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회 KCI 등재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08 한국작물학회 추계학술발표회 (2008년 10월) 214

41.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on the yield of sesame and the movement of nitrogen and carbon in soil under mulching cultivation. The seven fertilizer treatments investigated are as follows: 1) 8-4-9 kg N-P2O5-K2O 10a-1-control, 2) 80% of control treatment N from mixed expeller cake (MEC)-MEC 80%, 3) 100% of control treatment N from MEC-MEC 100%, 4) 80% of control treatment N from mixed organic fertilizer (MOF)MOF 80%, 5) 100% of control treatment N from MOF-MOF 100%, 6) 80% of control treatment N from latex coated urea complex fertilizer (LCU)-LCU 80%, and 7) no nitrogen. The soil mineral N available in the applied organic MEC and MOF fertilizers was less than the available N in the applied urea fertilizer during the early growth stage of sesame but the amount was observed to increase with time. The concentration of nitrate-N in leached solution 35 days after application was highest at 75 mg l-1 in the control, followed in descending order by MEC 100%, MOF 100%, LCU 80%, MOF 80% and MEC 80%. The concentration of nitrate-N in the leachate in all treatments was observed to rapidly decrease 45 days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and recorded at less than 20 mg l-1 65 days after application.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organic carbon in the leached solution and organic carbon in the soil of the organic fertilizer plots was higher than in the urea- and LCU-fertilized plots during the whole growing period. The yields of sesame applied with MEC and MOF organic fertilizers were 2 to 7% higher than those fertilized with urea. The amount of retained mineral N or organic carbon in the soil is higher in the LCU and organic fertilizer plots than in the urea-fertilized treatments, which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nitrate leaching, increasing N efficiency and sesame yield.
42.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varietal differences of the viviparous germination and viviparous germinated seed characteristics occurred by continuous rain during maturing stage of rice in 2007. The viviparous germination rates were increased in early and medium-maturing cultivars such as Unkwangbyeo and Gopumbyeo. In the germinating rates using already viviparous germinated seeds were severely deteriorated by 15.3 and 28.2% compared to those of normal seeds as 97.3 and 98.5% on Unkwangbyeo and Gopumbyeo. The regermination rates were increased as the plumule length of already viviparous germinated seeds was shorter, so it is 46.7% in less than 0.9mm plumule length and 12.7% in 1.0~1.9mm.
43.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se experiments was carried out to get high quality of forage to cultivate mixed barley and winter pea with different seeding rates, 200 and 140 kg/ha in barley, and seeding rates in winter pea were 0, 50 and 100 kg/ha. And these were tested in Iksan from 2006 to 2007 for two years. The results were followed. Dry weight in only barley seeding of 200 kg/ha was 0.9 ton/ha higher than only barley seeding of 140 kg/ha. Fresh and dry weight in barley seeding of 200 kg/ha and mixed winter pea were each 1.4, 0.7 ton/ha higher than barley seeding of 140 kg/ha and mixed winter pea. And crude protein in barley seeding of 200 kg/ha and mixed winter pea was from 0.3 to 0.8 %, and 140 kg/ha and mixed winter pea was from 1 to 1.6 %. The rates of fresh and dry weight to all yield in winter pea were each from 8 to 15, from 4 to 21 % in barley seeding of 200 kg/ha and mixed winter pea, and were from 9 to 20, from 5 to 26 % in barley seeding of 140 kg/ha and mixed winter pea.
44.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between bakanae diseases (Gibberella fujikuroi) infected and normal rice plants. The infected rice seeds, harvested in last year, were disinfected by prochloraz for 48 hours at 33℃ using sprouting machine, 24 hours at room temperature and not disinfected. In the methods of disinfection, it is more effective in disinfected by prochloraz for 48 hours at 33℃ using sprouting machine near to 0% of infection rate, followed by conventional method as 5.0% and 76% in not disinfected rice seeds. In the rice yield components among the disinfection methods, panicles were increased about 11% in the disinfected seeds using sprouting machine for 48 hours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 Ripening grain rate also increased at the disinfected using sprouting machine as 80.3~80.3%, improved more than 4.9~5.9% comparing to the conventional disinfection. From these results, the rice yield was 512~517kg/1,000㎡ at the disinfected using sprouting machine which increased more than 6~7%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isinfection.
