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95

        9081.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9082.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통 시판 중인 육포류를 수집하여 외형 상태, 성분 배합 및 첨가물 이용 상태, 영양 조성분 및 위생적인 상태를 조사, 분석하여 품질수준을 평가하였다. 1. 원료는 수입우육 국내 제조품에서, 형태는 strips형이, sealing은 무진공 상태, 포장 재료는 nylon/polyethylene 적층 필름이 많았으며, 돈육포류는 국내산 원료육으로만 제조되고 있었다. 2. 조미·배합물과 첨가물 사용은 우육포류에서 국내산 육포류 16종, 수입육 국내 제조육포류 23종, 수입육포류 22종이며, 돈육 육포류는 13종으로 나타내었다. 수분 함량은 수입 우육포류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수입 우육포류와 돈육포류에서, 조지방은 돈육포류에서 각각 높았으며 조회분은 육포류간에 유사한 함량 수준을 보였다. 3. 염도는 3차 측정 평균값으로서 수입 우육포류가 높았으며 국내산 우육포류가 낮았다. pH 범위는 5.41 ~ 6.11 사이로 수입 우육포류가 약간 높고, 국내산 우육포류가 낮게 보였다. 수분활성도는 돈육포류가 평균 0.743으로 높고, 국내산 우육포류가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4. VBN값은 육포류에서 평균 9.98 ~ 12.36 mg% 범위로서 국내산 돈육포류가 가장 낮았고, TBA값은 육포류에서 평균 0.239 ~ 0.367 mg/kg으로 수입육 국내제조 우육포류가 높네 나타내고 국내산 돈육 포류가 낮은 수준이었다.
        4,000원
        9083.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전성과 표시에 관한 일반국민의 의식을 2000년과 2001년 5월 9월 사이에 각각 750명과 9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평균 67.7%의 응답자가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줄 수 있는 최대의 이점은 식량난해결이라는 의견을 나타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에는 90%이상의 응답자가 표시하기를 바랐으며 현재 구입하여 먹겠다는 사람은 18%이었고 기다려보겠다는 관망형이 49%를 넘어서 표시를 희망하면서도 결정을 유보하는 사람의 비율이 많았다. 유전자재조합기술로 개발된 제초제 내성 콩을 먹겠다는 사람보다 같은 방법으로 개발된 비타민 함량이 높은 콩을 먹겠다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보아 제품의 특성을 중시하지 유전자재조합 여부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가 먹는 생물 유래의 식품에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을 바르게 알고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40% 정도였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위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지극히 적어서 응답자의 4%정도를 유지하였다. 유전자재조합 옥수수인 스타링크의 뉴스를 접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66%나 되었던 반면 2001년 7월부터 실시된 유전자재조합 표시제의 시행에 대해 알고있는 소비자는 22%에 지나지 않았다.
