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the average temperature on Earth increases due to global climate change, crops are further needed to overcome this issue. Since sweet potato has high yield potential, can grow in harsh environments, and contains abundant nutrients, it is a potential substitute food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crises. Compared to grains such as rice and barley, sweet potato has a lower glycemic load and contains various natural antioxidants, showing a variety of physiological functions. Thus, sweet potato is in the spotlight as a healthy food. Although domestic sweet potato production continued to decrease from 1990 to 2010, its production was maintained or slightly increased until 2020 due to the changes in consumers’ dietary habits that emphasize health. In this regard, steamed or roasted sweet potatoes were consumed as a snack substitute in the previous eating form. Furthermore, sweet potato starch has been used in various industries, including foo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the value of sweet potatoes as food, the production trend and cultivation method of sweet potatoes in South Korea, and the industrial application of sweet potatoes.
동물 화분매개는 대부분 벌과 파리 등의 곤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매우 중요한 생태계 서비스 중 하나이다. 농업생산성의 유지와 영양분의 안정적 공급은 인류 복지의 근간이 된다. 이 연구는 한국 농업에서 화분매개가 식량 생산 증진에 미치는 기능을 평가하였다. 2015년 농업총조사, 농촌진흥청 농업 소득자료집, 기타 시장가격 자료 등의 농작물 재배와 생산액에 대한 자료에 화분매개 의존도를 반영하였다. 12개의 식량작물, 19개 과수, 18개 노지 채소와 13개 시설 채소 그리고 9개의 특용작물 등 71개 작물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전체 작물의 화분매개 의존도는 평균 29.2%이었으며, 식량작물이 가장 낮은 7.5%로 나타났다. 화분매개 의존량은 전체 농작물의 17.8%이었으며 그 경제적 가치는 6조 8.5천억원 (65.1-71.9천억원)으로 추정되었다. 화분매개 의존 생산량은 시설 과채류에서 49.2%로 가장 높았고 과수가 42%, 특용작물이 35.9%를 차지하 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곤충 화분매개는 한국 농업 생산에서 핵심적 과정이며 식량-영양안보적 관점에서 보호증진해야 하는 과정임이 분명해졌다. 농업에서 화분매개자를 보호하고 화분매개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는 관리 전략으로 병해충-화분매개 통합관리(IPPM)개념과 추진 전략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ausality of climatic factors that affecting the yield of whole crop barley (WCB) by constructing a network within the natural ecosystem via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WCB dataset (n=316) consisted of data on the forage information and climatic information. The forage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numerous experimental reports from New Cultivars of Winter Crops (1993-2012) and included details of fresh and dry matter yield, and the year and location of cultivation. The climatic information included details of the daily mean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unshine duration from the weather information system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variables were growing days, accumulated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unshine duration in the season for the period of seeding to harvesting. The data was collected over 3 consecutive seasons—autumn, winter, and the following spring. We created a causality network depicting the effect of climatic factors on production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highlight: (i) the differences in the longitudinal effects between autumn and next spring, (ii) the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WCB production, and (iii) the indirect effects by certain factors, via two or more paths. For instance, the indirect effect of precipitation on WCB production in the following spring season via its effect on temperature was remarkable. Based on absolute values, the importance of WCB production in decreasing order was: the following spring temperature (0.45), autumn temperature (0.35), wintering (-0.16), and following spring precipitation (0.04). Therefore, we conclude that other climatic factors indirectly affect production through the final pathway, temperature and growing days in the next spring, in the climate-production network for WCB including temperature, growing days, precipitation and sunshine dur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fficiently produce forage crop seed of spring oat (Avena sativa L., cultivar High Speed) in Gyeongbuk area. Forage crop oats (130 kg/ha) were sown with a randomized block design. They were sown in triplicates in 2015 and 2016 using basal fertilizer of 70 kg N, 74 kg P, and 39 kg K/ha. Agronomic traits and seed production of oat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eeding dates (February 28/29th, March 