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1.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산 표고의 식품성분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판되고 있는 표고 5종을 경남 진주, 전남 광양 및 순천 지역의 농산물 시장 또는 대형 마트에서 구입하여 분석하였다. 수분 함량은 79.17~82.90 g/100 g으로 시료 간의 차이가 적었으나, 조단백질 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무기질 총량은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칼륨(K)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총 아미노산 및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표고 “A”에서 월등히 높았으나, 총 아미노산에서 필수아미노산 및 aspartic acid 와 glutamic acid의 함량 비율은 시료 간에 비슷한 수준이었다. β-Glucan 함량은 10.28~15.68 g/100 g으로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시판 표고의 색도와 전반적인 조직감에서는 시료 간의 두드러진 차이가 없었다. 총 페놀 함량은 19.92~30.77 mg/100 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6.95~10.39 mg/100 g이었으며, 총 페놀 함량에 대한 플라 보노이드 함량의 비율은 31.53~38.21%였다. DPPH 라디 칼소거활성은 74.92~79.04%,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80.47~84.97%로 시료 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환원력은 195.23~317.85 μM로 시료 간의 유의차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공시한 표고 5종의 식품성분이나 항산화 활성에서 두드러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4,000원
        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사과 과육과 사과 주스제조시의 부산물인 사과박 그리고 사과 껍질을 건조한 후 용매별로 추출하고, polyphenol 화합물, flavonoid, ascorbic acid 및 ursolic acid 등의 항산화 물질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최적의 용매 및 부위를 선정하고 제품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100%의 ethanol로 추출하였을 때 가장 함량이 높았고, 특히 사과 껍질에서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lavonoid 화합물의 함량은 사과 껍질에서가 과육 또는 사과박에 비해 약 3~8배가량 그 함량이 높았으며, 70% ethanol을 용매로 하였을 때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Ascorbic acid 함량은 사과 껍질에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사과박, 과육의 순이었다. Ascorbic acid의 추출 용매로는 물보다는 70% ethanol로 추출하였을 때가 ascorbic acid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Ursolic acid의 함량에서는 사과 과육에서는 물과 ethanol 추출 시 ursolic acid 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사과박 및 사과 껍질의 경우, 물 추출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ethanol로 추출하였을 때 검출되었으며, 그 함량은 껍질에서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산화 활성의 경우,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 70%의 ethanol 추출 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금속이온 제거능에서는 라디칼 소거능에 비하여 약한 활성을 나타내어 사과에서의 항산화 활성은 금속이온 제거능보다는 라디칼 소거능이 높고 사과 껍질이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3.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amie (Boehmeria nivea M.) has been used for fiber materials in Korea traditionally, but in recent years, the concern with ramie leaves for the food industry such as tteok (a kind of Korean rice cake) industry has been increasing, so a study for eatable ramie is required for the expansion of ramie consumption. Moreover, the ramie varieties for the food industry are not established, so the natural species are cultivated in general;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the ramie varieties for the food industry such as rice cakes, tea, beverage and so on.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among 9 ramie lines selected in the Yeonggwang-gu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to select the eatable ramie varieties for the food industry. The contents of the protein among 9 ramie lines was 6.21~7.56% and had the highest content in the YG55. The folic acid (folate) and vitamin C content had varying differences among the 9 lines; the content of folate showed 771.52~1,978.84 μg%, that of vitamin C showed 149.42~275.34 mg%. The ACE inhibitory activity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YG88 (21.5%) among the 9 ramie varieties tested.
        4,000원
        4.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쌀밥 위주의 식사에서 곡류 또는 두류를 혼합한 잡곡밥의 섭취량이 늘고 있는 추세로 백미(대조군)와 혼합잡곡(혼합잡 곡 1), 혼합잡곡에 정미성분을 가미한 잡곡(혼합잡곡 2)을 제 조하고,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갖는 성분들의 함량 변화와 기 호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Ascorbic acid의 함량에서는 백미의 경우, 6.68 mg%, 혼합잡곡군은 각각 18.23 및 21.84 mg%로 잡곡을 혼합하였을 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Tocopherol류 의 함량에서는 백미는 1.26 mg%, 혼합잡곡 1군은 19.24 mg% 이었고, 혼합잡곡에 정미성분을 가미한 혼합잡곡 2군은 39.32 mg%로 가장 높은 tocopherol류의 함량을 보였다.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에서 대조군은 2.20 mg%, 혼합잡곡군은 각각 14.38 및 21.91 mg%로 혼합잡곡군이 높은 함량을 보였다. Flavonoid 화합물의 함량은 대조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혼합잡곡 1군은 42.45 mg%, 혼합잡곡 2군은 32.54 mg%로 잡 곡 혼합 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성분들은 메탄올 추출물에서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기호도에서는 맛, 향, 색 및 종합적 기호도에서는 모두 정미성분을 첨가하였던 혼합잡곡 2군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고, 잡곡밥, 백미의 순으로 백 미보다는 곡류 및 두류 및 정미성분을 혼합하는 것을 더욱 선호하였다.
