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57

        361.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감 해충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현재까지 주로 화학 살충제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화학 살충제의 과다 사용은 해충 저항성과 농약 잔류 문제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유기농자재 (Eco-Friendly Organic Pesticides; EFOP)의 주요 단감 해충 인 감꼭지나방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살충 활성을 검토하였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친환경 유기농자재 11 종을 실험실 조건에서 대상 해충에 분무 처리하였다. 대조 약제는 화학 살충제인 buprofezin+dinotefuran (20+15) 수화제를 사용하였다. 감꼭지나방에 대한 유기농자재의 살충 효과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감꼭지나방 유충의 개체수 부족 문제로 인하여 배추좀나방 유충을 1차 실험충으로 사용하였으며, 세 종류의 친 환경 유기농자재를 사전 선발하였다. 선발된 친환경 유기농자재는 목초액 (EFOP-1), 회화나무, 양명아주, 멀구슬나무의 혼합추출물 (EFOP-2),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NT0423 (EFOP-11)이었으며, 선발된 유기농자재의 감꼭지나방 유충에 대한 살충력 실험 결과, EFOP-2 의 처리구에서 생충율이 27.7% (5 일차), 13.3% (7 일차), 6.7% (10 일차)로 가장 높은 살충 효과를 보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살충 효과 평가에서는 회화나무, 양명아주, 멀구슬나무의 혼합추출물 (EFOP-2, EFOP-9)과 고삼, 데리스의 혼합추출물 (EFOP-10)이 높은 살충 효 과를 보였다. 특히 EFOP-2의 처리구에서 생충율이 20.0% (5 일차), 16.7% (10 일차)로 가장 높은 살충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친환경 유기 농자재인 EFOP-
        4,000원
        362.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에서 저수태 발생율은 5∼35%로 지역, 조사방법 및 연구자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보고 되고 있다(Purohit, 2008). 저수태의 원인으로서는 비정상적인 번식기관, 자궁 내 감염, 호 르몬 이상, 사양관리 부적합, 복합적 요인 등이 관여하고 있는데(Singh 등, 2008), 이 중에 서도 자궁 내 감염의 요인이 2.4∼20.0%로 비교적 높게 보고되고 있다(Rao, 1981). 자궁질 환을 가진 대부분의 암소들은 황체단계가 연장됨에 따라 무발정형태로 나타나게 되므로 적극적인 대처가 요구된다는 점에서, 호르몬 투여방법을 포함하여 PGF2α나 estradiol의 투 여 그리고 항생물질이나 povidone-iodine(PVP-I)의 자궁 내 주입과 같은 많은 치료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호르몬 잔류, 항생제 내성균 및 처리 중단시기 등의 문제점들을 가 지고 있다. PVP-I는 처리 중단시기가 필요하지 않고, 과도한 투여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우유로 전이되지 않으며, 구입이 쉽고, 저렴하며, 투여하기가 용이하다는 실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매우 고무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Rayos 등, 2002). 또한 자궁내막의 환 경을 개선하고, 암소의 자궁수촉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PGF2α를 생산하는 역할이 빨리 회 복된다(Ahmed와 Elsheikh, 2014). 그러나 PVP-I는 농도가 중요한데, 농도가 너무 높으면 자궁벽을 자극할 수 있고 문제를 더 키울 수 있는 반면에, 농도가 너무 약하면 효과가 나 타나지 않거나, 어떤 유형의 미생물이 제거되는 대신에 다른 기회적 미생물이 점유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가 있다(Rayos 등, 2002). 자궁내막염을 가진 암소의 경우에는 자 궁 내에 존재하는 화농과 유기물의 잔재가 PVP-I 용액의 살균효과를 저해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견해도 있으나(Nakao 등, 1988),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1% 및 2% PVP-I 용액이 번식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Mido 등, 2016; Ahmed와 Nour, 2015; Ahmed 등, 2013; Knutti 등, 2000; Edwell 등, 2000; Rayos 등, 2002; Koujanz 등, 1996). 본 연구에서는 2% PVP-I 용액을 저수태우의 자궁 내에 주입하여, 발정발현 및 수 태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저수태우에 2% PVP-I 용액을 50mL 자궁 내에 주입하여 자연발정 비율, 유기발정(PGF2α)에 의한 발정발현율, 자연 및 유기발정에 의한 수태율, 황체중기 및 황체중기 이외의 단계에 따른 자연발정 발현율을 조사하였다. PVP-I 처리 후 자연발정 비율은 27.3%(3/11두)였고, 유기발정에 의한 발정발현율은 87.5%(7/8두)였으며, 자연 및 유기발정에 의한 수태율은 63.6%(7/11두)였다. 황체중기(발정 주기 5∼10일) PVP-I 처리에 따른 자연발정 발현율은 60%(3/5두)였고, 황체중기 이외에 PVP-I 용액을 처리한 경우의 자연발정 발현율은 0%(0/6두)였다.
