用)으로 비교하고, 원문 검증하여 고정(固定)하였다. 비교 검토한 결과 窮通寶鑑은 조 후론을 기반으로 표현하지만, 철저한 오행의 상호기능적 관점이다. 계절의 관점 으로 본다면 가을의 甲木은 추수하는 계절에 결실이 목적이니 庚金을 우선한 다. 그러나 용신의 기능적 관점으로 보면 甲木을 보호하기 위하여, 먼저 丁火를 주용신으로 취하여 예리하게 제련된 庚金으로 수삭(修削)해야 한다. 窮通寶鑑의 용신(用神)은 오행의 역할에 따라 용신(用神)을 구(求)하고 그 용신(用神)은 세트로 짝을 지어 기능적 작용을 한다. 전체의 균형과 안정을 위 하여 필요한 각각의 기능을 상호의존적으로 수행하는 파슨스의 구조기능론과 부합된다. 즉, 甲木이 丁火로 인화(引火)하고, 인화(引火)된 丁火가 庚金을 제 련하고 제련된 庚金이 甲木을 벽갑(劈甲)하여 결실을 얻는다. 木生火, 火剋金, 金剋木의 생극제화 과정이다. 丁⋅庚⋅甲이 세트로 짝을 지어 임무를 수행하 는 상호기능적 관점의 용신(用神)특징을 갖고 있다.
        6,600원
        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金庸 무협소설에 묘사된 시대 배경은 민족 간의 분쟁이 첨예하게 나타나던 시기로 설정되었고, 그 민족 분쟁을 해결하는 사명을 띤 민족 영웅들이 묘사되고 있다. 그 가운데는 자민족의 이익을 위해 강호를 행보했던 인물이 있는가 하면, 자신의 부귀 영화를 위해 민족을 저버리는 인물도 있다. 그리고 묘사된 여성들은 남성과 함께 민 족 간의 분쟁에 참여하지만 때로는 사랑을 위해 자신의 부귀와 명예는 물론 민족과 국가까지 포기하기도 하였다. 金庸은 또 민족 집단과 지도자의 비교 묘사를 통해 민 족관을 표현하기도 하였는데, 이를 한족의 우월성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 지 않았고, 도리어 상당한 부분에서 소수민족 집단과 지도자의 도덕성과 용맹함을 부각하여 상대적으로 한족 집단의 무능과 부패를 묘사하기도 하였다. 金庸의 무협소 설에서 묘사된 민족관은 창작시기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데, 초기의 작품에서는 한족을 중심으로 한 민족관을 보이며, 이후 민족 간에 발생하는 폭정과 전쟁에 반대하는 것을 표현하였고, 중후기에는 모든 민족은 평등하다는 민족관을 표현하였고, 마지막 으로 중화민족을 융합하는 민족관을 표현한 것으로 나타난다.
        5,800원
        6.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estoration model of an armillary sphere of Tongcheon-ui (Pan-celestial Armillary Sphere) by referring to the records of Damheonseo (Hong Dae-Yong Anthology) and the artifact of an armillary sphere in the Korean Christian Museum of Soongsil University. Between 1760 and 1762, Hong, Dae-Yong (1731-1783) built Tongcheon-ui, with Na, Kyung-Jeok (1690-1762) designing the basic structure and Ann, Cheo-In (1710-1787) completing the assembly. The model in this study is a spherical body with a diameter of 510 mm. Tongcheon-ui operates the armillary sphere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from the lantern clock. The armillary sphere is constructed in the fashion of a two-layer sphere: the outer one is Yukhab-ui that is fixed; and the inner one, Samsin-ui, is rotated around the polar axis. In the equatorial ring possessed by Samsin-ui, an ecliptic ring and a lunar-path ring are successively fixed and are tilted by 23.5° and 28.5° over the equatorial ring, respectively. A solar miniature attached to a 365-toothed inner gear on the ecliptic ring reproduces the annual motion of the Sun. A lunar miniature installed on a 114-toothed inner gear of the lunar-path ring can also replay the moon's orbital motion and phase change. By the set of ‘a ratchet gear, a shaft and a spur gear’ installed in the solstice-colure double- ring, the inner gears in the ecliptic ring and lunar-path ring can b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of Samsin-ui and then the solar and lunar miniatures can simulate their revolution over the period of a year and a month, respectively. In order to indicate the change of the moon phases, 27 pins were arranged in a uniform circle around the lunar-path ring, and the 29-toothed wheel is fixed under the solar miniature. At the center of the armillary sphere, an earth plate representing a world map is fixed horizontally. Tongcheon-ui is the armillary sphere clock developed by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technical level at which astronomical clocks could be produced at the time is of a high standard.
