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25

        1.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transportation paradigm shifts from vehicle-oriented to pedestrian-oriented, act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road designs that consider the safety of pedestrians, cyclists, and personal mobility users. This study aims to respond to this change by developing installation warrant factors and improving the minimum size design standards for triangular islands. This study involved review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laws and guidelines, analyzing the current installation status of triangular islands, examining case studies of improvements, and assessing policy changes. Based on the findings, important insights were derived, and improvement plans to enhance the safety of pedestrians, vulnerable users, and other road users were proposed.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issues and confirmed that policies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xts are shifting towards minimizing or removing the triangular island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eveloped 24 factors for installation warrants to determine the installation of triangular islands, such as the design speed and peak-hour volume for pedestrians. In addition, the proposed improvements suggest increasing the minimum size design standards from 9m2 to 22m2 to ensure the safety of users. The factors of installation warrants and improved minimum size design standards propos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shift the operation of triangular islands from a vehicle-oriented to a pedestrian-oriented approach.
        4,200원
        2.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라도 장도로 유배를 온 코끼리에 관한 역사적 사실이 진 짜인가와 장도의 정확한 현재 위치가 어디인지 그리고 ‘코끼리 유배지’를 중심으로 한 관광 스토리텔링 개발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관련 문헌과 단행본, 정기간행물, 선행연구, 신문기사 등의 문헌 고찰을 통해 역사적 사실임을 밝히고 현재의 위치가 전남 여수시 장도임 을 확인했다. 그런데도 전남 보성군 장도의 경우 ‘코끼리 섬’이라는 관광 스토리텔링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음도 역설했다. 더불어 관광 스토리 텔링 개발방안을 위해 전제 조건과 고려 사항을 도출하여 전제 조건으로 는 첫째, 종합적이고 체계적이며 사실적인 역사 연구의 중요성, 둘째, 지 역사회 참여가 선행되어야 함, 셋째, 관광객 수용 인프라 및 방문객 체험 기획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고려 사항으로는 첫째, ‘코끼리 유 배지’ 관련 관광 스토리텔링의 진정성과 문화적 감수성의 유지, 둘째, 다 양한 매체를 통한 홍보기회를 확대하여 관광객 참여의 폭을 넓히는 게 중요함, 셋째, 장도의 지속가능성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반드시 고려 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6,100원
        3.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vasive species compete with native species and damage ecosystems. Due to their limited resources, island ecosystems are vulnerable to impacts of invasive species. In the Deokjeok archipelago, South Korea, invasive sika deer (Cervus nippon ssp. taiouanus) introduced for economic purposes are causing harm through severe browsing.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long-term browsing impacts of invasive deer by tracking vegetation index changes from 1986 to 2020 with Landsat satellite imagery and the LandTrendr algorithm. We compared vegetation index trend using Sen’s slope and Disturbance/Recovery area ratio (D/R ratio) between Gureop-do, where these deer were introduced with rapid population increase, and Deokjeok-do, Baega-do, and Mungapdo where these deer have not been introduced yet. Results showed a decreasing trend of the vegetation index in Gureop-do, while other islands without those deer increased. The cumulative D/R ratio on Gureop-do was 212.44%, meaning that disturbance exceeded the recovery area more than two-fold. In contrast, the D/R ratios for other islands remained under 50%. Sen’s slope and t-tes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NDVI in Gureop-do after deer introduction in 2000. By quantifying the browsing impact of invasive ungulates in island ecosystems using satellite imagery, time and costeffective strategies for invasive species monitoring are provided.
