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송풍식 양파 줄기절단기를 수확기 양 파 엽 절단에 활용할 경우 적정 작업 조건을 구명하기 위해서 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처리구 중 식물체 엽 건조가 가장 많이 진행된(엽 건조 정도 : 66.3%, 엽 수분함량 : 50.5%) 6월 20일 엽 절단 처리구에서 평균 잔여 엽장은 6.7±3.5cm로서 작업 후 적정 잔여 엽장에 해당되는 범위인 4-10cm에 포함되므로 기계 엽 절단 성능이 처리구 중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줄기절단기 이용 양파 엽 기계 절단 시 평균 작업 속도는 0.17m·s-1였는데, 이는 인력 엽 절단 처리구의 평균 작업 속도 인 0.05m·s-1보다 3.4배 정도 빨랐으며, 이를 통해 해당 기종 을 이용하여 10a 면적을 작업할 경우에는 인력 작업(1인 기준) 에 비해 2.6시간 정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계 엽 절단 처리구에서의 손상구 발생률은 1.3%로서 인력 엽 절단 처리구의 0.0%에 비해 높았는데, 이로 인해 기계 엽 절단 처리구가 인력 엽 절단 처리구보다 저장 중 양파 구 부패 율이 평균적으로 높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처리별 저장 특성 을 살펴보면, 저장 8개월 후 구 부위(기부, 정부)별 부패율은 기계 엽 절단 후 잔여 엽장이 5.0cm 미만인 처리구에서 잔여 엽장이 5.0cm 이상인 처리구보다 높았다. 이는 잔여 엽 길이 가 5.0cm 미만인 처리구에서는 5.0cm 이상인 처리구보다 저 장 중 구 부패를 유발하는 병원균의 감염이 쉬우므로 장기 저 장 시 부패율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 결과와 실험 기 종의 성능 목표(작업 후 잔여 엽장 : 5cm) 및 양파 수확 시 적정 잔여 엽장에 관한 기존의 연구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경우, 본 실험에 사용된 줄기절단기 이용 양파 엽 절단 시 양파 의 적정 잔여 엽장은 5-10cm 정도일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토양 용토, 호르몬 종류 및 농도, 잎의 모양 차이 에 따른 넓은산꼬리풀의 삽목 발근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 었다. 토양 용토는 단일 원예용상토와 녹소토 그리고 원예용 상토:녹소토(1:1) 혼합용토를 사용하였다. 호르몬 종류는 IBA 와 NAA를 사용했으며 각각 무처리, 100, 500, 1000㎎·L-1를 처리했다. 잎의 모양은 잎 두매가 온전하게 달린 삽수, 잎 두 매를 반으로 자른 삽수 그리고 잎 한매를 반으로 자른 삽수를 조제하여 사용했다. 용토에 따른 발근은 녹소토를 단일로 사 용한 처리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원예용상토를 단일 로 사용한 처리에서 발근이 저조하였다. 호르몬에 따른 발근 은 IBA와 NAA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생물의 biomass를 나타내는 건물중이 NAA 보다 IBA에서 높게 나 타난 것으로 보아 IBA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잎 모 양에 따른 발근은 잎 한장을 반으로 자른 삽수가 가장 높은 생육이 나타났으며 온전한 잎 두장이 붙어있는 처리는 생육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넓은산꼬리 풀은 삽목시 반으로 잘린 잎이 한장만 붙어있는 삽수를 저농 도의 IBA에 침지 후 녹소토에 꽂는 것이 삽목에 효과적일 것 으로 보여 진다.