        4,000원
        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itrus essential oil were extracted from citron peel of cultivated in Gohong (CCP)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method. Antioxidant activity and aroma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s extracted by the SC-CO2 method were evaluated by comparing with those extracted by organic solvent method. Fatty acid composition, DPPH scavenging,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oils obtained by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 of SC-CO2 method were investigated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mpar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lavender, eucalyptus and tea tree oils. As the results, linoleic acid was most abundantly found from CCP oil extracted by the SC-CO2 method and cis-11,144-eicosadienoic acids was second abundantly found.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DPPH was 98% when the concentration of CCP oil was 50 mg/mL. This scavenging abilit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oil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flavonoids content (84 mg/100g) of the CCP oil extracted by the SC-CO2 method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75 mg/100g) by hexane extrac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CCP oil by GC-MS, indicated that, among 66 components, the content of terpenes was 55.8% and limonene was 27.3%.
        4,200원
        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in leaf and root of Youngia sonchifolia Max. The leaf powder contained 4.3% of water, 53.9% of crude carbohydrate, 21.6% of crude protein, 3.5% of crude fat and 16.7% of crude ash. The root powder contained 4.8% of water, 65.9% of crude carbohydrate, 17.4% of crude protein, 3.2% of crude fat and 8.7% of crude ash. The major mineral elements both in leaf and root powder were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s of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higher than those of saturated fatty acids both in leaf and root powde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methanol extract in leaf were 3,922.4 mg/100 g and 1,903.2 mg/100 g respectively. In comparison,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methanol extract in root powder were 1,898.4 mg/100 g and 359.8 mg/100 g.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everal solvents extract of leaf and root powder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electron-donating ability using 1,1-diphenyl-2- picrylhydrazyl (DPPH). Of the each extracts, ethyl acetate extract of leaf and root powder showed relatively higher antioxidant activity; 94.3% in the leaf powder and 92.9% in the root powder.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also highest in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leaf (45.4%) and root powder (28.8%).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yl acetate extract of Youngia sonchifolia Max. can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s.
        4,000원
        7.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gelica gigas Nakai (AGN) is a traditional medicinal herb especially in Korea. It contains pyranocoumarins, which are major active components including decursin (D) and decursinol angelate (D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hange in active component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depending on the root diameter of AGN. Several processing steps are involved to use AGN roots as medicine. The dried AGN roots are divided into body (B), thick root (TkR), medium root (MR) and thin root (TnR) according to their diameter before cutting into medicine. The recovery rates of each root parts per 100 ㎏ were measured as 32.3±2.5, 9.0±1.0, 39.3±2.1 and 15.0±1.0%, respectively and the mean diameters were measured as 51.95±4.55, 7.05±0.89, 2.88±0.49 and 1.57±0.32 ㎜. Two index components, D and DA, were analyzed. The change of both D and DA content showed a similar tendency. Both D and DA content were increased as the root diameter decreased (higher in TnR). In addition, antioxidant activity was higher in B and TnR, and lower in TkR and MR than control. This study showed that the thinner the root diameter, the higher the D and DA content in AGN roots and that TnR has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other root parts, suggesting that the thinner root part of AGN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material.