        4,200원
        4.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괭이갈매기는 국내에서 서식하는 대표적인 바닷새로, 서해와 남해뿐만 아니라 동해까지 집단 번식지가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괭이갈매기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이 서해와 남해에서 번식하는 개체에 집중되고 있어, 동해 지역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해 울릉도에서 번식하는 괭이갈매기 4개체를 대상으로 2021년과 2022년 5월에 야생동물 위치추적기(WT-300)를 부착하여 이동경로와 행동권 분석을 실시하였다. 괭이갈매기는 번식기간에 울릉도 주변 또는 강릉에서 울진에 이르는 동해 연안까지 활동범위로 삼았고, 번식기 이후에는 일본의 중남부 지역으로 이동하여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번식기간 MCP 분석에서 행동권 평균면적은 9,476± 10,066㎢로 확인되었고, KDE 분석에서는 95%일 때 3,574±3,378㎢, 50%일 때 289±200㎢로 나타났다. 번식기간 이후 일본에서의 MCP 행동권 평균면적은 1,899±3,127㎢이었고, KDE 95%는 2,844±4,787㎢, KDE 50%는 385±635㎢ 의 행동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동해와 일본 연안을 이동하며 서식하는 괭이갈매기의 행동권을 제공함으로써, 괭이갈매기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5.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흑비둘기는 상록수림이 분포하는 해안가 및 도서 등 동아시아-태평양 섬에만 분포하는 희귀한 종으로 생물학적 보존 가치가 높아 국내에서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본 연구는 울릉도에서 서식하는 흑비둘기 3개체를 대상으로 2021년과 2022년 6월에 야생동물 위치추적기(WT-300)를 부착하여 이동경로 및 행동권을 분석하였다. MCP(최소볼록다각형법) 분석에서 행동권 평균 면적은 9.6㎢로 확인되었고, KDE(커널밀도추정법) 는 95%일 때 6.6㎢, 50%일 때 1.8㎢로 나타났다. 개체별 MCP는 각각 BW1 0.4㎢, BW2 27.4㎢, BW3 1.0㎢으로 확인되었며, KDE 95%일 때 BW1 0.2㎢, BW2 19.4㎢, BW3 0.3㎢, KDE 50%일 때 BW1 0.02㎢, BW2 5.4㎢, BW3 0.03㎢로 나타났다. BW2의 행동권이 다른 개체들 보다 넓게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한정된 지역에 먹이 경쟁 등 서식환경에 따른 차이로 추정된다.
        4,000원
        6.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그리스의 GR-eco Islands 프로젝트를 생태현대화 이론 (Ecological Modernization)의 틀에서 분석하고, 약한 EM과 강한 EM 관점에서 이 프로젝트의 정책적 요소와 성과를 평가하였다. GR-eco Islands 프로젝트는 재생 가능 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탄소중립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하며, 지역사회, 정부, 민간 기업 간의 협력을 통 해 실행되는 점에서 생태현대화 이론의 실천적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할키(Chalki), 아스티팔라이아(Astypalaia), 포로스(Poros) 세 섬을 사례 로 들어 프로젝트의 정책 설계, 실행 과정, 성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 과, GR-eco Islands 프로젝트는 강한 EM의 핵심 요소인 생태 중심적 접근, 민주적 의사결정, 제도적 개혁을 충실히 반영하였으며, 탄소 배출 감소와 에너지 자립 실현 등 주요 성과를 달성하였다. 그러나 국제적 협 력의 부족, 데이터 접근성의 한계, 장기적 효과 평가의 미흡함 등 일부 한계점도 확인되었다.
        6,600원
        7.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of intertidal habitats on Jejudo Island, Korea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two new species, Desmoscolex (Desmoscolex) jejuensis sp. nov. and Desmoscolex (Desmoscolex) longispiculatus sp. nov., belonging to the subgenus Desmoscolex. Desmoscolex (D.) jejuensis sp. nov. is distinguished by the presence of 18 main rings, with males missing the 8th, 10th, and 14th subventral setae with the 2nd and 15th setae shifted laterally. In females, the 6th, 8th, 10th, and 14th subventral setae are absent. Conversely, D. (D.) longispiculatus sp. nov. exhibits 17 main rings with a typical somatic setae arrangement along with notably elongated spicules and the 14th and 15th subventral setae shifted laterally or slightly subdorsally. Both species are characterized by relatively long and slender cephalic setae. Detailed illustrations and high-magnification micrographs were produced using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DIC)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o facilitate morphological comparisons between these new species and related taxa. Furthermore, a comparative trait table and a pictorial key are provided to clearly differentiate these new species from morphologically similar taxa.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nematode biodiversity and contribute to the broader knowledge of Desmoscolex diversity in Korean coastal ecosystems.
