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2016년 10월) 268

141.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갈색날개매미충은 2010년 최초로 충남, 공주와 예산에서 처음 발생한 이래 충남 전역으로 확산하였고 약충과 성충에 의한 흡즙 피해로 인한 기주식물의 고사 및 수세약화와 성충에 의한 산란에 따른 가지마름 등의 피해가 속충하고 있다. 갈색날개매미충은 기주범위가 넓어 산림속 대부분의 수목류와 관목류에 산란할 뿐만 아니라, 농경지내 화학방제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농경지로 유입되어 산란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갈색날개매미충의 성충이 농경지로 유입되기 전에 성충을 유인할 수 있는 유인식물을 탐색하였고 성충의 유인효과를 조사하였다. 2015년 갈색날개매미충의 산란전기간 조사에서 가지 신초부위로부터 50cm내 성충의 밀도가 가장 높았던 기주는 배롱나무, 자귀나무, 매실나무, 해바라기, 달맞이였으며 그 중에서 해바라기는 엽당 15마리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산란기간 조사에서는 해바라기와 달맞이 같은 초본류에서는 관찰되지 않았고 모두 목본류에서 관찰되었으며 가장 선호하는 목본류는 산딸나무, 때죽나무, 굴피나무였다. 산란전기간에서의 목본류와 초본류에서 성충의 발견 비율은 각각 56.0%와 44.0%였으나 산란기간에 접어들면서 갈색날개매미충은 산란을 위해 초본류에서 목본류로 모두 이동하였다. 2016년 해바라기의 산란전기간과 산란기간에의 성충유인효과를 블루베리와 비교한 결과 산란전기간에서 90.4%~95.2%였으며 산란기간에는 오히려 블루베리에서의 밀도가 월등히 높았다. 따라서, 해바리기는 갈색날개매미충의 산란전기간인 6월부터 7월까지 유인식물로써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142.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different types of acetylcholinesterae (AChE1 and AChE2) are present in majority of insects, including the Western honey bee. Out of the two honey bee AChEs (AmAChEs), the soluble AmAChE1 with little catalytic activity is widely distributed in both neuronal and non-neuronal tissues, including fat body. In this study, to identify stresss factors that can induce AmAChE expression, we tested various conditions that honey bees can encounter in natural setting, including heat shock, cold shock, bacterial challenge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and Varroa mite infestations, and evaluated their effects on AmAChE expression. Among the stress factors tested, only heat shock condition induced AmAChE expression in a dose dependet manner. This finding suggests that one function of AmAChE1 is related with thermoregulations, especially against heat shock stress in honey bees.
143.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동성 해충인 벼 멸구류를 조사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아시아지역 9개국에서는 농촌진흥청 아시아농식품 협력협의체(AFACI) 프로그램의 지원으로 “아시아지역 이동성 벼해충 국제협력네트워크 구축”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지역 각국의 멸구류 포장 발생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한 끈끈이카드를 이용한 벼 멸구류 및 거미류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충남 홍성, 경기 화성, 전북 김제와 완주지역을 조사하였고, 2016년에는 경남 거창과 밀양, 전남 신안, 전북 완주지역을 조사하였다. 2015년과 2016년 완주지역의 애멸구와 흰등멸구는 50개체 정도 조사되었으며, 벼멸구는 발견되지 않았다. 거미류는 모든 지역에서 후반기로 갈수록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44.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pring emergence of individual insect would be influenced by surface temperature during winter season.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overwinter as a full-grown larva within spherical and compactly woven cocoons in the clefts of tree bark. It consume new shoots early and fruits later in the growing season. To estimate the spring emergence of G. molesta, we used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8.14°C) and thermal constant (279.3) for overwintering G. molesta. The climat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web site of the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KMA) from 1975 to 2015 at 61 locations, respectively. The spring emergence of G. molesta was changed depending on ambient temperature of each year.
145.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development of resistant seeds to manage this pest is a big challenge for breeders. We investigated the oviposition preference and development of C. chinensis on two susceptible mungbean cultivars (Seonwha and Gyeongseon) and one previously reported resistant cultivar Jangan, compared to the susceptible cowpea, Yeonbun, by offering a multiple choice test and a no-choice test. Additional, insect stage wise development of C. chinensis was also examined at four temperatures (20, 25, 30 and 35℃). The both choice tests results showed that the cowpea is the most suitable seed host for oviposition. Total developmental time from egg to adult stage ranged from 27.01 to 38.2 days, and developmental time was shortest on the cowpea and longest on Jangan mungbean. However, no successful development of C. chinensis on Jangan mungbean occurred at all constant temperatures. Higher rate of adult emergence and longer adult longevity were found on cowpea and mungbean except Jangan mungbean. Results suggest, higher performance of C. chinensis on cowpea and mungbean might be governed by physical as well as chemical attributes of the seeds. Thus, Jangan mungbean could be stand as a resistant one against bruchids and it could be a resistant sources for successful breeding.
