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82

        46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ltimedia game contents is effective and efficient instruction media to support learning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ho have attention and learning difficulties. Many education game programs have developed to enhance learning fluency and learner’s interest. These programs also can be applied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ccessfully. To this, education game program is designed to access all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is study, to assess and suggest education game program accessibility, 6 education game programs were reviewed through teacher’s recommendation. Also These programs were rated 5 point likert scale by 30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according UDL(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9 guidelines. The results show that well designed education game program applied efficiently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t need to consider practices to enhance accessibility.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4,000원
        46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중년여성, 남성들의 시간적, 경제적인 여유가 늘어남에 따라 여가 생활에 적극적인 소비를 하는 새로운 현상의 하비홀릭족을 모티브로 언제부터인지는 알 수 없으나 한국무용 전 공인 못지 않게 시간과 학채를 아낌없이 투자하며 명무 주변에서 열정을 보이는 집단을 명무 하비홀릭족이라고 새롭게 명칭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춤의 전공자 수요 감소의 원 인을 파악하고, 한국무용 전공인이 명무 하비홀릭족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는지를 알아보고자 서울, 경기 지역에서 활동하거나 거주하고 있는 348명의 한국무용 전공인 중 212명의 한국무용 전공 직업인과 136명의 한국무용 전공 대학생을 조사하기 위한 단일 문항을 직접 제작하여 사 용하였고 SPSS를 사용하여 빈도, 교차분석과 같은 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 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무용 전공인은 구직난과 많은 비용 부담을 한국 전통춤 수요 감소의 원인으로 응답 하였고, 물질에 구애 받지 않는 전통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한국 전통춤의 대중화를 한국 전통 춤 발전의 주요 과제로 응답하였다. 둘째, 한국무용 전공인은 명무 하비홀릭족을 바라보는 기분 정도에서는 좋은 기분이 느껴진다 와 존경스럽다 순서로, 명무 하비홀릭족의 한국 전통춤 수준 정도에서는 취미로 하는 것에 비해 수준이 높다와 그저 그렇다 순서로, 명무 하비홀릭족의 몰입원인으로는 한국 전통춤이 좋아서와 건강을 위해서 순서로 응답하여 명무 하비홀릭족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 으로 밝혀졌다. 셋째, 명무 하비홀릭족이 한국 전통춤에 끼친 영향 정도에서는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 다고 생각된다와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순서로 긍정적인 응답결과가 나왔으 며, 한국 전통춤에 끼친 주요 원인으로는 한국 전통춤의 인식 변화와 이해를 통한 한국 전통춤 발전과 대중화 항목이 눈에 띄게 나타났다. 넷째, 명무 하비홀릭족의 사회적 활동 실태에서는 부럽다 61명(28.8%)의 응답결과가 가장 높 았으며, 아무 생각이 없다 45명(21.2%)와 직접 본적이 없다 44명(20.8%)의 응답 결과도 보여 졌 다. 반면, 명무 하비홀릭족의 한국 전통춤 관련 소비 실태에 대해서는 좀 과하다고 생각 한다 126명(59.4%)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한국무용 전공인들은 명무 하비홀릭족을 한국 전통춤을 저해하는 요소가 아닌 공생하는 관계로 관찰하고 지켜본다면 한국 전통춤의 가장 큰 전공자 수요 감소의 원인과 발전 방안의 주요 과제에 새로운 해결 방안을 모색해 주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본다. 또 한 대학 내 무용 교과 과정에 비전공자들의 교육방법론과 활성화 방안을 다루는 수업이 신설· 권장 된다면, 앞으로 무용 전공 대학생들이 졸업 후 무용 현장에 나왔을 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사료된다.
        5,100원
        46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과학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I 목표와 교과서의 학습 목표와의 일치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과서의 학습 목표를 능력, 공통 개념, 행위 동사로 구분하였으며, 이 자료를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능력 요소와 관련하여 교과서는 인지적, 정의적 영역을 주로 강조하였다면 교육과정은 이외에도 탐구능력을 함께 강조하였다. 공통 개념은 교과서가 교육과정보다 더 다양한 요소가 사용되었다. 행위 동사 요소는 '이해'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나 대부분 인지 체제 수준으로 제시한 것에 그치고 있다.
