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ell-established Universal Powder Press UPP, designed by the Swiss press manufacturer Osterwalder AG in Lyss, went through a major improvement process. The result is a high efficient production machine with state-of-the-art technology. It will be shown the technical design, some process engineering as well as the influence of PRP - =Part-Related-Programming, first published in 1994 - on the set-up time. This development has enabled Osterwalder to round off their range of presses, the mechanical-hydraulic KPP as well as the hydraulic CA-NC II and UPP, to an attractive offer ranging from 120 kN up to 10'000 kN.
Mechanochemical synthesis of zinc ferrite, ZnFe2O4, was attempted from a powder mixture of iron (III) oxide, alpha-Fe2O3 and zinc (II) oxide, ZnO. Nanocrystalline zinc ferrite, ZnFe2O4 powders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only bymilling for 30 hours. Evidence of the ZnFe2O4 formation was absent for the powders milled for 10 and 20 hours; the milling lowered the crystallinity of the starting materials. Heating after milling enhanced the formation of ZnFe2O4, crystal growth of ZnFe2O4 and the unreacted starting materials. The unreacted starting materials decreased their amounts by heating at higher temperatures.
본 연구는 전북부안군 부안댐 기수역 내부의 염생식물 현황과 군락 종조성 및 상재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염생식물에는 6과 13속 14종 2변종 총16종류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 벼과식물이 5종류, 명아주과와 국화과 식물이 각각 4종류로 분석되었다. 염생식물 군락으로는 갯잔디-비쑥군락, 비쑥-갯사상자군락, 갯질경-비쑥군락, 비쑥구락, 칠면초군락, 갯보리군락, 나문재군락, 갯잔디군락, 갯잔디-칠면초군락, 모새달군락 등 총 10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상재도 분석 결과, 군락구분종에는 I 에 모새달, 갯사상자, 갯질경, 칠면초, 갯보리, 나문재 등이 확인되었으며 II 에는 갯잔디, 비쑥 등으로 분석되었으며, 수반종에는 I 에 갯보리, 갯강아지풀, 물피, 모새달, 가는갯능쟁이 퉁퉁마디, 갯메꽃, 갯개미취 등이, II 에 갯잔디, 나문재, 사철쑥 등이, III 에 칠면초와 비쑥, IV에 갯사상자, V에는 갯질경과 큰비쑥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한정된 공간에 다양한 염생식물이 출현하고 기수역의 녹화에 기여할 수 있는 모새달군락을 중심으로 생태학습이 가능한 공간으로 기수역의 생태적 주제성을 발현할 수 있는 적지이다.
본 연구는 젖소의 분만 후 난소 주기의 재개, 난소 주기 재개와 PUN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가 진행이 되면 배란된 날에 난소 주기가 재개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공시우의 58.8%(l14/194)가 정상적인 난소 주기의 재개를 하였고 41.2%의 소에서 난소 주기의 재개가 지연되었다. 배란 후 황체기가 20일 이상 유지되는 난소 주기의 재개지연 I형(17.5%)과 분만 후 40일 이전에 첫 배란이 나타나지 않는 난소 주
국내 게임산업의 성장과 함께 유사한 장르의 후속 경쟁 게임작들이 ‘표절’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경우가 많은데, 대개는 두 게임의 시각적 요소들이 유사함에서 비롯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게임도 저작물인 한에 있어서는, 저작권침해의 일반적인 판단기준을 적용하면 될 것이나, 게임업계에서는 우리나라의 법원 또는 저작권법에 저작권침해, 특히 게임저작권침해를 판단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없다 고 질타한다. 미국에서도 게임의 시각적 요소의 유사성에 관련된 저작권침해 논란이 최근까지도 있었으나, 컴퓨터 또는 장르로 인한 표현매체의 한계를 인정하여 실질적 유사성에 있어 다른 저작물들과는 달리 시각적으로 동일한 수준의 유사성(virtually identical copying)을 요구하고 있는 경향이다. 최근 우리나라 법원에서도 게임의 시각적 요소에 대한 저작권침해 사례에서 의미 있는 판결들을 선고하였는바, 본고에서는 미국에서 전개된 저작권침해의 성립요건, 실질적 유사성 테스트와 시각적 동일성 기준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사례에 나타난 저작권침해의 성립요건, 실질적 유사성 이론 등과 비교한 후에 우리나라 게임저작권 침해 사례에 있어 시각적 동일성 기준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돼지 난포란에서 채취된 난모세포들을 체외 성숙 후 세포 손상이 없이 성숙 난모세포의 발생능을 알아낼 수 있는 마커로 극체의 방출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난모세포를 48시간 성숙 배양 후 극체의 방출 유무를 검사하고, 핵염색하여 염색체의 형태를 검사하였다. 확인된 난모세포들을 시간 추가 배양한 후 7% ethanol로 활성화시키고 cytochalasin B에 5시간 노출 후 NCSU23 배양액으로 7일간 배양하였다. 극체