45.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rassica napus L. (Brassicaceae) plantation has increased as its seed is the primary source for bio-diesels. This study was conducted Male sterile (MS) line (cv. 'Sun-Mang') to pollen parent (cv. 'Mokpo 64') ratio of rape plants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six sequential stages and yield performances. Ratio of MS line to pollen parent was followed, 4:2, 10:1, and 10:2, respectively. Seeds of six sequential stages (35, 40, 45, 50, 55, and 60 days after flowering) were collected and determined using SEED FAME ESTIM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oleic acid content (C18:1) of the MS to pollen parent ratio (4:2) relatively increased up to 60 days after flowering compared to other ratios. Other fatty acid compositions such as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linoleic acid (C18:2) and linolenic acid (C18:3) contents decreased during seed maturation period. Seed weight (1000 seeds) of MS to pollen parent ratio (4:2)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tty acid compositions and seed weight was affected by ratio of MS line to pollen parent. For rape seed production, a suitable ratio of MS line to pollen parent will be required to cultivate rape plantations.
46.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our plant growth regulators on growth, photosynthesis parameters and yield of soybean. To increase dry matter accumulation of seeds, some growth regulators were applied to field grown soybean cv. Sinpaldalkong #2 as determinate type and Muhankong as indeterminate type at dense planting condition. Choline caused significant reduction of stem length, but did not increase seed yield. The number of leaf and total leaf area wer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all the treatments, but those increased tremendously in Muhankong treated with ethrel. CO2 assimilation and water use efficiency of a single leaf were showed the highest as 17.2 molm-2s-1 and 9.3 μ mmol mol-1 treated with mepiquat in Sinpaldalkong, respectively. The Photosynthetic rate was closely related to stomatal conductance, transpiration and water use efficiency. Mepiquat treatment mainly produced positive effects on the number of pods, percent of pod setting, number of seeds per pod in two cultivars and also increased their seed yield as compared with control.
47.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dmium (Cd) is one of heavy metals that can be easily absorbed by plant roots, and transported from soil to shoots. The effect of Cd concentration (0~200 μM)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Cd content of shoot and root, and antioxidant enzymes by oil plants Jatropha curcas (cv. Biji Jarak) were investigated in hydroponics system for two weeks. Stomatal conductance was significantly depressed by Cd treated plants. However, the leaf chlorophyll content was unaffected by Cd treated plants. Cd contents in the roots of Jatropha were accumulated higher than those of shoots. Jatropha treated plants at 100 and 200 μM was found to accumulate more than 100 mg kg-1 of Cd in shoots. Jatropha plants had a high ablity to uptake Cd from soil and transport it from soil to shoot as a Cd hyperaccumulator plant because of plants accumulating more than 100 mg kg-1 of Cd in shoots are considered to define as Cd hyperaccumulator. These results confirm that Jatropha is a suitable candidate for the phytoremediation of high-level cadmium contaminated soils.
48.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맥류(호밀, 보리, 밀)을 이용하여 친환경 콩 생산에 있어 가장 문제시되는 잡초를 방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종 맥류를 춘파, 추파하고 콩을 파종한 후 잡초방제효과와 각 처리가 콩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맥류 추파구가 춘파구에 비하여 잡초 방제가가 높았으며 그 중 호밀 추파구의 잡초 방제가가 87.7%로 관행(89.5%)와 거의 같은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잡초 방제효과는 추파구의 경우 투입된 바이오메스량이 증가할수록 방제가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추파성이 소거되지 않은 맥류의 좌지현상을 이용하여 콩 포장 잡초 억제를 기대했던 춘파구의 경우는 콩의 생육과 수량이 떨어졌다. 맥간의 Allelopathic Chemicals의 토양 잔류량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호밀을 추파한 후 콩을 파종한 다음 볏짚을 피복하면 잡초 방제 뿐 아니라 토양 수분보존 효과도 있어서 친환경적 콩 밭 잡초 방제가 가능할 것 이라 판단되었다.
49.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 재배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점 중의 하나는 전열과 후열의 광도 및 온도 조건이 달라 후열 인삼의 중량이 전열 내지 중열 재식 인삼의 50-70%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인삼 재배에 있어서 재식 위치가 인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보고되었으나 재식 위치가 사포닌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삼의 재식 위치 및 크기가 사포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풍에서 주근의 전행, 중행, 후행의 진세노사이드 총 함량은 각각 15.01mg/g, 18.73mg/g, 21.88mg/g, 지근 35.93mg/g, 44.92mg/g, 38.41mg/g, 세근 87.86mg/g, 92.97mg/g, 100.92mg/g으로 후행 또는 중행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주근에서만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재래종에서 주근의 전행, 중행, 후행의 진세노사이드 총 함량은 각각 21.79mg/g, 23.19mg/g, 26.68mg/g, 지근 43.33mg/g, 43.49mg/g, 44.89mg/g, 세근 105.50mg/g, 110.71 mg/g, 107.06mg/g으로 후행 또는 중행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연풍에서는 주근, 지근 및 세근의 사포닌은 소형, 재래종에서는 주근의 사포닌은 대형, 지근의 사포닌은 소형에서 많은 경향이었으나 세근의 사포닌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단위 무게당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연풍과 재래종에서 후행>중행>전행 순이었으나 뿌리 개체당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전행에서 많았다.