        5,800원
        8.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큰연영초는 백합과의 다년생 식물이며, 정원용으로 큰 관상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반도에서는 희귀식물(EN 범주) 로 알려져 있다. 자연 환경에서 종자 휴면 타파의 phenology를 조사하였다. 큰연영초는 초기 종자길이의 10% 미만인 미성숙배 를 가지고 있었다. 미성숙배는 2013년 7월 하순부터 2014년 6월 하순까지 거의 자라지 않았다. 그러나 2014년 7월 초순부 터 8월 중순까지 빠르게 신장하였다. 종자는 8월 1일부터 발아 하기 시작했고, 대부분의 종자는 2014년 8월 하순에 발아했다. 따라서 종자가 탈리 된 후 발아하는 데 약 1년이 걸렸다. 뿌리는 두 번째 가을 동안에 발달했고, 두 번째 겨울철 저온기간이 지난 후, 2015년 봄에 유묘가 출현하였다. 따라서 자연 환경에서 휴 면이 깨지고 유묘가 출현하는 데 약 2년이 걸렸다. 기내의 배양 온도, 저온 처리 및 GA3 처리 실험에서, 종자는 8주 동안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따라서 큰연영초의 종자는 유묘을 생산하기 위해 ‘저온(첫 번째 생리적 휴면을 타파) → 고온(미성숙배의 신 장 및 발아) → 저온(배축휴면을 타파)’의 순차적인 온도의 변화가 필요했다. 결과적으로 큰연영초 종자는 deep simple double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MPD)를 가지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4,000원
        9.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understand effects of the compositions of marine macrobenthic communities on carbon storage in subtidal rocky habitat, a diving survey was conducted at Aewol and Biyangdo stations in the northwestern regions of Jeju Island in the summer of 2023. Cluster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ty composition between the two stations. The mean biomass of the dominant species was Cnidaria (2,047.4 gwwt m-2) of macroinvertebrate, followed by Rhodophyta (745.4 gwwt m-2) of seaweed in studied areas. According to similarity percentage analysis, Alveopora japonica and Ecklonia cava were major contributors to the communities in Aewol, whereas diverse marine organisms, including these two species, contributed to the community in Biyangdo. The estimated mean carbon storage by benthic communities derived from their carbon contents in surveyed areas was 202.7 gC m-2, with variations reflecting differences in community compositions. The biomass of Cnidaria, dominated by A. japonica,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bon storage, whereas the biomass of Rhodophyta, primarily composed of coralline alga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ese variations in carbon storage among marine communities may result from species-specific carbon assimilation patterns, survival strategies, marine carbon cycling, and intra-community interactions such as competition and feeding.
        4,800원
        10.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reassessed two KBA sites in the Republic of Korea following the KBA guidelines. Both sites met the sub-criteria A1a, A1b, and D1a, confirming their status as KBA. These assessments provide a scientific foundation for discussions on designating new protected areas or expanding existing ones.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continuous biodiversity conservation is essential for Geum-gang river and estuary and Yubu-do to maintain their KBA status. This KBA reassessment provides an important scientific foundation for discussions on the designation of new protected areas or the expansion of existing ones. Furthermore, this study was based on a previously evaluated taxonomic group, birds, highlighting the need for future assessments to include other biological taxa and evaluation criteria, such as Criteria B or E, for a more comprehensive analysis.
