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회 KCI 등재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0 한국작물학회 춘계학술발표회 (2010년 4월) 264

21.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ating quality is critical for consumers who take rice as staple food. Here we present the development and identification of high eating quality rice lines. The identification of positive transgenic line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nsgenic rice, mRNA expression and enzyme activity were analyzed. OsSbe1 was introduced into Gopumbyeo seeds using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and 1,005 out of 1,065 T1 plants were shown positive. The apparent amylose contents in T2 brown rice ranged from 11% to 25% in 890 favorable lines (Gopumbyeo was used as a reference with 18% of AAC). The activity of starch branching enzyme including three isoforms (SBE1, SBE3, and SBE4) in endosperms of T3 lines was higher than that of Gopumbyeo. Physicochemical properties related to eating quality for T3 polished rice were detected using 52 favorable lines out of 500 lines selected according to AAC. The Toyo taste meter value in 52 T3 lines ranged from 61.1 to 72.6, whereas 70.4 in Gopumbyeo. Of them, eleven lines displayed the higher palatability score than Gopumbyeo. Moreover, these elite lines produced higher yields (607.9~695.8 kg/10a) than Gopumbyeo (602.7 kg/10a). These results indicat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high quality rice varieties in the future.
22.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온등숙(27℃)된 벼 종자는 외관상 심복백 및 세백 등이 증가되어 품위 저하 및 단백질함량 등의 품질변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본 연구결과에서도 단백질 함량이 증가되고 1,000립중이 감소되는 등 품질변 이가 인정되었으며 동안벼는 다른 품종에 비하여 비교적 품질변이가 적었으나 오대벼는 상대적으로 변이정도가 컸으며 이 두 품종에 대하여 아밀로펙틴 및 미량원소 등 품질요인과 proteomics 변이양상을 구명하였다. 고온등숙 된 종자에 대한 아밀로펙틴 분석결과 단쇄(DP6-12, DP13~24)부분의 비율이 감소하고 중장쇄(DP25~36, DP36이 상)비율이 증가하였으며, 미량원소는 성분에 따라서 함량이 증가되거나 낮아지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고온등숙 종자를 SDS에 용해되는 gluten 단백질 분획을 추출하고 2DE에 의한 proteomics 분석결과, 동안벼 및 오대벼의 품종간에 발현량 차이를 보인 40개의 spots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globulin, dehydroascorbate reductase, heat shock protein 26, phosphoglucomutase 등 20여종의 단백질이 관여된 것으로 밝혀졌다
23.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better understanding the function of the luminal sub-organelles within the thylakoid network, we have carried out a systematical analysis and identification of the lumenal proteins in the thylakoid of wheat by using Tricine / 1D-PAGE, and LTQ-ESI-FTICR mass spectrometry followed by SWISS-PROT database searching. We isolation and fractionation these membrane from fully developed wheat leaves using a combination of differential and gradient centrifugation couple to high speed ultra-centrifuge. After collecting all proteins to eliminate possible same proteins, we estimated that there are 407 different proteins including chloroplast, chloroplast stroma, lumenal, and thylakoid membrane proteins excluding 20 proteins, which were identified in nucleus, cytoplasm and mitochondria. A combination of these three programs (PSORT, TargetP, and TMHMM) was found to provide a useful tool for evaluating chloroplast localization, transit peptide, transmembranes, and also could reveal possible alternative processing sites and dual targeting. Finally, we report also sub-cellular location specific protein interaction network using Cytoscape software, which provides further insight into the biochemical pathways of photosynthesis. The present work helps understanding photosynthesis process in wheat at the molecular level and provides a new overview of the biochemical machinery of the thylakoid in wheat.
