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lworms, Tenebrio molitor (L.) is used as an important animal feed additive for growth promotion and health management, but potentially exposes to fungal infection. In this work, virulence of two species of entomopathogenic fungi against the insec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biotic features and virulence were investigated. Secondly our consideration was also given to the effect of chemical fungicides on conidial germination for risk control. Between Beauveria bassiana (Bb) and Metarhizium roberstii (Mr) (previously M. anisopliae), Bb isolates had much higher virulence (~100% mortality in 3~4 days after the treatment), rather than Mr isolates in laboratory assays. Next, fungus-treated mealworms were kept at wheat bran at 20, 25, 30 and 35℃ with 3, 6, 9 times of water spray to the feeds for set-up of different humidity conditions. Inoculation of fungi to mealworms was conducted by fungal spray and feeding methods, which resulted in higher virulence in feeding method. In the feeding method, all temperature treatments except 35℃ showed high virulence against mealworms, but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virulence and humidity was not observed. In the chemical fungicide screening, fluazinam (CAS No. 79622-59-6) and mancozeb (8018-01-7)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ermination of Bb and Mr conidia. This work suggest that contamination of wheat bran with fungal pathogens, particularly B. bassiana may induce mycosis of mealworms, but introduction of effective fungicides possibly reduce fungal infection.
We previously reported Pear Pest Forecasting Management System (PPFMS) for the Improvement of pass ratio of Korean exporting pears. It is consisted of regular field forecasting by pear farmers, meteorological data obtained by automatic weather station (AWS), an internet web page (http://pearpest.jnu.ac.kr/) as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viding ground, an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Currently, we are expanding this system to the area, Cheonan and Ansung, where pear orchards are organized into exportation-specific group. Further,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field forecasting and AWS were up-loaded to under-constructing upgraded webpage (http://www.kpear.kr), with several pest/disease-related information. We hope this pest forecasting management system increases the pass ratio of Korean exporting pears throughout establishment of farmer-oriented forecasting, inspiring farmers’ effort for the prevention and forecasting of diseases and pests occurring at pear orchards.
Bacillus thuringiensis (Bt) is a gram-positive bacterium that produces parasporal crystal proteins known as endotoxins or Cry proteins. The Cry protoxins are then cleaved by insect midgut proteinases to form active Bt toxins. The activated Cry protein then binds to specific receptors at the midgut epithelium. Cadherin-like and aminopeptidase N (APN) proteins are involved in Bt toxin binding by interacting sequentially with different toxin structures. Aminopeptidase N (APNs) from several insect species have been shown to be putative receptors for these toxins. We have characterized four different midgut APNs(APN1, APN2, APN3, APN4) cDNAs from S. exigua. Forward primers and reverse primers for confirmation of four different midgut APNs were designed based on their sequences cloned from the cDNA libraries. Quantitative RT-PCR procedures includes 42℃ for 20min (cDNA synthesis), 99℃ for 5min, and 35 cycles (94℃ for 1min, and 60℃ for 50 s) for collection. Four aminopeptidase N isoforms were confirmed with qRT-PCR. Sequence analysis was performed by BlastX search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NCBI) nucleotide. Furthermore, double-stranded RNAs(dsRNAs) were synthesized. DsRNAs were determined for bioassay.
작은뿌리파리는 유기물이 풍부하고 응달지며 습기와 이끼가 많은 것을 선호하 는 데 딸기의 고설재배는 이러한 모든 것을 충족시키는 최적의 발생조건을 갖추고 있다. 작은뿌리파리는 유충이 주로 잔뿌리를 자르거나, 뿌리골무를 통하여 뿌리속 으로 침입하여 지제부의 줄기에 까지 이동하여 잘록병과 유사한 형태의 피해를 주 며 토양내 Fusarium과 Pythium 병원균을 먹거나, 몸체에 묻혀서 작물체내로 전반 하여 피해를 가중시킨다. 본 연구는 경남 합천과 전북 남원의 고설재배 딸기농가에서 토양서식 포식성 천 적인 아큐레이퍼응애를 이용하여 작은뿌리파리의 생물적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시험은 2012년 3월 중순부터 2013년 3월 중순까지 수행되었다. 아큐레이퍼응애의 방제효과는 황색 끈끈이트랩을 5m 간격으로 10개를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트랩을 교체하면서 유인된 작은뿌리파리의 성충 밀도를 조사하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방제효과는 합천과 남원 모두 작은뿌리파리가 발생하는 초기, 즉 끈끈이트랩 당 작은뿌리파리 성충이 50마리 이하로 유인되었을 때 아큐레이퍼응애를 ㎡ 당 30.3 마리의 밀도로 7∼20일 간격으로 3회 방사하여 대조구와 비교한 결과 80% 이상의 밀도 감소효과와 함께 작은뿌리파리 유충으로 인한 고사 피해도 줄일 수 있었다.