        363.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이하 무척추동물 포함) 및 미생물은 매우 풍부한 생물다양성으로 오랫동안 지구상 거의 모든 지역에서 서식하고 있다. 이들은 다양한 환경에서 뛰어난 생존능력을 지니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효율적인 먹이섭식 방법이다. 본 연구진은 곤충 장(腸)내에서 먹이 소화에 관여하는 여러 미생물들을 분리 동정하고, 이들이 생산하는 다양한 효소들의 특성분석, 생산균주 개량, 경제적 대량생산 및 제형화 기술을 개발하여 관련 제품을 국내외 시장에서 사업화하였다. 대표적인 사례로, 무당거미(Nephila clavata)에서 분리한 미생물이 생산하는 고기능 단백질분해효소(protease)이다. 아라자임(Arazyme)으로 불리는 이 효소는 보통 조건에서는 물론 광범위한 온도, pH, 염분농도, 기질(substrates)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지니며, 천연 항생 및 항염증 활성과 함께 무독성인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다. 현재 아라자임은 식품, 의약, 화장품, 동물사료 및 기타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 용도범위를 계속 확대해가고 있다. 털두꺼비하 늘소(Moechotypa diphysis)에서 분리한 미생물이 생산하는 자일라나제(xylanase)는 기존에 보고된 상업용 효소보다 응용잠재력이 높은 환경조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지니고 있어 동물의 소화효율을 향상시키는 사료첨가제 등으로 개발, 국내외에서 사업화하였다. 그밖에 다양한 곤충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의 리파아제(lipase), 만난아제(mannanase) 등도 개발하였다. 생물다양성보전협약(CBD) 및 나고야의정서(ABS) 레짐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국가 전략적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적극적 수단으로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곤충을 활용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관련 과학기술 및 산업 경제적 관점에서 큰 응용잠재력을 실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후변화, 인구문제, 경제위기 등 글로벌 환경과 이미 맞이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국가GDP에서 연구개발비예산 비중이 세계적 선도 수준에 부합하는 관련 성과창출을 통해 R&D의 전주기적 선순환구조를 수행해야 하는 주체의 하나로서 우리 학회 회원님들의 역할이 더욱 기대된다.