24.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carried out the effect of Si levels (0.5, 1.0 and 2.0 mM) on ethylene and salicylic acid (SA) of hydroponically grown rice plants, after 6h, 12h and 24h of Si application. All samples were analyzed after applying wound stress for 30 minutes. In 6 h treatments, 0.5 and 1.0 mM of Si decreased ethylene production by 7% and 9.9% respectively, while elevated level of Si (2 mM) insignificantly affected ethylene production under same conditions. However 0.5 and 1 mM of Si enhanced endogenous SA contents by 2.6% and 17.3% respectively, while 2 mM of Si decreased SA contents by 3% as compared to control. Samples analyzed after 12h of 0.5, 1 mM and 2 mM Si application showed reduction of 11%, 4% and 1.7% respectively, while SA contents increased by 4% and 9.5% in 0.5 and 1 mM Si treatments. Samples analyzed after 24 h of Si treatment showed that 0.5 and 1.0 mM of Si inhibited ethylene production by 12.6% and 18.2% respectively, while 2 mM Si increased ethylene production by 11.9% as compared to control. It was observed that the SA content of rice was almost similar to control in 0.5 mM Si applied treatments, while 1 mM and 2 mM of Si increased SA contents by 6.5% and 6.9% as compared to control. It was concluded that Si alleviates the effect of wounding stress in rice by regulating ethylene and SA production.
25.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학적 종자소독방법이 아닌, 유기 친환경 벼 재배단지에서 이용하고 있는 60℃ 온탕소독 방법 수행시 종자내 수분함량에 따른 발아율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9년 충남농업기술원 작황 시험포장의 삼광벼를 출수 후 55일에 수확하여 비닐봉지에 담아 5℃로 10일간 냉장시켰다. 그 이후 건조시키 면서 수분함량을 조사하였으며, 수분함량별 시료를 60℃로 조정된 water bath에서 1분에서 19분까지 2분단위 로 침종시간을 달리하면서 처리하였다. 온탕처리 후 종자를 꺼내어 30℃에서 48시간 기포기를 가동하여 발아 를 진행시켰으며,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온탕처리 시간 경과에 따른 발아율이 현격히 떨어졌다. 종자 수분함량이 22%일때 1분경과시 발아율이 56.2%였는데, 3분 이후에는 전혀 발아가 되지 않았다. 19%에서는 1분경과시 80.7%였지만 9분처리시 18%까지 낮아졌다. 벼 종자 내 수분함량 에 따라 80%이상의 발아율을 보이는 처리시간은 19%에서는 1분, 16%에서는 7분, 15%에서는 7분, 14.3%에서 는 11분이었으며 9.5%에서는 19분이 경과해도 85.5%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서, 60℃ 종자소독시 안전한 발아율을 얻기 위한 적정 소독시간은 종자의 수분함량에 따라 달리 결정되어야 할 것이며 이에 따른 소독효과도 함께 검증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26.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irect seeding is increasingly being practiced by rice farmers under both rainfed and irrigated conditions. The trend is the outcome of a scarcity of labour required for transplanting, simplicity and additional benefits associated with direct seeding. Flooding slows seed germination, imposes fatalities and delays seedling establishment in direct-seeded rice. This study describes responses of contrasting rice genotypes subjected to flooding or low oxygen stress during germination and discusses of tolernace shown by certain cultivars. In expt, two tolerant('Khao Hlan On', 'Khaiyan') and two intolerant('IR 42', 'IR 64') genotypes were used for growth and survival measurements. To compare effects of priming, pre-germination and germination on anaerobic tolerant and intolerant lines. Length of the longest shoot was measured in seedlings grown under either a control or in flooded soil, and plant survival was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seedlings that emerged from floodwater. All measurements were 21 d after sowing. Tolerant and intolerant genotypes had the same seeding survival under normal soil conditions. But survival of intolerant genotypes were lower than tolerant genotypes. Growth of tolerant genotypes were faster than intolerant genotypes. Among the treatment, treatment 3 was greater. Because treatment 3 emerged first from water. Among the after days 1, 3, 5, survival was highest in after day 1. The other side, To late seeding over time, survival decreased.
