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ur silver grass, Miscanthus sacchariflorus is one of the promising biofuel crops. A damage of noctuid pest, Leucapamea askoldis was firstly observed from Amur silver grass in Hwasun silver grass plantation during the survey of insect pests of Amur silver grass in Iksan, Hwasun, and Sancheong plantation areas in Korea. The host of L. askoldis was not known yet in Korea. Thus, M. sacchariflorus was the first known host in Korea. The L. askoldis damage was observed as larval feeding on newly grown shoots of M. sacchariflorus close to soil surface from early April to early May in 2013. Investigated larval density was 1.6 ± 1.1 per m2 on April 4 and damage rate of shoots was 0.8% ± 0.4 per hundred plants on May 4, 2013. The larvae bore into shoots of M. sacchariflorus and then feed inside of plant. The damaged shoots are easily pulled out and distinguished by the boring hole on the shoo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species distribution of ground beetle assemblages in western part of Yeongwol-gun, Korea. Ground beetles were collected by pitfall traps from 9 study sites during July to October in 2013. A total of 30 species were identified from 4,439 collected ground beetles. Two dominant species, Synuchus nitidus (1,916 individuals) and Synuchus cycloderus (1,900 individuals) were occupied 85.8% of total. Interestingly, Pterostichus orientalis orientalis and Synuchus melantho were only collected in relative high altitude above 350 m, such as Beopheung-ri, Unhak-ri, and Yongseok-ri. Large-sized beetles, such as Damaster, Leptocarabus, and Carabus species, were generally more collected from Suju-myeon (Beopheung-ri and Unhak-ri) and Jucheon-myeon (Docheon-ri and Yongseok-ri) as well-conserved area, but not occurred in Yeongwol-eup and Hanbando-myeon, which forests may have lower habitat quality for these species. These differences also lead to increasing of dissimilarity among study sites, which were diverged into 3 groups at 53.0% of similarity. In particular, species composition of Samok-ri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t 8.2% of similarity because of difference in habitat characteristics as river side. This study has an important value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f inventory and monitoring in Yeongwol-gun. For detail mapping of species distribution in Yeongwol-gun,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especially eastern parts of Yeongwol-gun.
본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과 진부면에 걸쳐 있는 가리왕산과 중앙산 일대의 국유림으로 천연활엽수림으로 남아있는 123(5소반)임반과 124(2·3소반)임반 지역 5ha를 구획하였다. 숲 가꾸기 작업 전·후를 분석하기 위해 벌채 전에 곤충모니터링을 2013년 6월∼9월까지 말레이즈 트랩(Malaise trap)과 비틀 트랩(Japanese beetle trap)을 4개의 조사구에 각 지점에 설치하여 곤충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채집결과 딱정벌레목 229개체, 메뚜기목 222개체, 집게벌레목 87개체 순으로 채집되었다. 6월에 가장 적은 개체 97개체, 채집되었으며, 7월에 가장 많은 292개체, 9월이 213개체, 총 731개체가 채집되었다.
비틀 트랩은 딱정벌레 250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메뚜기목 127개체, 나비목 74개체 순으로 채집되었다. 6월에 가장 적은 101개체수가 채집되었으며, 7월이 가장 많은 173개체, 8월 103개체, 9월에 162개체가 채집되었다.
본 연구는 강원도 정선군과 평창군에 걸쳐 있는 가리왕산 일대를 중심으로 산림 생태계 내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곤충종의 분포해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대상 곤충 종은 개미류, 딱정벌레류, 나방류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곤충상의 조사는 2013년 6월부터 9월까지 총 3회에 걸쳐 혼효림 지역에서 고도별 700m, 900m, 1,100m에 조사지점을 선정하고 핏폴트랩(Pitfall trap)은 대상지 10m×10m의 3개의 지점을 설정하여 한 지점에 9개씩 총 27개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버킷식유아등트랩(Bucket trap)을 고도별로 한 개씩 설치하였고, 타이머를 부착하여 PM 08:00-AM 02:00로 유아등 점등시간을 동일하게 설정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핏폴 트랩을 사용한 개미류 조사는 11속 14종 15,466개체가 채집되었다. 딱정벌레류는 4과 20속 26종 732개체가 채집되었으며, 버킷식유아등 트랩을 이용한 나비류의 조사는 19과 187속 232종 2,884개체가 채집되었다. 이번 기후변화취약곤충류는 남방계곤충 전체 284종에서 벌목 1과 70종, 딱정벌레목 22과 106종, 나비목 22과 77종 총 253종과 북방계곤충 전체 463종에서 벌목 1과 162종, 딱정벌레 19과 77종, 나비목 22과 161종에 대한 400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some regional gene difference in carabid beetle, Coptolabrus jankowskii. There are eight subspecies in this species from Korea and it was too difficult to identify by morphological similarity.