        364.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야생의 모래거저리(Gonocephalum pubens)를 실내 사육에 필요한 사료, 온도, 습도 등의 사육조건에 따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산란 수, 부화율, 부화 전 기간 등에 가장 효율적인 모래거저리의 주 사료는 밀기울 배지로 조사되었으 며, 채란 후 60일 경과일수에 생체중은 밀기울 배지에 유충이 14.65±0.44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온도에 따른 유충의 발육기간는 15℃에서는 산란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20℃에서 222.26±0.41일로 가장 길었으며 30℃에서 158.52±0.46일로 가장 짧은 일수를 나타내어 온도가 증가할수록 유충의 발육기간이 짧아짐을 보였다. 평균온도 25℃, 평균 상대습도 50%, 광주기 14시간의 조건에서 유충의 발육기간은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L.)에 비해 모래거저리가 20.66일이 더 길었으며 150일 경과일수에서의 체중은 갈색거저리가 57.1mg이 더 많았다. 모래거저리 유충의 영양성분, 항생잔류성, 병원성미생물 등 종합 분석한 결과 상업용 거저리로 활용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365.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인류는 BC 5,000년부터 농산물을 발효하여 먹어 왔을 것으로 추측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농사를 주업으로 하고 3 면이 바다에 접하여 곡류, 두류, 채소류를 사용한 발효 식품이 통일신라시대 이전에 이미 식생활에 이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발효는 미생물이 농산물을 분해 변화하여 사람이 먹었을 때 흡수력 증대, 영양성분의 변화, 신물질 생성, 항산 화 효과 등의 좋은 점이 있다. 최근에 100세 시대를 맞이하여 몸에 좋은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고조되며. 특히 검 은색 농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오디는 전통적인 기능성 식품으로 동의보감에서 당뇨, 오장에 좋고, 오늘 날에는 안토시아닌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 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생산량은 (’09) 5,613 → (’10) 5,626 → (’11) 6,752 → (’12) 6,160톤으로 2011년까지 증가 추세였다. 최근에 소비가 주춤하면서 소비확대를 통 한 생산자의 소득확보를 위해 가공식품화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오디의 발효액 제조를 위한 장치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착즙기 및 발효요인시험장치를 사용하여 기초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오디의 착즙은 햄 머밀로 1차 분쇄후 유압식 착즙기를 이용하는 방식과, 분쇄 없이 바로 착즙하는 방식으로 하였고, 발효는 착즙액+설탕 →살균→젖산균 접종→발효(30°C, 7일)에서 실시하였다. 이때 착즙에는 생과와 냉동과를 각각 사용하였으며 착즙률이 높은 시료 착즙액을 대상으로 발효를 하였다. 조사내용은 착즙률, pH 등을 조사하였다. 착즙률은 냉동과를 해동후 분 쇄 없이 바로 착즙하였을 때가 84.2% 가장 높았다. 이는 냉동에서 과육의 조직이 파쇄 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반 면 분쇄하였을 때는 생성된 작은 입자들이 착즙기에서 배출되는 작은 구명을 막아 즙액의 배출을 방해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발효액의 pH를 측정한 결과 4.42(0일)→4.44(3일)→4.36(6일)→4.34(9일)→4.34(12일)로 6일 이후에는 큰 변화 가 없어 발효기간은 1주일 정도가 가장 적당한 기간으로 생각된다.
        366.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protozoal plant extracts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and methane emission. Ruminal contents were collected from two ruminally-fistulated steers (Average BW: 450±30 kg) consuming 60% Timothy hay and 40% concentrate with free access to water and mineral block. Plant extracts, Lonicera japonica, Torreya nucifera, Zanthoxylum schinifolium, Poncirus trifoliate and Citrus junos, which have been known to have antiprotozoal and antiparasitic effects were added (5% of substrate) to the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bottles containing the mixture of rumen fluid and McDougall’s buffer. The McDougall buffer (1000 ml) and ruminal inoculums (500 ml) were combined and 20 ml added to the 50 ml fermentation vessels containing 300 mg of substrate (DM basis). The fermentation vessels were placed in an incubator at 39°C for 3, 6, 9, 12, 24, 48 and 72 h with shaking. Plant extracts addition was decreased (p<0.05) acetate:propionate compared with control except with T. nucifera addition. Total gas production was increased (p<0.05), whereas methane emission was decreased (p<0.05) by all plant extracts compared with control at 12 h incubation. Methane emission at 24 h incubation was decreased for Lonicera japonica, Torreya nucifera,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compared with control as well. In addition, methanogenic archaea was decreased (p<0.05) by all plant extracts at the 12 h incub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lant extracts may decrease methane emission by inhibiting methanogenesis without the decrease of total gas production in 12 h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Therefore, plant extracts which have the antiprotozoal effect may be promising feed additives for ruminants as a methane inhibitor