10th, and March 20th). Heading, flowering, and maturing dates of these oats sown on February 28/29th and March 10th were almost close to each other with 1-2 days of difference for all test plots. For oats sown on the last day (28/29) of Feb., plant heights (111.6-122.6 cm)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sown in March each year. In addition, panicle number (416.7 per m2) and panicle length (17.3 cm) of oats sown on the last day of February were also significantly (p < 0.05) larger than those of oats sown in March in 2015 and 2016,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sow these oats on the last day of February to have better agronomic traits in terms of plant height, stem length, panicle length, and panicle number per m2. Grain numbers (56.3 and 63.3) and kernel weights (1.72 and 2.00 g) per spike in plots of oats sown on the last day of February were also significantly (p < 0.05) larger than those of oats in other plots in 2016 and in the average of 2015~2016, respectively. The highest grain yield (6,243 kg/ha) was obtained when oats were sown on the last day of February. Feed value of harvested oats was good in terms of proximate compositions including fiber contents and TDN contents. In conclusion, sowing on the last day of February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increase seed production of spring oats in Gyeongbuk area of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4 to May 2015 to explore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s of Italian ryegrass, Rye and whole crop barley as winter forage crop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The experimental location was over 10 points for each species and each sampling point area was 1 m² (Width: 1 m × Length: 1 m). Air mean temperature and rainfall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was 6.95 ± 5.75℃ and 70.45 ± 54.68 mm, respectively. Fresh forage yield of Italian ryegrass, the most cultivated forage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was 44.4 ± 7.0 ton/ha. The percentage of dry matter for whole crop barley was 28.9 ± 7.0%. Crude protein (CP) was higher in Italian ryegrass (10.7 ± 5.3%) while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had the highest value in whole crop barley. Crude prote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location. However, the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value of forage from Jeonbuk province were higher than in forage from Gyeongnam province.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여름철 조사료자원으로서 난지 형목초의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 저 수분 저장 조사료 생 산에 적합한 여름철 사료작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난지형 목초의 생육특성, 사초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평가하기 위 하여 충남 천안에서 2013년 5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수 행하였다. 난지형 화본과 목초인 버뮤다그라스 “Tifton 85”, “Cheyenne Ⅱ”, “Mohawk” 3품종, 테프그라스 “Tiffany”, “Emerald” 품종과 클라인그라스 “Selection 75” 품종을 매 년 5월말부터 6월 초순 사이에 파종하였다. 버뮤다그라스 와 클라인그라스의 출현 소요일은 파종 후 11~12일 정도 소요되었으며 테프그라스는 파종 후 2일정도 소요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버뮤다그라스는 시험기간 동안 전혀 출수 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테프그라스는 7월 10일경, 클라인 그라스는 7월 24일경에 출수기에 도달하였다. 난지형 목초 의 사초생산성은 버뮤다그라스 Tifton 85 품종의 건물 및 TDN 수량이 각각 13,159, 7,764 kg/ha으로 가장 높게 나타 났으며 테프그라스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NDF와 ADF 함량은 초종 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단 백질 함량은 버뮤다그라스가 평균 11.5%로 난지형 목초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가소화영양소(TDN) 함량은 테 프그라스 Tiffany 품종이 63.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in vitro 건물소화율은 초종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에서 여름철 조사료 자 원으로 난지형 목초의 재배 및 이용 가능성이 충분하였으 며, 월동이 가능한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는 영년생 방목 초지용으로 활용성이 높고, 월동이 불가능한 중북부 지역 에서는 1년생 여름철 사료작물로 이용하는 것이 우리나라 에서 난지형 목초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여름철 조사료자원으로서 난지형목초의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 저 수분 저장 조사료 생산에 적합한 여름철 사료작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난지형목초의 생육특성, 사초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충남 천안에서 2013년 5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난지형 화본과 목초인 버뮤다그라스 “Tifton 85“, “Cheyenne II“, “Mohawk“ 3품종, 테프그라스 “Tiffany“, “Emerald“ 품종과 클라인그라스 “Selection 75“ 품종을 매년 5월말부터 6월 초순 사이에 파종하였다. 버뮤다그라스와 클라인그라스의 출현 소요일은 파종 후 11~12일 정도 소요되었으며 테프그라스는 파종 후 2일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뮤다그라스는 시험기간 동안 전혀 출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테프그라스는 7월 10일경, 클라인그라스는 7월 24일경에 출수기에 도달하였다. 