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83

        11.
        2025.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적으로 급속히 진행되는 고령화와 경제 수준의 향상, 그리고 식품 제조, 포장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50대 전후로 진 행되는 갱년기 시기에 호르몬의 급격한 감소와 함께 진행되는 장 기능의 저하로 인 하여 장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장 건강기능식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 다중그룹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성인남녀 3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변수들 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태도(남성 3.74+0.72 vs. 여성 3.90+0.68, p=0.043)와 지각 된 행동 통제(3.80+0.64 vs. 3.96+0.63, p=0.030)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었다. 이어서 다중그룹 경로분석을 하였을 때, 태도 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남성과 여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 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남성에 비해 여성은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높았다. 지각된 행동 통제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이 0.372인데 비해 남성은 0.445로 높 은 수치를 보였다. 주관적 규범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여성은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남성(0.388+0.091, p<0.001)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매 의도가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0.283+0.108, p=0.007)만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성인 325명으로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 한 계를 갖는다. 하지만 장 건강기능식품의 구매와 관련되어 연구가 질적으로 양적으로 제한되어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보다 진전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충분히 역할 을 하였다고 사료 된다.
        5,400원
        12.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Functional Movement Screen (FMS) is widely used for movement assessment but suffers from subjective scoring that leads to inconsistent evaluation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reliability, the validity of AI-supported assessment remains unexplored. Objective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AI-based motion analysis system using MediaPipe for three FMS movements. Design: Prospective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with repeated measures. Methods: Thirty healthy adults (age 23.4±2.8 years) performed three FMS tests (Deep Squat, Hurdle Step, Inline Lunge) recorded on video. Three evaluators (two experienced physical therapists and one novice) assessed recordings in three phases: Phase 1 involved traditional assessment by experts only to establish criterion reference, Phase 2 had all evaluators using AI support, and Phase 3 consisted of repeated AI-supported assessment. The AI system provided real-time visual feedback of joint angles and alignment through MediaPipe skeletal tracking. Results: Criterion validity showed strong agreement between traditional expert assessment and AI-supported assessment (r=0.94, P<.05). Inter-rater reliability improved from good (ICC=0.89) to excellent (ICC=0.91) with AI support. The novice evaluator achieved immediate expert-level performance with only 0.05 points difference from experts. Intra-rater reliability was excellent for all evaluators (ICC=0.84-0.89). Conclusion: The AI-based system demonstrated strong validity and improved reliability for fundamental movement assessment. While AI support enabled novice evaluators to achieve expert-level performance immediately, it may increase sensitivity to subtle movement variations. This technology shows promise for standardizing movement screening, though current limitations restrict its application to standing movements.
        4,300원
        13.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goji berry (Lycium barbarum) beverages with enhanced sensory quality through the addition of fruit extracts. Five formulations were prepared using hot water extracts of dried goji berries, blended with varying proportions of concentrated apple and aronia extracts. Each beverage was adjusted to 7 of °Brix and standardized with citric acid and stevia to ensure consistent sweetness and acidity.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by 20 panelists using a 9-point hedonic scale to assess sweetness, sourness, bitterness, color, aroma, and overall acceptabilit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were confirmed through one-way ANOVA and Tukey’s HSD post-hoc tes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HCA) were performed to explore patterns in the sensory data. The beverage formulation containing 70% goji berry extract, 15% apple extract, and 14.93% aronia extract, along with sodium citric acid and stevia, demonstrate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among all samples. This was followed by the formulation composed of 70% goji berry extract, 15% apple extract, and 15% aronia extrac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dentified sweetness, aroma, and overall acceptability as the primary sensory attributes influencing consumer preference, with the first two principal components accounting for 95.61% of the total variance.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HCA) further confirmed these findings by grouping the two formulations together based on their sensory profiles. In conclusion, blending goji berry extract with complementary fruit extracts such as apple and aronia significantly improves the sensory quality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functional beverag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ptimized fruit blending may be a promising strategy for enhancing the palatability and marketability of goji-based health beverages.
        4,200원
        14.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 사회에서 건강기능식품은 건강 유지와 증진을 위 한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한국의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과 함 께 부작용 사례도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들에게 잠재적 건 강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 권을 포함한 5개 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69세 이하의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대 한 인식과 구매 및 섭취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데이터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주요 결과로는 응답자의 68.9%가 면역 기능 강화를 위해 건강기능식품 을 섭취하고 있었다. 또한, 소비자들은 주로 온라인 채널 을 통해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정보 습득 경로로는 가족 및 친구, TV 프로그램, SNS 등이 주 요했다. 그러나, 응답자 중 21.2%가 부작용을 경험하였으 며, 이는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나타낸다 . 이번 연구에서는 소비자 교육과 정보 제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건강기능식품의 올바른 선택과 섭취를 위한 체 계적인 교육과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이러 한 노력은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 하고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4,300원
        15.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안전한 수질의 밭 관개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다기능 저류조 용수공급시스템을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여 현장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용수의 수질 특성을 고려하여 적정 모듈 프로세스로 AOP (Advanced Oxidation Process), SF (Soil Filter)를 적용하였으며, 저류조의 효과 검증은 앞서 다기능 저류조 수처리 저감효율, 미생물 위해성 평가 등을 통해 수행하였다. 시범시설의 조사는 유입수(지표수, 지하수) 2개, 유출수 1개 지점을 2022년 5월부터 9월까지 월 1회(총 5회), 수온, TOC, COD 등 13개 수질항목을 측정하였다. 유출수에서 전항목 수질기준을 만족하였다. 다기능 저류조의 저감효율은 지표수에서 TOC 평균 19.2%, SS 평균 43.8%, T-N 평균 28.1%, T-P 평균 46.9%, Chl-a 평균 70.1%, 지하수에서 수온 평균 7.5% 상승, EC 평균 54.3%의 저감효율을 보여, 다기능 저류조의 수질정화 개선효과를 검증하였다. 미생물 위해성 평가 결과, 평균 위해도 값은 유입수(지하수) –3.02 × 10-6, 유입수(지표수) 2.79 × 10-5로 나타났으며, 다기능 저류저 처리 후 E.coli가 전량 사멸함에 따라 영농작업자의 위해성은 없을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6.