        5,100원
        7.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조선 천주교 신자들의 제사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을 진산사건을 전후해 윤지충과 정약용이 처했던 중국과 조선의 상황과 자신들의 생각을 언급한 1.2차 사료의 분석을 통해 고찰했다. 이를 통해 제사에 대한 이들의 상반된 입장은 천(天)에 대한 서로 다른 인식의 영향을 받았음을 밝히고자 했다. 즉 윤지충은 천주(天主)의 명령은 큰 부모의 명이며 동시에 교회의 명령으로 여겼기 때문에 천주교 제사 금령을 목숨을 걸고 지켰다. 한편 정약용에게 천명은 상제(上帝)의 명이었는데 상제의 명은 인간의 마음에 생기는 도덕을 행동으로 실행함 으로써 따르는 것이었고, 인간 도덕에 가장 중요한 덕목 중 하나가 죽은 부모와 천에게 제사 드리는 것이었으므로 그는 비록 공적으로 천주교를 포기하면서도 제사를 지냈다. 한국에서 제사 문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기독교인이 되는 데 커다란 걸림돌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한국개신교는 제사에 관한 태도를 정하는 데 있어서 한국 고유의 전통문화를 존중하면서도 기독교의 정체성을 잃지 않는 신학을 확립해 가는 가운데 좀 더 유연하게 접근해야 할 것이다.
        7,000원
        8.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Exercise is necessary for the health of companion dog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ight, weight, age and amount of exercise for the purpose of companion dog's health.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o small-dog owners living in Yongin city, Gyeonggi-do about their canine healthcare awareness. Design: Questionnaire design. Method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exercise amount, type of exercise, and the necessity of exercise, general health condition, and environment. A total of 139 survey results were obtained. The average value of each item was analyzed and express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The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items. Results: The weight and height were not shown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exercise in the results. The weight ha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ith “exercise time of canine per day”. The age ha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canine exercise per week” and “frequency of canine exercise per day”, while it ha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assessment of canine lack of exercise”.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in the future, various environments where dogs can exercise are believed to be necessary for the era of convergence.
        4,000원
        9.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金庸의 무협소설을 중심으로 무협소설의 주요한 구성요소인 武功의 상징적 의미와 서사에 미친 영향에 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金庸은 인물의 형상과 무공을 사용하는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전통의 詩文과 철학 사상 등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문화적 가공을 거친 무공과 초식들을 만들어 내었다. 이렇게 문화적 가공을 거친 무공과 초식은 비록 문자의 형태로 독자들에게 추상적인 형상으로 전해지고 있지만, 예술적 감흥과 여운을 남겨주고 있다. 또 金庸은 자신이 가공한 무공의 요지를 설명하며 無의 경지를 제시하였고, 수련방법에서는 깨달음의 과정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무공을 습득해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俠義精神에 근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특별한 능력을 지닌 병기와 무공비급은 대체로 소설에 묘사된 다른 병기와 무공의 능력을 월등히 초월하는 것들이기 때문에 이들이 강호에 출현하게 되면 강호에는 자연스럽게 긴장과 갈등의 국면이 형성되게 되며, 소설의 서사 역시 이들을 중심으로 진행되게 된다.