난지형 목초의 사초생산성은 버뮤다그라스 Tifton 85 품종의 건물 및 TDN 수량이 각각 13,159, 7,764 kg/ha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테프그라스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NDF와 ADF 함량은 초종 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단백질 함량은 버뮤다그라스가 평균 11.5%로 난지형 목초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가소화영양소(TDN) 함량은 테프그라스 Tiffany 품종이 63.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in vitro 건물소화율은 초종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에서 여름철 조사료 자원으로 난지형 목초의 재배 및 이용 가능성이 충분하였으며, 월동이 가능한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는 영년생 방목초지용으로 활용성이 높고, 월동이 불가능한 중북부 지역에서는 1년생 여름철 사료작물로 이용하는 것이 우리나라에서 난지형 목초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1. 캄보디아는 전통적으로 벼가 농업에서 가장 우선시 재배되는 작물인 관계로 쌀 생산증대를 위한 재배방법의 개선과 관리, 공여국과 수혜국간의 협력방안 등 많은 연구가 축적된 반면에 밭작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연중 고온다습한 기후와 우기의 풍부한 강수량은 최적의 작물생육 환경을 제공하고 있고 메콩 강과 뚠레삽 호수를 비롯하여 3개의 강을 보유하고 있어 앞으로 수자원 활용이 가능해지면 지속적인 농업분야의 발전가능성을 엿보게 한다. 산림이 줄고 늘어난 농지에서는 밭작물을 재배하게 될 가능성이 커 현시점에서 주요 밭작물에 대한 생산 현안을 진단하고 농업협력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2. 현재 캄보디아는 우기와 건기가 뚜렷이 구분되는 열대몬순지역으로 풍부한 수자원이 우기에 집중되고 있어서 수자원 배분(water allocation)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점차 개선되고 있는 관개수로로 인해 관개농 면적이 증가 추세에 있다. 주로 고지대(upland)에 위치한 밭작물 재배농지의 경우, 부족한 관개수로는 농촌 인프라 확충을 위한 협력사업의 증대로 개선될 여지가 있다.
3. 농촌인프라 확충을 위한 협력 사업을 계속 유지하면서 캄보디아 농업관련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변화와 세대변동에 따른 다양한 농업 및 농기계 기술 교육제공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농업전문가 파견과 같은 인력제공을 통해 가공시설확충과 유통체계개선을 통해 유통단계에서 농민들이 불이익을 받는 일을 줄여야 할 것이며 협동조합과 같은 농민조직의 육성을 통해 생산, 유통, 판매과정에 농민이 중심이 되고 주도적으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light intensity and uniformity of two SMD (surface-mount device) type LEDs for protected crop production. A low-power (0.1 W) and a high-power (1 W) LEDs were selected and the intensity and uniformity was evaluated at different vertical (height) and horizontal (distance) intervals. When the horizontal interval of the LED bar was fixed,the light intensity increased and the uniformity decreased as the height decreased. At the 30~40 cm heights, 20~30% of the area showed 200 ±20 μmolm-2s-1. As the horizontal distance of the LED bars increased, while the uniformity increased as well, the light intensity decreased. At the distances of 6~10 cm, 17~23% of the area showed 200 ±20 μmolm-2s-1. When the LED bars were added to the sides, the light intensity and uniformity were generally improved. Results showed that the light intensity and uniformity depended on the height and interval of the LED bulbs; therefore, optimum arrangement for the crops interested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experiments.
국민의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 증대 및 소득 증가로 한약재 소비를 비롯한 식품과 화장품 원료로서의 산업적 가치가 커지면서 약용작물의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한, 중 FTA 체결로 인해 약용작물 시장개방의 수입증가는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 서 약용작물을 포함한 농식품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산업 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종자품종육성과 생산유통기반의 정비와 확충, 산지이용규제 완화 등의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의 활용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의 약용산업 육성 중장기 전략과 종자관리 체계의 구축에 필요한 약용작물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하고 향후 개발해야 할 중점기술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우수한 약용작물 품종 개발 및 보급으로 농업생산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약용작물 종자생산 및 보급에 필요한 제도정비가 필요하다. 넷째, 우량종자의 표준화 및 규격화 로 약용작물의 생산유통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현재 약용 작물의 소비행태는 직접적인 섭취보다 화장품, 의약품, 식품의 형태로 소비되는 패턴으로 바뀌고 있으며 규모가 점점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므로 향후 약용작물의 생산에서는 이러한 산업화 추세와 변화에 대응한 정책개 발과 제도적인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전 세계적으로 ‘지구환경 보호운동’과 웰빙 삶이 확산되면서 환경과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특히 합성섬유의 주원료인 원유가 멀지 않은 장래에 고갈될 것을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새로운 천연섬유 소재의 창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천연섬유의 주산지가 될 수 있는 자연 환경적 요소를 갖추고있는 캄보디아 천연섬유 작물 현황을 조사하여 추후 한국 농산업체의 천연섬유 생산에 대한 투자를 대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조사 연구하였던 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재 캄보디아의 천연섬유산업은 소규모로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조사된 황마, 부레옥잠 등 열대식물도 있지만, 왕골, 갈대, 목화 등 온대지역에 자생하는 천연섬유 등 12가지 작물이 대표적인 천연섬유 작물로 조사되었다.