        4,000원
        3.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ulsi (Ocimum sanctum), commonly known as Holy Basil is a revered herb with a rich history in traditional medicine systems, particularly in Southeast Asia. For its medicinal properties, Tulsi has been regarded as an “Elixir of Life” and has been used to treat various ailments. However, th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Tulsi extracts and their potential pharmacological benefits, specifically in relation to antioxidant activity remains limited. H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ulsi leaf and stem extract using various screening methods. We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exhibited by the extract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involved the utilization of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ssay, the ferric reducing power assay and 2, 2-diphenyl-1-14 picrylhydrazyl (DPPH) assay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ulsi leaf extract (TLE)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nt activity when compared to the Tulsi stem extract (TSE) in all the performed assays. The higher content of phenolics in TLE may have contributed to its superior antioxidant activity. The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of TLE revealed the presence of eugenol, active compound for several therapeutic properties. These findings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bioactive compounds present in Tulsi extracts and their potential antioxidant benefits.
        4,000원
        4.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falfa is one of the most useful forage crops worldwide, containing a high level of amino acids that are essential to both human and animal health. However, amino acids and their concentrations may differ between plant parts. Hence, detecting amino acids in different plant parts would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diet suppl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mino acid content in alfalfa leaves, stems, and inflorescences using an amino acid analyzer. Asparagine and glutamic acid were the most abundant amino acids found in stems, leaves, and inflorescences than other amino acids. All parts of alfalfa had low concentrations of cysteine and methionine. All amino acids except asparagine were present in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leaves followed by inflorescences. Leaf had a rich amino acid content, namely asparagine, glutamic acid, leucine, proline, and lysine. However, the stem had a lower amino acid composition than the leaf or inflorescence. Overall, the data showed determining the amino acid content of forages provides a good approach to making animal feed with essential and specific amino acids and preventing excessive inclusion of amino acids.
        4,000원
        5.
        2021.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설 토양 오이재배에서 토양수분장력계를 이용하여 관수 제어하였을 때 오이의 광합성 형광반응, 수액 흐름, 엽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오이(Cucumis sativus L.)‘청춘’(해오름 종묘)을 공시하여 관수개시점 10-10-20kPa 또는 20-10-10kPa의 2처리하였다. 766 ~ 854 W·m -2 의 고광, 32°C 이상의 고온인 처리 66일 째 광합성형광반응변수(Fo, Fm, Fv/Fm)값은 처리 간 차이가 컸다. 66일 째 낮 시간 (오전 10시 반 ~ 오후 6시)의 Fo와 Fv/Fm값은 10-10-20kPa 처리보다 20-10-10kPa 처리에서 높았다. 엽온이 높았을 때 Fv/Fm값은 감소하였다. 28일과 66일째 엽생육(엽장, 엽폭, 엽면적)은 차이가 없었으나 엽록소 함량(SPAD 값)은 20-10- 10kPa 처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광도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줄기수액흐름상대율(SFRR)과 엽온은 상승하였다. 두 처리구 모두 SFRR은 광도 170 W·m -2 이상인 오전 8시 ~ 9시 간대에 급격한 증가가 시작되었다. 관수 후의 처리구 토양 온도는 감소하였으나, 7월 5일(광도 820W·m -2 , 오후 1시) 토양 온도가 10-10-20kPa에서는 31.0°C, 20-10-10kPa에서는 28.5°C였다. 그러나 처리 간 SFRR, 엽온, 기온차, VPD는 차이가 없었다. SFRR과 엽온 간에는 정의 상관성(p < 0.01, r = 0.770)을 보였으며, SFRR과 엽온은 광, 온도, 토양 온도, 토양 수분함량, VPD 간에는 정의 상관을 상대습도와 기온차 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4,000원
        8.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tioxidant activities (FRAP, ABTS, and DPPH),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lotus (Nelumbo nucifera) extracts. Lotus leaves, stems, and seed pods were extracted with deionized water at 95℃, and with 70.5% ethanol at 85℃. The TPC ranged from 8.12 to 215.12 GAE mg/g. The ethanol extract of the seed pod had the highest TPC, and the TPC of the corresponding deionized water extract was 161.45 mg/g. FRAP values ranged from 104.03 to 3,546.39 TEAC μmol/g,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ies ranged from 105.11 to 3,956.94 TEAC μmol/g,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anged from 37.29 to 2,549.46 TEAC μmol/g. EC50 values ranged from 0.26 to 9.63 mg/mL, and 0.31 to 21.21 mg/mL for ABTS and DPPH, respectively. The ethanol and deionized water extracts of the seed pod showed higher TPC and stronger antioxidant properties (FRAP, ABTS, and DPPH) than those of characteristic of the leaf extracts. The ethanol and deionized water extracts of the seed pod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and Pseudomonas aeruginosa with inhibition zones of 9.0 to 14.0 mm, and the ethanol extract of the leaf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 subtilis and S. aureus with inhibition zones of 9.0 and 10.0 mm, respectively. Thus, the lotus seed pod could be used to produce novel teas, and could be a potential source of therapeutic ingredients for food and medicine.