        5,500원
        10.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회가 세상 속에 있는 빈곤한 자들을 향하여 열려있고 세상의 빈곤 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질 때 세상에 복음을 전할 기회를 얻게 되는 것이다. 복민주의에 대한 선교신학의 연구는 빈곤의 고통 속에 있는 사회에 다양한 적용을 통하여 오늘날 교회가 비난 받고 있는 반사회적인 모습과 개 교회주의와 지역주의에 빠져 있는 모습을 반성하고, 비기독교 세계를 향하여 열린 시각을 갖고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가나안의 복민주의 운동은 우리나라 빈곤 극복과 국민 의식의 개혁에 영향을 주었고 지금도 세계 12개국 15곳의 농군학교를 통해서 실제적인 변화의 열매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국내와 세계 각지로부터 보고되고 있는 실증 모델이다. 그러므로 이런 복민주 의와 가나안 운동에 대한 연구는 개인의 변화는 물론 국가와 세계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는 커다란 원동력이 될 수 있으며 복음전파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수 있다.
        6,300원
        11.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江湖란 무엇인가’라는 논제를 두고 金庸의 무협소설에 묘사된 江湖를 중심으로 江湖가 지닌 상징적인 의미와 서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보았다. 山洞을 비롯한 絶壁, 幽谷 등과 같은 江湖 배경은 외부 세계로부터 격리된 은밀한 공간으로 작가는 이러한 江湖 배경을 통해 소설의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서사를 보다 생동적으로 운용하였다. 이들 江湖 배경은 무공 연마의 장소로 제공되기도 하며, 보물이 감추어진 장소, 은둔의 공간 등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며 묘사되었다. 모두 서사의 진행에 긴장감을 고조 시키기 위한 작가의 인위적인 설정이라 볼 수 있는 이러한 공간들이 소설에 출현하게 되면 대부분 서사가 종결되고 단절되는 것이 아니었고, 독자들 또한 이러한 江湖 배경을 접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새로운 상황의 변화까지 기대하게 된다. 또 주로 名山에 위치한 俠의 주요 생활공간인 江湖의 각종 門派는 각기 正과 邪로 진영을 나누어 二元對立하는 江湖의 갈등구조를 형성하였고, 金庸은 이러한 문파의 대립과정을 통해 江湖에서의 일반화된 善惡觀에 의문을 제기하며 소설의 주제의식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江湖 문파의 門規는 현실사회의 도덕 규범이나 법률과 같이 구속력을 지닌 것으로 작가는 이들 문파의 門規를 통해 江湖 세계의 질서의식을 표현하였다.
        5,800원
        1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말라르메와 김구용의 ‘반수신’에 나타난 위선에 관한 비교 연구— 칸트의 윤리학의 관점을 중심으로」의 목적은 말라르메와 김구용의 반수신을 칸트의 윤리학의 관점에서 비교연구 함으로써 인간의 위선에 대한 두 태도를 밝히는 것이다. II장에서는 말라르메와 김구용의 반수신의 공통점이 논의되었다. 첫째 공통점은 반수신이 동물성의 우위로서 반인반수의 신으로 그려진다는 점이다. 둘째 공통점은 반수신이 이성으로부터 도피하여 본능의 지배를 받고자 하는, 동물적 존재자의 상징이라는 점이다. III장에서는 말라르메와 김구용의 반수 신의 차이점이 논의되었다. 첫째 차이점은 말라르메의 반수신은 사랑의 화신으로 나타나는 반면, 김구용의 반수신은 증오의 화신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둘째 차이점은 말라르메의 반수신이 영육(靈肉)의 모순이라는 주제에서 탄생했다면, 김구용의 반수신은 전쟁과 평화의 모순이란 주제에서 탄생했다는 점이다. IV장에서는 결론적으로 두 시인에게서 ‘반수신’이란 존재의 상징이 위선의 가면이 벗겨진 인간의 모습에 대한 폭로로서 오늘날 우리에게도 인간의 이중성에 대한 윤리적 성찰을 요구함을 제시하였다.