        4,500원
        367.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어린잎 채소와 생산환경에서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11종의 어린 잎채소와 종자, 관개용수, 상토, 작업도구 및 작업자 장갑 등 총 126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위생지표세균(대장균군, E. coli)과 병원성미생물(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종자와 관개용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료에서 대장균군이 검출되었다. E. coli는 분석시료 중 10.3% (13/126)에서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시료 로는 관개용수, 칼, 작업자 장갑, 및 다채, 적무, 청경채였다. 또한 B. cereus는 상토, 작업도구 및 청경채, 비트, 적근대 등 총 38% (48/126)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한편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어린잎채소 는 미생물 안전성면에서는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지만 어린잎채소의 미생물오염을 사전 예방하는 차원에서 농업 현장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위생관리 기술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368.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품접객업소 등에서 사용되는 94건의 물수건(위생처리업소 39건, 식품접객업소 55건)에 대하여 위생 지표세균, 중금속, 염소부산물 등에 대한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중금속 안전성 조사결과 납은 불검출 ~ 0.41 mg/kg(불검출 75건), 비소는 불검출 ~ 0.25 mg/kg(불검출 93건), 카드뮴은 불검출 ~ 0.01 mg/kg(정량한계 미만 7건, 불검출 87건), 수은은 0.003 mg/kg ~ 0.09 mg/kg, 6가크롬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 중 납의 검출량이 가장 많았으나, 가장 높은 검출량인 0.41 mg/kg조차 납 규격기준(20 mg/kg 이하)의 2.1%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미생물 안전성의 경우 대장균은 모든 시료에서 음성이었으며, 일반 세균수는 43건 양성이고, 그 중 24건은 규격기준을 초과 하였다. 물수건의 포장상태는 세균의 오염 및 물수건 간의 교차오염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포장에 따른 미생물 오염 비교결과는 덕용포장이고 개봉포장일 때 세균의 오염이 가장 높았다. 수거 시 위생물 수건의 수분함량과 미생물의 상관관계를 확인해본 결과 유의성은 없었으며, 각 시료별 수분함량은 50.0% ~ 77.0%(평균 61.9%)이었다. 물수건 소독에 사용되는 염소화합물 로부터 유래되는 염소부산물(클로라이트, 클로레이트)은 88건 중 17건(19.3%)에서 검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물수건의 제조업 및 식품접객업 종사자의 교육 및 안전관리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69.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역별, 학교별, 계절별 고등학교 급식 식단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관련 주요 영향 인자를 도출하고자 식단 데이터를 수집하고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안전관리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급식식단 중 PHF(Potentially Hazardous Food) 해당여부, 사용빈도가 높은 엽경채류, 식단 조리방법에 관하여 빈도 분석과 다중대응분석(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MCA)을 실시하였다. 중부지역과 남부지역의 각각 3개 고 교, 총 6개 고등학교의 3, 6, 9, 12월 제공된 총 1,945개 식단의 빈도분석 결과, PHF에 해당하는 식단은 데친 나 물류, 샐러드, 해조류, 닭튀김 등이 사용빈도가 높았다. 조리방법은 가열 여부에 따라 단순 가열, 단순 비가열, 혼합 여부에 따라 가열한 식재료와 가열한 식재료의 혼합, 비가열한 식재료와 비가열한 식재료의 혼합, 가열한 식재료와 비가열한 식재료의 혼합으로 구분하였는데, PHF 제품 내 단순 비가열과 가열한 식재료와 비가열한 식재료의 혼합과 같은 메뉴 유형도 33.1% 수준으로 나타났다. 사용빈도가 높은 엽경채류는 시금치, 부추, 상추, 양배추, 깻잎, 양상추, 치커리, 파, 브로콜리 순서로 나타났다. 전체 식단 중 사용빈도가 높은 엽경채류 14종 370개의 데 이터에 대한 MCA 결과 PHF에 해당하는 엽경채류에는 양상추, 청경채가, Non-PHF에 해당하는 엽경채류에는 브로콜리, 양배추, 치커리, 깻잎이 주로 사용되었다. 지역별로는 중부지역에서는 마늘쫑과 시금치가, 남부지역에는 미나리 사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향후 단체급식에서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높일수 있도록 생산단계에서 오염원 차단(GAP 인증), 저감 및 세척 공정 개발, 식재료별 조리방법에 따른 메뉴 데이터 베이스화, 미생물학적 안전성이 확보되는 조리방법을 활용한 식단 개발 및 검증이 필요하다.