        8.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Kenaf (Hibiscus cannabinus L.) is an annual plant of African and Indian origin. and there are a lot of flavonoids in the leaves. To determine the most suitable method for extracting of Kenaf cosmetic ingredients, the data of changes in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analyzed, based on concentration of surfactants and Extraction Methods. Methods and Results : The effect of autoclave extraction (AE) and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USE) with hydrophilic surfactant that is Brij35 diluted 15, 25 and 35 mM with water on antioxidant activity of Kenaf was investigated. The leaves of Kenaf; R from Israel were collected in 2016 and the collected leaves were dried and pulverize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 of Kenaf extracted was 47.54 ㎎/㎖ as Brij35 20 mM extract from AE after USE.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 of Kenaf was 20.01 ㎎/㎖ as Brij35 25 mM extract from AE. The Brij35 20 mM extract from AE after USE showed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that of the other treatments. Conclusion :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 extracts obtained by AE or AE after USE showed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and effective component than extracts by USE. The results of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extracts obtained by AE after USE than AE were slightly improv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extract obtained by autoclave extraction most effective for use as a cosmetic ingredient.
        12.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풍선덩굴 잎 추출물 및 그 분획물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 평가와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는 풍선덩굴 건조 잎의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을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수율은 16.4, 0.9 및 0.3%로 나타났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SC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92.5 μ g/mL)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대조군인 (+)-α -tocopherol의 FSC5은 8.9 μ g/mL이었다. Fe3+-EDTA/H2O2계를 이용한 활성산소 소거활성(총항산화능, OSC50)은 아글리콘 분획(4.2 μ g/mL)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인 L-ascorbic acid (1.5 μ g/mL)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1O2로 유도된 사람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측정에서 풍선덩굴 잎 추출물 및 분획 은 모두 농도 의존적(5.0-25.0 μ g/mL)으로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냈다. 추출물/분획물 중에서 아글리콘 분획 (τ50, 76.4 min)이 가장 큰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TLC, HPLC, LC/ESI-MS를 이용하여 풍선덩굴 잎 추출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하여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apigenin-7-O-glucuronide, apigenin-7-glucosdie 및 quercitrin hydrate 등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 들은 풍선덩굴 잎 추출물 또는 분획이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13.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o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variation of Ixeris dentata on the antioxidant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producing area. Methods and Results : The samples were extracted with 70 % EtOH and then analyzed for total flavonoid contents, polypenol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Luteinol 7-O-β-D-glucoside, an index component of the Ixeris dentata, was analyzed by HPLC. The leafs of Ixeris dentata in Jinan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polyphenols (23.91 ㎎/g), followed by Jinbu (22.63 ㎎/g) and Eumseong (21.36 ㎎/g). Flavonoid content was highest in Jinan (15.27 ㎎/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inbu (14.05 ㎎/g) and Eumseong (13.99 ㎎/g). The contents of luteinol 7-O-β-D-glucoside were confirmed in Jinan (0.68%), Jinbu (0.49%) and Eumseong (0.36%),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comparison of antioxidant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Ixeris dentata according to the different producing area, Jinan was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followed by Jinbu and Eumseong.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 of luteoline-7-D-glucoside varied among the different producing area.
        14.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o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rve as a basis for the selection of superior lines by analyzing the content of antioxidant component and antioxidant activity in Schisandra chinensis Collections Methods and Results : In order to examine antioxidant component and antioxidant activity, 154 species of Schisandra chinensis from whole country were used. Antioxidant component was investigated by total flavonoid content and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 a result, the total amounts of flavonoids was highest in SC-20 with 5.03 ㎎/g. However the content of polyphenols showed highest in SC-22 with 2.76 ㎎/g. In addition antioxidant activity results were also relatively high in SC-22. The IC50 value was 548 ㎍/㎖ in DPPH radical scavenging and 640 ㎍/㎖. in ABTS+ radical scavenging. Conclusion : As demand for high income crop has increased, new cultivar breeding is required to produce high quality Schisandra chinensis From this study, analyses of antioxidant component and antioxidant activity in collection can be used for new Schisandra chinensis breeding. Especially SC-22 can be superior lines with high antioxidant component and antioxidant activity.