        9,300원
        1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aims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by exploring ITS technology-based reduction measures to manage vehicles on the road, which are the main cause of traffic noise, while identifying the effects of traffic noise and various noise reduction measures. METHOD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identified the matters discussed mainly by reviewing the pre-examination and related statutes of traffic noise management measures at home and abroad. Furthermore, in the field investigation section, the variables affecting traffic noise (traffic volume, large vehicle mix rate, and driving speed) were investigated and the noise impact was analyzed using the three-dimensional (3D) noise prediction model (SounpdPLAN). RESULTS: The noise impact levels of the 3D noise prediction model were identified from various angles, such as horizontal and vertical, and traffic noise management measures for pre-real-time management and related DB utilization measures were proposed. CONCLUSIONS: Unlike the existing traffic noise management measures, which focus on follow-up management measures, it is believed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standards and related guidelines that meet regional characteristics by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noise and creating concrete and drawing action plans that can be used in future policies using ITS technology.
        4,200원
        1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용아’는 목이버섯 국내 수집 자원인 JNM21008과 JNM21013의 단포자 교배를 통해 2014년 전남농업기술 원에서 육성한 품종이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자실체 특성 및 생산력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2014년 갓 모양은 파도형으로 진한 흑갈색이며 연락맥은 갈회색을 띤 흑목이버섯을 최종 선발하였으며 2015년 품종보호출원, 2018년 품종보호등록하였다(제169호). ‘용아’의 재배적 특성과 수량성은 다음과 같다. 배양기간은 대조품종보다 더 빠르며 초발이 소요일수 또한 10일로 대조품종보다 5일 정도 빨랐다. 톱밥 봉지재배 시 자실체 특성으로 갓색은 대조품종보다 더 진한 흑갈색이었으며 유효경수는 13개/0.9 kg로 많았고 갓 장경 9.7 cm, 단경 5.6 cm로 갓 크기는 큰 경향이었다. 배양기간은 20℃에서 약 40일이며 발이 및 생육기간은 24일로 기존 품종보다 더 짧은 편이며 수량은 0.9 kg 봉당 291 g이었다. 교배모본과 대치선이 형성되었으며 모균주와 구별성을 보였다.
        4,000원
        15.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auricular-judae cultivars, ‘Yong-a’ was cultivated in JARES on 2015. Ear mushroom have been consumed the form of dried mushrooms imported from china, but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domestic ear mushroom have been increasing recently. However, how the different drying methods affect the quality of domestic varieties is not clear. Therefore, we examined the effects of drying method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dried ear mushrooms using domestic cultivar, ‘Yong-a’. Ear mushroom samples were dried using sun-drying and hot air drying(50, 60°C) and combined of two methods(hot air drying at 50, 60°C after 3,6 and 9 hours sun drying) and drying time, rehydration ratio, color and hardness, vitamin D2 contents were evaluated. Drying time was the fastest at 60°C hot air drying(11.5h) and the slowest at 50°C hot air drying(16h) and drying time was shorter as the sun drying time was longer. The rehydration ratio was the highest at 60°C hot air drying(18.6%) and increased as the drying time decreased. After drying and rehydration, the colo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rying methods. The hardness of rehydrated mushroom was highest at sun drying and 60°C hot air drying. The contents of ergostero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rying methods. However, vitamin D2 was lowest at 50 °C and 60°C hot air drying (4.22mg%, 3.87mg%) and highest at sun drying and 50°C hot air drying after 6 hours sun drying (12.52mg%, 12.99mg%). vitamin D2 contents was higher at 50°C hot air drying than 60°C.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lor, hardness, vitamin D2 contents of dried ear mushroom, sun drying is the best method. When the sun drying is not possible, hot air drying at 60°C is suitable, but it is better to use sun drying method to increase the vitamin D2 contents.
        16.