        4,000원
        370.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 중인 식육제품 중에서 유통기한이 임박한 다양한 육가공제품을 구입하여 미생 물 및 위생적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20점(햄6점, 베이컨 3점, 소시지 11점) 시료에 대해 pH, 수 분활성도(Aw), 지방산패도(TBARS), 단백질변패도(VBN), 총세균수(total aerobic counts), meat color 등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pH는 최저 5.33에서 최대 6.59 범위를 나타내었고, Aw의 경우 0.90~0.93 범위를 보였다. TBARS는 0.11~0.59, VBN의 경우 2.37~14.75 수치를 나타내었다. 총세균 수는 최대 2.80CFU/g 이하로 검출되어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육색의 측정 결과, 명도(L*)는 56-72, 적색도(a*)는 5.2-34, 황색도(b*)는 0.7-16범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제조공정과 첨가 물 차이에 따른 식육제품의 품질 특성에 차이들은 있었지만, 유통기한 내에 있는 제품의 품질 저하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시중에 유통 중인 육가공제품의 위생적,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의 결과로부 터 유통기한이 매우 잘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371.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되는 부산물의 자원화 방안으로 뱀장어 양식장에서 배출되는 고형오 물에 미강, 탈지대두박과 같은 식품 부산물을 첨가하여 유산균, 황국균, 고초균을 단계적으로 접종하여 발 효시킨 발효사료의 성분 변화를 측정하였다. 발효사료의 제조 단계별 수분함량은 유산균을 이용한 1단 발 효물 14.6%, 황국균과 고초균을 이용한 2단, 3단 발효물은 각각 33.0%와 34.0% 였다. pH는 1단 발효물 에서는 유산균에 의한 젖산의 분비로 인해 5.38로 나타났으며 2단, 3단 발효물은 각 5.66과 7.26으로 측 정되어 pH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트산의 함량은 1단 발효물은 0.126g/100g, 2단 발효물은 0.004g/100g, 3단 발효물은 0.093g/100g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질소 함량을 측정한 결 과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2단 발효물이 1226.37mg%로 높았고, 3단 발효물에서 710.18mg%로 다소 감소 하였으며, 암모니아태질소 함량은 1단 발효물 0.988mg/kg에서 3단 발효물 1.502mg/kg로 증가되었다. 총질소 함량은 1단 발효물 2.78%와 2단 발효물 4.08% 그리고 3단 발효물 4.85%로 증가되었다. 3가지 미생물로 연속적인 발효가 진행될수록 피트산은 감소하고 단백질 분해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고 3 단 발효에 의해 저분자 질소성분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미루어 소화 흡수성이 높은 사료화가 진행됨을 추측할 수 있다.
        4,000원
        372.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has been an accelerating increase in water reuse due to growing world population, rapid urbanization, and increasing scarcity of water resources. However, it is well recognized that water reuse practice is associated with many human health and ecological risks due to numerous chemicals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Especially, the potential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 by hundreds of pathogenic viruses in wastewater is one of the most serious human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water reuse.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response of different bacteriophages representing various bacteriophage groups to chlorination in real wastewater in order to identify a more reliable bacteriophage indicator system for chlorination in wastewater. Different bacteriophages were spiked into secondary effluents from wastewater plants from three different geographic areas, and then subjected to various doses of free chlorine and contact time at 5˚C in a bench-scale batch disinfection system. The inactivation of φX174 was relatively rapid and reached ∼4 log10 with a CT value of 5 mg/L*min. On the other hand, the inactivation of bacteriophage PRD1 and MS2 were much slower than the one for φX174 and only ~1 log10 inactivation was achieved by a CT value of 10 mg/L*min.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acteriophage both MS2 and PRD1 could be a reliable indicator for human pathogenic viruses for chlorination in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and water reuse practice.