The mitochondrial ND5 (NADH dehydrogenase subunit 5) gene of Coptolabrus jankowskii from four regions of (Sangju, Daegu, Mt. Jumbong and Jeju island) was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s of the base sequence of total 57 sites and the amino acid variation of the 25 sites. The Neighbor-joining tree and Maximum parsimony tree were established based on sequence data of the ND5. In NJ tree, the Jeju area except Songdangri, and Mt. Jeombong region showed close relationship group. In the case of Maximum parsimony tree, the result divided to three separated group, the first connected group was Jeju Songdangri area and the other the Korean peninsula region except Mt. Jeombong. Others were Jeju area except Songdangri, and Mt. Jeombong region.
금번 연구는 곤충채집 장비인 버킷식 유아등 트랩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고 채집에 효율적인 장비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기존 장비의 경우 대부분 마취제(클로로포름)의 사용으로 인해 DNA손상의 우려가 있으며 여러 장소에 설치할 경우 구간 마다 마취지속시간의 편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기존장비의 경우 부피가 커서 휴대성이 비효율적이며 가장 큰 문제는 하계 조사시 많은양의 개체가 채집되면 트랩 안에서 밀집하여 표본이 많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장비를 개선함으로써 정량적 곤충조사를 위한 장비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가능케 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선된 곤충채집 장비는 향후 야외조사를 통한 데이터 분석으로 기존 제품대비 효율성을 추가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국립중앙수목원 조성예정지인 세종시의 주변지역인 전월산 곤충상을 조사하고 이들에 대한 증거표본을 확보하여 향후 이 지역에서의 곤충상변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산림곤충자원의 확보차원에 수행되었다. 특히 금번 조사 지역은 생물다양성 연구 및 보전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며 향후 기후변화와 관련한 취약종의 조사 및 분포역의 변화 등과 같은 관련연구를 위해 기초자료가 절실히 요구되는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립중앙수목원 조성지 주변지역인 전월산을 중심으로 2013년 5∼9월간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곤충표본을 수집하여 표본을 제작하고 분류동정하였다. 조사를 통해 총 나비목은 11과 150종 975개체를 확보하였다. 이들을 분류군 별로 살펴보면 밤나방과가 58종 439개체로 가장 많은 분류군이 조사되었고, 다음으로 자나방과가 40종 213개체로 조사되어 두 번째로 많은 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 외에도 명나방과, 독나방과, 갈고리나방과, 재주나방과 등의 순으로 채집조사되었다. 이들 조사결과는 향후 당해지역의 곤충변화상 연구를 위한 비교자료 뿐만 아니라 국립중앙수목원 조성이후 전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accurate identification of Noctuidae, using the DNA barcode. In total, 2,040 adult specimens of 443 species were collected from 13 forest areas in Korea.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correct identification using external morphology and genitalic characters. In addition, we observed and compared the voucher specimens, preserved in the major entomological collections in Korea, including Hannam university Natural History Museum (102 speci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8 species) and the National Science Museum (27 species) for correct identification. For extracting DNA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gene COI, the hind legs were detached and sampled with tweezers, providing about 25 mg of tissue sample. We amplified and sequenced the standard DNA barcode fragment of 648 basepairs. As a result, we have complete DNA barcodes for all 331 species. These results will be presented in Forest Pests Information Data Sheets for Noctuidae, containing DNA Barcode information, external morphology,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en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Korean Psychidae. In the present study, a total of 10 species belonging to seven genera were recognized from Korea. Among them, three species, Eumeta tamraensis sp. nov., Proutia unhongae sp. nov., and Psyche yeongwolensis sp. nov. are described as new to sciences. All known species were described with illustrations of external and genital characters includi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distributional ranges, and host plants.