Bacillus thuringiensis(이하 B.t)는 곤충병원성세균으로 친환경농업에서 주요 작물보호 농자재로 사용되는 생물농약 중 하나이다. B.t는 그람양성의 호기성이며, spore와 crystal를 형성하고 포자 형성기에는 균체 내에 δ-내독소라는 독소단백질 을 생성한다. 딱정벌레목인 청동풍뎅이의 사체로부터 분리된 CAB530균주와 영 동 토양에서 분리된 CAB564균주는 나비목 해충에 살충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 인하였다. 위의 균주와 기존에 연구된 KB098, KB099, KB100을 비교하기 위해 실 내에서 누대 사육한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파리목(Diptera) 해충에 대해 생물검정 을 수행하였다. 단백질 패턴 분석과 담배거세미나방(S. litura), 파밤나방(S. exigua) 중장액을 처리하였을 때 분해억제정도를 보기위한 SDS-PAGE를 수행하 였다. SDS-PAGE의 단백질 패턴 분석 결과로 plasmid DNA 전기영동을 하여 패턴 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CAB530균주와 CAB564균주의 내독소 유전자의 Cry형 유 전자를 동정하기 위하여 PCR을 수행할 계획이다.
IPCC에서는 2013~2014년 발간 예정인 제5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에 대표농도 경로(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를 표준 온실가스 시나리오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국립기상연구소는 RCP 시나리오와 함께 지역적인 기후특 성을 반영하여 한반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하여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 반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먹노린재(Scotinophara lurida) 발생 동태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먹노린재는 1990년대 충 청도 지방에 다량 발생하여 문제가 되기 시작했으며, 흡즙으로 인하여 반점미가 발 생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유발하는 해충이다. 먹노린재의 발생 동태의 변화를 분석 하기 위해서 온도 발육 실험을 통해 밝혀진 먹노린재의 개체군 동태 모델을 오픈소 스 프로그램인 R을 활용하여 작성하였다. 2001~2010, 2051~2060, 2091~2100년 의 각 10년 동안 전국 평균 기온으로 작성된 월동 성충의 유입 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 월동 성충의 유입시기가 각각의 기간 동안 10~15일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개체군 동태 모델을 통해 약충 및 성충의 발생 동태를 분석한 결과 각 영기 별 발생 최성기도 16~21일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옥수수에 가장 큰 피해를 입히는 해충인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의 대량 사 육법이 정착된 이래, 약 10여 년간에 걸쳐 국내 옥수수 육종가들에 의해 육성되는 계통들에 대해 조명나방 저항성 검정이 이뤄졌다. 이에 조명나방 저항성 검정법의 표준화를 위해 그동안의 방법과 결과를 정리하였다. 조명나방은 25℃, 15:9(명:암) 시간, 60% 상대습도 환경조건에서 사육되었는데, 유충은 반합성 인공사료를 먹이 로 하여 집단으로 사육되었다. 옥수수에의 접종은 유산지에 산란시킨 알에서 갓부 화한 유충을 corncob(옥수수 속대) 가루에 섞어 바주카(bazooka) 방법을 이용하여 옥수수 6~8엽기에 말린 잎 중앙에 접종하였다. 포장에서는 식물체당 약 200마리, 온실에서는 약 160마리가 접종되었고, 이후 옥수수 줄기가 형성되고 잎이 전개된 후에 잎의 피해 정도가 육안으로 판정되었다. 판정기준은 잎의 피해 정도에 따라 1 부터 9 사이에, 숫자가 클수록 피해가 심한 것으로 정의하여, 고도저항성, 저항성, 중간저항성, 감수성으로 최종 판단하였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전체 243계통 이 계통에 따라 1~10년 동안 검정되었는데, 계통별로 10개 내외의 개체수가 검정 되었다. 검정은 야외 포장에서 조명나방 유충을 접종한 구와 접종하지 않은 구, 온 실에서 유충을 접종한 구의 3가지 종류가 수행되었다. 검정 햇수가 5년 이상이 된 대조품종들을 대상으로 검정구별로 검정값의 변이계수를 비교하였을 때 포장 미 접종구, 포장 접종구, 온실 접종구의 순서로 변이계수 값이 작아져, 온실에서 접종 하여 검정하는 것이 계통 내 개체 간 검정 결과 차이가 가장 적었는데, 온실에서 피 해 정도가 가장 컸다. 최종 판정값은 포장과 온실에서 접종된 것의 평균값으로 하였 는데, 사일리지용 옥수수 계통 중 2계통이 각각 1번씩 고도저항성으로 판정 받았 다. 본 온실 검정법을 이용하여 Bt독소 유전자가 함유된 형질전환 옥수수 계통을 검정하였을 때 피해 정도 값은 약 2의 고도저항성 값으로 나타났다.