        4,000원
        9.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수준에 관하여 체계적인 연구분석(systemic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비가열 농산물의 위생안전관리를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인쇄된 관련 연구논문을 NDSL 검색 엔진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 리뷰, 자료 정리, 분석 및 결과 정리하였다. 농산물 분류체계를 비교 조사하여 미국의 IFSAC (Interagency Food Safety Analytics Collaboration) 의 식품분류체계에 따라 국내 농산물을 분류하였다. 선정된 22건의 논문 내 89건의 데이터를 종합한 결과, 분 류체계 내에서 국내 농산물에서 총균수 수준이 높고 대장균 오염이 가장 많은 농산물은 엽경채류와 새싹·발아채 소(sprouts)로 나타났다. 단체급식에서 생채소로 소비되는 엽경채류에서 단체급식의 다소비 농산물로서 식중독과 연관성이 높은 품목인 상추, 부추, 배추에 관하여 미생물에 관한 자료 검색, 수집, 선정 및 분석 결과 최종 33편의 논문에서 미생물의 정량적 수준은 총균수 4.15~ 7.69 log CFU/ g, 대장균군 1~6.99 log CFU/g, B. cereus 0.51~3.9 log CFU/ g으로 나타났다. GAP 데이터 기반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문헌조사 결과 퇴비, 토양, 작업 자 손, 장갑이 주요 영향인자로 나타났다. 농산물의 미생 물학적 관리를 위하여 전문가 의견과 문헌조사를 통하여 GAP도입, 취약 품목의 미생물학적 분석계획, 토양으로부터 작물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작물생산방식 도입 및 실행규범 준수가 필요하다.
        4,000원
        10.
        2017.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ubus coreanus is known to have diverse biological properties, such a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In the present study, Rubus coreanus leaf and stem extract (RLSE) was used in boar semen preservation whether it has a beneficial effect o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in mammals. Boar spermatozoa were preserved in Beltsville thawing solution (BTS) in the presence of varying concentrations of RLSE (0-10 μg/mL). Sperm motility, sperm viability, an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were examined after 2 days of preservation. The percentage of total motile spermatozoa and progressive motile spermatozoa improved in the spermatozoa preserved with 0.5 μg/mL RLSE. Higher proportions of viable spermatozoa were seen in the presence of 0.5 and 1 μg/mL RLSE than in the control. Intracellular ROS levels decreased when the spermatozoa were preserved in BTS with 0.1–1 μg/mL RLSE. In order to examine the bacterial growth, E. coli was added to liquid semen diluted with antibiotics-free BT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RLSE. No anti-bacterial activity of RLSE against E. coli was observed during liquid semen preservation. Although there was no inhibition of E. coli growth, the addition of RLSE might help improve sperm motility and viability during boar semen preservation, suggesting it as a potential reagent for ART in mammals.
