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시설재배 상추의 시들음병에 대한 안정적 재배를 위해 농가에 보급 가능한 저항성 자원을 탐색하기 위하여 12개 국가에서 육성한 111개 도입자원의 시들음병 저항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1. 병원균 접종 후 14일째 공시한 저항성 표준품종인 ‘뚝섬적축면’과 감수성 ‘미풍포찹적축면’을 포함한 공시 자원들의 병징이 뚜렷하게 나타남.
2. 시들음병 저항성 정도 범위는 전혀 고사되지 않은 자원( 발병정도 0)부터 전체 고사하는 자원(발병정도 4) 까지 넓게 분포하여 전체 111개 자원에 대한 평균 발병정도는 2.6±0.19 이었음.
3. 전체 자원 중 IT 294125 등 7개 자원이 병징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저항성 기준으로 정한 발병정도 0인 개체비율이 80%이상이고 발병정도가 3이상인 개체비율이 20% 이하인 자원은 IT 289569 등 16개 자원이었음.
4. 저항성을 보인 16개 자원 중 IT 289569 등 미국 원산이 11개, 터키 원산이 IT296680 등 4개, 중국 원산이 IT 301287로 1개이었음.
1) 상추 유형으로는, 결구상추가 IT289569 등 8개, 잎상추는 IT 296679 등 5개, 로메인 상추가 IT296680 등 2개, 줄기상추 1개(IT 301287)
5. 본 연구결과 시들음병 저항성을 보인 16개 자원은 시들음병 발생이 높은 농가에서 이용 가능한 품종으로 생각되나, 병 저항성 검정이 유묘 단계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생육 전반의 종합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우수자원을 선발하는 후속연구 필요
목 적 : 간 자기공명영상에서 Screening Dixon, Multi Echo Dixon, High-speed T2-corrected Multi Echo acquisition at 1H MR spectroscopy의 지방간 평가를 초음파 검사와 비교하여 간 자기공명상에서 지방간 평가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4. 8월~2015. 8월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간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한 환자들 중 검사시행 3개월 전· 후에 초음파 검사를 동시에 시행한 138명(남: 101명, 여: 37명, 평균연령: 60.2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 된 MRI 장비는 Magnetom Skyra 3.0T(Siemens Healthcare, Germany)였으며 18ch Body array coil을 이용하여 Screening Dixon, Multi Echo Dixon, High-speed T2-corrected Multi Echo acquisition at 1H MR spectroscopy(이하 HISTO) 기법의 검사를 시행하였다. 초음파 장비는 iu22(Philips healthcare, Netherlands), E9(GE healthcare, America)였으며 C3-5 convex probe를 사용 하였다. 지방간의 분석은 Screening Dixon에서 지방간의 유·무와 Multi Echo Dixon, HISTO 기 법간의 지방간 유무를 각각 비교하였으며 Multi Echo Dixon과 HISTO 기법에서는 지방 함유량에 따라 normal(5% 이하), mild(5~33%), moderate(33~66%), severe(66% 이상)로 나누어 두 기법 간 비교 및 초음파 검사와 비교하여 그 유의성을 SPSS21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rson χ2(카이제곱) 검증하였다.
결 과 : Screening Dixon과 Multi Echo Dixon, Screening Dixon과 HISTO 기법을 비교한 결과, Screening Dixon에서 지 방간을 가진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며(p>0.05), Multi Echo Dixon과 HISTO 기법을 normal, mild, moderate, severe 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두 기법에서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반면 Multi Echo Dixon과 초음파, HISTO와 초음파의 각각의 비교에서는 초음파 검사에서 지방간으로 평가되는 환자가 Multi Echo Dixon, HISTO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normal 군의 환자가 많이 감소한 반면 moderate, severe군으로 평가되는 환자가 많이 증가하였다.