The exotic aphid pest, pomegranate aphid, Aphis punicae Parsserini, 1863 (Hemiptera: Aphididae), is newly recognized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species is original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Mediterranean regions, the Middle East, Ethiopia, India, Pakistan, Indonesia, and Turkey. In the major producers of pomegranate such as India and the Mediterranean regions, this species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serious insect pests inflicting injury on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innaeus. By sucking plant sap and excreting honeydew, aphids cause various plant diseases and virus infections which are more likely to occur as population size increases. Aphis punicae infests together commonly with Aphis gosspii Glover, and rarely with Aphis craccivora Koch and Aphis spiraecola Patch on P. granatum in Korea. In this study, we first compared two closely related species, A. gossypii and A. punicae, based on morphometric analysis to confirm their morphological relationships. Second molecular identification using mitochondrial COI barcode region was performed for the aphid samples collected from P. granatum.
The aphid genus Micromyzodium David, 1958 is newly recognized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genus is characterized by very long dorsal abdominal hairs, almost 3-4 times as long as basal diameter of antennal segment III. Colonies of two Micromyzodium species; Micromyzodium kuwakuse Uye 1924 and Micromyzodium nipponicum Moritsu 1949 were collected on Fatoua villosa Nakai (Urticales: Moraceae) and Perilla frutescens Britton (Lamiales: Lamiaceae),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redescribed, illustrated, and measured for apterous viviparous females of the two species.
The bean bug, Riptortus pedestris (F.) (Hemiptera: Alydid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lyphagous pests in soybean in Korea and Japan. Wit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the suitability of different diets, we additionally tested two leguminous plants as food sources of R. pedestris by assessing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the bugs. The tested diets include seeds of acacia, two mung bean varieties (var. Eoul and Dahyeon), and soybean (var. Daewon). Riptortus pedestris fed on mung bean var. Eoul showed higher nymphal mortality than those fed on mung bean var. Dahyeon, acacia, and soybean. On acacia, development time and preoviposition period of R. pedestris was shortest among the tested diets Also, five day fecundity the highest in bugs fed on acacia seeds. These results showed that acacia seed can be a good quality diet for R. pedestris, and both acacia and mung bean could be a suitable host resources for R. pedestris during the period when soybean, a major host crop, is unavailable.
