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추계학술발표회 (2014년 10월) 269

201.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conducted to rear worker honey bee (Apis cerana) from larvae to adult stage in the laboratory by using plastic well plates. Our study results were showed that honey bee larvae Apis cerana could be reared in the laboratory. The adult worker bee started to emerge on day 17 from grafting. The emergence of worker bee peak on day 18 and declined thereafter. The average survival rate from larvae to pre-pupae stage was 74.6%. The average survival rates from pre-pupae to adult stage and from larvae to adult stage were 40.7 % and 30.4 % respectively.
202.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acbrood disease is a viral disease on honey bee larvae Apis cerana. Diseased larvae fail to pupae and to be dead at old larvae and pre-pupae stage. Currently, there is no remedy to control sacbrood disease. In this study we conducted to observe sacbrood disease on Apis cerana colonies from June to September, 2014 at the A. cerana apiary of NAAS, and using biological measure to treat this disease. Our study results were showed that sacbrood disease infected A. cerana colonies in all months of observation. The percentage of infected colonies was from 33.3% up to 100%. Controlling sacbrood disease by requeen measure, the percentage of recovered colonies was 57.1 % while of this by cage queen measure was only 28.6 %.
203.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주도 서귀포시의 감귤시험장 및 주변농가에서 귤굴나방 유충과 번데기를 채 집하여 천적에 의한 기생률과 천적종을 조사하였다. 2014년 5월 귤나무 어린순 300엽에 발생한 귤굴나방 유충 및 번데기에서 천적은 10개체가 조사되어 기생률 은 0.03%였다. 8월에 귤굴나방 유충 120개체와 번데기 63개체를 채집하여 조사한 결과 유충에서 총 24개체의 기생벌이 우화하였고 번데기에서는 2개체가 우화하였 다. 조사지별 기생률은 일반포장과 농가에서 각각 23.8%와 26.9%이었던 반면 실 험포장의 방제구와 무방제구에서는 각각 4.0%와 42.9%로 차이를 보였다. 5월에 조사된 기생벌은 벌목 좀벌과(Eulophidae)의 Elachertus sp. 1이 5개체, Pnigalio sp. 1이 1개체, 면충좀벌과(Aphelinidae) 3개체, 기타 1개체이었다. 8월에 조사된 기생벌은 좀벌과 Elachertus sp. 1이 54개체로 가장 많았고 Quadrastichus sp. 1이 4개체, 기타 1개체이었고 면충좀벌과(Aphelinidae)의 Aphelinus sp.1이 1개체, 납 작먹좀벌과(Platygastridae) sp.1이 1개체, sp.2가 1개체이었다.
204.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땅강아지의 실내 증식기술 개발을 위해 2년 동안 수행되었다. 2013년 증식수는 43.0 ± 20.0 (mean ± SE)개체이었고 충태별로 2 ~ 3령이 15.3 ± 25.8, 3 ~ 5령이 28.8 ± 24.0, 6 ~ 8령이 2.4 ± 2.7개체였다. 2014년의 증식수는 43.5 ± 31.0 (mean ± SE)개체이었고 충태별로 2 ~ 3령이 25.8 ± 25.6, 3 ~ 5령이 23.6 ± 21.3, 6 ~ 8령이 2.9 ± 2.3개체였다. 실내사육상자의 증식성공률은 2013년과 2014년에 각 각 46.9%와 50.0%로 조사되었다. 야외 대형사육장에 암컷 25개체를 접종하였을 때 총 147개체가 증식되었고 실내 대형사육장에 암컷 100개체와 수컷 50개체를 접 종하였을 때 총 78개체가 증식되었다. 야외사육장과 실내 사육장에서는 원예용상 토를 넣은 25 ㎝ 깊이의 표층에서 전체 유충의 86.4%와 89.7%가 채집되었다.