        4,600원
        1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분포하고 있는 22개 오름의 식물상 자료를 활용하여 식물 생육형별 종풍부도에 대한 경관(오름 면적, 오름 높이, 오름 임상 다양성, 500m 내 녹지 면적) 및 환경인자(기후인자, 토양인자)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2개의 오름에서 총 153과, 486속, 870종의 식물이 관찰되었으며, 각 오름 내 종수를 활용하여 생육형별 종풍부도를 산출하였다. 식물의 생육형별 종풍부도의 제어인자를 추출하기 위해, 다모형추론법과 일반최소자승법을 수행했다. 그 결과, 오름 내 식물의 종풍부도를 제어하는 주요인자는 오름 면적, 높이 및 임상 다양성과 기후인자로 나타났다. 반면, 경관적 연결성을 대변하는 오름으로부터 500m 내 녹지의 면적과 토양인자는 종풍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면적 관계 이론에 기반한 면적효과와 서식지 이질성 효과의 증가는 균등한 자원분배와 다양한 서식지 유형을 야기하여 식물의 종풍부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연평균 기온 감소와 강수량 증가는 식물의 수분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종풍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기온 및 강수량에 따른 강한 환경 여과 효과는 이러한 기후조건에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토양인자와 분산 여과 효과정도를 대변하는 500m 내 녹지 면적의 효과를 상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면적이 작고 서식지 유형이 단순한 오름은 종의 멸종과 개체수 감소에 대한 민감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오름 내 서식지 이질성을 높이거나 환경에 적합한 식물종을 도입하는 등 경관 및 환경인자를 고려한 구체적인 관리전략이 도입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4,200원
        1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various regions of Jejudo Island, Korea to establish a more accurate and complete academic listing of mushrooms on the island by identifying and organizing them using base sequence analysis. Th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over five years, from 2019 to 2023, and included a total of nine sites in the southern, western, and eastern areas of Jejudo Island. In total, 481 unique mushroom varieties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These mushrooms included 387 specimens that were classified into 6 classes, 18 orders, 55 families, 118 genera, and 201 species, and 94 unclassified specimens for which the precise species was not known. The collected mushrooms classified by ecotype consisted of 148 species of saprophytes, 47 species of symbionts, and 6 species of parasites. Differences in occurrence patterns were also observed depending on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Finally, three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and two candidate species were also collected, as well as the tropical mushroom Macrocybe gigantea. This study identified 91 species of mushrooms that were previously unreportedon the Jejudo Island. According to the current findings and those previously reported, 7 classes, 26 orders, 123 families, 399 genera, and 1,102 species of mushrooms have been compiled on Jejudo Island to date.
        4,800원
        16.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도 모슬포 해역에서 채집된 대형 포식성 복족류인 붉은입두꺼비고둥(Tutufa bufo) 두 개체를 대상 으로 테트로도톡신(TTX) 존재 여부를 조사하였다. 일본에 서 채집된 붉은입두꺼비고둥의 내장에서 TTX가 검출된 사례가 보고된 바 있으며, 최근 제주도 남부 해역에서 해 당 종이 혼획되고 있으나, 한국 해역에 분포하는 붉은입 두꺼비고둥의 TTX 축적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쟁적 효소면역분석법(cELISA) 을 사용하여 붉은입두꺼비고둥의 주요 연조직(전타액선, 구강부, 소화 선, 생식소, 아가미, 신장, 근육, 후타액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조직에서 TTX 농도는 검출 한계 미만으 로 나타났다. 그러나 TTX 축적에는 개체 간, 지역적, 계 절적 변동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한국 해역에서 붉은입두꺼비고둥의 TTX 축적 위험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시료 확보와 계절별 연구가 요구된다.
        3,000원
        20.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rghum-Sudangrass hybrids (SSH) is a grass cereal hybrid crop with a high yield potential under different climatic condi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nutrient content of the SSH cultivars such as Dairy Mens Dream, Superdan and Supergreen from 2021 to 2023 in Jeju Island, Korea. Among the three cultivars, Superdan grew significantly taller with a larger stem diameter at both harvest times. In contrast, Dairy Mens Dream had least height and less stem diameter, but the dry matter yield was greater for Dairy Mens Dream than other cultivars. Furthermore, the crude protein content at the first cut was higher than 8.5% compared to the second cut (6.5 – 7.0%). The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 was higher in the second harvest of all cultivars compared to the first harvest of SSH in 2021. The SSH cultivation in 2021 and 2023 had higher ADF and NDF content than in 2022, possibly due to the average precipitation and optimum temperature suitable for SSH production in 2021 and 2023. The selected three SSH cultivars showed significant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content, and nutritional value. The overall data suggested that all three SSH showed significant productivity and nutritional content in the Jeju region of sub-tropical climatic condition.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