        4,000원
        373.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내 공기질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쾌적한 실내환경에 도움을 주는 공기청정 기능과 습도 조절 기능을 동시에 갖춘 제습기와 공기청정기가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오랜 기간 동안 공기정화제품을 사용하게 될 시에는 필터가 오염되어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나 보고는 드문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 사무실 등에서 사용한 공기정화제품을 수거하여 주요 부위별 미생물 오염도 및 주요 오염 미생물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4 종류의 공기정화제품에서 오염도가 높은 부위는 필터부위, 물이 직접 닿는 부위 및 공기가 외부로부터 직접적으로 들어오는 입구부위 등에서 미생물학적 오염도가 가장 높았다. 하지만 공기정화제품은 사용하는 환경과 조건에 따라서 미생물학적 오염도 및 오염 미생물의 성상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 공기정화제품들에는 공통적으로 Staphylococcus sp., Micrococcus sp. 그리고 Bacillus sp.의 세균과 Cladosporium sp. 및 Penicillium sp.의 진균이 공통적으로 오염되어 있는 우점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374.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dor in pig manure affects the distribution of the manure over grass and crop fields as fertiliz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microbes (Saccharomyces cerevisiae, Bacillus subtilis and Rodobacter capsulata) and incubation temperatures (20℃ and 35℃) on the levels of odorous compounds in pig manure. Pig manure was incubated with 0.03% microbes (v/v) at temperatures of 20℃ or 35℃. At incubation temperature of 20℃, the addition of Rodobacter capsulata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the levels of indoles and volatile fatty acid (VFA). At incubation temperature of 35℃, the addition of any microbes of the three used in this study did not significantly (p>0.05) affect the levels of odorous compounds. When incubation temperature was increased from 20℃ to 35℃, levels of odorous compounds wer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Rodobacter capsulata could be utilized to reduce odor from pig manure in the spring and fall when the average temperature is around 20℃. However, alternative odor-reducing technology is needed to be developed to apply onto pig manure during the hot summer season (35℃).
        4,000원
        375.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changes of microbiological and hygienic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y-cured ham during manufacturing process. The water activity(Aw) of dry-cured ham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period(P<0.05). The salt contents increased from at 0 day to 60 days and decreased slightly at 60 days of post-curing(P<0.05). The contents increased after 120 days again. As the curing, drying and aging progressed, the VBN and TBA of dry-cured ham increased(P<0.05). The dry-cured ham samp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BN at 120 and 180 days and higher TBA at 180 days. Regarding microbiological analysis, the total aerobic counts and lactic acid bacteria count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stage(P<0.05). The total aerobic counts closely paralleled the lactic acid bacteria counts. In general,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mass production of a hygienic dry-cured ham.
        4,000원
        376.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eed value of Astragalus membranaceus leaves and straws was amended by fermentation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s, such as molasses (T1), Rhodobacter capsulatus (T2), Bacillus subtilis (T3), Lactobacillus acidophilus (T4), or Saccharomyces cerevisiae (T5), with no supplements in the control (C). The crude protein (CP), ether extract (EE), crude fiber (C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s in the fermentation-treated A. membranaceus leaves decreased, whereas nitrogen free extract (NFE)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A decrease in the amounts of CP (except in T3), EE, CF, NDF, and ADF in the A. membranaceus straws treated with effective microorganisms was observed compared with that for the C and T1 (p<0.05). The NFE content of the straws increased with all treatments, except T1. Fermentation treatment subtly altere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A. membranaceus leaves and straws. In contrast, the calcium and vitamin E contents in A. membranaceus leaves and straws were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treatment (p<0.05). However, T3 yielded higher saponin content in straws compared to that by any of the other treatments (p<0.05). The effect of fermentation with microorganisms, maintained the low pH up to 48 h (p<0.05), whereas it was random for the straws. Therefore, the data suggest that fermentation treatment with microorganisms can improve digestion rate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nd feed value.