205.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메리카왕거저리(Zopobas atratus) 성충 410.5 ± 89.0개체를 넣은 사육상자에 서의 1주일간 평균 산란된 부화유충수는 4,658.5 ± 559.3 (mean ± SD)개체로 암컷 의 1일 산란수는 3.24 ± 1.80개 (mean ± SD)이었다. 부화 후 1개월간 발육하여 개체 당 평균 체중이 0.255g인 유충 1500, 1000, 500, 100개체를 사육상자에서 11주간 사육한 후 각각의 사육상자에서 개체수는 1,271 ± 36.1, 895.3 ± 72.2, 554.0 ± 13.5, 103.0 ± 11.3 (mean ± SD)개체이었다. 11주간 사육기간중 각각의 유충 사육상자에 서 사육기간 중 사망한 개체는 발견하지 못하였고 종령유충의 중량은 각각의 사육 상에서 0.96 ~ 0.97 g으로 유사하였다. 종령유충의 용화율은 용화틀 체적이 34.8 cm3, 58.5 cm3, 124.1 cm3일때 용화틀 투입 20일차까지 평균 87.5 ~ 88.9%로 차이 없게 조사되었다. 용화기간은 용화틀의 크기와 관계없이 1주일까지 65.6 ~ 67.9% 용화하였다.
206.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벼메뚜기의 평균 발육기간은 41.6 ± 9.8 (mean ± SD)일로 조사되었고 1령 부터 6령까지 각각 9.3 ± 1.7; 6.8 ± 1.7; 6.5 ± 1.4; 7.6 ± 2.1; 9.0 ± 2.3; 11.8 ± 1.8 (mean ± SD)일이었다. 1령부터 7령까지의 평균 섭식량은 각각 3.5 ± 3.2; 6.7 ± 3.9; 15.5 ± 11.1; 44.9 ± 27.7; 96.3 ± 54.3; 115.7 ± 35.1; 101.9 ± 57.8 (mean ± SD) ㎠이 었다. 부화 약충에게 보리와 옥수수를 공급한 결과 부화 1일차 약충 42.3%는 보리 를 26.9%는 옥수수를 섭식하였고 두 기주식물 모두 섭식한 것은 26.9%이었다. 하 지만 부화 2 ~ 4일차까지의 약충 65.4%는 옥수수를 섭식하였고 두 기주식물 모두 를 섭식한 것은 26.9%로 옥수수를 선호하였다. 부화 직후의 1일간 평균 섭식량은 0.46 ± 0.69 (mean ± SD) ㎠ 이었고 2일부터 4일차까지 1.15 ± 0.80 (mean ± SD) ㎠ 이었다. 우리벼메뚜기는 수분함량이 90%인 산란배지에 66.1% 산란하였고 60% 와 30%에는 각각 19.5, 14.4% 산란하였다. 주당 평균 산란수는 1.0 ± 0.4 (mean ± SD)개로 조사되었다.
207.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hibitor cysteine knot (ICK) peptides exhibit ion channel blocking, insecticidal,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but currently, no functional roles for bee-derived ICK peptides have been identified. In this study, a bee (Apis cerana) ICK peptide (AcICK) that acts as an antifungal peptide and as an insecticidal venom toxin was identified. AcICK contains an ICK fold that is expressed in the epidermis, fat body, or venom gland and is present as a 6.6-kDa peptide in bee venom. Recombinant AcICK peptide (expressed in baculovirus-infected insect cells) bound directly to Beauveria bassiana and Fusarium graminearum, but not to Escherichia coli or Bacillus thuringiensis. Consistent with these findings, AcICK showed antifungal activity, indicating that AcICK acts as an antifungal peptide. Furthermore, AcICK expression is induced in the fat body and epidermis after injection with B. bassiana. These results provide insight into the role of AcICK during the innate immune response following fungal infection. Additionally, we show that AcICK has insecticidal activity. Our results demonstrate a functional role for AcICK in bees: AcICK acts as an antifungal peptide in innate immune reactions in the body and as an insecticidal toxin in venom. The finding that the AcICK peptide functions with different mechanisms of action in the body and in venom highlights the two-pronged strategy that is possible with the bee ICK peptide.