        4,000원
        11.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biochemical factors in lotus (Nelumbo nucifera) leaf, stem, and yeonjabang and their effects on serum factor levels in mice fed a high-fat (HF) diet. The loutus leaf showed 9.47±0.30% moisture content, 8.25±0.39% ash, 21.45±1.25% crude protein, and 2.21±0.13% crude fat content; the lotus stem showed 11.84±0.43% moisture, 10.21±0.64% ash, 17.55±0.92% crude protein, and 4.16±0.23% crude fat content; and the lotus yeonjabang showed 11.86±0.50% moisture, 6.81±0.51% ash, 18.71±1.02% crude protein, and 3.95±0.15% crude fat. Blood triglyceride levels were higher in the HF group (146.43±38.81 mg/dL), and lower in the HF+yeonjabang groups (98.00±17.18 mg/dL). In particular, blood triglyce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s that had 10% dry yeonjabang powder added to the high-fat diet. The inclusion of excessive high-fat diet increased concentrations of serum insulin and leptin. Serum leptin concentrations were highest in the HF group mice (3.00±1.35 ng/dL), whereas the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yeonjabang groups by 1.34±0.52 ng/dL (p<0.05). Thus, addition of dry yeonjabang powder to the high-fat diet was more effective in regulating the levels of serum triglycerides and leptin in mice. Additional studies would help in the development of yeonjabang as a functional food.
        4,000원
        12.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역별, 학교별, 계절별 고등학교 급식 식단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관련 주요 영향 인자를 도출하고자 식단 데이터를 수집하고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안전관리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급식식단 중 PHF(Potentially Hazardous Food) 해당여부, 사용빈도가 높은 엽경채류, 식단 조리방법에 관하여 빈도 분석과 다중대응분석(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MCA)을 실시하였다. 중부지역과 남부지역의 각각 3개 고 교, 총 6개 고등학교의 3, 6, 9, 12월 제공된 총 1,945개 식단의 빈도분석 결과, PHF에 해당하는 식단은 데친 나 물류, 샐러드, 해조류, 닭튀김 등이 사용빈도가 높았다. 조리방법은 가열 여부에 따라 단순 가열, 단순 비가열, 혼합 여부에 따라 가열한 식재료와 가열한 식재료의 혼합, 비가열한 식재료와 비가열한 식재료의 혼합, 가열한 식재료와 비가열한 식재료의 혼합으로 구분하였는데, PHF 제품 내 단순 비가열과 가열한 식재료와 비가열한 식재료의 혼합과 같은 메뉴 유형도 33.1% 수준으로 나타났다. 사용빈도가 높은 엽경채류는 시금치, 부추, 상추, 양배추, 깻잎, 양상추, 치커리, 파, 브로콜리 순서로 나타났다. 전체 식단 중 사용빈도가 높은 엽경채류 14종 370개의 데 이터에 대한 MCA 결과 PHF에 해당하는 엽경채류에는 양상추, 청경채가, Non-PHF에 해당하는 엽경채류에는 브로콜리, 양배추, 치커리, 깻잎이 주로 사용되었다. 지역별로는 중부지역에서는 마늘쫑과 시금치가, 남부지역에는 미나리 사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향후 단체급식에서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높일수 있도록 생산단계에서 오염원 차단(GAP 인증), 저감 및 세척 공정 개발, 식재료별 조리방법에 따른 메뉴 데이터 베이스화, 미생물학적 안전성이 확보되는 조리방법을 활용한 식단 개발 및 검증이 필요하다.