Insect-killing fungi have high potential for controlling agriculturally harmful pests. However, their pathogenicity is slow and this is one reason for their poor acceptance as a fungal insecticide. The expression of bumblebee, Bombus ignitus, venom serine protease (VSP) by Beauveria bassiana ERL1170 induced melanization of yellow spotted longicorn beetles, Psacothea hilaris as an over-reactive immune response, and caused substantially earlier mortality in beet armyworm, Spodopetra exigua larvae when compared to the wild type. No fungal outgrowth or sporulation was observed on the melanized insects, thus suggesting a self-restriction of the dispersal of the genetically modified fungus in the environment. The research is the first use of a multi-functional bumblebee VSP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speed of fungal pathogenicity, while minimizing the dispersal of the fungal transformant in the environment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especially Q biotype, has been recognized one of the most destructive insect pests worldwide because of increased resistance to some insecticide groups requiring alternative strategies for its control. We studied the conidia production of entomopathogenic fungus Isaria javanica Pf04, which had been reported high virulence isolate against Q biotype of B. tabaci, using grain. Brown rice was most suitable for conidia mass production of the isolate of I. javanica. Conidia was produced high at 25 ~ 27.5℃. The isolate produced more spores when conidia suspension directly inoculated onto media than two-phase fermentation. When concentration of inoculum was high spore production was high, but increasing rate of conidia production was highest at low inoculum concentration (1×105 conidia/ml) as 6,700 times increase compared with 20 times increase at high inoculum concentration (1×108 conidia/m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solate can produce more conidia with cheap agricultural product and can develop as a microbial pesticide to control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sweetpotato whitefly, has been recognized one of the most destructive insect pests worldwide because of increased resistance to some insecticide groups requiring alternative strategies for its control. We conducted a study of the influence of relative humidity, temperature and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n the susceptibility of sweetpotato whitefly to conidia of Isaria javanica isolate, which had been reported high virulence against Q biotype of B. tabaci. The mortality of tobacco whitefly was low at low constant relative humidities, but was high when kept high humidity for first 24 hours and transferred to low humidity. The Isaria isolate had wide range of temperature (15℃ to 35℃) to control sweetpotato whitefly. The isolate has virulence to the egg and all developmental stages of nymph of B. tabaci.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solate had good control effects at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is an excellent candidate to develop a microbial pesticide to control sweetpotato whitefly.
딸기에 등록된 52종 살충제의 꿀벌 성충에 대한 분무독성검정, 엽상잔류독성 평 가를 수행하였다. 분무 급성독성검정은 국제 생물적 방제기구 (IOBC)의 기준에 따 라 30% 이하의 독성을 해 없음으로 분류한 결과, 딸기에 등록된 32종(flonicamid, lufenuron, novaluron, acetamiprid 3종, thiacloprid, milbemectin, acequinocyl, beauveria bassiana TBI-1, chlorfenapyr 2종, chlorfluazuron, cyenopyrafen, cyfumetofen, etoxazole, fenpyroximate, flubendiamide, flufenoxuron, hexythiazox, metaflumizone, methoxyfenozide 2종, paecilomyces fumosoroseus DBB-2032, pyridalyl, spiromesifen, tebufenpyrad, teflubenzuron, acetamiprid+methoxyfenozide, acrinathrin+spiromesifen, bifenazate+spiromesifen, Cyenopyrafen+flufenoxuron) 이 독성이 낮아 꿀벌에 안전하고, 20종이 독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무독성 검정에서 90% 이상의 높은 독성을 보인 약제를 대상으로 엽상잔류독성을 검정하 였다. 약제처리 1일후에 emamectin benzoate EC, indoxacarb SC를 제외한 모든 약 제에서 100%의 사충율을 보였다. Emamectin benzoate는 약제처리 3일, idoxacarb SC는 약제처리 7일, abamectin는 약제처리 14일에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Indoxacarb WP, thiamethoxam WG, abamectin+ chlorantraniliprole SC, acetamiprid +etofenprox WP, acetamiprid+indoxacarb WP, bifenthrin+clothianidin SC, bifenthrin+imidacloprid WP, bifenazate+pyridaben SC, chlorfenapyr+clothianidin SC는 31일까지 90%이상의 높은 독성을 보여 잔류독성이 매우 긴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Say, 1830)]는 2009년 서울, 경기(수원), 경남 (김해)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선녀벌레과(Flatidae) 외래해충이다. 이 해충은 원산 지인 북미지역에서는 피해가 미미하였으나 1979년 이탈리아를 시작으로 2000년 대 중반까지 유럽지역에서 꾸준히 분포가 확대되면서 농작물 및 산림해충으로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과수, 채소 등 농작물 피해는 약충과 성충의 흡즙과 분비물 (밀납)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 이외에도 잎, 줄기에 서식하는 약충 집단의 감로 분비 에 따른 그을음에 의한 피해가 매우 위협적이다. 우리나라에서 미국선녀벌레에 의 한 농작물 피해는 아직 초기단계로서 이 해충의 주요한 증식처인 산림 인근에 위치 하는 사과, 배, 감 등 과수원에서 부분적으로 관찰되고 있다. 이 해충의 분포확산은 알이나 약, 성충이 부착된 식물의 인위적인 이동, 약충의 도약 또는 성충의 비행을 통한 자연확산, 그리고 성충이 차량에 부착하여 원거리 이동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 고 있다. 지난 2년간(2010-2012)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미국선녀벌레의 분포확산 을 추적한 결과, 2010년도에는 인천(남구), 경기(과천, 안성, 용인, 이천, 파주), 충 북(단양, 음성, 진천, 청원, 충주), 충남(공주, 태안)에서, 2011년도에는 인천(중구), 충북(괴산), 충남(금산, 예산), 전북(익산)에서, 그리고 2012년도에는 경기(여주), 강원(원주), 충남(천안), 부산(해운대)에서 추가 발생하여 누적 분포지역은 2012년 현재 6개도 31개시군이었다. 주요한 확산경로로 추정되는 고속도로 휴게소 및 진 출로의 발생지점과 주요한 기주식물을 제시하고자 한다.