        4,000원
        9084.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후 조리용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지 않는 정상 임산부 19명 (대조군), 그리고 이를 복용하는 19명 (실험군)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조군의 평균연령은 30.4세, 실험군은 29.0세였으며, 체질량지수는 각각 20.2와 21.4, 그리고 임신에 따른 체중증가량은 각각 14.0kg과 19.8kg이었다. 출산 1개월후 체중변화는 대조군이 1.32kg 감소되었고, 산후 조리용 식품을 섭취한 실험군은 1.04kg 감소되어 두 군 간의 유의한 체중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출산 60일째의 체중변화는 대조군이 3.15kg감소되었으며, 실험군은 6.46kg 감소되어 실험군에서 유의한 체중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p< 0.05). 출산 후 90일경의 체중변화를 조사한 결과, 대조군이 4.47kg감소되었고, 실험군은 7.44kg 감소되어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인 체중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p, 0.05). 또한 기능성 식품의 섭취 후 8주부터 관절통에 대한 통증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용 식품을 섭취하기 전, 후의 혈액을 분석한 결과 헤모글로빈이 실험 전 12.4g/dl 실험 후 12.8 g/dl로 정상 범위였다 SGOT는 실험 전 22.1 IU/L, 실험 후 24.6 IU/L였으며, SGPT는 실험 전·후에 28.1 IU/L과 24.6 IU/L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4,000원
        9085.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조류 조직을 가수분해시켜 기호성 및 응용성이 높은 액상원료로 가공하는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우선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로서 산, 논, 밭, 해변 및 어판장에서 약 200종류의 미생물군 시료를 수집하여 해조의 조직파괴가 인정되는 8군의 미생물 시료를 사용하여 돌가사리, 톳 및 가시파래의 조직파괴와 가수 분해 가능성에대하여 검토하고, 추출액 중의 전당과 환원당을 측정하여 추출율과 분해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돌가사리, 톳 및 가시파래의 전당 추출량과 추출율은 각각 담수에서 채취한 미생물군 시료 (No. 27번), 부식한 식물에서 채취한 미생물군 시료 (No. 8번) 및 담수에서 채취한 미생물군 시료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환원당의 추출량과 시료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환원당의 추출량과 추출율에서는 각각 8번, 8번 및 27번 미생물 군 시료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분해율은 전당의 추출율도 상당히 높으면서 환원당의 추출이 가장 높았던 실험구들이 각각의 해조에서 가장 높은 분해율을 나타내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이들 자연계에서 채취한 미생물군 시료중에 해조 조체를 파괴시키고, 또한 해조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당을 비롯한 유용성분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며, 해조를 가수분해시키는 효소를 가진 미생물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또한 이들 미생물군에서 단일 또는 복합 해조가수분해 미생물 및 효소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4,000원
        9086.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er satisfaction is the most critical criteria in measuring information systems success or failure. In this study. Contract Foodservice Information Systems were evaluated with user satisfaction instrument based on previous work. A total of 70 Contract Foodservice Information Systems users was surveyed. The status of building area of Contract Foodservice Information Systems was more in foodservice management (M=3.74), but less in producing (M=2.53) and purchasing (M=3.02) management. The users recognized accuracy of information (M=4.27), lasting educational services on systems (M=4.34) and increasing work productivity (M=4.42)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and they also recognized it was important factors to build systems such area database management, menu management, purchasing and producing management and foodservice management (p<0.1).
        4,000원
        9087.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산 백침계 오이와 수출용 백침계 오이로 제조한 오이 물김치의 저장 중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pH는 적정 pH인 3.5±0.1에 이르는 시기가 세 시료 모두 14일로 이 수준은 백다다기 오이로 7% 용액에 CaCl_2, 첨가 및 microwave를 이용한 후 열 처리군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2. 총산도의 변호는 발효 완결 기준을 1.4±0.1%로 볼 때 대조군은 14일, 수출용 오이들은 7일로 대조군이 수출용 오이들에 비해 발효가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3. 환원당의 변화는 대조군이 14일부터 감소하고, 수출용 오이들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고 대조군은 미생물 증식 속도가 늦은 경향을 보였다. 4. 총균수는 세 품종 모두 발효 적기인 14일에 최대 균수를 보인 후에도 증가가 계속되어 발효가 서서히 진행되는 경향을 보였다. ◁표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5. 세 품종의 젖산균수도 총균수의 변화와 경향은 유사했으나 발효 적기인 14일에 최대균수를 보인 후 발효말기까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6. 물성도의 변화는 저장 14일 째에 측정한 결과 견고도는 대조군이 수출용 오이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 관능 검사 결과 저장 기간 동안 의관은 세 시료 모두 높은 값을 나타내고, 저장기간과 시료간의 Pearson의 상관 계수는 초록색의 정도와 아작함이 유의 수준내에서 음의 관계를 보였다.