        2025.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hen predicting acute oral toxicity using QSAR software, the reliability of the predicted values was studied according to a single functional group or multiple functional groups within a single chemical. Acute oral toxicity is predicted using EPA T.E.S.T S/W for chemicals registered in ChemIDplus. The effect of a combination of specific functional periods on the degree of consistency of predicted values was studied. When some specific functional groups (combinations) exi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mental and predicted values were high and low.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diction accuracy was high when the Anion group and the Halogen group were together, and the perdiction accuracy was significantly low when the Nitrile group was present. As a result of accumulating such data and showing reliability in predicting acute oral toxicity with EPA T.E.S.T S/W for 10 SVHC substances without experimental values, the matching rate was derived from at least 0% to 73.33%.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some tendency of the QSAR predic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specific complex functional groups. When 10 SVHC substances without experimental data were predicted to be toxic through T.E.S.T S/W by quantitatively databaseizing the above tendency, 0~73.33% of the result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showing the realiability of the program prediction
        4,000원
        17.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proteins were extracted from sesame and perilla meals (agricultural by-products) by using hot-water defatting and acid precipitation, and their functional properti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 commercial soy protein isolate (SPI). According to the SDS-PAGE results, the sesame meal protein extract (SMPE) exhibited a higher content of hydrophobic amino acids than the perilla meal protein extract (PMPE), alongside a relatively lower intensity of the 7S globulin band. SMPE showed 1.41-fold higher solubility than SPI at pH 10 and 1.72- and 1.66-fold higher emulsifying activity indices (EAIs) at pH 8 and 10, respectively. PMPE exhibited similar trends in solubility and EAI as SPI at the corresponding pH values. However, the emulsifying stability indices of SMPE and PMPE were lower than that of SPI. In particular, the fat absorption capacity of SM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PI and PMPE, likely because of its higher content of hydrophobic or nonpolar amino acid residu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PE and PMPE are promising alternative protein sources for food applications and may promote value-added utilization of plant-derived by-products in the food industry.
        4,000원
        18.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conjugates were prepared via dry heat-induced glycosylation with maltodextrin (MD) to enhanc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meal protein extract (SMPE). With the progress of conjugation, the specific protein bands of SMPE decreased and new bands appeared in the higher molecular weight range (approximately 170 kDa). The FT-IR spectra confirmed the structural modifications resulting from Maillard reaction-driven covalent bonding between SMPE and MD. The solubility and emulsifying properties—emulsifying activity index (EAI) and emulsifying stability index (ESI)—of the conjugates showed little variation with dry-heat treatment time, but they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dextrose equivalent (DE) of MD. Solubility was highest when SMPE was conjugated with MD of DE 4–7 at both 12 h (19.38%) and 24 h (20.54%) and decreased as DE increased. Notably, the three-way ANOVA results showed that the emulsifying properties improved significantly with higher DE of MD. The EAI and ESI of SMPE conjugated with MD of DE 16.5–19.5 increased by 1.52- and 1.41-fold,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SMP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MPE-MD conjugates have promising potential for applications in food systems that require enhanced emulsifying properties.
        4,000원
        19.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몽골어 학습자가 한·몽 번역 과정에서 빈번히 겪는 ‘нь’ 번역 오류의 양상과 원인을 분석하였다. 오류 분석은 웹툰 별난 남자 번 역  수 업 에 서 수 강 생 들 이 제 출 한 번 역 물 과 설 문 지 를 바 탕 으 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오류 발생 요인을 도출할 수 있었다. 분석 결 과 , ‘нь’은 단 순 한 3인 칭 재 귀 소 유 어 미 의 기 능 을 넘 어 , 주어식별표지로 작용하거나 담화 맥락에 따라 주제, 확신, 강조, 구별, 대조, 한정, 제한, 지정 등의 다양한 화용적 기능으로 사용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은 현재 한국 내 몽골어 교육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기존 연구들 역시 주로 문법적 정의에 치중해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수강생들의 번역물에서는 ‘нь’의 기능에 대한 이해 부족하여 오류가 자주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нь’을 단순히 3인칭 재귀소유 어미로 제한하지 않고, 그 다양한 실현 양상과 기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한국어의 주제 표지 ‘은/는’과 주격 표지 ‘이/가’가 문맥에 따라 어떻게 몽골어 ‘нь’으로 번역되는지를 심층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간과된 실제 번역 상황에서의 언어적 대응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нь’의 개념 정의에 머물던 선행 연구를 보완하며, 교육 현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차별성을 지닌다.
        6,7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