        4,900원
        46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nalyzed dialogues in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sociolinguistic variables and dialogue structure rul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of the textbooks shows that dialogues take place most frequently in the areas of speaking and listening while dialogues appear in the area of writing at the lowest rate of 10 percent. Secondly, the analysis of the dialogues based on sociolinguistic variables shows that in most textbooks dialogues take place in various places such as houses, stores, schools, streets and restaurants, but places in some dialogues are not identified. As for the topics of the dialogues, leisure and hobbies, traveling, food, and giving directions are the most common topics. There are many dialogues which do not have any specific topics but include basic expressions for communication. Moreover, most dialogues do not identify clear relation among participants, which needs to be improved. Lastly, the analysis of the dialogue structure rules finds that as for the length of the dialogue, one or two rounds of exchanging of talks are the most common and in the most cases the format of taking turns of speaking is the set of A-B-A-B, which indicates that the dialogues are very simply structured. The cases of adjacent pairs are mainly focused on question and answer sets. From the analyses, it is found that if we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dialogues appearing in current Japanese textbooks and include the sociolinguistic variables and diverse dialogue structure rules into the dialogues to construct more authentic dialogues, the dialogues provided in the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s will be a lot more helpful to improve the learners’ communicative ability.
        5,700원
        46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aims to seek ways of activating teaching consulting by investigating how primary and secondary English teachers perceive consulting.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English teaching consulting at schools and to identify needs to be met for effective consulting. 157 primary and 107 secondary English teachers took part in the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The major findings from the data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eaching consulting is not widely accepted as significant in professional development yet, and teaching consulting is not likely to be done voluntarily; (2) there is lack of professional consultants; (3) the administration process involved in consulting needs to be truncated and made simple; (4) the evaluation of consulting needs to be fed back in improving teaching and professional learning; and (5) teachers’ voluntary involvement in consulting and coopera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to activate and sustain consulting. Some measures are suggested to vitalize consulting in English teaching at school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6,600원
        46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ominent features of frequency in the new vocabulary of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reby to provide meaningful data to be compared with those o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used an online software (Vocabprofile) to divide words into four categories by frequency: K1 (1-1,000), K2 (1,001-2,000), AWL (Academic Words List), and Off-List Words (the remainder). Salient features discovered from the frequency-based categorization of words in textbooks by grades or publishers were further examined for pedagogical implications regarding textbook writing and curriculum revisions in the future. The analysis ha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K1 words accounted for the most among the words presented in English textbooks, reflecting the significance of the high-frequency words in L2 learning. The number of other words showed a steady increase as the grade gets higher. Finally, most textbooks presented multi-words as new vocabulary, which indicates the importance of idioms or collocations. The vocabulary analysis by frequency could be of use to textbook evaluation, considering the growing importance of frequency-based vocabulary teaching.
        6,100원
        46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riting activities of 1st grad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of textbooks. In this study, seven textbooks out of twelve were selected and their writing activities were analyzed as to whether they stick to the guidelines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purpose, specific focuses of the current study were 1) to look into writing activities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stipulated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2) to investigate the ratio of integrated writing activities to separate writing activities on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of the writing activities seemed suitable based on learners’ real-life situations for achievements standards; however, the types of writing activities were rather simple, mainly focusing on given words. Next, there were not only separate writing activities but also a variety of integrated activities such as listening-writing, speaking-writing, and reading-writing activities. At the end of the paper, a few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improve the qualities of writ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s.