        201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茶山 丁若鏞(1762~1836)이 살았던 19세기 초 조선후기 사회는 깊게 병들어 있었다. 이 시기에 다산은 경상도 장기와 전라도 강진에서 18년 동안 유배되어 있 었다. 그러나 그는 세상을 구제하고 백성을 살려 낼 방안을 찾기 위해 힘을 다하 였다. 특히 다산은 당시 사회에 만연된 잘못된 학문풍토와 아동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고, 그것을 통해 대중의 의식을 개조하고 참된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다산의 아동교육 개선에 대해 총체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먼저 다산의 아동교육 개선의 발단과 전개과정에 대해 논의한 다음, 개선의 이유 와 목표에 대해 조명하였다. 이어서 조선후기 아동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다산의 비판과 다산 아동교육방법론의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다산 아동교육방법론의 특징에 대해서는 다산의 아동교육 관련 저술을 인 성교육․문자교육․지식확충․언어교육의 네 분야로 나누고 각 분야의 특징을 찾 아 다산의 아동교육방법론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즉 인성교육 분야에서는 ‘文心을 키워주고 慧竇를 열어주는 교육방법’을, 문자교육 분야에서는 ‘觸類旁通의 교육방 법과 字書를 통한 개별 字義 교육방법’을 지식확충 분야에서는 ‘一以貫之를 위한 一以串之식 교육방법’을, 언어교육 분야에서는 ‘改非矯俗식 교육방법’을 특징으로 잡았다. 그리고 맺음말에서는 다산의 아동교육 개선의 의의에 대해 언급하였다.
        8,600원
        17.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lifetime and educational thought of Dasan Jeong Yak-Yong and to find the significance of meeting and Dasan's educational spirit. Dasan was born on June 16, 1762 and died on February 22, 1836. In general, his lifetime is divided into four periods : ①learning stage(1-28age), ②public service stage(28-39age), ③exile stage(40-57age), ④emancipation stage(57-75age). He systematize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practical science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 ideal image of a man to Dasan is a shepherd, who not only keeps his duties of magistrate but also is well qualified as a governor with learning and virtue, and as a teacher to lead people. Therefore, a shepherd is a practician having the whole personality of self-control first and then govern others. The spirit of governor based on practice of the self-control first and then govern others should not be looked down on as the old, and its spirit and lesson should not be overlooked in modern education. Dasan emphasized here and now and service to humanity. His aim was to educate a person to be a good father, mother, son, daughter, friend, and citizen. He believed that every person should strive for the continual development of self until excellence is achieved. The seven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Dasan executed are as follows : ①step by step, ② major, ③fitting, ④practice, ⑤discussion, ⑥collaboration, and ⑦creative activity. It is sincerely hoped that this study on Dasan's Educational Thought will be contributed as a stepping stone of some help to those scholars and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new teacher-education of the 21st century.
        8,000원
        18.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용인 지역의 구비문학 자료는 개별 연구자들과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나 용인문화원 같은 정부 혹은 민간 기관·단체의 집중적 채록과 보고를 통하여 그 실상이 어느 정도는 드러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료의 채록과 정리를 위해 기울여온 노력에 비할 때, 용인 지역의 구비문학, 특히 구전설화에 대한 연구는 영성하기 짝이 없다. 기존 연구는 대부분 채록 자료의 개관 내지 소개에 머물고 있어, 용인 지역의 설화가 갖는 전반적 특징이나 독자적 면모를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본고는 韓國精神文化硏究院에서 펴낸『韓國口碑文學大系』 1-9 龍仁篇과 『韓國口碑文學大 系別冊附錄Ⅰ 韓國說話類型分類集』을 기본 자료로 활용하여 용인 지역 구전설화의 특징을 개괄적으로 파악하고, 그 의미에 대한 관견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구비문학대계』 1-9 용인편에 수록된 82편을 대상으로 한 유형 분류 결과, 용인 지역에서는 <4 바르고 그르기> 유형의 설화가 가장 많이 채록되었으며, <2 알고 모르기>, <3 속이고 속기>, <7 잘되고 못되기>, <6 오고 가기> 유형이 그 다음으로 많이 채록되었다. <5 움직이고 멈추기>나 <1 이기고 지기> 유형은 상대적으로 많이 채록되지 않았고, 형식담에 해당하는 <8 잇고 자르기>는 채록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을 근거로 할 때, 용인은 첫째 긍정적인 현실 인식과 수준 높은 윤리 의식을 지닌 고장이라는 사실, 둘째 용인은 변혁과 혁신을 꾀하기보다는 안정과 점진적 발전을 추구하는 보수적 성향의 고장이라는 사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인의 설화 전승집단은 민중의 잠재적 역량에 대하여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용인에서는 신화적 이야기보다 현실적 이야기들이 널리 전승되고 있고, 둔갑해서 가족 노릇하는 짐승 물리치기(유형 ‘631’) 설화인 <여우 누이동생> 및 <옹고집전> 유형의 전국적인 분포를 고려할 때, 용인은 경기도의 여타 지역과는 다른 독자적인 특성을 보인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이밖에도 용인에는 지명 전설이 널리 전승되고 있다는 점, 그러나 풍수설화나 명당설화는 기대만큼 많이 전승되고 있지는 않다는 사실도 밝혀낼 수 있었다.