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선각산 일대를 중심으로 산림생태계내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곤충종의 분포상 모니터링을 위해 고도별 곤충류 군집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선각산의 300, 600 및 900m 고도에서 조사지점을 선정하고 버킷식유아등트랩과 핏폴트랩을 이용하여 정량채집을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곤충류가 출현하기 시작하는 2013년 5월∼9월까지 2개월 간격으로 총 3회의 채집조사를 수행하였다. 채집조사결과, 버킷식유아등트랩으로 조사된 곤충류는 대부분 야행성인 나방류였으며 18과 310종에 이르는 비교적 다양한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핏폴트랩을 이용한 보행성 딱정벌레류의 조사결과는 28종 200개체였으며, 고도별 개미류 조사결과는 14종 11,276개체가 확인되었다. 금번 조사결과 국립수목원(2011)에서 지정한 기후변화취약곤충류 중 썩은잎가지나방을 비롯하여 나방류와 개미류에서 19종의 북방계 곤충과 4종의 남방계열의 분포가 확인되었다. 이번연구를 통해 수립되는 기초정보들은 향후 당해지역의 기후변화에 따른 곤충상의 변화양상을 파악 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 무역자유화에 따른 농산물의 국제교역량 증대에 따라 외래해충의 유입 및 확산의 위험성이 증대하고 있으며 최근 농산물의 수출과정에서 발견되는 해충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동정법에 대한 특정 분류군별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반면 해외에서 유입되는 해충에 대한 정보는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지정되어 있는 검역해충은 1,375종으로 알려져 있고 이중 나비목의 경우 나비류 6종을 포함하여 228종이 규제병해충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들의 생태특성상 국내로 유입될 경우 대발생하여 해충이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검역해충 목록을 토대로 외래해충종 및 국내 근연 분류군을 중심으로 총 31종의 나방류를 DNA barcode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 연구결과는 검역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정리될 예정이다.
금번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북쪽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인제지역의 생물 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인제군의 주요 지역에서 2013년 5월부터 11월까지 설악산국립공원, 대암산, 방태산, 명당산, 조침령 등 총 6회 18개소에서 포충망과 육안을 이용한 나비조사와 나방조사를 위해 유아등, 버킷트랩을 이용하여 채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총 3과 344종 1,004개체가 조사되었다. 이 중 나비류는 5과 40종 170개체가 조사되었고 나방류는 25과 304종 834개체가 확인되었다. 이를 월별로 살펴보면 나비류의 경우 6월에 3과 14종, 7월에 13종, 8월에 15종 9월에 23종으로 나타났고 분류군별 조사결과 네발나비과가 27종으로 나비류중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금번조사에서 나방류의 경우 5월에 31종, 6월에 114종, 7월에 104종, 8월에 85종, 9월에 54종 11월에 4종으로 확인되어 주로 7-8월에 많은 종수가 출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를 과별로 조사된 종수로는 밤나방과, 자나방과의 순으로 많은 종들이 조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른 지역의 곤충상 조사결과와 비슷한 경향으로 곤충류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6월부터 8월에 이르기까지 많은 종들이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Members of the order Psocoptera are known as psocids (commonly called booklice or bark lice). There are more than 5,500 species in 41 familes in three suborders.
The suborder Psocomorpha is the largest suborder in Psocoptera, containing 25 of the 41 psocopteran families. Psocomorphan familes a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Epipsocetae, Caeciliusetae, Homilopsocidea and Psocetae.
Families Caeciliusidae and Stenopsocidae belong to the group Caeciliusetae. The family Caeciliusidae is the largest family of Psocomorpha, and is widely distributed in all zoogeographical regions. Monophyly was not supported by any autapomorphy (Yoshizawa, 2002). The Stenopsocidae is distributed in the Afrotropical, Palearctic, Oriental, and Australian regions. Monophyly is well supported by the presence of the R1-R2+3 crossvein, M-CuA1 crossvein, and lateral pouch of the spermathecal sac (Yoshizawa, 2002).
These families, Caeciliusidae and Stenopsocidae consist of about 676 described species in 32 genera and about 188 described species in 4 genera, respectively. In Asia, there were reported 337 species belonging to 11 genera and 154 species belonging to 4 genera from China (Li, 2000) and 22 species belonging to 6 genera and 7 species belonging to 2 genera from Japan (Yoshizawa, 2004), respectively, but there have not been known from Korea until now.