Biosynthetic processing of fibrillar procollagens is essential for producing mature collagen monomers that polymerize into fibrils by a self-assembly process. The metalloproteinase ADAMTS-2 is the major enzyme that processes the N-propeptide of type I procollagen in the skin and also of type II and type III procollagens. Mutations in the ADAMTS-2 gene cause dermatospraxis in animals and Ehlers-Danlos syndrome VIIC in humans, both of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accumulation of type I pN-collagen and the formation of abnormal collagen fibrils in the skin. Despite its importance in procollagen processing, little is known about the regulation of ADAMTS-2 expression. Here, we demonstrate that ADAMTS-2 can be regulated by 1,25-dihydroxyvitamin D3, an inducer of type I procollagen synthesis. This steroid hormone induced ADAMTS-2 mRNA ~3-fold in MG-63 human osteosarcoma cells and MC3T3-E1 murine osteoblastic cells. This induction was dose- and time-dependent in MG-63 cells. In contrast, secreted ADAMTS-2 protein was increased only 1.4-fold with 1,25-dihydroxyvitamin D3. Finally, 1,25-dihydroxyvitamin D3 in the presence of ascorbate increased levels of secreted ADAMTS-2 1.9-fold over ascorbate treatment alone, which did not appreciably change ADAMTS-2 expression.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regulation of ADAMTS-2 is coupled with the synthesis of type I procollagen through 1,25-dihydroxyvitamin D3 signaling and may involve translational or posttranslational control.
배급사와 극장이 박스오피스 수익을 분배하는 비율을 부율이라고 부른다. 미국 등 다른 나라와 달리 한국의 경우는 모든 극장이 동일한 부율을 적용하여 박스오피스 수익을 배급사에게 분배하고 있다. 나아가, 영화가 외화인가 한국영화인가에 따라 부율을 달리하는데 현재 서울의 경우 한국영화는 50:50, 외화는 60:40으로 분배한다. 이와 같은 차별적 부율은 한국영화와 외화 사이의 관객동원력에 따라 성립된 것으로 알려졌는데, 최근 한국영화의 흥행력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외화에 비하여 불리하게 부율이 적용되는 것에 대하여 불만이 많다고 한다. 이러한 획일적인 부율 및 차별적인 부율은 공정거래법 이슈를 제기한다. 먼저 외화와 한국영화를 차별하는 것은 공정거래법상 부당하게 거래상대방에 따라 가격을 차별하는 경우에 해당하는가가 문제로 된다. 외화와 한국영화의 상영비용 등이 차이 나는 것도 아니고, 한국영화의 편당 관객동원력이 외화에 비하여 4배가 높다는 점, 가격차별이 개개 영화의 특성, 상품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 한국영화라는 이유만으로 일률적으로 차별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등에 비추어보면 일응 부당한 가격차별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극장들이 획일적인 부율을 적용하는 것이 부당공동행위에 해당하는가도 문제로 된다. 카르텔에 해당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극장주간의 합의가 있었는가가 가장 중요하고 실제 소송절차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다. 현재와 같은 극장 부율은 의식적인 동조행위로 볼 여지도 있고, 그 유래를 추적할 수 없는 때 시작되어 지속된 관행으로 볼 여지도 있다. 다만 한국 공정거래법상 추정 규정을 적용하면 합의의 성립이 인정되어 부당공동행위로 판단될 가능성도 있다.