        6,100원
        19.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17세기 중반 소중화의식과 攘夷의 의지를 지니고서 6차 사행의 종사관으로 도일한 南龍翼이 일본을 바라본 시선을 「富士山歌」를 통해 살핀 것이다. 이 작품을 대상으로 한 이유는 이전의 부사산시에서 형상화된 거의 모든 심상들이 한 곳에 집약되어 있고, 그가 인식한 일본을 부사산이란 글감 속에 솔직하게 드러내어 문학적 투영 양상을 엿볼 수 있어서다. 그는 산의 위치, 외형, 정상의 눈, 魁踞를 큰 축으로 삼아 네 개의 단락으로 나누어 논지를 전개하였다. 산의 위치에서는 서북보다 낮은 동남의 지형을 보충하려고 上帝가 부사산을 일본에 있게 하였다고 하였는데 이는 부사산을 서북에 종속시킴으로써 일본을 조선의 조력자나 교화의 대상으로 되게 하는 효과를 낸다. 일본이 武를 숭상하는 데 착안하여 시루 모양에 선계적 면모를 띤 산의 외형에서 ‘雄壯’을 읽어내었다. 부사산에 호의적 시선을 보이던 그가 정상의 눈을 대상으로 하자, 부정적 인식을 숨기지 않았다. 한랭한 눈 때문에 수목이 자라지 못하는 것은 산의 부덕으로 인해 인재를 배출할 수 없다는 생각으로 이어졌고, 더구나 따스한 햇살에도 녹지 않는 눈이 마치 교화를 거부하는 夷狄의 교만함으로 비추어졌다. 눈에 기인한 부정적 인식은 산의 魁踞함으로부터 교화에 아랑곳 않고 멋대로 천자라 일컬은 尉佗의 僭濫함을 느낀 데서 극에 달한다. 尉佗의 僭濫함은 중국의 연호를 사용하지 않은 채 독자의 연호를 쓰고 천황의 존재를 둔 일본의 정치제도를 문제시하여 쓴 표현일 것이다. 부사산의 외형에서 선계로 보는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위치, 정상의 눈, 魁踞를 통해 부사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감추지 않았는데, 이를 통해 그가 일본의 문화 속에서 읽어낸 이적의 면모를 세밀하게 들춰내는 대신 부사산이라는 상징물 속에 문학적으로 형상해 내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이 그가 부사산에다 부정적인 인식을 투사한 이면에는 소중화의식에 근저한 양이 의지가 자리하고 있었다. 이 작품이 일본 문사에게 주려고 지은 것이 아니라 부사산을 본 후 일본을 바라보는 자신의 생각을 기록한 것이니만큼 일본 문사를 의식할 필요가 없었기에 솔직할 수 있었다. 그가 부사산의 선계적 면모를 인정한 반면, 속으로는 부사산을 부정적으로 인식한다는 사실을 진솔하게 드러낸 것은 교린과 조선의 자존이라는 두 개의 가치 중에 조선의 자존을 발현하는 쪽으로 의식이 기울었기 때문으로 보아야 한다. 부사산의 아름다움을 있는 그대로 보지 않고 이전에 한 일본의 행태에 의해 부사산을 부정적으로 도색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혈기 왕성한 28세의 젊은이가 지었기에 그 정도가 심하였기는 하나 이것 역시 17세기 중반 조선 문사들의 부사산 인식의 일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겠다.
        8,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