27.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ight is a energy source for photosynthesis og green plant and sources for photoperiodsm and photomorphogenesis. Plants have showed a variety of reactions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survive, and have introduced environmental signal into growth development. Rice yield has reduced by increasing localized heavy rain that leads duration of solar intensity to decrease 10-16% during cultivation period. It is necessary to improve adaptive technology and observe change of rice yield and growth by decrease of solar intensity for safe culture of rice. For these reasos, we carried out shade culture experiment and compared to rice growth and yield for two rice varity(Dasanbyeo, Chuchengbyeo) in 2008, and we also performed shade culture experiment at two growth stage(panicle formation stage, booting stage) in order to research rice growth and yield by decease of solar intensity on 2009. We carried out shade treatment to make different solar intensity under three different conditions; control, 30-40% block, 70-80% block using shade net. As a result, experiment result showed that plant height and SPAD value were more inceased and tiller number was more deceased under shade treatment than control. Shade treatment decreased rice yield by reducing panicles number per m2 spikelet number per panicle, and percent ripened grain of yield component. The results of protein analysis showed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28.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화와 한반도 온난화에 대응하여 경남지역에서의 맥류 재배법 재설정을 위한 맥종별 파종기와 파성에 따른 출수 및 생육반응을 검토코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맥종별 파종기 이동에 따른 생육반응을 보았을 때, 겉보리와 쌀보리는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Growth degree days(GDD)가 적어지는 경향이었으나 맥주보리에 서는 그 정도가 덜하였다. 종실수량은 맥종별로 관행 파종기에 비해 5 ~ 10일 정도 늦어질 때 대체적으로 많았으며, 11월 중순에 파종해도 크게 감수되지 않아 기후 온난화에 따른 파종기 이동 등 재배법 재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겉보리와 맥주보리의 파성별 차이에 따른 출수 및 생육반응을 보았을 때, 겉보리는 파성이 Ⅰ인 품종이 생육기간 GDD가 가장 높았다. 맥주보리는 이와는 반대로 파성 Ⅳ인 품종이 그 값이 컸으 나, 겉보리보다는 파성간 차이가 적었다. 보리의 수량구성요소는 파성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볼 수 없었다.
29.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풋옥수수의 재배면적이 17,000ha로 매년 증가 추세이며, 주로 봄에 재배함으로 7월 중․하순의 홍수 출하 로 가격폭락이 심하기 때문에 출하시기 조절 관련 연구가 필요하여 중․남부지역 찰옥수수 파종기별 수확적기 구명 연구를 수행하였다. 찰옥수수는 국립식량과학원 밭작물시험연구포장에서 4월2일, 4월10일, 4월20일, 4 월30일, 5월20일, 6월20일, 7월10일, 7월20일, 7월30일 9차례 파종하였으며, 시험재료는 최근 국내 육성 품종인 일미찰, 찰옥4호, 찰옥1호로 실험하였다. 생육조사는 작물학적인 특성으로 간장, 착수고, 출사기, 수확일수, 이삭장, 이삭길이 등을 조사하였다. 찰옥수수 수확적기는 출사일수에 의한 방법은 7월10일 이전 파종은 출사 후 25일, 7월10일 이후 파종은 출사 후 30~40일이며, 생육적산온도에 의한 방법은 조생종(찰옥1호)이 1,650℃~ 1,750℃, 중만생종(찰옥4호, 일미찰)이 1,750℃~2,200℃, 출사 후 적산온도는 조생종과 중만생종 모두 550℃~ 700℃가 소요된다.