        6,900원
        46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리 수업에서 지리교과의 개념 이해는 지리교육의 출발점이며, 지리 개념은 지식전달의 매개체이고, 지리적 사고의 도구가 된다. 지리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리적 개념의 명확한 제시와 함께 각 개념들의 계층구조 및 관련 개념들 간의 관계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에 정보기술의 발달과 웹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기존의 키워드 기반의 검색시스템이 사용자의 정보요구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등장한 의미기반 시스템인 시맨틱 웹(semantic web)과 이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적 도구인 온톨로지(ontology)가 각광받고 있다. 온톨로지가 개념 유형이나 범주를 구조적이고 위계적으로 분류하는 분류체계(taxonomy)의 언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리적 개념의 명확한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지리수업에서 용어이해의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개념 이해를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 온톨로지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안 지형 단원을 사례로 하여 지리적 개념 이해를 위한 지오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구축한 온톨로지의 정확성을 평가하며,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4,500원
        46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중학교 2학년 168명을 대상으로 기술·가정교육의 필요성, 이해도, 흥미도, 참여도와 모둠협동학습에 의한 발표력, 리더십 향상도, 교육효과를 그리고, 융합교육과 융합교육의 효과에 대하여 사전 실태조사를 하여 기술·가정 교과수업에 학생들이 가장 원하는 수업형태를 조사하고 다른 교과와 연계시켜 지도함으로써 융합적 사고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인 자기주도적 학습 마인드를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
        5,100원
        471.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1차와 제2차 교육과정기 국어과는 한자․한문교육을 겸했었다. 하지만 한문 과가 국어과에서 분리된 제3차 교육과정 이후 현재까지의 국어과 교육과정에는 살펴본 것과 같이 한자․한자어에 관한 교육내용이 없다. 한글전용정책의 부작용 으로 다시 한자․한자어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면서 한문과를 독립교과로 만들었 고 이 후부터 국어과에는 한자․한자어와 관련된 교육과정이 사라진 것이다. 이는 사회와 학계․정치계 등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문교부 당국이 일부 한글전 용주의자들의 압력에 따라 국어 속에서 한자․한자어를 교육하는 것을 의도적으 로 피했기 때문에 발생한 일이다. 70년대 전후나 지금이나 한자 관련 교육에 관한 사회적 요구는 그다지 다르지 않은 것 같다. 당시 대중들의 요구도 한문문장이나 한문학 등 전문분야보다는 한자 낱글자나 한자어의 교육을 어릴 때부터 정규적으 로 시켜야한다는 것이었고 요즘 사회의 요구도 그와 다르지 않다. 그리고 대중들의 이런 요구를 반영해서 일찍부터 여러 연구자들이 이에 대한 개선책을 제시해왔다. 하지만 교육과정이나 교재, 입시제도 등 다방면에 걸친 연 구성과들이 있음에도 현실 교육정책에는 이런 연구결과가 그다지 반영되었다고 보이지 않는다. 이제는 연구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동시에 연구자나 학회, 학과 차원의 또 다른 실천이 필요한 때가 아닌가 생각한다.
        8,900원
        47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교육과정의 개선을 모색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편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안경사의 전문성과 미래 안목을 기를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 법: 교육과정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전공교육과정의 확대필요성에 대해 서울시, 경기도, 전라북도에서 안경원을 경영하고 있는 안경사 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안경광학과 교육과정은 교양과정이 7개 과목 15학점으로 53개 과목 109학점이 개설된 전공과정보다 비중이 월등히 낮게 조사되었다. 전공기초 6개 과목은 17학점으로 전체 전공과목의 15.5%로 조사되었으며, 전공심화 과정은 47개 과목 92학점으로 전체 전공과목의 84.5%로 조사되었다. 안경사의 전공기초 교과목의 수업시간 확대 필요도는 기초콘택트렌즈가 6개 과목 중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전공심화 교과목은 굴절검사실습과 하드콘텍트렌즈가 12개 과목 중에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안경사의 기타의견 제시에서는 안경조제실습의 시수 확대가 38명(33.9%)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결 론: 안경광학과 교육목표인 안경사 양성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이를 실천하는 과정을 교육시켜야 하며, 사회가 요구하는 시대적, 환경적 변화를 수용하는 현장중심 교육에 더 많은 시간을 수업할 수 있는 교육과정 구조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7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기당 이수과목을 8과목으로 제한하는 교과 집중이 수제를 도입하였으며, 모든 교과활동에서 전문지식 습득과 더불어 창의성과 인성 을 함양할 것을 강조하였다. 집중이수제의 실시로 중학교의 경우 3개 학년에 흩어져 있던 한문 시수가 한 곳에 모아졌다. 대체로 1~2학년 시기에 2학기동안 2~3시간의 시수가 확보되었 다. 이에 따라 진도나가기 위주의 강의식 수업에서 다양한 학생 참여식 수업의 시도가 가능해졌다. 