208.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급변하는 경쟁사회와 개인주의적 성향이 증대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소외감, 정신적 압박감 그리고 사회적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과 진료 또는 상담은 어 린 아동에서부터 노인층까지 점차 급격히 증대되고 있으며, 그러한 정신적 또는 정 서적 안정화의 방안으로 이러한 생물을 이용한 심리치료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 라 식물이나 동물을 이용한 정신 및 심리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와 효과 가 입증되고 있으나, 곤충에 대해서는 실질적인 효과에 대해 국내외적으로 거의 보 고가 전무한 상태이다. 일반인들에게 있어 곤충은 주로 나쁜 존재인 해충으로 많이 인식되어져 왔으나 최근 인간 생활수준의 향상됨에 따라 우리와 더불어 살아가는 생물 중의 하나로 점차 여기게 되면서 곤충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다. 이에 곤충 이라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놀이 또는 예술작품 등이 제작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도구를 이용한 심리치유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곤충의 사람에 대한 심리 및 정신적 안정성 또는 치유효과에 대해 과학적이고 체계 적인 접근을 통해 그 효과입증 및 분석이 곤충산업의 확대를 위해 절실이 필요한 실 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곤충의 심리치유 효과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우선적 으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애완곤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심리치유 대상에게 적 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존감, 주관적 삶의 질과 삶의 질에서 애완곤충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에서 향상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곤충의 심리치유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는 결과이다
209.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청소년기는 빠른 신체적 성장과 정신적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시기로서 올바른 사회 구성원으로서 성장하기위한 중요한 기간이다. 이시기는 자신의 진로를 탐색 하고 정체성을 찾아가야하기 때문에 내면적, 환경적으로 많은 적응적 요구를 겪게 됨으로써 청소년들은 이전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 서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래녹색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애완곤충 사육과 곤 충 관련 도구를 이용하여 심리치유 프로그램을 설계 · 개발하였고, 프로그램을 수 행함으로써 청소년에게 어떠한 심리적 치유효과가 나타났는지 조사하였다. 프로 그램은 일주일에 1번 씩, 약 2달여간 진행하였고, 대상자인 중학생의 집중도를 감 안하여 각 회기는 50분을 넘지 않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는 청소년용 기질 및 성격 검사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 들은 애완곤충인 장수풍뎅이와 호랑나비를 돌보는 과정과 다양한 곤충 관련 프로 그램을 통해서 자아존중감 향상 등의 정서적 함양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애완곤충 을 이용한 심리치유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정서적 지지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이 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10.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insecticidal activities of materialsderived from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against third instar larvae of three species mosquitoes (Culex pipiens, Aedes albopictus and Anopheles sinnensis) were evaluated using a direct contact mortality bioassay. The methanol extracts of D. crassirhizoma showed 100%, 87.8% and 100% larvicidal activity at 1,000 ppm against Cx. pipiens, Ae. albopictus and An. sinensis, respectively. Hexane fraction showed 100% larvicidal activity three species mosquitoes at 500 ppm after 24 hrs. Purification of the biologically active constituents from the hexane extraction with larvicidal activity was done using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H1 and H3 fractions gave 100% mortality to Cx. pipiens, Ae. albopictus and An. sinensis at 100 ppm. H1 fraction separated with methanol to give a H111 through centrifugation. Fraction of the biologically active constituents from the H3 fraction with larvicidal activity was done using methanol. H31 fraction was determined 100% mortality to Cx. Pipiens, Ae. albopictus and An. sinensis at 50 ppm, respectively. Two fractions were analyzed C14H22O (H111, MW206.0) and C11H14O4 (H31, MW210.08) by GC and GC-MS. D. crassirhizoma derived compounds described herein could be useful for managing filed populations as larvicide of Cx. pipiens, Ae. albopictus and An. sinensis.