30.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 파종후 생육초기에 토양수분 부족으로 생육이 다소 억제되었고 7월 하순부터 8월 하순까지는 흐리고 습한 날씨고 지속되어 1차, 2차, 3차 파종시기에서 검은뿌리썩음병이 많이 발생하여 수량감소의 큰 원인이 되었다. 주요 생육단계 도달일수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길었고 파종기가 늦을수록 짧았는데 비교적 파종기간에는 차 이가 크지 않았고 각 파종시기별 개화기 단축일수는 4.8일이였고 생육일수는 8.2일 단축되었다. 건물중 및 엽면적지수도 경장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전 파종기를 놓고 볼 때에 생육이 R2 stage 생육은 부족한 편이었 다. R5 stage에 Sink/Source비는 생육량이 적은 늦은 파종기 일수록 높게 나타나 단위 엽이 분담해야 될 역할이 증가되는 일반적인 경향을 띄었고 1차 파종에서 비율이 높았던 것은 선유콩과 풍산나물콩에서 생육이 건전한 데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생육이 R5~R7 stage 사이의 순동화량(NAR) 은 품종별 파종시기간 차이는 크지는 않았으나 3차 파종기의 풍산나물콩이 순동화량이 컸음을 주목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 시기에 수량증수 의 잠재성을 지니고 있다는 판단을 하였다. 성숙기의 경장은 R5 stage와 같은 1차 파종에서 2,3차 파종과 비교 시 약간 짧아으나 주경절수는 1차부터 3차까지 비슷하였다. 개체당 협수는 1차 파종에서 많았으며 2,3,4차 파종기는 비슷하였고 수량성은 4,5차 파종기가 많았는데 1,2,3차에서 수량이 낮고 경향치가 일정하지 않은 것은 뿌리썩음병의 발생이 많았는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품질중 단백질함량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지방산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C16:0, C18:2,C18:3은 많아지고, C18:0은 변화가 적었으며, C18:1과 oil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많아지 는 경향을 보였다. 제주지역에서 콩의 안전증수를 위해서는 6월25일 파종에서 7월10일 사이가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며 수량 및 품질의 연차간 변이에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31.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콩에서 발생이 문제가 되고 있는 불마름병(bacterial pustule: xanthomonas campestris pv.)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장류콩에서 송학콩, 신기콩, 나물콩에서는 풍산나물콩, 그리고 특수용 콩에서 청자3호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품종별 방아율을 조사한 결과, 불마름병이 많이 발생되었던 품종들이 발아율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파종기 이동에 의한 불마름병 피해를 검토한 결과, 6월 중순으로 파종기를 늦추어 파종했을 때 이병성인 새올콩과 태광콩 모두 불마름병 발생이 다소 경감되었 으며, 조기 파종에 비해 수량도 다소 증수되었다.
32.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는 전국 재배면적 28,000ha로 충북, 충남, 강원 지역이 주요 재배지역이다. 주로 간작, 후작용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특히 강원지역의 경우 옥수수 후작으로 재배되고 있으나, 적합 품종 및 재배법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본 시험은 옥수수 후작 들깨 재배시 이식기에 따른 수량 및 주요성분인 지방, 지방산, 단백질을 비롯한 2차 대사산물의 주요성분 변이를 분석하고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2009년 강원도 화천군 농가 포장에서 실시하였으 며, 시험재료로는 안유, 다유, 대유를 사용하였으며, 3엽기 묘를 6월 15일, 6월 30일, 7월 15일 각각 이식하였으 며, 들깨 표준재배법에 준하여 재배하였다. 그 결과로 이식기별 수량은 품종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6월 15일이 가장 높았고, 다유가 전 시기별로 가장 수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량구성요소인 분지수와 화방군수가 다른 품종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지방 및 이차대사산물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안유의 아피제닌 함량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성분의 함량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 으며, 파종기-성숙기의 생육일수가 길어질수록 기름함량 및 이차대사산물의 함량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 된다.