        4,000원
        9088.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랫트에 있어서 상이한 단백질과 threonine 급여수준에 의한 간 TDG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식이 중의 단백질 급여수준과 TDG 활성과의 연계성을 조사하였을 때, 12.-% CP가지는 TDG의 총활성이 단계적으로 상승하고, 더 높은 CP 함량 (18.0% ~ 24.0% CP)에 있어서는 경향적으로 threonine 분해의 쇠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단백질 함량의 증가에 의해 간 TDG를 통한 threonine의 산화가 증가하지 않았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식이 중의 단백질 및 threonine 급여수준과 TDG 화성과의 연계성을 조사하였을 때, 단계적으로 상승시킨 threonine 급여수준이 (0.28 ~ 0.72% Thr) 12.0% CP에 있어서 단계적으로 TDG 활성을 상승시켰다. 또한 유사한 현상이 18.0% CP에 있어서도 관찰되었으며 약간 더 높은 TDG 활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9089.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까지의 요리의 조리법에 대한 우수성은 관능검사의 결과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관능검사의결과는 조리과정 및 재료량에 영향을 받으며, 매번 요리의 조리와 관능검사 과정에 시간소비와 시행착오를 거쳐야 할 뿐만 아니라 최상의 조리법 및 재료량을 찾아내는 것도 쉽지만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 소비 및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대안으로써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안하였다. 퍼지이론을 사용하여 몇 번의 실험을 통한 실험 데이터로부터 퍼지 모델을 구성하고 퍼지 모델로부터 재료량 및 조리법에 따른 관능지수를 찾을 수 있으며, 최적의 관능지수가 얻어질 수 있는 재료량 및 조리법을 유추해 내는 방법이다. 퍼지 모델은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재료량의 변화에 따른 관능지수의 관계로부터 얻어질 수 있으며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성되어져 있다. 추론방법은 간략 추론법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방법을 증편제조에 적용해 보았으며 제조법은 기존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재료량에 따른 관능지수 변화에 제한을 두었다. 퍼지모델의 입력으로는 증편 제조에 필요한 재료들의 양을 사용하였고, 조직, 부드러운 정도, 신정도, 씹힘성, 전체적인 특성 및 증편반죽의 pH, 중편의 pH 및 volume의 관능지수는 퍼지모델의 추론과정을 거쳐 출력부로 나오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재료의 양 및 관능지수의 변화를 매우 제한적인 경우에 대해서 제시를 하였지만, 증편을 직접 제조하여 관능지수를 평가하지 않고 다양한 재료의 종류, 양 및 제조방법에 따른 정확하고 보편적인 관능지수를 퍼지모델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측정할 수도 있으며, 원하는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적합한 재료량을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제조법의 과학화 및 전산화에 용이하게 응용할 수 있을 것이며, 식이요법이 필요한 환자의 체계적인 영양관리 등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표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4,000원
        9090.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ed the general factors that influence school dietitians` satisfaction from their regular duties, the current status of food distribution to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itians and their governing authorities. Dietitians of primary school had higher score on direct management and working career. High school dietitian had higher scores on consignment management, freedom in amount of food distribution and number of meals a day. The highest score was o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coworkers and the lowest score was on the poor working environment and salary. In general, dietitians in all schools are not satisfied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alary. Depending upon the duty tim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ature of their dutie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ature of duties and the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average income. Even though they got paid less, they felt satisfaction because of the less working times. The amount of labor for those in primary schools was more than the one for dietitians in high schools. It is likely that they got more satisfied when other related people feel satisfied with their own things and duties based on the nature of the duties, discretion of duties, professionalism, relationship with other coworkers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It is to develop the nature of the duties for all the dietitians in order to launch the new and right ideas in meal plans for students. It is also to promote and uphold the professionalism and efficient management programs in association with the stable human resources. Assuming we will come up with a wide and broad nationwide survey, and further research shall be more reliable and objective than any others.