2. 누에를 이용한 실크산업은 캄보디아의 저렴한 노동임금으로 부가가치 창출이 쉬운 산업으로 캄보디아 정부에서 활성화 길을 모색하고 있으나, 기술력 향상을 위한 인력양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3. 목화를 이용한 천연섬유 생산은 대단위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수출활로의 전망은 좋으나 주로 북부지역이 주 생산지로 인구밀도가 적은 농촌지역에서 활성화시키는데 한계점이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4. 캄보디아의 열대성기후와 정부의 지원, 세계의 천연섬유산업의 트렌드와 더불어 천연섬유 분야의 전문가 양성과 해외 투자자유치, 섬유생산기술 발전 등을 동반한다면 캄보디아는 새로운 천연섬유생산기지로 발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기 배지재료로써 국내에서 유통되는 피트모스와 코이어 더스트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식물 공장용 혼합배지 조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캐나다, 리투아니아, 라트비아로부터 수입되는 피트모스 6점과 인도, 스리랑카, 베트남으로부터 수입되는 코이어 더스트 10점을 확보한 후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공극률에서 피트모스가 평균±표준편차가 79.6±5.04%로써 83.6±6.18인 코이어 더스트 보다 낮았으며, 용기용수량은 피트모스가 평균 69.9±10.17%이고 코이어 더스트는 65.9±3.46으로 피트모스의 보수성이 코이어 더스트 보다 높았지만 종류별 차이가 컸다. 기상률은 4종류의 피트모스가 10% 이하로 측정되었지만 코이어 더스트는 12~26% 의 범위로 피트모스보다 월등히 높았다. 조사한 6종류의 피트모스는 쉽게 흡수할 수 있는 수분(easily available water, EAW)이 18~22%의 범위였던 반면 코이어 더스트는 11~16%로 측정되었고 1점을 제외한 9점이 11~13%의 범위로 측정되어 매우 낮았다. 완충수(buffering water)도 피트모스가 9~13%의 범위였지만 9점의 코이어 더스트가 5.5~7.5%로 측정되어 정확한 물 관리가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화학적 특성에서 피트모스는 pH가 3.46~4.17인 강산성물질이었고, 전기전도도(EC)는 분석한 6점 중 5점이 0.137~0.254dS·m-1로 측정되었다. 코이어 더스트의 pH는 5.31~6.48인 약산성 물질이었으며, EC는 평균±표준편차가 0.563±0.83dS·m-1로 피트모스 보다 월등히 높고 종류 간 차이가 큼을 나타내고 있다. 양이온교환용량(CEC)은 코이어 더스트가 피트모스보다 약 3~4배 가량 낮았다. 코이어 더스트가 피트모스 보다 NO3-N와 P2O5-P의 함량이 높았고, NH4-N 함량이 낮았지만 K와 Na 함량은 월등히 높아 전기전도도가 높아진 원인이 되었다고 판단하였다. 피트모스와 코이어 더스트의 온수추출물은 각각 6.67~16.37% 및 30.0~65.1%, 알칼리 추출물은 0~38% 및 23.1~70.3%였고 생장억제물질 함량이 코이어 더스트에서 높을 수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무기배지재료인 버미큘라이트(12점)와 펄라이트(5점)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혼합배지 조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710μm 이상의 직경을 갖는 입자의 비율이 버미큘라이트 중 중국산 silver 3~8mm가 99.7%로 조사되어 가장 비율이 높았고, 펄라이트는 3~5mm에서 99.9%로 가장 높았다. 펄라이트(〈1mm)와 남아프리카공화국산 silver 버미큘라이트(0.25~0.7mm)의 용기용수량은 각각 72.0 및 71.1%로 가장 높았고, 기상률은 중국산 silver 3~8mm가 49.3%로 뚜렷하게 높았다. 펄라이트 5종류의 공극률은 60% 이상으로 측정되었으며, 용기용수량은 1mm 이하의 규격을 갖는 물질을 제외하고 20.4~39.7%의 범위에 포함되었다. 버미큘라이트 중 중국산 gold 0.3~1mm와 남아프리카공화국산 0.25~0.7mm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수분(EAW)와 완충수(BW)의 비율이 높았고, 펄라이트는 1mm 이하와 0.7~1.5mm의 EAW와 BW의 비율이 높았다. 화학적 특성에서 버미큘라이트는 pH가 6.36~10.74 범위에 포함되는 강알칼리성 물질이었고, 전기전도도(EC)는 0.032~0.393dS·m-1로 측정되어 종류간 차이가 큼을 알 수 있었다. 펄라이트의 pH는 7.788.62 범위에 포함되어 약알칼리성이었으며, EC는 0.030~0.041dS·m-1로 측정되었다. 양이온교환용량은 중국산 silver 버미큘라이트 0.3~1mm가 14.7cmol+·kg-1으로 가장 높았고, 펄라이트는 0.71.5mm가 1.51cmol+·kg-1로 가장 높았는데 버미큘라이트보다 약 10배 가량 낮았다. 버미큘라이트는 펄라이트보다 Ca, K 및 Na과 같은 치환성 양이온 함량이 많았다.
최근에 청보리 사일리지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조사료이지만 유기축산을 위한 유기조사료의 생산과 품질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유기 청보리 사일리지의 적정 수확시기를 구명하고, 사일리지 품질 향상을 위하여 예건과 싸라기를 첨가하여 사일리지를 평가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12처리 3반복의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수확시기로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를 두었으며, 세구는 무처리, 예건, 싸라기 10%, 싸라기 15%를 두었다.