33.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하여 친환경적인 저투입 기술의 요구가 확대되고 있어 콩과녹비작물을 이용하여 화학 비료 절감과 토양유실을 경감시키고자 녹비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상태에서 옥수수를 무경운 직파하여 연구 를 수행하였다. 옥수수는 일미찰 품종을 ‘09. 4. 24일 인력 점파기로 파종하였으며, 콩과녹비작물은 헤어리베 치와 크림손클로버를 이용하였고, 질소는 표준시비량의 100, 50, 0%를 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헤어 리베치 이용 후 질소를 표준시비량의 100, 50, 0%를 시용하고 옥수수를 재배할 경우 관행에 비하여 옥수수의 출사기는 각각 9, 11, 13일 지연되었으며, 질소 시비량이 적을수록 옥수수 출사기의 지연과 엽색도 값의 감소 정도가 컸다. 옥수수 이삭의 상품수량은 관행에 비하여 각각 9, 17, 19% 감소되었으며, 질소 시비량이 적을수 록 수량의 감소정도가 컸다. 크림손클로버 이용 후 질소를 표준시비량의 100, 50, 0%를 시용하고 옥수수를 재배할 경우 관행에 비하여 옥수수의 출사기는 각각 16, 18, 21일 지연되었으며, 질소비료의 절감량이 많을수 록 지연되었고 엽색도 값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옥수수 이삭의 상품수량은 관행에 비하여 각각 50, 55, 57% 감소되었으며, 질소 시비량이 적을수록 수량의 감소가 컸다. 녹비작물의 종류, 시비량, 옥수수의 생육 및 수량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면 헤어리베치가 크림손클로버에 비하여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헤어리베치 이용 시 질소를 무시용할 경우 옥수수 수량은 관행 대비 81%로 무비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4.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vergrowth of soybean plants and thereby brings about lodging, decrease in pod number, damage by disease and insect pest, etc.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ptimum decapitation method in vinyl mulching soybean cultivation. Sinbuseoktae, local soybean variety was sown on May 25 and June 15 in 2009. Decapitation treatments(Non-decapitation, V8 stage-stem, V8 stage-apex, Flowering initiation stage, V8 stage-Stem+Flowering initiation Stage) were practiced on major growth stage on May25 seeding. Lodging did not occur in apex decapitation at V8 stage while other treatments had severe lodging. NAR from R5 to R7 stage was also highest in apex decapitation at V8 stage, which meaned optimum plant organ structure in utilizing light. On the other hand, flowering date and maturity date among treatments were similar. Seed yield in apex decapitation at V8 stage was highest with 274kg/10a, followed by flowering initiation stage with 249kg/10a. The apex decapitation at V8 stage had 26% yield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of 216kg/10a due to heavy 100-seed weight.
35.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elect cultivar suitable for peanut sprout from general Korean peanut cultivars developed already. On sprouting peanut, it rapidly increase the content of trans-resveratrol that has effects on anti-cancer, anti-inflammatory, blood-sugar-lowering and other beneficial cardiovascular in mouse. For this experiment we tested peanut sprout characteristics on 37 cultivars cultivated for 7 days at 26℃ temperature. The characteristics among cultivars showed the variations as follow: The range of 100 grain weight is 56 to 142, hypocotyl length 4.3 cm to 5.8 cm, diameter of hypocotyl 5.0 to 8.0 mm, epicotyl 0.8 cm to 4.6 cm, seedling ratio per seed number 84 % to 100 %, weight per seedling 4.9 g to 8.4 g, the rate of hypocotyl cleavage 0 % to 46 %, the content of trans-resveratrol 22.5 ㎍/g to 88.2 ㎍/g and sprout yield 360 % to 820%. We considered the selecting points as high sprout yield, high seedling rate, high resveratrol content, high low brownish cotyledon, no hypocotyl cleavage, and fat hypocotyl etc. Fortunately, the best cultivar "Jokwang" was selected on these conditions with 7.8 mm diameter, clean cotyledon color, 100 % seedling rate, 0 % hypocotyl cleavage, 63.3 ㎍/g resveratrol, and 820 % sprouting yield. This cultivar may use as new food and nutraceutical material.