집중이수제 도입 이후 창의․인성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육과정의 재구 성, 교수․학습 방법, 평가의 다양한 변화가 모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집중이수 제 실시 이후 한문과에서 창의․인성 수업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로는 교육과정 내 재구성한 사례(한시 창작과 비평을 통 한 심미적 향유 능력 신장), 타교과와 융합한 사례(‘행주산성’ 문화재 탐방을 통한 전통문화의 이해와 계승),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한 사례(착한 부자(萬德)의 이 야기를 통한 나눔의 가치 실천)를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방법 사례로는 ‘한자를 활용한 우정 포스터 만들기 ’, ‘책 제목 한자 로 바꾸기’, ‘신문 사설에서 한자 찾기’를 제시하였다. 다양한 수업과 연계된 평가 방법 사례로는 지필평가의 선다형 문항으로 ‘우정 포스터’를 활용한 문장의 중심 내용 찾기, ‘나만의 효 문자도 만들기’를 통한 효도 의 의미 찾기, ‘패러디 한자성어’를 활용한 문장의 구조 이해하기를 제시하였고, 서술․논술형 문항에는 ‘가치있는 삶’에 관한 자기 생각 만들기, ‘近墨者黑’에 관한 자기 생각 만들기, 상형․지사 원리에 따라 한자 분류하고 원리 설명하기를 제시하였다. 수행평가에는 내 삶에 들어온 한문, 대중매체 영상 속에서 한자성어 찾기를 제시하였다. 다양한 수업 사례를 통해 한문교과에서 창의성과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가능 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집중이수제를 기반으로한 창의․인성 한문 수업의 효과 를 높이기 위해서는 한문교과의 적정한 시수 보장과 현장 교사들에 대한 다양한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
        13,800원
        474.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어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 중 하나는 한자계 어휘에 대한 교육이 다. 어떤 언어의 학습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어 학습은 또 하나의 다른 언어적 도 구를 학습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한자계 어휘는 한국어 어휘의 중추적 요소이 다. 곧 한국어의 학습 목표에 따라 학습자는 더 많은 한자계 어휘를 습득하고 활 용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한자와 한자계 어휘교육은 다른 한자문화권 언어 교육으로의 접근 용이성을 높여주며, 긍정적 전이를 통한 교육의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중 요한 요소이며, 그 국가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수용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요 소로 작용할 수 있다. 결국 한국어 교육에서 수행되는 한자와 어휘 교육은 1차적으로는 한국어를 교육하려는 목적에서 그 유용성을 가지지만, 다른 측면에서 볼 때 그 한자문화권 모 든 국가의 전통문화를 수용하고, 그 국가의 개별 언어를 학습하는데 일정 정도 기 여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문”교과의 교과목표와 상당 부분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한문교과가 한국만의 독특한 개별교과로 만 유의미한 것이 아니라 한자문화권의 기초교양교과로 역할이 변경 혹은 증대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본고는 이런 측면에서 한자계 어휘 교육이 특정 국가의 언어를 벗어나 한자문 화권 전체의 공통적이며 기본적인 교육이 될 수 있음을 말하였다.
        15,500원
        475.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역량들을 재구조화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최근 세계 각국에서 미래 사회의 변화된 상황에 맞추어 학교 교육의 방향을 근본적으로 재조정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 개혁의 핵심 키워드로 등장하게 된 것이 핵심역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핵심역량 중심의 과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한 선결 요건으로 선행연구에서 다양하게 논의되어온 핵심역량 대범주를 재구조화하고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됨직한 각 영역별 핵심역량 구성요소를 논의하였다. 문헌분석, 전문가 심층면담, 델파이 및 설문조사 등을 통해 핵심역량 대범주 3가지를 (1) 인성 역량, (2) 지적 역량, (3) 사회적 역량으로 구성하고, 각 핵심역량 대범주별로 의미와 특징을 제시하였다. 각 대범주별로 어떤 핵심역량을 선정하고 가르칠 것인지는 교과 및 교사수준에서 전문성을 발휘하여 결정하도록 맡겨둘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본 연구에서 논의한 핵심역량 대범주들을 중심으로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때 주목할 점을 제안하였다.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는 인성 역량을 포함하여 핵심역량의 3개 대범주들을 적극적으로 포함시켜야 하며, 핵심역량을 모든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최소 수준의 목표로 설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과학 주제와 목표 등에 따라 각 대범주별 핵심역량 구성요소와 구성요소들 간의 연계방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4,000원
