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ting animal hospitals can induce significant stress in dogs, potentially adversely affecting their long-term health and behavior.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stress responses in dogs during veterinary visits and identified effective mitigation strategies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e selected using the keywords ‘animal hospital’, ‘veterinary examination’, ‘stress’, ‘handling’, ‘low stress’ and ‘dog’ from the PubMed database, during June 1 to July 31, 2024. A total of 19 studies were included and analyzed.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showed that the presence of an owne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lleviating stress levels in dogs. Moreover, the owner'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inspection process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stress response, especially during routine procedures that can cause anxiety. 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of low-stress processing techniques is recommended in order to minimize unnecessary stress, and these tools promote a more positive experience for the dog during the veterinary visit. Thus, the administration of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such as trazodone and gabapentin prior to veterinary visits was shown to effectively reduce anxiety and stress, contributing to a more favorable overall experience for the animal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mportance of owner involvement, the systematic application of low-stress handling techniques, and careful use of pharmacological agents. Through this study, we believe that veterinary practices can develop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clinical environment, which can ultimately improve health outcomes and increase well-being for canine patients.
목적: 본 연구는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인지중재에 대한 국내연구를 대상으로 치료의 대상, 유형과 효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인지재활 분야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활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자료수집은 국내 학술논문 데이터베이스인 DBpia, e-articl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을 사용하여 2010년 1월부터 2023년 6월까지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문헌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어플리케이션” OR “애플리케이션” OR “앱” OR “태블릿” OR “아이패드”) AND (“인지” OR “기억력” OR “주의집중력” OR “문제해결” OR “실행기능”)이었다. 검색된 총 4 3 9편의 문헌 중 최종적으로 12편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선정된 12편의 문헌에서 질적 수준 Ⅰ단계에 해당하는 무작위대조군 연구는 5편으로 파악되었으며. 대상자는 주로 성인(75%)이었고, 질환으로는 뇌졸중(33.3%)이 가장 많았다. 중재된 인지영역은 기억력과 주의력이 각각 10편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시각인지로 5편이었다. 12편의 문헌에서 총 18개의 애플리케 이션이 이용되었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지중재는 인지 기능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수행, 삶의 질, 우울, 불안, 치료선호도 등과 관련된 기능 향상에도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인지 중재를 지원하는 유망한 치료도구임을 확인하였으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디지털 인지재활의 근거 기반 중재를 위해, 관련 연구의 질적 수준, 대상, 중재 방법, 효과 유무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인지중재의 임상적 효과의 일반화를 위해 관련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며, 이에 본 연구의 정보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길 기대한다.
목적: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발행된 장애인 자가운전 관련 문헌을 체계적으로 분석 및 고찰했다. 연구방법: 국회도서관,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DBpia, Google Scholar에서 2014년 1월부터 2023년 12월 사이에 발행된 문헌을 검색했다. 검색어는 “장애인” & “자가운전”을 사용했으며, 총 검색된 문헌은 469편이었다. 이중 선정기준에 부합한 문헌 28편을 분석했다. 결과: 국내에서 발행되는 장애인 자가운전 관련 연구는 점차 감소하고 있었다. 발행된 문헌의 유형은 학술지가 가장 많았다. 문헌의 연구를 수행한 제1저자의 소속은 작업치료학과와 재활과학⋅공학과 소속이 가장 많았고, 연구 분야는 장애인의 자가운전을 촉진 및 지원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가장 많았다. 연구 설계는 실험연구가 가장 많았지만, 전반적인 연구 수준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국내에서 발행된 장애인 자가운전 관련 문헌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연구 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장애인 자가운전을 지원 및 보장할 수 있는 선진형 체계가 국내에 도입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목적: 본 연구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고립 중재를 살펴보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12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SCOPUS, Web of Scienc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CINAHL을 데이터베이스로 이용하여 검색하였고, 주요 검색용어로는 “social isolation” AND (“older” OR “elder” OR “aged” OR “geriatric”) AND (“living alone” OR “live alone”) AND “intervention” 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5편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결과: 선정된 5편의 연구 중 4편의 연구에서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된 중재를 제공하였고, 나머지 1편의 경우 컴퓨터 기반 중재를 제공하였다. 중재를 시행한 결과,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에도 사회적 지지, 환경적 삶의 질, 삶의 만족도, 기술적 소양, 웰빙, 그리고 사람과 공공 사회 보장에 대한 신뢰 향상의 효과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고립을 호소하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중재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는 작업치료 현장에서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 중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the marketing literature has given considerable attention to the concept of online consumer misbehaviour. However, this increased interest has resulted in a significant accumulation of knowledge, leading to fragmentation and confusion in the field. This situation has serious implications for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s it impedes the development of a coherent and unified understanding of the field. To address this issue, this paper presents a systematic review aimed at consolidating and organizing the available research on online consumer misbehaviour. The paper provides a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the concept of OCM. Additionally, the paper identifies and discusses the existing theories used in the field of OCM research.