36.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carried out to better understand calcium behavior in plant growing in media with different calcium levels, deficiency (3), normal (1), and surplus (3). Growth of cucumber plants did not appear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alcium levels by 7 days after transplanting, but growth rate at 14 days was the highest in normal and followed deficiency and surplus. Increase in calcium concentration treated resulted in not only an excessive Ca uptake of plant but also a proportional decrease in Mg contents. In addition, excessive absorbed Ca was preferentially accumulated in stem and root to avoid leaf damage. Oxalate playing a role as a mediator of excessive Ca through Ca-oxalate crystal formation in cell was analyzed. Oxalate content in leaves was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calcium level in media,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4(>0.001), while Ca and oxalate in stem and roots did not show significant relation. Ca-oxalate crystal isolated from different Ca-treated leaves and stem was observed using SEM-EDX. Large amount of Ca-oxalate crystal was formed with an increase in Ca concentration. This means that excessive Ca in cell is immobilized through the formation of Ca-oxalate crystal with oxalate bio-synthesized.
37.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정부의 green korea 정책과 화학비료의 가격 상승으로 녹비작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재배면적 또한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 중 두과녹비작물로는 질소고정력이 높은 헤어리베치가 이용되고 있고 화본과로는 녹비보리가 이용되고 있다. 이렇게 화학비료 대용 또는 토양물리적인 특성 개량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녹비작물을 같은 농경지에 연속하여 재배하면 녹비생산량도 증가되고 토양의 물리화학적인 특성도 개선되어 벼 생육 및 수량에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두과(헤어리베치)와 화본과(녹비보리) 녹비작물을 장기재 배하여 이용 할 때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8개의 벼 품종을 이앙하여 시험하였다. 벼 생육은 관행시험구와 녹비보리시험구보다 헤어리베치+녹비보리시험구에서 간장, 경수가 증가하고, 출수 기가 지연되었으며, 벼도복이 발생하였다. 벼 출수기는 화영벼와 서안1호에서 관행대비 2~3일정도 지연되었 으며 등숙기 벼 도복정도는 풍미벼에서 5로 가장 심하였으며, 진부벼, 조광벼, 화영벼에서 4정도였다. 벼 수량 은 관행에 비하여 30% 증수되었으며 도복이 심했던 진부벼, 조광벼, 풍미벼, 화영벼에서 증수되는 정도가 현저히 컸다. 벼 수확 후 토양의 물리적 특성은 관행보다는 녹비재배지에서 가비중과 공극율이 더 좋아졌으며 특히, 녹비보리 재배지보다 헤어리베치+보리 재배지에서 더 양호하였다. 따라서 녹비를 연속하여 재배하는 농경지에 벼 품종을 선택할 경우 도복의 위험이 큰 진부벼, 조광벼, 풍미벼, 화영벼는 지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38.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볏짚 사료화에 따른 토양황폐화가 우려되는 시점에서 화학비료 가격은 상승하여 돈분뇨 퇴․액비를 활용 하는 농가가 급증함에도 이에 대한 활용방법이 밝혀지지 않은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볏짚을 매년 수거한 논에 서 돈분뇨 퇴․액비를 이용, 미사질양토에서 벼 품종으로 동진1호를 사용하여 2007~2009년간 수행하였다. 돈 분퇴비는 전량기비로, 기비 또는 추비는 SCB액비를 사용하여 화학비료 질소(관행) 9kg/10a에 해당하는 퇴비 70-액비30%, 퇴비30-액비70%, (퇴비30+액비40)-액비30% 등 6처리를 두고 토양양분 변화, 양분흡수량 및 쌀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3년간 퇴비30~70%, 액비70~30% 시용논의 유기물함량은 시험전인 21.3g/kg과 유사 한 값을 보였으나, 화학비료만 시용논에서 14.6%가 감소하였으며, 인산함량은 퇴․액비 시용에서 11~13%가 증가하였으나 관행은 시험전과 유사하였다. 용적밀도는 퇴․액비처리에서 감소하여 공극률이 약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관행은 이와는 반대 경향이었다. 벼 출수기 양분 흡수량은 화학비료 관행구와 기비로서 퇴비30%+액비 40%와 추비 액비 30%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벼 유수형성기 생육은 관행구와 액비추비 시용량이 많을수록 양호하였다. 쌀 수량은 기비용 퇴비시용보다 액비 추비시용량이 많을수록 높은 경향이며, 특히 기비(퇴비30%+액비 40%)-추비 액비 30%처리에서 화학비료 관행과 유사하였고 쌀 품질도 유사한 경향으 로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볏짚수거 논에서 기비로 퇴비30%와 액비40%를 시용한 후 수비로써 화학비료 대신 SCB 액비를 관개수와 함께 시용하면 화학비료를 완전 대체할 수 있고, 토양비옥도 유지와 안정적인 쌀 수량생산이 가능하리라고 판단된다.