        4,000원
        9091.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urdough 빵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산균중 Lb. brevis는 높은 산 생성율과 단백질 분해 활성과 sourdough 발효 중 발생되는 휘발성 화합물의 합성에 뚜렷하게 기여를 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을 sourdough starter로 사용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Lactobacillus brevis UC-22의 배양 특성 및 최적 성장조건을 조사하였다. 온도에 따른 증식은 35℃에서 배양한 것이 pH의 저하 및 증식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이에 병행하여 산 생성량도 균주의 대수 증식기에서 활발하게 분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배지내의 pH에 따른 균의 생장은 pH 5.5와 pH 6.5일 때 증식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Lb. brevis의 특정적인 탄소원 이용은 glucose보다는 오히려 maltose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으나 본 실험에서 사용된 Lactobacillus brevis UC-22 는 maltose와 glucose의 첨가에 따른 성장 정도는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4,000원
        9092.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알로에가 첨가된 베이글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알로에를 밀가루 무게의 1%보다 많이 첨가할 시 패널요원은 유의적으로 쓴맛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서, 제품에 1% 이하의 알로에 첨가가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밀가루의 이화학 검사 결과 알로에를 1%까지 첨가함에 따라서 반죽의 회분 함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했지만, 베이글 제품의 부피에는 영향이 없었다. 알로에를 첨가할 시, 제품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는 다음과 같다. Farinograph 결과 특히 가스 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화도가 감소한다는 것은 반죽의 물성이 증가한다는 의미인데, 이는 반죽이 탄력성이 있고 제빵성이 좋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Extensograph 결과 반죽의 신장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발효시간을 늘리면 극복할 수 있겠다. Viscograph 결과 최고 점도가 감소하였는데, 이는 굽는 시간을 늘려줌으로써 개선할 수 있겠다. 이상의 결과, 알로에를 1%까지 첨가한 베이글은 알로에의 건강효과를 부여하며, 반죽의 가스 안정성을 높여 제빵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093.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캠벨과 거봉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압착방법에 따른 착즙액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율의 경우 캠벨, 거봉이 동일하게 냉압처리보다는 온압처리가, 온압처리에서도 낮은 온도보다는 높은 온도에서 수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 온압 · 펙틴분해 병행처리가 각각 83.5% , 87.3%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당도와 아미노테 질소도 열처리온도의 상승 및 압착방법의 병행에 의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산도는 캠밸과 거봉이 압착방법에 따라 각각 0.86 ~ 1.00%, 0.60 ~ 0.69%로 거봉에 비해 캠벨의 산도가 높았으며, 열처리온도가 산도 증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압착방법에 따른 착즙액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열처리 온도의 상승 및 착즙액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열처리온도의 상승 및 압착방법의 병행에 의해 떫은 맛과 산맛의 강도가 강하여지고 이들 처리구의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094.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늘의 주요 성분인 allicin 투여 후 유도되는 사람 말초혈액의 단핵구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allicin 의 효과를 규명하였다. 