Due to the rise of global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oncerns, many journal articles related to “fashion sustainability” have been disseminated over the last 20 years. According to Google Search Trends (2010-2021), the number of searches for “sustainable fashion,” “fashion clothing” and “fast fashion” has increased since 2016, particularly “sustainable fashion.” Despite a substantial amount of published papers, many research studies are fragmented and disconnected due to their specific research objectives, focuses, and approaches (Tian et al., 2018).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can identify key research themes, trends, and developmental patterns while also illuminating the complexity of the subjects. This study has three overarching objectives: (1) to provide a comprehensive report of scholarly articles published from 2010 to 2021 focusing on fashion sustainability research, (2)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fashion and sustainability, and (3) to identify significant sustainable and non-sustainable attributes in clothing selection, evaluation, and consumption processes.
Following the Antecedents, Methods, and Outcomes (AMO) framework, this paper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corporate activism (CA) in an international context. Through an in-depth review of publications over the past 33 years, we aim to shed light on the rising trend of CA and identify its most important antecedents, manifestations, and the short-term and long-term consequences of CA. In this context, we focus particularly on cross-country differences. Guided by the scientific Procedures and Rationales for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Protocol (SPAR-4-SLR), this paper offers a framework-base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CA. We observe that the topic of CA is somewhat underexplored in the literature. Moreover, CA is very often misinterpreted, and lines between CA and similar terms, such a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EO activism, and lobbying often remain blurred. Nevertheless, our review identifies a rising trend among companies to express their stance on various controversial issues. Reflecting this trend, we can also witness a substantial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ies on CA over the past two years. Through the articles identified in our literature review, we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common antecedents and manifestations of CA, but also observe a lack of conceptual clarity in many extant contributions on CA. As to the outcome of CA, the literature indicates that the long-term and shortterm consequences of CA also still call for further analysis. The international nature and ramifications of CA, recently highlighted by the considerable CA in response to the war between Russia and Ukraine and its spillover effect worldwide, is neglected in current research. Thus, given the international dimension of some CA there is a particular need to research both, national idiosyncrasies and international consequences of CA.
The subscription model, prominent within the ‘subscription economy’ (SE), is now a popular form of business within many industries. In simple terms, a subscription model entails two parties (customers and firms) entering into an agreement whereby the patron commits to make regular payments to the supplier, who in exchange periodically delivers an agreed bundle of goods and/or services. Although mostly applied within Business-to-Consumer (B2C) markets (e.g. entertainment services, newspapers and media industry, software licences), the subscription model can be found in Business-to-Business (B2B) markets also (e.g. Rolls Royce ‘Power-by-the-hour model’). This unique form of commerce (i.e. committed repeat patronage) creates an altern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buyer and seller to other more traditional forms of business.
본 연구는 1979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문신 및 반영구화장 관련 논문 198편을 대상으로 발표시기, 주제, 연구방법에 따라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시기별로는 제1기(1979년∼1994년), 제2 기(1995년∼2005년), 제3기(2006년∼2012년), 제4기(2013년∼2022년)로 나누었다. 제1기에는 보건의료적 측면의 연구가 주를 이루던 시기이며 제2기에는 예술, 문화 등 다양한 측면의 연구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 다. 제3기는 반영구화장에 관한 연구가 증가한 것이 특징이며 제4기는 문신 및 반영구화장의 연구가 급증 하였다. 연구주제별로는 보건·의료, 미용, 패션·예술, 사회·문화, 법·제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비 자의 선호도와 인식도 등을 파악하기 위한 미용적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보건의료적 연구가 두 번째로 많았다. 최근 법제화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법·제도와 관련한 연구들이 급증하였으며, 문화, 역사, 패션 등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연구방법별로는 조사연구 방법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문헌 연구, 사례연구 등 다양한 방법도 이용되었다. 본 연구로 향후 후속 연구가 더욱 촉진될 것이며 관련 산업 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제조기업의 혁신전략은 기업의 기술경영활동에 있어서 기술의 확보, 연구개발, 제품혁신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궁극적으로 경쟁우위와 연결되기 때문에 기업의 기술경영을 논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동안 국내 제조기업 혁신전략 연구는 기업 규모별·산업별 혁신전략, 혁신 성과, 혁신을 위한 자원 확보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으나, 이들 연구 결과를 종합적⋅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내 학계의 제조기업 혁신전략 논의를 종합하고자 2005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학술재단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국내 제조기업 혁신전략 연구 51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 문헌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크게 세 가지 측면(분석대상, 연구초점, 혁신전략 유형) 에서 논의 결과를 종합하고 국내 제조기업 혁신전략 연구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제조기업 혁신전략 연구는 위 세 가지 측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일부 분야에 편향된 연구가 이루어져 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제조기업 혁신전략 연구의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목적 :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외 스노즐렌(다감각환경) 중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EBSCOhost, Embase, PubMED, KISS, RISS 데이터베이스에서 2021년 12월까지 게재된 모 든 문헌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최종 선정된 13편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종속변수 및 중재효과, 사용된 평가도구, 스노즐렌 중재 제공의 형태 등을 제시하였다.