결 론 : Screening Dixon, Multi Echo Dixon, High-speed T2-corrected Multi Echo acquisition at 1H MR spectroscopy(HISTO)의 지방간 평가를 초음파 검사와 비교한 결과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평가에서는 기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초음파와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검사는 간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부가적인 검사로 짧은 시간에 지방간을 정량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품종 저항성 조사방법별로병원균과 버섯품종을 다르게 하여 품종간의 차이점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푸른곰팡이 균과 품종별 대치배양시험에서 대치라인 형성, over growth, Lysis 증상이 나타났으며, 공시품종 중에 ASI 2183, ASI2504, ASI 2477 균주가 병저항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배양여액을 이용한 방법에서는 ASI 2240, ASI 2479, ASI 2181들이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대치배양에서는 다른 경향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으나, ASI 2479, ASI 2240 균주는 대치배양, 배양여액 시험결과에서 모두 저항성을 보였다. 배양후 접종법에서는 저항성을 보이는 버섯균주는 ASI 2479, ASI 2333, ASI 2181 등이었으며, 가장 감수성 품종은 큰느타리버섯인 ASI 2302 균주로 나타났다. 푸른곰팡이균주 같은 균주에서도 품종에 따라 각기 다른 특성을 나타냈으며, 동일품종에서 푸른곰팡이균주에 따라 각기 다른 병원성을 나타냈다. 느타리버섯과 푸른곰팡이균의 상호관계에서 다양한 증상이 발생하며 느타리버섯 품종에 대한 저항성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처리량이 많은 경우 동일 처리 내의 반복처리에서도 병징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시험에 사용한 버섯균과 병원균의 접종원의 활력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므로 주의해야하며, 저항성 균주로는 붉은느타리종, 감수성균으로 ASI 2302 균을 대조 균으로 적용하면 효과적으로 저항성 검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느타리버섯 푸른곰팡이병에 대한 품종 저항성은 포장에서 효과적인 검토가 불가능하여 한천 배지상에서 푸른곰팡이균이 균을 저해하는 특징 fungistatic, lysis, toxin enzyme 등에 대한 각각의 특성을 실내에 검정할 수있는 방법을 검토하기 위하여 균사생장과 특이 현상을 조사하였다. 대치배양에서는 느타리버섯 균주에 따라 대치선 형성위치, 푸른곰팡이균의 느타리균사 생장부분 위로 생장(overgrowth), 대치선 이후의 버섯균의 용균(lysis)현상이 발생하여 효과적인 저항성 검정이 가능하였다. 배양여액을 여지에 적용하는 방법은 버섯균과 병원균의 종류에 따른 균사생장 및 특이적 현상이 타나나지 않았으나, well plate를 이용한 배양여액 희석방법으로 균사생장의 억제정도의 확인이 가능하였다. 분활 petri dish를 활용하여 동시배양의 경우 약간의 버섯균이 억제되는 현상은 보였으나, 푸른곰팡이균이 버섯균 생장 부분 위로 덮어 효과검정이 불가능하였다. 버섯균을 petri dish 전체에 배양한 후 그 위에 병원균의 균총을 접종하는 방법은 overgrowth, lysis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병원성의 검정이 용이하였다. 실내에서의 느타리버섯균의 푸른곰팡이병에 대한 저항성 검정은 대치배양, 배양여액법, 생장후 접종법에 의한 방법으로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Background :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new disease-resistant cultivar of Rehmannia glutinosa, it is essential to screen plants based on resistance to their disease. But until now, we have relied on visual inspection for selection of disease-resistant cultivar.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n efficient and reliable screening system and test the resistance to leaf spot disease in R. glutinosa cultivars developed until now.
Methods and Results : We have tested 11 R. glutinosa cultivars developed so far. Rootstock of R. glutinosa were sown in 20 × 20 ㎝ plastic square port and grown in green house at 25 ± 5℃ for four months and then cutting leaves were inoculated with Phoma sp. HCRD 17103 by spraying spore suspention of fungus at concentration of 1 × 107 spore/㎖. The inoculated leaves were incubated in a dew chamber at 25℃ for 48h and then transferred to glass house (25 ± 5℃, RH 80% ≥ ). After 3 - 5 days when the most susceptible cultivar had lesion area over 40%, disease severity of the cultivars was investigated on a scale of 0 - 9 (0 = healthy, 1 = 0 - 1%, 3 = 1.1 - 10%, 5 = 10.1 - 20%, 7 = 20.1 - 40%, 9 = 40.1% over). The degree of resistance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ease index (0 and 1 = resistant, 3 = moderately resistant, 5, 7 and 9 = susceptible). As a result of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above criteria, the disease index of cultivar Gogang, Dagang, Segang, Yeongang, Wongang, and Dahwang was 1, cultivar Togang, Daegyung, Jiwhang 1 and Goryeo was 3, cultivar Hwanggang was 9, respectively.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six cultivars such as Gogang, Dagang, Segang, Yeongang, Wongang, and Dahwang were resistant, four cultivar such as Togang, Daegyung, Jiwhang 1 and Goryeo were moderately resistant, and only one cultivar Hwanggang was susceptible to the leaf spot disease by Phoma sp. This experiment used only leaves and we plan to use whole plants in the future to see more accurate resistance response.