        4,500원
        377.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grass and flaxseed oil on weight gain, fecal pH, microflora and acid resistance of fecal E. coli. in Friesian-Holsteins. Fifteen Holsteins were fed either conventional diet (C, n=5), grass (40%) and concentrate supplemented with flaxseed oil (60%) (T1, n=5) or grass only (T2, n=5) for 141 days, and T1 and T2 groups were grazed on pasture except feeding time. Grabbing fecal samples and measuring body weight were carried out at test day 1, 60, 120, 141. To evaluate acid sensitivity of fecal E. coli, feces were incubated in pH 2.0 anaerobic solution during 1 h at room temperature and measured survival rate. In terms of diets, C group had the highest n-6:n-3 ratio with 21.93, followed by T1 group (0.92) and T2 group (0.51). C and T1 group had higher final weight, total gain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than T2 animals (p<0.05). The fecal pH of C group was maintained much lower than T1 and T2 group since day 120 (p<0.05). Total anaerobe in feces of C group were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since day 120 (p<0.05), but coliform bacteri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Yeast and mold in feces of C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from day 60 to day 141 (p<0.05), which is considered to be relevant to yeast in the diets. After feces were incubated at strong acid, more fecal E. coli of C group (34.09%) survived than those of T1 group (3.79%) and T2 group (1.02%) (p<0.05). From those results, it was considered that feeding grass and flaxseed oil to Holsteins enables to change fecal microflora, increase acid sensitivity of fecal E. coli and contribute to stay healthy for animal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grass feed diets and their applications for producing healthy and high quality meat products.
        4,000원
        378.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cial needs are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s because of the aging society. The most common type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s is Alzheimer's disease and Parkinson's disease, which makes most of cases. New scientific challenges indicate that gut microbiota ar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rogress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s through triggering metabolic diseases, modulating immune response, and changing diversity of microbial community. A high-valuable strategy is proposed for the management of these disorders and as an adjuvant for psychiatric treatment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s and other related metabolic diseases through modulation of the gut microbiota including probiotics.
        4,000원
        379.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유색용존유기물(CDOM)의 농도와 특성을 시공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2012년 건기(3월과 6월)와 우기(7월)에 분포특성을 조사하고, 환경요인(수온, 염분)과 영양염, 엽록소와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유색용존유기물의 평균농도는 각각 1.0 ± 0.3 m-1(3월), 1.3 ± 0.4 m-1(6월), 1.4 ± 0.3 m-1(7월)로 측정되었다. 섬진강 상류의 높은 유색용존유기물 농도(> 1.5 m-1)는 하류로 갈수록 감소(< 0.5 m-1)하였고, 우기에 건기의 평균값에 비해 증가하였다. 또한 유색용존유기물의 화학적 특성과 공급원에 대한 지시자로 사용되는 평균값 S300-500은 0.013 ~ 0.018 nm-1로, 건기에 비해 우기에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유색용존유기물과 염분은 역상관계를 보였고(R2 >0.8), 우기와 건기 모두 보존성 혼합의 양상을 보였다. 유색용존유기물은 강 하류로 갈수록 해수와 혼합되는 과정에 의해 희석되고, 그 특성 또한 뚜렷한 변화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환경 조건 중 유색용존유기물의 변동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은 염분 (혼합)과 온도로 확인되었으며, 전자는 낮은 유색용존유기물 농도의 해수와의 혼합에 의한 희석으로 주로 공간적인 변동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였고, 온도의 증가는 유색용존유기물의 생산에 영향을 주는 미생물학적 활동과 광분해에 통한 작용으로 유추된다.
        4,000원
        380.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부패미생물에 대한 감초추출물의 항균력을 확인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한 후 그 구조를 확 인 하였다. 감초추출물은 대표적인 항균제인 메타중아황산칼륨과 myconazole과 비슷한 항균 활성을 나 타내었다. 용매분획을 실시한 결과 chloroform fraction이 가장 항균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chloroform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해 분리하여 항균활성이 가장 큰 분획물인 KC를 분리하였다. 이 화합물은 ESI-MS 와 1H-NMR, 13C-NMR 결과로부터 활성물질의 구조를 동정 하였으며 그 결과 KC는 (R)-glabridin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