39.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녹비작물은 단순하게 푸른 식물체를 토양에 갈아 넣어 비료로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농촌경관을 아름답게 가꾸어 주면서 토양보전, 잡초방제, 밀원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작물이다. 그러나 녹비작물은 다양한 목적에 비하여 이용되고 있는 종류가 헤어리베치, 녹비보리, 자운영 등으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녹비작물 의 이용 확대를 위해서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가을에 파종하여 겨울을 나기는 어렵지만, 식물의 생리적 특성상 이른 봄에 파종하면 생육이 가능한 작물을 중심으로 선발하였다. 저온에서 생육이 가능한 황화초 등 9개 작물을 4월에 파종하여 녹비수량과 개화특성을 조사하였다. 4월 8일에 파종한 녹비작물의 개화소요일수는 메밀은 41일, 황화초는 44일, 루핀은 53일, 파셀리아 60일, 크림손클로버 63일, 해바라기 71일이었다. 작물별 꽃색을 보면 황화초, 해바라기, 네마황은 노란색, 메밀과 루핀, 화이트클로버는 흰색, 파셀리아는 연보라색, 크림손클 로버는 붉은색, 레드클로버는 분홍색을 띄어 개화시 아름다운 경관을 보여 주었다. 녹비작물의 수량은 재배기 간이 길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파종 후 62일째 건조수량은 10a당 메밀은 280kg, 해바라기 280kg, 황화초 260kg, 파셀리아 173kg, 루핀 120kg, 레드클로버 113kg, 크림손클로버 100kg의 녹비가 생산되었다. 따라 서 녹비수량과 개화특성을 볼 때 봄에 파종하여 이용 가능한 경관겸용 녹비작물로는 메밀, 황화초, 파셀리아, 루핀, 크림손클로버가 우수하였다.
40.
2010.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소비벼 재배시 토양 및 식물체 중 질소동태 및 쌀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신동진 등 5품종을 공시하여 관행 질소시비량 90kg/ha와 소비 질소시비량 50, 70kg/10a로 수행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시기별 질소 시비수준에 따른 토양 중 무기태질소 함량 변화는 최고분얼기 때 NH4-N 함량이 많았 고 질소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생육후기까지 높게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질소 시비수준별 성숙기 경엽 및 곡실 중 질소흡수량은 모든 품종에서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흡수량이 많은 경향을 나타냈고 50, 70kg/ha 수준에서는 온누리 90kg/ha 수준에서는 신동진이 흡수량이 많았다. 질소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영화수 확보가 많은 반면에 질소수준이 낮을수록 등숙비율 및 완전미비율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쌀 수량은 질소수준이 높을수록 신동진, 온누리, 동진1호, 호평, 남평 순으로 완전미 수량은 동진1호, 남평, 신동진, 온누리, 호평 순으로 많았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