포도녹응애는(Calepitrimerus vitis (Nalepa) (Acari: Eriophyidae)) 포도를 재배 하는 미국의 북서부, 유럽, 남아프리카 등에서 잎 말림 현상 및 잎과 가지의 생육지 연을 유발하여 문제시되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2011년 경기도 화성 시에서 처음으로 발생이 보고되었으나, 발생 소장 및 분포에 대한 정밀한 조사는 이 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2지역(Site1, Site2)과 송산면 1지역(Site3)에 위치한 시설 포도원에서 포도녹응애의 월동 여부 및 분포 조사를 실시하였다. 농가의 면적을 5구획으로 나누고, 각 구획에서 6개의 가지를 무작위로 채집하였다. 가지에서 겨울눈을 절단한 후 실체현미경을 통해 월동 여부 를 확인하였으며, 개체수 계수를 위해‘washing and sieving’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Site1, Site2 두 농가에서 포도녹응애가 발견되었으며, 겨울눈의 껍질 밑에 무 리 지어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washing and sieving’ 분석 결과 Site1 포도원에서 평균 7871±635(No. of individuals/6 winter buds)개체로 다른 발생 농가에 비해 상 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주지로부터 눈의 거리와 포도녹응애의 밀 도는 비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y=1311.3x + 3659.3, R2= 0.6931). 이 해충은 이른 봄에 활동을 시작하여 생육 초기에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월동시 기 발생소장 조사를 통해 포도녹응애의 봄철 초기 발생을 예측하고 피해를 방제하 는데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들어 음파를 이용한 작물의 해충 방제에 음파를 이용한 방제 연구가 시도되 고 있다. 수컷의 구애노래를 이용하여 암컷을 포집하는 사운드 트랩(sound trap) 등 에 관한 연구는 곤충의 소리를 이용하여 해충 방제에 활용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메리카잎굴파리의 날개소리와 구애노래를 분석하 고 이를 방제에 활용하기 위해 주요 주파수에 대한 반응 행동을 조사하였다. 녹음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군집 및 구애노래 소리의 주요 주파수는 400 Hz 대역으로 조 사되었다. 이에 따라 400 Hz를 포함한 20 ~ 1,000 Hz 대역의 순음에 대한 아메리카 잎굴파리의 행동을 조사하였다. 반응 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수컷 아메리카잎굴파 리 4마리의 2차원 궤적 추적을 실행하였다. 기록된 궤적은 x축 궤적의 평균값을 비 교하여 소리에 대한 유인효과를 조사하였고, 궤적의 정보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활 동성 차이를 분석하였다. x축 평균값은 소리에 대한 차이가 없어, 소리에 대한 아메 리카잎굴파리의 유인효과는 관찰하지 못 하였다. 하지만 활동성을 비교 조사한 결 과, 20 Hz의 저주파 음에 대해서는 활동성이 감소한 결과를 관찰하였다.
마(Yams, Dioscorea spp.) 주산단지인 안동, 진주에서 식물기생선충을 조사한 결과 고구마뿌리혹선충이 우점종이었으며 마연작 및 마와 우엉 윤작재배지에서 뿌리혹선충이 90%이상 포장에서 검출되었으며 발생 밀도도 높아 피해가 심하였 다(61∼1,532마리/토양 100g). 토양내 뿌리혹선충은 토양깊이 10-40cm내에 87% 분포하였고 정식 5개월후인 9월에 최고 밀도를 보였으며 선충밀도와 마의 수량과 품질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뿌리혹선충이 감염되어 있는 씨마 (영여자씨마, 절편씨마)를 소독하지 않고 사 용하면 토양에서 선충 전염원으로 전파되고 재증식되어 피해를 주어 마의 수량과 품질에 영향을 주었다. 뿌리혹선충 감염된 씨마를 온탕침지(50℃, 30분)법으로 소 독한 결과 방제 효과가 가장 양호하였다. 마재배지의 뿌리혹선충 피해 경감을 위해 뿌리혹선충이 감염된 포장에서 영여 자 씨마 재배 금지 및 훈증제로 방제후 영여자 씨마를 재배하며, 선충이 감염된 씨 마는 온탕침지(50℃, 30분)로 소독한후 재배하여야 피해를 줄일 것이다.