        476.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불교는 동아시아 불교 문화권에서 창의적으로 발달시킨 불교문 화의 정수(精髓)이다. 선(禪)은 학문적 소양에 기반을 둔 것이 아니 다. 선은 발달 초기부터 수행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참선 수행이란 소위 화두(話頭)라고 하는 언구를 스승으로부터 받아, 이를 마음속에 붙들고 끊임없이 의심을 하는 집중 수행이랄 수 있다. 하지만 선 수 행의 초심자들은 이런 선 수행의 모호함과 막연함으로 인해 수행 중 에 흔히 여러 유형의 정신적 갈등이 노출되곤 한다. 이러한 연유로 인해 화두를 내려준 경험 있는 노련한 선사로부터의 지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한다. 이것은 마치 정신치료 전문가가 되기 위해 정신치 료 교과서에 의존해서는 안 되고, 반드시 정신분석적 임상 경험이 풍 부한 스승의 점검을 받아야 되는 이치와 같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드물지만 경우에 따라 선 체험은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자 발적으로 체득되어지기도 한다. 저자는 여기서 최근에 개인적으로 체험한 공(空)의 경험을 사실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아울러 저자는 선 센터를 찾아가 몸소 관찰하고 겪은 경험도 기술하고 있다. 정신 역동에 대한 저자의 임상적 경험을 토대로, 선 수행에 따른 정신 역 동의 과정을 나름 추론하여, 임의적이나 잠정적 가설도 제시하고 있 다. 한 가지 화두를 예를 들어, 이에 대한 해석을 곁들이고 있다. 향 후 선 체험에 대해서, 정신분석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이해의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6,700원
        477.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활 속의 녹색식생활 실천의 중요성을 알고 실생활에서 실천하게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종래의 영양적 측면에만 한정되어 있던 식생활에서 벗어나 개인, 가족, 사회로 관점을 확대하고 환경, 건강, 배려 등 핵심가치를 통합한 총체적이고 계획적인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조는 생활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도덕적으로 이치에 맞게 판단해서 최선의 결정을 한 후 행동으로 이르게 하는 ‘실천적 추론 과정’을 적용하고, 구체적으로 실천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체험중심학습’ 위주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가정과 교육과정 및 성취기준 분석 결과 교과서를 재구성하여 녹색식생활 실천을 위한 다섯 가지 실천적 문제를 추출하였으며, 실천적 문제 해결 방안으로 총 24차시의 녹색식생활 수업과정안이 개발되었다.실생활과 접목된 주제 선정, 다양한 학습자료의 수집, 특별교실 활용 확장, 학생체험 위주의 수업, 가정생활 및 가족에 대한 관심 등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지속가능한 삶의 의미 및 녹색식생활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획기적인 의식 변화가 있었으며 환경, 건강, 배려 면에서 고루 향상된 실천 결과를 보였다.
        5,700원
        478.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bout the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al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umbrella of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problems with it, to suggest feasible reform meas
        5,100원
        479.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7개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문Ⅰ」 교과서를 대상으로 ‘介詞’에 대 한 서술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고찰하여 학교 문법에서의 개사에 대한 정의와 문법의미범주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介詞는 단독으로 문장성분을 이룰 수 없고 명사나 명사에 상당하는 단어나 구, 절의 앞이나 뒤에 놓여 介詞句(介詞構造)를 구성하여 중심서술어의 앞 또는 뒤에 서 수식하거나 보충해주는 부사어나 보어의 기능을 하며, 서술어와의 관계에 따라 時間, 場所, 原因, 方式(道具방식, 身分방식, 手段방식), 對象(處置대상, 人物대 상, 比較대상), 行爲者(共同행위자, 被動文행위자) 등을 나타내는 동사 혹은 접속 사와는 구별되는 虛詞 중 독립된 品詞라 할 수 있다. 개사의 정의와 문법의미 분류는 한문독해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문장 구조 관 계를 통한 의미파악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문법용어에 치중하거나 자세히 분류하는 것은 지양해야 하며, 예시문은 명시적이고 규범적인 것을 제시하 여 해석을 위한 방편으로 삼아야지 문법학습을 위한 문법교수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7,700원
        480.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에서 多義語의 의미항목 분별은 각 개념의미의 차이와 문맥을 통해 드러나 는 용법의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정확한 독해를 이끌어 낸다는 점에서 중요한 학습 요소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 2007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고등학교 한문Ⅰ 5종 교과서를 검토해 본 바에 의하면, 모두 다의어를 중시하여 이를 학습 요소로 제시하고 있지만 다의어 한자 선정이 수의적인 경향이 있으며 다의어의 의미 항 목 용례로 제시된 것이 대부분 ‘언어생활 한자 어휘’여서 한문독해력 신장과는 일 정한 거리가 있었다. 이러한 실태의 주요 원인은 다의어 한자 선정에 대한 일정한 기준의 부재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1) 異音異詞의 경우 2) 동일한 한자가 실사, 허사를 모두 표기하는 경우 3) 의미의 유연성이 희박한 경우 4) 빈도수가 높은 경우 등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근거로 하 여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내에서 다의어 한자를 선정하여 그 목록을 제시하고 다의어의 분별된 의미항목에 따른 한문 용례도 제시하였다.
        7,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