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allicin이 chemokines, cytokine 면역관련 유전자 및 신호전달 관련 유전자의발현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대로 allicin은 Thl type의 획득면역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염증세포에 있어서 allicin은 억제효과 및 자극 효과를 동시에 보여주었다. 이는 allicin이 휴지기 세포에서 먼저 증가시킨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이후에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positive와 negative 효과를 발휘하는 새로운 기전을 제시하는 것이다. Allicin에 대한 광범위하고 새로운 관심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에서 보여주는 많은 유전자의 발현 양상은 좀 더 특정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법을 고안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4,000원
        9095.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존료인 소르빈산 및 소르빈산칼륨, 안식향산 및 그 염류,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류를 중심으로 식품첨가물의 일일추정섭취량을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으로서 설문조사법을 제시하여 일일추정섭취량을 구하였을 때 조사한 보존료 모두 일일섭취허용량(ADI)의 1%미만으로 매우 안전한 수준이였다. 기존에 수행된 최대허용량을 이용한 단순추정방법 및 실제 분석치를 이용한 정밀추정방법과 비교·평가하였을 때, 설문조사법에 의한 총 일일추정섭취량은 소르빈산염류의 경우 0.39 ㎎/㎏ bw/day로 실제 분석치를 이용한 정밀조사방법에 의한 값인 0.22㎎/㎏ bw/day보다 높았으나 최대허용량을 이용한 방법에 의한 값인 1.39 ㎎/㎏ bw/day보다는 훨씬 낮았다. 또한 안식향산염류와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의 경우도 설문조사가 0.29㎎/㎏ bw/day, 0.03㎎/㎏ bw/day으로 정밀추정방법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나 단순추정방법인 최대허용량을 이용한 방법보다는 훨씬 낮은 값으로 정밀추정방법에 의한 값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설문조사법을 간편하고 경제적이면서 섭취량을 정밀하게 추정할 수 있는 식품첨가물 섭취량 평가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9096.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 가락농수산물시장에서 2001년 1-12월 수거한 총 742건의 수산물에서 장염비브리오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12.5%(93/742)의 검출율을 보였고, 월별로는 2월 7.14%(2/28), 5월 5.7%(3/53), 6월 5.1%(4/79), 7월 24.0%(18/75), 8월 48.0%(24/50), 9월 26.7%(23/86), 10월 11.1%(10/90), 11월 8.3%(6/72), 12월 5.7%(3/53) 등, 7-9월 검출율이 높아 하절기 장염비브리오균에 의한 식중독의 주요 원인균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검체별로는 어류 8.3%(16/192), 패류 15.3%(37/242), 갑각류 8.5%(18/212) 그리고 연체류 22.9%(22/96)로 나타나, 연체류가 분리율이 비교적 높았다. 또한, 지역별로는 경기 23.2%(16/69), 경남 6.6%(9/136), 경북 33.3%(1/3), 전남 13.6%(31/228), 전북 14.7%(10/68), 충남 15.6%(5/32), 제주 11.8%(2/17) 그리고 수입수산물 8.8%(11/125)의 검출율을 보였다. 93주 가운데 66주에서 K-type 혈청형을 살펴본 결과, K24, K28이 갑오징어와 징거미에서 하나씩, K47, K53는 홍합에서, K34는 바지락살과 한치알에서, K42는 갑오징어, 꽁치, 대합 그리고 오징어에서 각각 확인되어 15.2%(10/66)의 동정율을 나타내었다.
        4,000원
        9097.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1년 1-12월 서울시 가락농수산물시장에서 총 951건의 수산물(어류 34종 468건, 패류 17종 373건, 갑각류 10종 39건 그리고 두족류 등 11종 71건)을 대상으로 중금속 함량[average(minimum∼maximum), Unit:㎎/㎏]을 분석한 결과, Hg 0.025(N.D.∼0.19), Cd 0.288(N.D.∼1.85), pb 0.227(ND∼1.68)이었다. Hg의 경우, 패류[0.003((N.D.∼0.19)]>두족류 등[0.026(N.D.∼0.11)]>갑각류[0.026(N.D.∼0.09)]>어류[0.018(N.D.∼0.19)]순이었고, 가장 높은 함량은 미꾸라지(0.19)와 꼬막(0.19)이었으며, Pb의 경우 패류[0.223(N.D.∼1.38)]>어류[0.213(N.D.∼1.68)]>두족류 등[0.151(N.D.∼0.39)>갑각류[0.144(N.D.∼0.44)]순이었고, 가장 높은 함량은 미꾸라지(1.68)>빙어(1.44)>바지락(1.38)>뱀장어(1.35) 순이었다. 한편, Cd의 경우 패류[0.288(N.D.∼1.85)]중 가장 높은 함량은 꼬막(1.85)이었다.