146.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zuki bean weevil, Callosobruchus chinensis L., which is one of the notorious stored grain insect pest.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of C. chinensis. was examined at six temperatures of 14, 18, 22, 26, 30, and 34℃ on azuki bean and cowpea seeds. The total developmental time (egg to adult)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from 14 to 34℃ on both seeds. However, total developmental time varied from 127.9 and 125.9 days at 14℃ to 19.9 and 20.3 days at 34℃ on azuki bean and cowpea seeds, respectively. The lower temperature thresholds (Tmin) were estimated to be 9.52℃ and 10.36℃, and the thermal constants (K) were 526.31 DD and 454.54 DD, on azuki bean and cowpea using general linear model, respectively, and the lower temperature thresholds and the thermal constants estimated by Ikemoto-Takai linear models were 10.63℃ and 10.79℃, and were 466.18 DD and 436.28 DD, on azuki bean and cowpea, respectively. These findings on thermal requirements and temperature thresholds can be used to predict the occurrence, number of generations and population dynamics of C. chinensis.
147.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남지역 갈색날개매미충은 2013년 하동에서 처음으로 발생하여 2015년도에는 5개시군(하동, 사천, 진주, 함양, 산청)에서 발생하였고 2016년도 또한 5개 시군으로 인근 지역으로 확산속도는 느리지만 산림지역에서 농경지내로 유입되는 약충과 성충의 방제가 어려워 발생밀도는 해마다 증가하여 복숭아, 매실, 감, 사과 등 농작물에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8월 산란이 시작될 때 낮은 밀도의 성충이 농경지내로 유입되어도 1년생 어린 가지의 줄기 속에 산란하는 특성으로 인해 생육불량 및 결과지 분절로 차년도 결과모지 확보 곤란 등 피해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산란피해를 줄일 수 있는 대책이 미흡하여 앞으로 과수산업에 심각한 피해가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지역 갈색날개매미충의 발생생태 특성 분석으로 확산 차단 및 효율적인 방제체계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진주, 하동, 사천, 산청, 함양 등 경남일원에서 감, 복숭아, 사과, 매실, 산수유 등 주요 기주식물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난괴의 산란특성, 약충과 성충의 발생밀도 그리고 기주연관성을 분석하였다.
148.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남지역 미국선녀벌레는 2009년 김해에서 처음으로 발생된 이후 창원, 밀양 등 동부경남에서 발생하여 2015년도에 는 7개시군(창원, 김해, 밀양, 함안, 창녕, 진주, 산청)에서 2016년도에는 3개시군(양산, 사천, 함양)에서 추가 발생하여 누적 분포지역은 10개 시군으로 확산되었다. 또한 기후변화, 산림지역 방제의 어려움 등으로 발생밀도가 해마다 급격하게 증가하여 단감, 사과, 참다래 등 농작물의 피해가 심각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선녀벌레의 과수원내 이동시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과수포장 주변 아카시에서 과수포장으로 유입되는지 알, 약충, 성충의 발생시기 및 밀도를 밀양과 진주에서 사과와 단감을 조사하였다. 미국선녀벌레는 주변식생인 아카시에서 알의 밀도가 높아 주로 산란하며 약충의 발생시기는 5월 중순 ~ 7월 상순이고, 성충의 발생시기는 7월 상순 ~ 9월 중순으로 성충 발생 최성기는 8월 상순이었다. 과원에서는 알의 밀도가 낮아 산란을 선호하지는 않으며 약충의 유입시기는 5월 하순이며, 성충의 유입시기는 7월 중순으로 미국선녀벌레의 방제적기 및 방제횟수 구명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149.