우리 저작권법(이하‘법’으로 줄임) 제2조 제2호는“저작자”는“저작물을 창작한 자”를 말한다고 정의한다. 법에 따르면 저작자에게는 해당 저작물의 저작재산권은 물론이고 저작인격권이 귀속되며, 이러한 보호는 창작과 동시에 이루어진다(법제10조). 이것이 법의 근본원칙인“창작자원칙”이다. 그러나 저작권이 저작자에게 원시적으로 귀속한다는 이러한 근본원칙에는 특별한 경우 예외가 인정된다. 이것이 바로 피용자가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 중 작성한 저작물, 즉“업무상 저작물”의 경우이다. 이러한 업무상 저작물에 대한 저작자의 결정에 관해서 우리 법 제9조는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제9조(단체명의저작물의 저작자) “법인·단체 그 밖의 사용자(이하 이 조에서는‘법인 등’이라 한다)의 기획 하에 법인 등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가 업무상 작성하는 저작물로서 법인 등의 명의로 공표된 것(이하‘단체명의저작물’이라 한다)의 저작자는 계약 또는 근무규칙 등에 다른 정함이 없는 때에는 그 법인 등이 된다. 다만, 기명저작물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이와 같이 법 제9조는 피용자의 업무상 작성한 저작물에 대하여 법인 등 사용자가 일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에 저작자로 간주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그러면 오늘날 영화산업과 관련하여 영화사에 고용된 현대적 저작자(가령, 감독 등)가 업무수행 중에 영상저작물을 창작한 경우 해당 저작물의 저작자는 누가 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러한 경우 영상저작물의 저작자의 지위에 관한 문제는 다소 복잡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복잡성은 법 제9조와 제75조 제1항의 양자 관계의 불명확성에서 연유한다. 영화제작에는 많은 사람들의 관여가 요구되기 때문에 법 제2조 제2항에 의하면 그들의 창작적 기여에 따라 영상저작물의 공동저작자가 되거나 아니면 각기 별개의 저작권을 가지게 될 것이다. 그런데 법 제75조 제1항은 영상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는 저작재산권이 영상제작자에게 양도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조항일 뿐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의 논의를 살펴보고 비교법적인 고찰을 함으로써 영상저작물에 대한 법 제9조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결론적으로 영상저작물이 법 제9조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 영상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은 현대적 저작자에게 원시적으로 귀속될 것인데, 제75조 제1항은 이러한 경우 그 유통을 원활히 하고 권리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규정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Ischemic stroke results from a transient or permanent reduction in cerebral blood flow that is restricted to the territory of a major brain artery. Thu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1) the effects of swimming exercise on the improvement of muscle atrophy, and (2) exercise and HSP 70 expression in an ischemic stroke model induced by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One week after ischemic stroke was induced, changes appeared in the muscle weight of the gastrocnemius muscle due to muscle atrophy in the affected side. Group II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group III eight weeks after ischemic stroke was induced. (p<.05). One week and eight weeks after ischemic stroke was induced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the relative muscle weight of the gastrocnemius muscle in each group except Group IV, whil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group II eight weeks after ischemic stroke was induced, compared to group III (p<.05). For neurologic exercise behavior tests, Group II generally had the highest score, compared to other groups. In immunohistochemical observations, Group II showed a decrease in HSP 70.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swimming exercise improved muscle atrophy, changed the HSP 70 expression of ischemic stroke in rats, and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exercise fun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rapeutic effects of pelvic tilt exercise (PTE) on weight bearing and body sway during sit-to-stand (STS) on 18 hemiplegic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Han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and Injae University Sanggyebek Hospital physiotherapy rooms. The study compared the patients with 18 normal adults. The subjects were sampled out from those who could get up independently, maintain a standing posture more than 10 seconds, understand the movements of this study and have no difficulty in performing the tasks. By executing STS in a natural way with habitual movements before and after PTE, the weight bearing was measured by using Mediance II.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weight distribution, weight bearing and body sway on affected and nonaffected sides during STS before and after PTE,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was us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based on p<.05.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 of weight distribution in the hemiplegic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5),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althy group (p>.05). Weight bearing loaded on the affected side was 42.53±7.65% and 44.20±6.32%, respectively, in the hemiplegic group during STS before and after PTE. Weight bearing during STS after PTE is increased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weight bearing before PTE (p<.05). Body sway in the hemiplegic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5). As mentioned, PTE proved to be effective for improvement in weight bearing on the affected side during STS of hemiplegic patients.