211.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umblebees are important pollinators of crops and wildflowers. Bumblebees generally produce one generation per year. One of the key stages for year-round rearing of bumblebees is breaking diapau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combination method of CO2-narcosis and cold treatment to break the diapause of B. ignitus and B. terrestris queens, we determined whether this method affected their ability to establish a colony after the diapause break. The diapause treatment regimes that were utilized were CO2(CO2– narcosis), CT-1M(cold treatment at 5°C for 1 month), CT-1M-CO2(CO2–narcosis after cold treatment for 1 month), CT-2M-CO2(CO2–narcosis after cold treatment for 2 months), CT-2M (cold treatment for 2 months), CT-2.5M-CO2(CO2–narcosis after cold treatment for 2.5 months) and CT-2.5M (cold treatment at 5°C for 2.5 months). In view of the effects on the colony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B. ignitus queens, the most favorable diapause treatment was CT-1M-CO2. A combination method of CO2– narcosis and cold temperature treatment yielded better results than that of single CO2–narcosis or cold temperature treatment on the colony development of diapause-broken B. ignitus queens. In the case of B. terrestris queens, we concluded that a combination method of CO2 and cold temperature treatment yielded better results than that of a single cold-temperature(up to2 months) treatment.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the combined application of CO2 and cold temperature was a favorable method for the colony development of diapause-broken B. ignitus and B. terrestris queens compared with only CO2–narcosisorcoldtemperaturetreatments. A combination method of CO2 and cold treatment reduced the side effect of CO2–narcosis and shortened the duration of cold treatment by at least 1month.
212.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smia cornifrons plays a major role in the pollination of orchards, but basic information on vitellogenin and the oocyte development is limited. To better understand vitellogenin in hymenopteran insects, we cloned a cDNA encoding vitellogenin from the hornfaced bee O. cornifrons. O. cornifrons vitellogenin cDNA contains 5477 bp with an open reading frame of 1,783 amino acid residues, and has a predicted molecular mass of approximately 200.21 kDa and a pI of 6.55. O. cornifrons vitellogenin possesses four consensus (RXXR/S) cleavage sites and has conserved DGXR and GL/ICG motifs in the C-terminu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O. cornifrons vitellogenin cDNA showed a 66% identity with Megachile rotundata, 53% to Apis mellifera, 51% to Bombus ignitus, and 42%-30% with other hymenopteran insect vitellogenins.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O. cornifrons vitellogenin clustered with vitellogenins from Megachildae, Apidae, Vespidae, and Formicidae species but not with those from Pteromalidae, Aphelinidae or Ichneumonidae species.
213.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 cuticular melanization is regulated by the prophenoloxidase (proPO)-activating system, which is a component of innate immunity. However, the differentiation between cuticular melanization and innate immunity is not well defined. Here, we demonstrate that the proPO-activating system regulates cuticular melanization in the silkworm pupae using a different mechanism.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differential and spatial regulation of key components, such as the proPO-activating factor, tyrosine hydroxylase, proPOs, and immulectin, primes the proPO-activating system for either cuticular melanization or innate immunity. This dual strategy for cuticular melanization in development and innate immunity upon infection demonstrates a two-pronged defense mechanism mediated by the priming of the proPO system.