The bumblebee is an important pollinator of various greenhouse crops, especially for tomatoes and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commercial use of the insects for pollination. Recent advances in commercial rearing of the European bumblebee (Bombus terrestris) made it possible to package bumblebee for crop pollination. Bumblebees are distributed world widely including alpine, cool temperate and even arctic environments of the northern continents. We chose B. ignitus out of seven Korean native bumblebees, because the species showed the best results both in artificial multiplication and in pollinating ability. Now, we are studying an artificial year-round mass rearing of B. ignitus selected as the most reliable native species in crop pollination.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optimum temperature and humidity, effect of photoperiod and CO2-treatment, facilitating effects of helper, and artificial hibernation of B. ignitus to establish year-round mass rearing of B. ignius. The experimental regime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defined as 23℃, 27℃ and 30℃ under a constant humidity of 65% R.H., and 50%, 65% and 80% R.H. under a constant temperature of 27℃, respectively. Among the temperature regimes, 27℃-rearing showed the best results, i.e., the rates of colony initiation, colony foundation and progeny-queen production at 27℃ were 83%, 63% and 46%, respectively, which corresponded to 2.2-5.5 times the respective values at other temperature regimes. The numbers of progeny produced at 27℃-rearing, 164±33 workers, 553±174 males and 33±48 queens were also higher, corresponding to 21.8 and 1.5 times those at 23℃ and 30℃, respectively. In terms of humidity, 65% R.H. was favorable for big colony formation. Under the same humidity, the rates of colony initiation, colony foundation and progeny-queen production were 85%, 70% and 50%,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progenies reached 180±30 workers, 578±179 males and 35±38 queens. Therefore, 27℃ and 65% R.H. were determined to be the 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colony development of B. ignitus in indoor rearing. It was investigated whethe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foundation queens of B. ignitus collected in the 4 localities in Korea would be affected by the first oviposition days of them. The first ovipostion day was classified as 1 - 4 days (immediate early), 5 - 6 days (early), 7 - 10 days (delayed early), 11 - 20 days (medium), 21 - 40 days (late), and above 41days (very late). The queen that had the early first oviposition day, i.e., laid eggs so early after starting to be raised indoors, showed much higher rate of colony foundation and progeny-queen production and much shorter period of colony foundation and worker emergence. Besides, the numbers of worker and progeny-queen emerged from the queen that had the early first oviposition da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queen that had the late first oviposition. In results, the queen that had the early first oviposition day could make colony stronger and could make colony formation period shorter, therefore, the first oviposition day of foundation queen was proved to be a criterion for the selection of super colonies when B. ignitus is raised indoors. It was investigated whether or not such helpers as worker bee, bee-cocoon and egg-cup etc, have any effects on oviposition and colony foundation of the bumblebee queen, B. ignitus. Among the helpers tested, the callow workers of B. ignitus and B. terrestris showed the most remarkable effects on the oviposition rates to 92% and 88%, respectively. The live cocoon as a helper improved oviposition rate over 60%. A narcotized old worker 10 days-aged after emergence, showed similar effects to a callow worker on the colony development such as oviposition rate, colony foundation and progeny-queen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dried cocoon, callow honeybee worker or egg-cup did not show a positive effect as a helper. In the number of workers recruited to a foundation queen, two workers showed better effect than one worker on the colony development, with no difference