The influence of carbon surface area, carbon-oxygen groups associated with the carbon surface and the solution pH on the adsorption of Pb(II) ions from aqueous solutions has been studied using three activated carbons. The adsorption isotherms are Type I of BET classification and the data obeys Langmuir adsorption equation. The BET surface area has little effect on the adsorption while it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presence of acidic carbon oxygen surface groups. The amount of these surface groups was enhanced by oxidation of the carbons with different oxidizing agents and reduced by eliminating these groups on degassing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 adsorption of Pb(II) ions increases on each oxidation and decreases on degassing the oxidized carbons. The increase in adsorption on oxidation has been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cidic carbon-oxygen surface groups and the decrease to the elimination of these acidic surface groups on degassing. The adsorption is also influenced by the pH of the aqueous solution. The adsorption is only small at pH values lower than 3 but is considerably larger at higher pH values. Suitable mechanisms consistent with the adsorption data have been suggested.
This paper is about the classification and systematization of Japanese spatial nouns. The three types of frame of reference proposed by Levinson (1996), classifies whole static spatial arrays in the following way: (i) Intrinsic frames of reference (not discussed here), (ii) Absolute frames of reference (not discussed here), and (iii) Relative frames of reference (discussed here). We could classify spatial nouns into two major classes; territory (dimension 2, 3)-oriented and direction (dimension 1)-oriented nouns. The territory-oriented nouns concern a territory of the reference object. The direction-oriented nouns concern the direction of a loca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such as “X no migi (the right of X)”, “X no temae (in front of X)” and so on. And territoryoriented spatial nouns are further classified into three subclasses: designating internal location of the reference object (internal), designating a location apart from the reference object (external), and designating a location on shape of the reference object (boundary).
본 연구는 도축되는 소 난소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 도축장으로부터 실험실로 운반되는 난소 수송 온도에 따른 체외 수정란 생산 효율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도축장의 HACCP 적용으로 도축장 출입이 불가능하므로 위탁하여 난소를 공급받게 되어 취급자의 부주의로 적절한 온도 유지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겨울철에는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겨울철 난소수송 온도에 따라서 4처리 그룹, 즉 (T1), (T2), (T3) 그리고
Major characteristics of embryonic stem cells (ESCs) are sustaining of stemness and pluripotency by self-renewal. In this report, transcriptional profiles of the molecules in the developmentally important signaling pathways including Wnt, BMP4, TGF-β, RTK, Hh, Notch, and JAK/STAT signaling pathways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self- renewal of mouse ESCs (mESCs), J1 line, and compared with the NIH3T3 cell line and 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 cells as controls. In the Wnt signaling pathway, the expression of Wnt3 was seen widely in mESCs, suggesting that the ligand may be an important regulator for self-renewal in mESCs. In the Hh signaling pathway, the expression of Gli and N-myc were observed extensively in mESCs, whereas the expression levels of in a Shh was low, suggesting that intracellular molecules may be essential for the self-renewal of mESCs. IGF-I, IGF-II, IGF-IR and IGF-IIR of RTK signaling showed a lower expression in mESCs, these molecules related to embryo development may be restrained in mESCs.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Delta and HES5 in Notch signaling were enriched in mESCs. The expression of the molecules related to BMP and JAK-STAT signaling pathways were similar or at a slightly lower level in mESCs compared to those in MEF and NIH3T3 cells. It is suggested that the observed differences in gene expression profiles among the signaling pathways may contribute to the self-renewal and differentiation of mESCs in a signaling-specific manner.