214.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꿀벌 품종의 혈통을 유지 보존하기 위해서는 육지에서 약 20km 떨어진 도서지 역을 격리교미장으로 이용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 실험은 서해안의 섬지역 을 격리교미장으로 정하여 대량으로 여왕벌 교미를 시도할 때 육지 환경과 비교해 서 어떤 시기에 교미를 시도하는 것이 적정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하였다. 섬지 역 격리교미장으로 전북 부안군에 위치한 위도를 실험교미장으로 정하였다. 실험 기간은 3월 26일부터 5월 20일까지이며 1회 당 평균 120군정도의 사군교미통을 편 성하여 총 3회 반복으로 실험을 하였다. 여왕벌 왕대 또한 3회에 걸쳐 평균 120개 왕대를 이식한 후 매 실험 횟수마다 여왕벌의 정상출방율(유입율)을 조사, 비교하 고 현지 기후변화에 따른 여왕벌의 교미 충실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왕대이식 후 첫 산란까지 소요일수를 비교하였다. 결과는 왕대이식 후 여왕벌 출방율(유입율)은 1 차 91%, 2차 96%, 3차 98%로 조사되었고, 이는 왕대 유입당일 오후 16~18시까지 의 온도와 풍속의 상관계수의 유의도가 기온 0.859, 풍속 –0.813으로 나타나 당일 기온과 풍속에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교미성공 산란율은 1차 36%, 2차 62%, 3차 72%로 조사되었고 교미의 충실도를 알아보기 위한 산란소요일수조사에 서는 1차 27일, 2차 21일, 3차 16일 소요되었는데 이는 기온이 높아지고 풍속의 영 향이 줄어드는 후반기 일수록 교미성공율과 충실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 조사결과를 토대로 섬지방에서 여왕벌 적정교미시기의 차이 있어서 여왕벌 교미 성공율을 높이고 교미 충실도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본 실험의 3차 실험 시기 즉 4월 15일 이후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15.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서지역은 내륙지역과 비교하여 기후 변화의 차이가 있다. 도서지역은 풍속과 바다 수온이 기온에 영향을 미친다. 같은 시기에 도서지역과 내륙지역에서 여왕벌 을 유입하여 교미충실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로 하였다. 실험한 결과 도서지 역의 유입율은 1차(4월 3일) 90%, 2차(4월 11일) 90%, 3차(4월 18일) 100%이고, 내륙지역은 1차(4월 3일), 2차(4월 11일), 3차(4월 18일) 100%로 동일하다. 도서지 역의 산란율은 1차 30%, 2차 50%, 3차 70%이며, 내륙지역은 1차 90%, 2차, 3차 100%이다. 섬지역의 산란소요일수는 1차 30일, 2차 20일, 3차 14일이며, 내륙지역 은 1차 12일, 2차 10일, 3차 8일의 결과를 얻었다. 산란소요일수가 많이 차이나는 이유는 최고기온 차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실험기간(4월 11일 ~ 5월 15 일) 중 위도격리교미장에서는 여왕벌 교미시 적정온도인 18℃이상의 일수는 도서 지역에서 17일, 내륙지역에서 39일 기록하였다. 내륙(풍양)양봉장에서는 4월부터 최고기온이 18℃인 날이 많이 관측되었다. 산란소요일수는 내륙지역의 최고온도 가 섬지역보다 평균편차와 분산이 낮게 나왔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를 통해 서양종 여왕벌 교미는 내륙지역이 도서지역보다 이른 봄철에는 최고기온이 영향을 미쳐 4 월 중순에 여왕벌 교미충실도에 있어서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16.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orcine parvovirus (PPV), a member of the genus Parvovirus, family Parvoviridae, is a significant causative agent in porcine reproductive failure, causing serious economic losses in the swine industry. PPV is a non-enveloped virus and its capsid is assembled from three viral proteins (VP1, VP2, and VP3). The major capsid protein, VP2 is the main target for neutralizing antibodies in PPV. When VP2 was expressed in large amounts, it assembled into virus-like particles (VLPs) similar in size and morphology to the original virions. In this study, we generated the recombinant Bombyx mori nucleopolyhedrovirus (BmNPV) to express the VP2 protein. Expression of the VP2 protein was analyzed by SDS-PAGE and Western blot. The recombinant VP2 protein of approximately 64 kDa was detected by both analyses. The formation of VLP by recombinant VP2 was confirmed throug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examination. The purified VP2 protein assembled into spherical particles with diameters ranging from 20 to 22 nm.