In apple orchards under different farming practices (organic and conventional), arthropod community structure was investigated. Arthropods were collected with pitfall traps, band traps, yellow sticky traps and pheromone traps from May to December, 2012 in Danyang-gun, Chungcheongbuk-do, Korea. Biodiversity was analyzed with species richness and Shannon diversity index (H΄). Sampled arthropods were identified 37 families in 14 orders from 21,618 individuals in organic orchard-1 and 33 families in 10 orders from 11,318 individuals in organic orchard-2 and 35 families in 13 orders from 27,711 individuals in conventional orchard. Species richness was relatively highest in organic orchard-1, intermediate in conventional orchard and lowest in organic orchard-2. In ecologically functional group, abundance of pests was higher in conventional orchard than in organic orchards due to the high occurrence of Phyllonorycte ringoniella (Gracillariidae) and Lyonetia prunifoliella (Lyonetiidae). Organic orchards showed higher abundance, species richness and species diversity of epigeic predators and those of parasitoids above ground than conventional orchard. Abundance of detritivores, mainly collembola, were higher in organic orchard than in conventional orchard.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은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각종 곡류를 비롯하 여 2차 가공식품에 이르기까지 많은 종류에서 발생한다. 또한 식품의 유통과정 중 유충이 포장재를 먹어 파괴하고 침입하여 소비자가 개봉시 발견되어 문제가 발생 되기도 한다. 또한 가정과 식품공장에서의 발생빈도는 거짓쌀도둑거저리 (Tribolium castaneum)와 함께 가장 높으며, 화랑곡나방의 방제를 위한 발생의 예 찰에는 이미 규명된 성페로몬인 (9Z,12E)-9,12-tetra decadien-1-yl acetate 을 이용 한 다양한 모니터링용 트랩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소는 지난 2010년부터 국내외 여러 업체의 화랑곡나방 성페로몬트랩을 비교, 분석하는 등 성능 개선시험을 수행하였다. 화랑곡나방을 유인하는 기능을 가 진 LURE(성페로몬 방출기)의 소재로 고분자수지 4종(ACRYFT, HDEVA, polyurethane foam, LDPE)과 타사제품 2종에 대한 성페로몬의 잔류량(설치 40일 경과 후)을 조사한 결과, 영국 A제품이 14.3%, 일본 F제품이 4.4%, LDPE(Low Density Polyethylene)는 21.3%로 영국, 일본 그리고 고분자수지 4종 중 LDPE가 가장 느린 성페로몬 방출속도를 보였다. 또한 원거리 포획력 실험결과(설치 40일 경과 후 포획량), 영국 A제품이 6.1개체, 일본 F제품이 3.4개체, LDPE는 8.3개체로 나타나 원거리 포획력에서 LDPE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화랑곡나방의 포획 역할을 하는 끈끈이 트랩의 점착지속력을 개선하기 위 해 주원료인 Rubber, Poly butene, Resin(C-5), Wax를 각각 다른 5가지의 혼합 비 율로 제조하고 그에 대한 점착지속력을 KS T 1028:2009(점착테이프 및 점착시트 의 시헙방법: 구슬이동측정법, 당겨벗김법)에 의해 비교 실험한 결과, 평균구슬이 동시간(설치 40일 경과 후)은 영국 A제품이 26.50sec, 일본 F제품이 18.82sec, 조성 물 3이 37.83sec으로 나타났다. 또한 당겨벗김법 실험결과(40일 경과 후), 영국 A 제품이 7.11N, 일본 F제품이 4.11N, 조성물 3이 8.96N으로 나타나 영국 A, 일본 F 제품과 직접 제조된 5가지 조성물 중 조성물 3이 점착지속력이 가장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