월출산국립공원 묵동지역에 대해 30개 조사지(단위면적 100m2)를 설정하여 식생구조를 파악하였다.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굴참나무-소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그리고 상수리나무군락의 5개 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각각의 군락은 상대우점치를 이용하여 군락구조를 밝혔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월출산국립공원 묵동지역의 식생천이는 소나무림에서 참나무림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월출산국립공원 도갑사계곡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30개 조사구를 설정하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기법 중의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굴참나무-개서어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그리고 갈참나무-때죽나무군락의 5개 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식생 구조분석결과 도갑사지역의 산림은 온대남부수종과 난대수종이 만나는 전이지역의 특색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산림의 임령은 40~50년이었다.
주의산만,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특정으로 하는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과 독서능력 및 시지각능력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초 · 중 · 고교생 각각에 대한 주의력결핍 · 과잉 행동과 시지각능력 요소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전지역 초 · 중 · 고교생 1 , 177명을 대상으로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과 시지각능력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 한 후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은 시지각영역 I( 독서능력 빚 독서시 불편한 증상)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초등학생 r = 0.347 p < 0.0001, 중학생 r = 0.458 p < 0.0001, 고등학생 r = 0.495 p < 0.0001), 시지각영역 II( 광과민성, 주변인식능력, 입체감)와도 유의한 상관 성 을 보였다(초등학생 r = 0.380 p < 0.0001, 중학생 r = 0.571 p < 0.0001, 고등학생 r= 0.514 p < 0.0001). 시지각영역 I( 독서능력 및 독서시 불편한 증상)은 능력, 입체감)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초등학생 0.752 p < 0.0001, 고등학생 r = 0.735 p < 0.0001).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이 모두 정상인 군과 의심군 사이에서 초등학생은 독서능력 및 독서시 불편한 증상, 중학생은 광과민성, 고등학생은 독서능력 및 독서시 불편한 증상, 광과민성, 주변인식능력 및 입체감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독서능력의 정상군과 의심군 사이에서 주의력영역이 초 o 중 · 고등학생 모두 한 차이가 있었고, 독서시 불편을 느끼는 군과 정상군 사이에서도 주의력영역이 중 · 고등학생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주의력결핍 · 과영행동과 독서능력 및 시지각능력 사이에 상관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지각능력의 개선 및 임상치료가 주의 력결핍 · 과잉행동을 개선시키고, 나아가 독서능력 및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R-type(Cav2.3) calcium channel contributes to pain sensation in peripheral sensory neurons. Six isoforms of Cav2.3 that result from combinations of presence or deletion of three inserts(insert I and insert in the II-III loop, and insert III in N-terminal regions) have been demonstrated to be present in different mammalian tissues. However, the molecular basis of Cav2.3 in trigeminal ganglion(TG) neurons is not known. In the present study, we determined which isoforms of Cav2.3 are expressed in rat TG neurons using the RT-PCR analysis. Whole tissue RT-PCR analyses revealed that only two isoforms, Cav2.3a and Cav2.3e, were present in TG neurons. From single-cell RT-PCR, we found that Cav2.3e rather than Cav2.3a was the major isoform expressed in TG neurons, and Cav2.3e was preferentially detected in small-sized neurons that express nociceptive marker,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TRPV1). Our results suggest that Cav2.3e in trigeminal neurons may be a potential target for the pain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