This study is the first work to make the checklist of the Korean Psocoptera. Through this study, I have reported 2 species of families Caeciliusidae and Stenopsocidae new to Korea, respectively.
Family Caeciliusidae
Valenzuela oyamai (Enderlein, 1906)
Paracaecilius japonicus (Enderlein, 1906)
Family Stenopsocidae
Cubipilis aphidiformis (Enderlein, 1906)
Stenopsocus immaculatus (Stephens, 1836)
Leptotrombidium pallidum and Leptotrombidium scutellare are the major vector mites for Orientia tsutsugamushi, the causative agent of scrub typhus. Before these organisms can be subjected to whole-genome sequencing, the genome sizes of L. pallidum and L. scutellare were estimated by a method based on quantitative real-time PCR. In addition, k-mer analysis of the genome sequences obtained from Illumina sequencing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utual compatibility and reliability of results. The genome sizes estimated by qPCR were 191.3±7 Mb for L. pallidum and 262.1±13 Mb for L. scutellare. The estimated genome sizes based on k-mer analysis were 175.5 Mb for L. pallidum and 286.6 Mb for L. scutellare. The estimates from two independent methods were mutually complementary and in a similar range to those of other Acariform mites. The relatively small genome size would facilitate genome analysis, which c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Arachnida genome evolution and mite vector competence and provide key information for scrub typhus prevention.
Transgenic lines of insect resistant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expressing Cry1Ac1 protein has been developed to control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The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Bt crops on non-target arthropod herbivores and predators are major concerns. We conducted a tritrophic bioassay to study the ecological impacts of insecticidal transgenic cabbage on the wolf spider (Pardosa astrigera), a non-target generalist predator. First, we measured the levels of Cry1Ac1 proteins in fruit flies that were fed with the transgenic cabbage as well as those levels in the wolf spiders preying on the Bt cabbage-fed fruit flies using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Cry1Ac1 proteins were detected in the Bt cabbage fed fruit flies and also in the wolf spiders after preying on Bt cabbage-fed fruit flies. Second, we compared the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of the wolf spiders preying on the Bt or non-Bt cabbage. Growth, development time and survival of the wolf spid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t and non-Bt cabbage. Although the wolf spiders were exposed to Cry1Ac1 protein via feeding on the preys containing Cry1Ac1 proteins, their growth and survival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Methyl bromide (MB), as a fumigant for Quarantine and Pre-Shipment(QPS) could offer eradication of target pests within shorter fumigation period and without phytotoxicity. Therefore, unlike MB alternatives for soil fumigation, there is no ideally MB alternative fumigant for QPS purpose, particularly for perishable commodities. It is critically important that within shorter fumigation time requires killing all target insect pests and without effect of quality and deliver treated fruit and vegetables to the final consumer.
The citrus mealybug(Planococcuscitri), problem quarantine pest, was tested with different exposure times(2 and 4-hours) and concentrations(EF(0-200 g/m3) and PH3(10-50 g/m3)) in small desiccators for mixture tests. On sensitivity test with small desiccator, the egg stage showed 100% mortality with 200/25(EF/PH3) g/m3 and the nymph and adult stage showed 100% mortality with 10/10(EF/PH3) g/m3 on 2h. Also, the egg stage showed 100% mortality with 150/25(EF/PH3) g/m3on 4h.
Aphids are common pests frequently found in imported and exported fruits and vegetables. Methyl bromide(MB), a Quarantine and Pre Shipment(QPS) fumigant, could offer eradication of aphids within short period. However, MB is limited in use because of poor gas evaporation at low temperature(<5℃) and there is phytotoxic effect or damage on quality in post-harvest vegetables and fruits even at >5℃. Two candidates of MB alternative, ethyl formate(EF) and phosphine(PH3), are used and being investig at edonvarious fruits and vegetables fumigation to replace MB. Aphids are known as quarantine pest that are hard to control when conduct short period fumigation with PH3 and low dosage of EF. In this paper, dose response assessment of EF and PH3 are presented for three different aphid pecies : cotton aphid(Aphisgossypii), green peach aphid(Myzuspersicae) and turnip aphid (Lipaphiserysimi). The LCt99% values of EF at room temp. and low temp. (5℃) were 4.42 and 4.45 g·h·m-3 for cotton aphid, 3.23 and 5.58 g·h·m-3 for turnip aphid, 3.23 and 5.58 g·h·m-3 for green peach aphid when 2-hours fumigation. PH3 showed 0% efficacy on all species when 2-hours fumigation.