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작은뿌리파리(Bradysia difformis)는 시설하우스에서 여러 작물의 뿌리를 가해하여 생육을 지연시키거나 고사시켜 피해를 일으키고 있는 해충이다. 작은뿌리파리를 인공사육하는데 있어서 감자디스크를 이용하였을 때, 사육온도에 따른 발육기간과 부화율, 용화율, 우화율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작은뿌리파리를 방제하기 위해 시판되고 있는 20종의 살충제 중 작은뿌리파리에 대한 우수 살충제를 탐색하고, 선발된 약제의 잔효성과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전체적인 사육온도에 따른 발육기간과 부화율, 용화율, 우화율을 비교해보았을 때, 20℃에서 생육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기 다른 성분의 살충제를 권장희석배수로 살포한 결과, acetamiprid, chlorfenapyr, diflubenzuron, dinotefuran, fenthion, indoxacarb, lufenuron, thiamethoxam의 살충효과가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150.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갓 부화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Riptortus pedestris 1령 약충에 다양한 수분 공급 매개체를 통해 섭식시킨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R. pedestris 1령 약충은 탈지면에 1차 증류수와 설탕물 10%가 공급된 처리구에서는 각각 86.7%, 90%가 2령으로 탈피하였으나, 물이 없는 처리구, 신선한 R. pedestris 알, 냉동시킨 R. pedestris 알, 설탕물 30% 이상 처리구에서 모두 2령으로 탈피를 못하고 사망했다. 한편, 고추, 배추, 담배, 콩, 오이 식물체에서도 70%이상 탈피하였다. 부화 후 24시간 이전과 이후 동안만 수분을 공급한 경우, 탈피율이 각각 80%, 76.7%를 보였다. R. pedestris 1령 약충의 수분 섭식 누적기간은 평균 65.2 분으로 평균 3 회 섭식 후 2령으로 탈피하였다. 따라서 R. pedestris 1령은 탈피를 위해 수분이 필요하며 야외에서 식물 등에서 수분을 얻을 것으로 추정된다.
151.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콩명나방(Maruca vitrata, 포충나방과)은 국내에서 Vigna속 작물들(팥, 녹두, 동부)과 세스바니아의 주요 해충으로 알려져 있는데, 국내에서의 생활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콩명나방이 수원 지방에서 월동한 후 처음 발생하는 시기를 알기 위해 반야외 조건에서 인공사육 하였고, 월동율을 조사하였다. 9월 하순부터 야외에서 사육한 갓부화 유충은 그 해와 이듬해에 우화하지 못했고, 이전 해의 유충과 번데기는 모두 사망하였다. 겨울 중 번데기 보관방법을 달리하거나, 용화처를 제공하였을 때도 월동 후 우화한 개체는 발견하지 못했다. 야외 혹은 실내 사육(25, 16℃)에서 용화한 번데기를 일정 기간 저온(13, 10℃)에 처리한 후 다시 25℃에서 발육시켰을 때, 우화한 개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콩명나방은 저온에 적응하는 능력이 매우 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수원 지방에서 월동할 수 없을 것으로 짐작되었다.
152.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라남도 해남(34º37´N 126º28´E)과 무안(34°59'N 126°23'E)에서 채집한 풀무치를 수원(37º16´N 126º59´E)으로 옮겨 실내외에서 사육하면서 발육 경과와 월동 상황을 조사하였다. 월동 알은 5월말에서 6월 중순 사이에 부화하였고, 7월 중순부터 8월 말 사이에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성충은 9~10월 중 산란하였으나 산란 알에서는 다음 세대 성충이 우화하지 않아, 수원 지방에서는 1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내 사육(환경 조건: 15h/9h=명/암, 60% RH)에서 20℃ 이하의 온도에서는 알 기간은 5달 이상이었고, 25~30℃에서는 13~21일 이었다. 약충은 25℃에서 약 63일, 30℃에서는 약 30을 경과하여 우화하였다. 성충은 25℃에서 수명이 약 59일이었는데, 산란하지 않았고, 30℃에서는 수명이 약 45일, 산란전 기간은 약 30일로 관찰되었다. 암컷은 산란기간 동안 알주머니를 평균 5회 산란하였고, 산란 간격은 약 7일 이었다. 산란 수는 약 250개였는데, 부화율은 45% 정도였다.