        15.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Wasabi japonica Matsum leaves as naturalhealth food sourc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general and antioxidative nutrients of Wasabi japonica Mat-sum leaves were measured. The contents of carbohydrate,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are 53.41%, 25.00%, 7.95%and 13.64%. And the calories of Wasabi leaves was 385.23Kcal. Total dietary fiber was 52.27%. The K was the largestmineral followed by Ca, P, Mg which means Wasabi leaves is alkali material. The contents of sinigrin and allyisothiocyanatein the wasabi leaves were 69.2㎎/g and 241.0㎎/g, respectively. Total phenol contents of the hot water extract and the 70%ethanolic extract were 19.44±0.23 and 19.33±1.17㎎ GAE/g, respectively. The total flavonoids content of the hot waterextract and the 70% ethanol extract were 7.69±0.71 and 19.25±1.41㎎ QE/g, respectively. The general nutrients andother antioxidant bioactive materials in Wasabi japonica Matsum leaves were also potential materials for good health food.
        17.
        2011.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질경이의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질경이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생리활성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물질 함량의 분석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질경이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탄수화물 63.71%, 조단백질 18.75%, 조지방 1.67% 및 조회분 6.48%이었고, 질경이 100 g의 함유 열량은 466.71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22.
        18.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라벤더 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분석 및 tyrosinase 저해 효과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50)은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5.95 μg/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라벤더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1.45 μg/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라벤더 추출물과 발효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고, 농도 의존적(1 ~ 50 μg/mL)으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는 라벤더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과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이 각각 144.80 μg/mL, 122.40 μg/mL으로 나타났다. 라벤더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과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은 TLC에서 공통으로 3개의 띠로 분리되었으며, HPLC (340 nm)에서도 ethyl acetate 분획과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이 각각 3, 2개로 나타났다. 각각의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ethyl acetate 분획과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에서 공통적으로 rosmarinic acid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라벤더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들이 1O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하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또한 라벤더 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의 성분 및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발효 후에 차이점을 확인, 이를 통한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9.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품종 및 재배지역에 따른 생리활성성분(isoflavone, anthocyanin 및 tocopherol 함량, 항산화 활성)변이를 구명하여, 생리활성성분 고함유 품종선발과 생리활성성분 축적에 유리한 재배지역을 발굴하여 지역특화작목으로 선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립중은 품종간에는 차이 없었으나, 지역간에는 2004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나, 2005년에는 화성이나 진주보다 나주에서 현저하게 가벼웠다. 총 isoflavone 함량은 2004년에는 일품검정콩이 1,064.9ug/g 으로 청자콩의 801.3ug/g 에 비해 높았으나, 2005년에는 오히려 일품검정콩에 비해 청자콩이 높았다. 재배지역간에는 2004년에는 두 품종 모두 화성지역에서 뚜렷하게 높았으나, 2005년에는 진주지역이 화성이나 나주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총 anthocyanin 함량은 품종 간에는 일품검정콩이 7.22 mg/g으로 청자콩의 6.83 mg/g에 비해 높았으며, 재배지역간에는 진주지역에서 9.16 mg/g으로 나주, 화성지역에 비해 가장 높았다. 총 tocopherol 함량은 품종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지역 간에는 화성, 진주지역이 각각 217.2ug/g , 216.3ug/g 으로 나주지역 189.7ug/g 에 비해 높았다. tocopherol 성분비율은 ~gamma -tocopherol이 56.2~59.9% 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품종간에는 일품검정콩이 청자콩보다, 지역간에는 화성이나 진주보다 나주에서 EDA 값이 55.6%로 가장 높았다.
        20.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해당화의 총페놀화합물 함량은 줄기추출물이 평균 7.8(g/100g, D.W.)이고 뿌리추출물이 평균 10.5(g/100g, D.W.)이며, 모든 시료에서 뿌리추출물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2. K-1의 줄기와 뿌리 추출물(0.5g)에서 주성분의 하나로 추정되는 S-4(84.1mg)과 R-2(70.0mg)의 화합물을 단리했고, 그 구조를 catechin으로 결정했다. 3. UPLC 분석에 의해 줄기추출물의 탄닌함량은 평균 752.5(mg/100g, D. W.)로, gallic acid 6.3, epicatechin 61.5, catechin 684.8이고, 뿌리추출물의 탄닌함량은 줄기의 약 2배 이상 높은 1676.0(mg/100g, D.W.)으로 gallic acid 6.8, epicatechin 160.3, catechin 1508.5로 나타났다. 4. 해당화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에서 추출물의 IC50는 뿌리가 13.7μg/ml, 줄기가 14.5μg/ml으로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냈고, SOD 유사활성은 50μg/ml의 농도에서 뿌리추출물이 평균 75.1%, 줄기추출물이 71.9%로써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