Radopholus similis belong to the plant parasitic nematode family, Pratylenchidae and was recognized that injure the plant. R. similis was generally identified from bananas and plantain in the tropics. However, the occurrence of infection of R. similis on new host plant was confirmed recent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determination of new host plant for R. similis on Staurogyne sp. The species identification was evaluated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nine R. similis. Molecular assay was designed from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ITS) of ribosomal DNA to distinguish species. Nematodes from Staurogyne sp. showed almost similar morphological and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in general R. similis, but some variation in tail shape was confirmed. Also, male was not detectable. Molecular assay showed a high level (97%) of similarity in the TW81-AB28 and 18S-28S sequences (ITS region) with corresponding NCBI sequence. The quarantine should be more intensely to detect the prohibited nematode.
Distribution of aquatic organisms is govern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Hyd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hich are heavily affected by heavy rains in stream are one of the fundamental factors to influence the distribution of aquatic organism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difference response of two aquatic species Chironomus yoshimatisui and Limnodrilus hoffmesteri habiting to changes of discharge due to heavy rains. We compared the differences in their resilience and recover to disturbances. Our results showed that after a heavy rain during the sampling periods, the proportion of macrosubstrate highly increased and was not recovered into the previous state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based on Chironomidae and Oligochaeta biota well represented annual and seasonal differences with heavy rain effects. Random forest model showed that the abundance of C. yoshimatisui were mainly influenced by microsubstrate, precipitation and Reynolds number, whereas stream roughness, mesosubstrate and macrosubstrate much more influenced the abundance of L. hoffmesteri.
생물다양성협약(CBD)은, 2010년 생물자원의 접근과 이익 공유에 관한 나고야의정서(ABS)를 채택하고, 생물자원의 이용에 관한 국제적 규범을 만들어 발효를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대비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는 생물자원에 대한 권리 확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생물종에 대한 정보 구축이 시급한 문제가 되었다. 환경부는 이에 대응하여 2013년 2월부터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시행하면서 범 국가적인 국가 생물종 목록 구축과 목록집 발간을 추진해 왔다. 학자들은, 한반도 자생 생물종 수가 약 10만 여종이고, 이 중 곤충은 약 3만 여종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반도 곤충 종목록 연구는 1848년에 Adams가 제주도 일대의 딱정벌레 등을 최초 보고한 이래, 한국동물학회, 한국식물보존학회 등에서 간헐적으로 진행하다가, 종합정리는 1994년에 한국응용곤충학회와 한국곤충학회가 30목 10,991종을 정리한 ‘한국곤충명집’을 발간한 것이 최초였다. 그 후 1996년에 자연보호중앙협의회에서 일부를 추가하여 30목 11,853종을 다시 정리하였다. 하지만, 발간된 기존의 종목록은 분류 계급별로 학명 및 국명만 간단하게 제시하였고, 각 개별 종에 대한 자세한 분류학적 이력이나, 국내 자료에 대한 정보 등은 없어 각 종 관련 연구에 상당히 불편하였다. 이 점의 해소를 위해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2008년부터 국가 곤충 종목록 구축 사업을 시작하여 개별 곤충 종의 학명 및 국명뿐만 아니라 원기재 정보, 동종이명 등의 변경 이력, 국내 관련 보고 논문 정보 등을 계속해서 정리하였다. 2014년 4월 현재, 최근의 분류학적 정보를 반영하여 총 30목 15,651종의 곤충 종목록을 구축하였고, 이 결과를 종합 정리하여 국가 곤충 종목록집 7권(노린재목 I, 파리목I, 딱정벌레목 I, 나비목 I, 수서곤충, 벌목 I, 북한지역 곤충)을 발간하였다. 아직 미발간된 나머지 곤충 분류군들은 2014년 12월까지 발간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발간한 국가 곤충 종목록집은 우리 곤충에 대한 귄리를 지킬 수 있는 국제적 규범의 근거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향 후 국가 곤충 산업 발전의 중요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