153.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노린재류는 콩, 녹두 등 두과작물을 비롯하여 단감, 참다래, 사과, 배 등 각종 과수와 채소를 가해하지만 방제가 어려운 문제해충이다. 노린재류 알기생봉인 알깡충좀벌(Ooencyrtus nezarae) 방사적기를 포착하기 위하여 콩과 단감 과수원에서 시기별 노린재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갈색날개 노린재, 풀색노린재 5종을 대상으로 모아트랩과 포충망조사를 실시하였다. 모아트랩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성충 은 4월 11일부터 9월 하순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콩 포장에서 발생최성기는 5월 상중순과 8월 중하순이었는데, 5월 상중순 포획량 22마리/트랩보다 8월 중하순에 182마리/트랩로 약 10배정도 많이 발생하였다. 한편 단감 포장에서는 5월 중순에 32마리/트랩보다 9월 중순에 457마리/트랩으로 14배 많이 채집되었다. 콩은 개화 및 착협기인 8월 중하순에, 단감은 비대착색기인 9월 중하순이 노린재 피해를 가장 많이 받는 시기이다. 그 외 콩포장에서 트랩에 많이 포획되는 노린재류는 없었는데, 단감원에서는 7월 중순과 9월 상순에 갈색날개노린재 발생량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장내에서 알깡충좀벌 발생소장을 조사하기 위하여 노린재 알을 관찰하려고 하였으나 농경지 포장에서 알 관찰은, 특히 톱다리개미 허리노린재는 하나씩 알을 낳기 때문에, 쉽지 않았다. 난괴로 낳은 노린재류 알을 채집하여 실내에서 사육하며 기생여부 를 조사한 결과 5종의 알기생봉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정확한 종을 동정중이다.
154.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4년 8월 하순 전남 해남군 산이면 간척지 일대에 군집형 풀무치가 집단으로 발생하여 인근 농작물 20ha에 피해를 주었다. 이러한 상황이 재발할 경우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방제 매뉴얼 개발을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리나라 남부지역에서 풀무치 발생생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2014년 대발생하였던 해남 산이지역과 무안 망운면, 영암 미암면 3개소를 선정하고 10일 간격으로 순회하며 풀무치 발생량을 조사한 결과, 약충은 5월 하순 ~ 6월 중순, 8월 중순 ~ 9월 중순으로 연 2회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연발생 풀무치 성충 274마리를 채집하여 색상을 구분한 결과, 녹생형 60.9%, 갈색형 39.1%였으며, 암수 성비는 암컷 18.2%, 수컷 81.8%로 수컷 비율이 월등하게 높았다. 성충의 몸 크기는 체색에 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암컷 체장 6.5cm, 체중 2.8g 이며 수컷 체장 5.0cm, 체중 1.5g으로 암컷이 컷다. 옥수수를 기주로 일일 섭식량은 암컷 3.5g, 수컷 1.6g 으로 암컷의 섭식량이 많았으며 하루 섭취량이 체중보다도 더 많았다. 토양조건별 산란량은 원예용상토 100%, 원예용상토 50%+모래 50%보다 모래 100%에서 가장 높은 산란비율을 보였다. 풀무치 방제에 효과적인 유기농업자재는 고삼 95+차 5, 고삼 30+님 2, 마늘유 30+시트로넬라유 30, 너삼씨앗 70, 님 80 6가지 제품이 높은 살충율을 보였으며, 화학농약으로는 에토펜프록스유제, 크로마페노자이드․에토펜프록스유제, 클로란트라닐리프롤․티아클로프리드액상수화제, 페니트 로티온유제가 효과적이었다.
155.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갈색날개매미충은 국내에 2010년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2016년 11,276ha에 이르기까지 급속도로 확산되는 산림과 과수의 문제해충이다. 이 해충의 발생생태 및 방제방법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부화하기 전의 알을 방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수행하였다. 월동중인 알을 방제할 수 있는 자재로 친환경은 기계유유제, 일반재배는 클로르피리포스수화제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자재를 이용하여 적정 살포농도와 살포시기를 구명하고자 전남 구례 산동면의 산수유, 감나무, 그리고 가로수인 동백나무를 대상으로 기계유유제 10배, 20배, 클로르피리포스수화제 500배, 1,000배를 12월 하순, 2월 상순, 2월 중순, 2월 하순, 3월 상순까지 5시기에 각각 1회씩 처리하였고, 부화완료시기인 6월 중순에 가지를 채집하여 살란여부를 조사하였다. 알 방제효과가 높은 처리농도는 기계유유제 10배액과 클로르피리포스수화제 500배 처리가 가장 높았으며, 처리적 기는 3월 상순이었다. 즉 3월 상순에 기계유유제 10배액 처리시 단감과 동백에서는 전혀 부화하지 못했고, 산수유는 3.1%만 부화하였다. 클로르피리포스수화제 500배액 처리는 부화율이 단감 3.3%, 산수유 7.5%, 동백 10.5%가 부화하였 다. 산수유는 3월 하순에 개화하는데 기계유유제 10배액 처리시 약해가 다소 발생하였지만, 다른 작물은 약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156.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다래(Actinidia arguta)는 국내에서 약 30ha 정도가 재배되고 있는 과수로 아직 관련 연구가 매우 부족하고, 특히 병해충 연구는 전무하다. 다래의 자생지는 산속의 계곡 주변이지만, 재배지는 다양하므로 전남지역의 재배지를 평야지, 산간지, 해안지로 구분하여 지대별로 주요 해충의 발생상황을 2015년 9월부터 1년간 조사하였다. 점착트랩과 페로몬트랩, 유아등을 이용하여 10일 간격으로 시기별 발생양상과 피해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유기농업자재 등을 이용한 친환경 방제법을 농가에 적용하였다. 평야지대 과수원에서는 총 6목 19종의 해충이 조사되었고, 녹응애, 뽕나무깍지벌레, 노린재류가 관리대상 해충이었다. 산간지대는 9목 35종이 확인되었으며, 노랑가슴초록잎벌레를 비롯한 딱정벌레류와 노린재류, 녹응애 발생이 많았다. 산간지대는 평야지대나 해안지대보다 해충 종류가 다양하였고, 발생량도 많아 해충관리가 특히 중요하였다. 해안지대는 8목 21종이 발생하였고, 볼록총채벌레와 애매미충이 방제대 상이었다. 월동기 뽕나무깍지벌레에 대한 방제는 휴면기인 2월 중순 기계유유제 10배 처리에서 97%, 결정석회유황합 제 50배 처리에서 방제가가 82.5%였다. 생육기에는 식물추출물 등 유기농업자재 2종 모두 90% 이상 방제가를 보였다. 녹응애는 6월 상순 처리시 유기농업자재 2종 모두 96%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1회 처리로도 충분히 효과적이었다. 한편 유아등을 이용한 담배거세미나방 유살효과는 흑색등이 주광색등보다 32.2% 높았고, 갈색날개매 미충에 대한 유살효과도 기대할 만하였다.