Background : Sclerotinia rot, caused by a fungus Sclerotinia sclerotiorum, is one of the serious and unpredictable yield losses in perilla (Perilla frutescens) leaf production in Korea. Screening disease resistant genetic resources is necessary to develop disease-resistant cultivars and conduct related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 A Total of 150 perilla accessions, including 123 Korean landraces and 27 cultivars developed in Korea, were evaluated for resistance to Sclerotinia rot (Sclerotinia sclerotiorum) using detached leaf inoculation technique. Sclerotinia sclerotiorum isolate KACC40457 was inoculated at the seedling stage (five to six leaves). For detached leaf method, a mycelial plug was placed fungus-side down on the main leaf vain and incubated at 22 ± 1℃ on moistened paper towel in a plastic box. Three Korean landraces, including IT117036, IT117106, and IT117110, and cultivar IT229431 showed 100% of resistance ratio (no. of plants showed below 1 ㎝ of lesion size/total evaluated plants × 100). Seven accessions including five landraces, IT117080, IT117107, IT117048, 117042, 117029, and two cultivaers, IT276225 and IT213781, showed high level of resistance that is higher than 80% of resistance ratio
Conclusion : 11 accessions which showed strong and moderate level of resistance to Sclerotinia rot could be possibly used by breeders, farmers, and researchers to produce new disease resistant cultivars and use them commercially. However, research related to the exploration of appropriate materials (accessions) for breeding cultivars with good quality, high functional components, high consumer acceptability, etc. should be continued, considering pathogenicity test was conducted in young stage.
Bakanae (foolish seedling) disease caused by Gibberella fujikuroi creates serious problems in the foremost rice growing countr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new resistance genetic sources to Bakanae disease. Bioassay showed that 11 varieties including Gwangmyeongbyeo, Hawn, Wonseadaesoo, Erguailai etc. were resistant to bakanae disease among 254 rice germplasm. Mismatch ratio between phenotype on bakanae disease bioassay and allele type of RM9, a SSR marker closely linked the bakanae disease resistant QTL, qBK1, were 38.3%. These results suggest that RM9 might be used for selecting qBK1, but it cannot be used for wide range of rice germplasm. Resistant germplasm in this study might be have resistant genes different from qBK1. The eleven varieties resistant to select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to identify new resistant alleles or genes to improve bakanae disease resistance in ric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disease among genetic resources for development of disease resistant grap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creen the resistance to crown gall in muscadine and Florida hybrid bunch grapes by pathogen inoculation. In order to compare the responses to infection with different pathogen strains, muscadine and Florida hybrid grapes were inoculated with 3 strains of Agrobacterium vitis. Although there were different levels crown gall formation among grape cultivars, there little variation in response to inoculated strains. Among 29 muscadine cultivars tested by inoculation of A. vitis ‘C4612’, most of them were shown to be susceptible, and ‘Gold Isle’ and ‘Africa Queen’ were highly susceptible, and two cultivars, ‘Welder’ and ‘Jumbo’ were found to be resistant to crown gall disease. Among Florida hybrid grapes, ‘Daytona’, ‘Stover’, and ‘Swanee’ were susceptible and ‘Blanc du Bois’ was moderately susceptible to crown gall. Because muscadine grapes have been actively utilized as useful genetic resources for development of new grape varieties by intersub-genus cross, this result from the screening of resistance among muscadine grapes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in breeding programs of grape resistant to crown gall.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가 동반된 파킨슨병 환자에 대하여 인지 기능 평가를 위한 서울신경심리검사와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영역별 뇌실에 대한 체적 변화를 분석하여 경도인지장애가 동반된 파킨슨병에 대한 진단적 기준을 판단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파킨슨병으로 진단 받은 환자(경도인지장애군: 34명, 비인지장애군: 34명)를 대상으로 주의력, 언어, 기억력, 시공간, 그리고 전두엽 집행 기능에 대한 서울신경심리검사와 뇌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영역별 뇌실에 대한 체적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정상인 32명(정상 대조군)을 추가 선정하여 추가적으로 뇌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영역별 뇌실에 대한 체적 분석은 프리서퍼(Freesurfer Ver. 5.1, Boston MA, USA)를 통해 수행되었다. 결과적으로 경도인지장애군은 시공간 및 기억력에 대한 수행 능력이 비인지장애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영역별 뇌실에 대한 체적 변화는 좌‧우측뇌실, 좌‧우하측뇌실, 제3뇌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체적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객관화된 비교를 위하여 정규화한 백분율을 적용한 체적의 변화는 비인지장애군보다 경도인도장애군에서 확장되어 나타났다. 특히 경도인지장애를 동반한 파킨슨병 환자의 좌‧우측뇌실의 확장은 서울신경심리검사에서 시공간 및 기억력 영역에 대하여 뚜렷한 양적 선형관계를 보였다(r>0.5, p<0.05). 따라서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프리서퍼를 이용하여 영역별 뇌실의 체적 변화를 관찰하고 서울신경심리검사와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경도인지장애를 동반한 파킨슨병 환자의 진단적 기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가 동반된 환자를 대상으로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인지 영역에 대한 대뇌 피질 두께를 측정하고 신경심리검사 결과와 비교하여 신경해부학적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파킨슨병으로 최초 진단 받고 신경심리검사를 시행한 78명(경도인지장애군: 39명; 비인지장애군: 39명)과 정상인 그룹 32명을 선정하였다. 신경심리검사에서 경도인지장애군과 비인지장애군의 상관관계와 신경심리검사와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대뇌 피질 두께의 상관관계는 독립표본 T 검증 또는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유의 수준은 p<0.05에서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경도인지장애를 동반한 파킨슨병 환자는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양측 쐐기압소엽과 우하측두엽의 대뇌 피질 두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인지 기능 평가를 위한 신경심리검사에서 시공간 기능, 언어 및 시각 기억력 기능이 저하되었다. 특히 언어 및 시각 기억력 영역에 대한 신경심리검사와 신경해부학적으로 좌측 쐐기앞소엽에서 상관관계가 있었다.