between two and more. The effect of photoperiodic regimes on the oviposition and colony development of B. ignitus queens was examined with 0L, 8L, and 16L under 2 7℃ and 65% R. H. Among these photoperiod regimes, the oviposition rate at 8L and 16L was 80.2% and 83.1%, respectively, which was 12-15% higher than that at the dark condition (0L). Duration up to first oviposition at 8L and 16L was 17.5 days and 16.5 days, respectively, which was 2-3 days shorter than that at 0L. The colony foundation rate at 8L and 16L was 9.2% and 10.4%, respectively, which corresponded to 1.7-2.0 fold the value at 0L. In addition, the rate of progeny-queen production at 8L and 16L was also two fold higher than that at 0L. Taken there together, the light conditions (8L and 16L) rather than dark condition (0L) were more suitable for oviposition and colony development for B. ignitus in the indoor rearing condition. We investigated mating conditions of photoperiod, illumination and temperature during mating periods, care temperature of queen before mating, mating period and number of queen per mating cage to improve mating rate of B. ignitus. Among photoperiodic regimes of 12L, 14L and 16L during mating periods, queen mated at 14L showed better results than at 12L and 16L in egg-laying characteristics and colony development. In case of illumination during mating periods, intensity of 1000 lux was more effective than at intensity of 100 lux and 2000 lux in mating B. ignitus queen. Mating temperature and care temperature of queen before mating favorable for B. ignitus queen were 22-25? and 19?, respectively. The period need to mating B. ignitus queen was 3 days, and the number of queen suitable per mating cage of 55× 45× 65 ㎝ was 30. The effect of CO2-treatment on interrupting diapause of B. ignitus was examined to provide a means for year-round rearing of the bumblebee. When mated young queens were exposed to 65% or 99% CO2 for 30 min daily during two consecutive days, oviposition rate increased to 75% and 77%, respectively, comparing 50% in CO2-untreated queens. At the same time, the days needed to first oviposition shortened to 17-18 days in CO2-treated queens, comparing to 30 days in CO2-untreated queens. CO2-treatment at the second day after mating was appropriate to the oviposition and colony development. CO2-treatmen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oviposition and colony development, but less than them of over-wintered queen in numbers of produced progeny. It can be concluded that CO2-treatment to B. ignitus is insufficient to produce commercial grade bumblebee colony in spite of its capability for promoting oviposition, because the treatment failed to form a big colony. Artificial hibernation is essential for year-round rearing of the bumblebee, B. ignitus that undergoes one generation per year. It is known that keeping the queens in low temperature for two or three months is effective to terminate their diapause and develop the colony. Temperature, time and surroundings to keep the queens during artificial hibernation were investigated. Among the tested temperatures, -2.5°C, 0°C, 2.5°C, and 5°C, the optimum temperature was 2.5°C. At the temperature (2.5°C), survival rate after chilling of the queens was high and colony development thereafter was enhanced. The proper time to initiate chilling queen was 10 to 14 days after adult eclosion, and the survivability of the queens after chilling was good during the upper period. For the surrounding to keep the queen during artificial hibernation, we proposed the method to preserve them in a bottle filled with perlite and keep it around 80% R.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