217.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말벌은 숲속 상위 포식성 절지동물로, 숲 생태계 유지 및 초식성 곤충류 등의 밀 조 조절에 기여한다. 최근 숲속에 서식하는 말벌류가 도심지에도 출몰하면서 공포 와 불안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래과학자양성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경북 영 주 도심지 내에서 말벌 트랩을 활용하여 말벌류의 종구성과 계절발생패턴을 파악 하였다. 말벌속 곤충으로 총 7종이 나타났다. 그 중 말벌의 개체수가 가장 많았고, 꼬마장수말벌과 좀말벌 순으로 나타났다. 숲속 서식 특성을 보이는 장수말벌은 전 체 채집 개체의 5.8%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최근 외래침입종인 등검은말벌(Vespa velutina nigrothorax)의 경우 침입지점인 부산이나 인근 대구 등 대도시에서 도심 출몰 빈도가 매우 높았으나, 영주 시가지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털보 말벌, 검정말벌 역시 한두 개체만 채집되었다. 영주 지역에서 말벌류의 출현은 5월 10일 경이었으며, 초기 여왕벌 발생 이후 밀도는 체집 개체는 낮은 수로 유지되었 으나, 본격적인 발육기인 7월 중순 이후 그 채집 개체수가 급증하고 추세이다. 각 조 사 지점의 특성에 따라 발생 종과 그 구성이 다르게 나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정보는 향후 영주시의 공중보건 정책 등에 반영되어 시민참여 모니터링 프로그램 으로 확대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218.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umblebee, Bombus terrestris, plays an important role as one of alternative pollinators since the outbreak of honeybee colony collapse disorder. Recently, pathogens and parasites such as viruses, bacteria and mites affecting the life span and fecundity of their host have been discovered in B. terrestris. In this study, in order to detect viral infection in B. terrestris, we collected B. terrestris adults and isolated total RNA for diagnostic PCR. The PCR primers specific for pathogenic viruses were newly designed and applied to gene amplification for cloning and detection. Capsid protein gene of black queen cell virus (BQCV) among examined viral genes was only successfully amplified from collected bumble bee adults and sequenced. To optimize the detection of capsid protein gene of BQCV, 4 regions in the capsid protein gene were selected and further analyzed in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 The qRT-PCR analysis revealed that capsid protein gene was directly detected with not more than 200 ng total RNA. This result suggests that an optimized detection via qRT-PCR can be applied for the rapid and sensitive diagnosis of BQCV infection in the field population as well as risk assessment of B. terrestris.
219.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outh Korea has over 38 millions of managed honey bee (Apis cerana) colonies before 2009 years ago, which produce the highest quantity of honey in the Korea; however, almost colony (99%) were collapsed by Korean Sacbrood Virus (KSBV) in South Korea. Korean Sacbrood Virus (KSBV) is the pathogen of A. cerana Sacbrood disease, which poses a serious threat to honeybee A. cerana, and tends to cause bee colony and even the whole apiary collapse. Colony collapse of A. cerana was first reported on the Pyeong-Chang of the South Korea in 2009. Symptoms of KSBV include the rapid transmission of larval stage honeybees (A. cerana), many dead larvae found in the bottom of hive and comb. Honeybees (A. cerana) are a very important species because they provide a number of pollination services for various ecosystems in some provinces (ex. jeon-nam, jeon-buk province). They are also extremely important organisms within human society, both agriculturally and economically. The fact that a direct cause has been determined suggests that colony collapse is a complex problem with a combination of natural and anthropogenic factors. Possible instigators of colony collapse include: wax moth, viral and fungal diseases, increased population, decreased genetic diversity, climate changing and a variety of other factors. The interaction among these potential causes may be resulting in immunity loss for honeybees and the increased likelihood of collapse.
220.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ctoparasitic honey bee mites was originally confined to the Asian honey bee(Apis cerana etc.), mites had become widely established in the world and have continued to cause extensive bee colony deaths. Mites attach to adults and developing brood, where they feed on their blood. If left untreated, mites can deform bees and eventually kill the colony. Varroa destructor and Tropilaelaps clareae has plagued European honey bees, Apis mellifera. Differences in mite tolerance are reported between two honey bee species A. mellifera and A. cerana. We were counted number of mites(V. destructor and T. clareae) form 20 colonies. V. destructor and T. clareae has very similar behavior in honeybee colony. When behaviorally close, two competing species may populational interfere, and thereby affect their population dynamics. We tested for populational interference (PI) between two populational competing honeybee mites, V. destructor and T. clareae, by investigating their population dynamics when they competed on the same colony.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