결과 : 선정된 모든 연구는 국외에서 진행된 실험연구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약 35.8 세였다. 스노즐렌 중재 대상자는 지적장애인이 가장 많았으며, 다수의 연구에서 대상자의 도전행동과 관 련된 종속변인을 설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13개의 연구 중 한 가지 이상의 영역에서 스노즐렌 중재의 긍정적인 영향을 보고한 연구는 총 10개(76.2%)로 대부분의 연구에서 중재의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 으며, 효과는 주로 행동관찰법을 사용하여 평가했다. 스노즐렌 제공의 평균 시간은 약 30분으로 개별 중 재로 진행된 연구가 주를 이뤘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스노즐렌 중재가 성인 발달장애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적절한 중재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판단의 근거로 사용되거나 관련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과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사용한 인지 중재의 효과와 적용방법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1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RISS, KISS, 국회도서관, Pubmed, Web of science, Science direct애서 10년간의 문헌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로 ‘인지’, ‘작업치료’, ‘가상현실’, ‘증강 현실’, ‘Cognitive’, ‘Occupational’, ‘VR’, ‘AR’을 사용하였다. PRISMA의 Flowchart 4단계를 거쳐 총 18편의 문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선정된 18편의 모든 문헌에서 작업치료사가 VR과 AR을 사용한 인지 중재는 인지수준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운동기능, 일상생활활동, 시지각, 심리사회적인 부분에서도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작업치료사가 VR과 AR을 사용한 인지 중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중재의 효과를 확 인하였다. 이를 통해 임상에서 근거중심적인 중재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임상적 정보와 근거 자료 를 마련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이후 임상에서 더 유용하게 널리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SLR) are very important to track the extent to which studies related to the formulation of Halal Catering on board have been previously studied by previous scholars. Therefore, the SLR study requires a clear and detailed understanding concerning the study direction for each selected article by analyzing the scope of the study and its dimensions as the main emphasis whether it has been discussed by any previous scholar or otherwise. Through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literature reviews will enable the specific detection of the title of the study. Even SLR analysis is also able to compare in terms of the year the article was publish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scope and dimensions of each article by selected scholars referred to 16 scholars from the year 2012 until 2017. Regards to methodology, SLR emphasised into five stages such as i) Time Frame, ii) Selection of a database, iii) Journal selection, iv) Article selection and v) Literature review analysis. Analysis, discussion, and findings will be focusing on the scope, dimensions, and years of studies by using figures, tables as facilitators of analysis and findings. Hence, the role of Halal institutions will be able to assess its ability to form halal rules with the involvement of stakeholders and the scope that has been affected in detail.
The customer engagement construct has been widely investigated in the marketing literature since 2005. Scholars in hospitality and tourism have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is construct and tried to propose both conceptual framework (e.g., So, King, Sparks, & Wang, 2016) and measurement scale to capture this phenomena (e.g., So, King, & Sparks, 2014).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in many issues such as conceptualization (Dijkmans, Kerkhof, & Beukeboom, 2015) and dimensionality (Romero, 2017). In addition, this construct is relatively new in hospitality and tourism. Hence,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and what has been done in the past are indispensable for researchers since it reduces research fragmentations in the future. The study aim is to use existing works in hospitality and tourism literature with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summarize facts and address the future research. SCOPUS and ISI were employed as the main databases to search and identify the relevant articles. A total of 19 out of 590 documents was identified and selected to analyze and classify based on types of research, country, and journal. In addition, the issues of theoretical background, conceptual framework, conceptualization, dimensionality, statistical analysis, key contributors are summarized respectively. Finally, this study addresses the scope of potential future research in a realm of hospitality and tourism.
Marketing is a broad discipline spanning numerous fields, often leading to cross-disciplinary research. It is a saturated discipline with numerous academic outputs published annually. With a constantly expanding knowledge base, and increased emphasis on researchers ‘proving the worth’ of their research, marketing scholars are increasingly required to quickly search, extract and synthesize literature. Researchers must then be able to demonstrat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ir research context. This often calls for a systematic approach. Typically,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LR) searches are conducted across multiple databases, over a number of years, which is a lengthy and complicated process that can result in errors. The present research outlines the search strategies of previously published SLR’s searches, and replicates these searches in Google Scholar (GS). The aim is to understand the reliability of GS as a primary search tool to, potentially, alleviate lengthy and complicated procedures seen in existing SL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