        4,000원
        13.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는 전 세계적으로 대표적 과수의 하나로서 우량 사과의 생산을 위하여 신속하고 경제적이며 정확한 사과바이러스 진단이 요구되고 있다. RT-PCR은 사과바이러스 진단을 위한 중요한 기술로 서 우선 시료조직의 분쇄 및 균질화를 통한 양질의 RNA 추출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분쇄작업은 다 량의 시료의 경우 많은 시간과 노동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 분쇄과정이 없이 단순 가열에 의한 RNA 추출을 시도하였으며 줄기조직이 잎조직보다 약간 더 적합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RT-PCR에 의한 사과바이러스 진단에서는 모두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로써 사과 조직에 대한 단순가열로써 매우 간편하게 양질의 RNA추출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4,000원
        1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의 잎무늬종 맑은대쑥 (Artemisia keiskeana)을 원예 및 조경용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삽목 시 삽수부위, 용토의 종류 및 오옥신류의 처리가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삽수부위별 처리에 있어서 신초의 정단부보다 중간부와 기부를 삽수로 이용하는 것이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에 좋았으며 특히 중간부의 경우, 발근율이 68.3%로 가장 높았다. 삽목용토에 있어서 피트모스는 발근시작일이 가장 늦었고,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 발근율과 생존율 모두 낮았던 반면, 버미큘라이트에서는 발근시작일이 가장 빨랐고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도 가장 효과적이 었으며, 발근율 88.3%, 생존율 99.2%로 용토처리 중 가장 좋았다. 오옥신 처리를 한 경우, 대조구에 비해 발근 율과 생육이 우수했다. 대조구는 발근율이 41%로 낮았으 나 처리를 한 경우 발근율이 80%이상으로 현저히 높 았다. NAA를 처리한 경우가 IBA를 처리한 것에 비해 근장과 근수를 포함한 지하부의 생육이 좋았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존율과 발근율이 높았으며 지하부의 생 육도 좋았다.
        3,000원
        16.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d clover, ladino clover, white clover, alfalfa, 차풀 그리고 갈키나물등 6종의 콩과식물에서 잎과 줄기의 Esterase Isozyme를 추출하여 starch gel 전기영동법으로 분리한 후 염색하여 종간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공시된 식물의 Esterase Isozyme의 band수, 염색강도, 이동속도는 종간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동일종에 있어서는 alfalfa를 제외하고는 잎과 줄기사이에 band의 수는 차
        3,000원
        17.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arch addition on the fermentative quality and dry matter digestibility(DMD) of Kudzu(Puerari~ thzmbergii Bentham) silage. The herbages was ensiled by the conventional methods in small plastic s
        4,000원
        18.
        199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혼파초지에서 봄철 1차 이용시기와 1차 이용후 재생기간에 따른 목초의 일당 건물생산량, 경엽분포비율, 일반성분함량 및 세포벽 구성물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차 이용시기(주구)를 영양생장기(초장 25-30cm), 절간신장기(초장 40~50cm) 및 출수기(초장 60~70cm)로 하고 1차 이용후 재생기간(세구)을 20, 30 및 40일로 하여 1987년도와 1988년도 2개년에 걸쳐 실시하였다. 1차 이용시 일당생산량은 늦게 이용할수
        4,000원
        20.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roots of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are used as medicines such as expectorants, and they are edible.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currently has a very small cultivation area, and there are no breeding cultivars, most of the native species are cultivated in the farm house.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identification of collecting species characteristic in order to breeding strategy. In this study,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leaves and stems of the collecting species in the area were observed. Methods and Results :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nsam collected from three areas including Cheolwon (41 accession), Jeongseon (19 accession), and Pyeongchang (15 accession) were investigated at the flowering stage on leaf and stem.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leaf characteristics, The leaf shape was the most frequent with 78.9% in the kidney type, 8.5% in the cardiac type, 7.0% in the wide-elliptical type, and 2.8% in the egg and egg-oval type. The leaf length was the most frequent with 67.1% in case of short, 28.6% in case of middle, and 4.3% in case of long. The leaf width was 67.1% in case of middle, 30.0% in case of broad, and 2.9% in case of narrow. Leaf hair was 47.1% in case of plenty, 27.1% in case of middle, and 25.7% in case of small number. The degree of greenness of the leaves was 60.0% in case of middle, 31.4% in case of darkness, and 8.6% in case of lightness. The degree of pigmentation of anthocyanin in petiole was 41.4% in case of lightness, 31.4% in case of darkness, and 27.1% in case of middle.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stem, The presence and absence of hair on the stem was 95.7% in case of little, 2.9% in the middle, and 1.4% in case of plenty. The degree of staining of anthocyanin in the stem was 42.9% in case of middle, 30.0% in case of darkness, and 27.1% in case of lightness. Conclusion : We intend to use this data as a basic data for cultivating varieties by supplementing investigation of traits such as expansion of collection area and investigation object and flower shape in the future.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