        4,000원
        9098.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6개 주요도시에서 조사된 어패류 오염도 현황을 토대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어패류 섭취를 통한 유기주석화합물 인체노출량을 예측하고, 이에 따른 위해도를 추계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갈치의 경우, 성인이 식품수급표에서 제시하는 일일섭취량 3.02g/day를 평생 섭취한다는 노출시나리오하에 평균일일노출량은 확률분포로 나타냈을 때 그 중간값이 6.48$\times$ $10^{-7}$ mg/kg/day, 상한치 95th percentile값이 8.78$\times$$10^{-7}$ mg/kg/day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발암독성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BMD$_{10}$ 을 활용한 참고치(Reference dose)를 예측하였다. 이 때 BMD$_{10}$은 10% 비교변화를 BMR으로 하였을때 해당하는 용량의 95% 하한치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BMD는 digestion에 의한 근육내의 IgE titer, T.spiraris larvae와 조직학에 의한 근육내 T.spiraris larvae에 근거하여 예측된 것으로 0.03 mg/kg/day이다. 참고치는 BMD$_{10}$ 0.03 mg/kg/day에 불확실성 계수 100을 고려한 값으로 0.003 mg/kg/day이며, 이 때 활용한 불확실성계수는 실험동물에서 인체로의 외삽과정에서 고려한 계수 10과 인구집단 내 민감그룹 고려를 위한 계수 10을 적용한 것이다. 각 어패류의 위험지수(50th percentile)를 살펴보면 고등어에서 2.04$\times$ $10^{-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소라에서 2.70$\times$ $10^{-5}$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4,000원
        9099.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는 계란 유통실태 및 위생상태를 파악하여 품질향상과 위생관리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2001년 3-4월에 인천광역시 5개 백화점 식품매장에서 총 57종의 계란을 구입하여 조사하였다. 계란의포장은 10개 이하의 소량 단위포장 비율이 높았고, 전 품목을 실온에서 보관하였다. 유통기한은 40종(70.2%)이 28일 이상으로 표기하였다. 유통되는 특수란은 31종(54.4%)이었다. 유통기한과 산란일자는 모든 품목에서 표시되었으며 주로 상표나 난좌에 표기되었다. 내용량에 대한 표시는 38종(66.6%)만이 실시하였다. 난각에 분변이나 털이 있는 경우 27건(9.5%), 난각이 기형이거나 깨진 경우 11건(3.9%), 난 내용물에 혈반이나 육반등의 이물이 있는 경우는 42건(14.7%), 상한 계란은 5건(1.8%)이 유통되었다. Haugh Unit(HU) 검사결과 평균은 56.1이었으며, HU 31 미만의 품질저하 계란은 18개(6.3%)이었고, 총 57종 중 12종(21.1%)에서 1개 이상의 품질저하 계란이 조사되었다. 난각의 일반세균 오염수준은 <10∼8.2×10^3 cfu/ml으로 고르게 분포하였고, 대장균은 8건(4.7%)이 검출되었다. 총 285개의 계란(난황)에서 Salmonella enteritidis는 검출되지 않았고, 계란에 잔류하는 항생물질은 1종에서 테트라사이클린 계열이 검출되었다. 그 동안 위생관리의 사각지대에 있었던 계란에 대한 품질관리와 유통개선을 위한 법적, 제도적 근거가 마련되면, 계란의 표시 및 품질기준 등 사양관리에서부터 유통단계에 이르는 전반적인 안전성 관리방안이 검토되고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9100.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섭취 방법이 간과 뇌에서 산화적 스트레스 유발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흰쥐에 5%의 에탄올이 함유된 물을 1개월간 자유로이 섭취하게 하는 방법 또는 2.5g/㎏의 에탄올을 1일 1회 1개월간 경구 투여하는 방법 등 알코올 투여 방법을 달리하고 간, 대뇌 및 소뇌에서 지질과산화 반응과 비타민 E의 함량 변화를 비교하였다. 5%-EtOH의 간조직에서는 비타민 E의 함량이 증가하고 지질과산화물은 변화가 없었으며, 2.5g-EtOH군의 간조직에서는 비타민 E의 함량은 변화가 없으나 지질과산화물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뇌 조직에서는, 5%-EtOH군의 대뇌와 소뇌 모두에서 지질과산화물이 증가하고 비타민 E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또한, 2.5g-EtOH군의 대뇌와 소뇌에서도 지질과산화물이 증가하고 비타민 E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그 정도는, 5%-EtOH군에서 보다 큰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간에서의 지질과산화 반응 및 비타민 E의 함량은 알코올 투여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대뇌와 소뇌에서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투여 방법 모두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