157.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hemical pesticides have been used to control persimmon pests, however the overuse of the pesticides caused insect resistance. Herein we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eco-friendly organic pesticides (EFOP) on the control persimmon pests, Stathmopoda masinissa and Riptortus pedestris. Eleven commercially available EFOP were sprayed on the target insects in laboratory conditions. The chemical pesticide, buprofezin+dinotefuran wettable powder served as a positive control. In the bioassay against persimmon fruit moth, the mixture of Chinese scholar tree, goosefoot and subtripinnata extracts (EFOP-2)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control efficacy: 27.7% (5 days) of survival rates. In the bioassay against bean bugs, the EFOP-2 showed the highest control efficacy: 20.0% (5 days) of survival r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xture of three plants extracts (EFOP-2) has high and multiple potential in the management of the persimmon pests.
158.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viral genome was assembled de novo from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data from bean bugs, Riptortus pedestris, infected with an entomopath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Bb), and was further confirmed via the RACE method. Based on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RdRp sequences, RiPV-1 was clustered in the unassigned insect RNA viruses with two other viruses, APV and KFV. These three viruses were suggested to constitute a new group of insect RNA viruses. Interestingly, RiPV-1 replication was increased dramatically in bean bugs 2 to 6 days after fungal infection. In conclusion, a novel insect RNA virus was found by NGS data assembly. This virus can provide further insight into the interaction between virus, fungus and the host.
159.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yeloid differentiation factor 88 (MyD88) is an intracellular adaptor protein involved in Toll pathway. In this study, we monitored the response of 4 key genes of the insect immune system against Beauveria bassiana JEF-007 in Tenebrio molitor using RT-PCR. To better understand the roles of Toll pathway in mealworm immune system, TmGPR and TmMyD88 was knocked down by RNAi silencing. Target gene expressions were decreased at 6 days post-dsRNA injection. Therefore, mealworms were compromised by B. bassiana JEF-007 at 6 days post-dsRNA injection. Silencing of the TmMyD88 and TmGPR resulted in reducing the resistance of the host to fungal infection. However, only dsTmMyD88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dsEGFP by statistical analysis, which may be due to partial gene knock down of dsGP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mMyD88 is required in mealworms for survival against B. bassiana JEF-007.
160.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auveria bassiana JEF-007 with strong virulence against Riptortus pedestiris was selected for the Agrobac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AtMT). AtMT generated two transformants, B1-06 and C1-49,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virulence against R. pedestris. To identify the virulence-related genes, thermal asymmetric interlaced(TAIL) PCR and flanking region analysis were performed. From the analysis, two genes, Complex I intermediated-associated protein 30(CIA30) and Autophagy protein 22(Atg22), possibly related virulence in B. bassiana JEF-007. For the analysis of two putative virulence-related genes in JEF-007, hairpin RNA interference (hpRNAi) is under consideration. This work can provide the functional roles of the virulence-related genes in B. bassiana JEF-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