Bakanae disease of rice, caused by Fusarium moniliforme Sheldon, the imperfect stage of Gibberella fujikuroi,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ice diseases worldwide, but no rice variety has been found to be completely resistant to this fungus. Cultivation of resistant cultivars is the most beneficial way of reducing quantitative or qualitative losses to for bakanae disease in rice. To facilitate the study of this disease, accurate and large scale screening methods were developed for the inoculation and evaluation of Bakanae disease. Even and large scale infection was achieved by using F. moniliforme spore in tissue embedding cassette and seedling tray. The efficiency of F. moniliforme infection with the concentration of 1×106 spore/ml caused better distribution (F-value=33.96) than 1×102 (F-value=10.69), and 1×104 spore/ml (F-value=2.63). We established new criteria of healthy and non-healthy plant, and introduced calculation of proportion of healthy plants to meet fast evaluation of resistance level of each variety. The effect of F. moniliforme strains containing different genetic background was also evaluated with rice varieties to figure out the stability of resistance level. GA3 response of rice varie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akanae disease, but it did not adequate for direct indicator of bakanae disease resistanc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 large scale infection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is fast and reproducible, as well as a disease evaluation system provides an accurate measurement of bakanae disease resistance of rice.
50종의 약용식물 추출액을 공시하여 생체외(in vitro) 및 생체내 (in vivo)에서 몇 가지 주요 종자전염성병 억제를 위한 항균활성식물을 선발하고 선발된 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공시된 50종의 약용식물추출액을 공시병원균(벼도열병균, 참깨검은무늬병균, 고추탄저병균, 무·배추검은무늬병균)을 접종한 종자에 대한 항균활성을 습지법과 물한천법으로 정정한 결과 마늘, 주목, 대황, 무슬, 감초, 달맞이꽃 등에서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 1차 선발된 식물추출액을 종자에 희석 처리하여 감자한천법으로 검정한 결과, 마늘 추출액이 10배에서도 항균활성을 보였고 종자침적 시간에 따른 효과를 보면 긴 시간 침적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종자침적온도에 따른 항균효과를 보면 25℃ 처리가 대체적으로 우수했다. 다) 식물 추출액의 종자발아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마늘 추출액의 경우 무처리에 비하여 종자발아에 차이가 없었고 초기생육은 오히려 양호하였다. 주목의 추출액은 무와 배추에서 약간의 영향이 있었고 우슬, 감초, 달맞이꽃 등에서는 종자 발아 및 초기 생육을 심하게 저해했다.
벼 품종의 잎집무늬마름병 저항성검정에 사용할 R. solani 균주를 선발할 목적으로 전국 7개지역에서 수집한 58개균주의 배양특성을 조사하여 균주의 배양형을 나누고 각 배양형에서 대표되는 균주를 선정, 9개 벼 품종에 접종시켜 균주의 병원성과 품종저항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잎집무늬 마름병균의 균주를 PSA 배지상에서 기르면서 조사한 5종류의 배양특성은 균주간에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며 균주별 배양특성에 근거하여 공시한 58개 균주를 7종의 배양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2. 각 배양형에 속하는 잎집무늬마름병균 균주의 지역적인 분포는 차이가 있어서 균주분포의 지역특이성이 인정되었으며 Ia 배양형에 속하는 균주만이 7개 지역 모두에 분포되어 있었다. 3. 각 배양형을 대표하는 7개 균주의 병원성은 서로 달랐으며 균주별 병원성은 검정품종에 따라서 그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4. 균주의 병원성검정에 사용되었던 9개 벼 품종의 저항성정도도 품종간 차이가 켰으며 품종의 저항성 반응도 접종한 균주에 따라서 달리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다. 5. 공시한 균주의 병원성정도와 지역적인 분포범위를 고려하여 벼 잎집무늬마름병 저항성검정에 사용할 균주를 선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