50.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예로부터 백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박피작업은 색택을 좋게 하기 위하여 표피의 반점, 병충해 및 생리장해 피해 부위 제거, 한의학적 용도 등을 고려하여 손으로 표피를 제거하였으며, 박피 작업은 건조를 용이하게 하였다. 최근에는 세라믹 박피기 등으로 과다한 박피는 건조 중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5분, 10분, 15분간의 박피가 색상, 일반성분, 사포닌 함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백삼의 제조방법 개선과 품질 평가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백삼 표피의 색택은 박피시간이 길어질수록 양호하였다. 일반성분인 조지방, 조단백질, 지방산 및 아미노산은 박피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으나 탄수화물 및 유리당은 감소하였다. 박피에 따른 백삼의 ginsenosides는 무박피 0.94%, 5분 박피 0.73%, 10분 박피 0.69%, 15분 박피 0.61%로, 무박피에 비하여 5분 박피 0.21%, 10분 박피 0.25%, 15분 박피 0.33%가 감소되어 박피를 15분하면 약 30%의 사포닌의 손실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피에 따른 ginsenoside 별 함량은 무박피에 비해 대부분의 종류가 감소하였으며 그 중에서 Re의 함량의 감소가 가장 현저하였다. 그 동안 전통적으로 백삼의 빛깔 개선과 건조방법의 편의성 및 한약재의 수치방법의 하나로 박피작업이 관행적으로 행해지고 있으나 백삼제조 시 박피 작업은 인삼의 유효성분의 유지 보존이라는 면에서는 바람직한 가공법이라고는 할 수 없다고 본다. 더욱이 최근 산지에서 적변삼의 발생이 많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적변삼을 백삼 원료로 이용할 경우 표피의 적변을 제거하기 위해 심하게 박피를 할 경우 사포닌 함량의 현저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인삼의 품질은 주로 육안적인 검사를 통한 외관적 특징을 중시하여 왔으나 앞으로는 외관적 특징도 중요하지만 인삼의 약효성분을 유지보존 할 수 있는 가공법에 초점을 맞추어 가공기술을 개발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51.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설재배의 증가, 화학비료의 연용 및 기상이변의 발생은 재배지역의 감소와 작물의 안정적 생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시험은 고염류토양에서 생육이 가능한 콩 품종의 간이 선발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NaCl 농도하에서 국내에서 육성된 콩 품종 중, 장류두부용(대원콩, 대풍콩, 새올콩, 태광콩), 나물용(소명콩, 소원콩, 풍산나물콩) 및 밥밑용(일품검정콩) 등 8개 품종의 발아양상을 조사하였다. NaCl을 5개 (0, 50, 100, 200 및 500mM) 수준으로 하여 Petri-dish에 각 품종당 20개의 종자를 치상한 후, 25℃ 암조건에서 7일간 처리하였다. 처리 후 종자의 발아율과 근장을 측정하여 염 저항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장류두부용 콩 품종의 경우, NaCl 50mM 이하에서는 발아와 뿌리생장이 이루어졌지만, 100mM 이상의 농도에서는 발아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나물용 콩 품종의 평균발아율은 NaCl 50mM(78%), 100mM(74%) 및 200mM(50%)로 나타났으며, 밥밑용 콩(일품검정)의 발아율은 NaCl 50mM(63%), 100mM(43%) 및 200mM(33%)로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 나물용 콩 품종이 고염류(NaCl)에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52.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야생벼가 유전적으로 재배벼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할지라도, 많은 야생벼에서 재배벼와 생육양상이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본 시험은 재배벼와 생육양상이 다른 일부 야생벼의 광합성능, 카탈라아제 활성 및 엽의 해부학적 차이를 보고자 수행하였다. 야생벼(Oryza latifolia, Oryza minuta, Oryza brachyantha, Oryza grandiglumis, Oryza alta)와 재배벼(새추청)를 공시 작물로 하였으며, 야생벼의 휴면타파를 위해 40℃에서 3일, 50℃에서 2일간 처리한 후, 6㎛ 지베렐린을 처리하여 발아를 촉진하였다. 발아 7주 후에, 상위 완전전개엽의 광합성량(LC pro+, GBP4)을 측정한 후, 엽록소 함량과 카탈라아제 분석 및 해부학적 관찰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Roe 방법으로 추출한 후 분석하였고, 카탈라아제 활성은 Aebi 방법으로 추출 한 후 분석하였다. 해부학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엽을 Spurr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발아 7주경에 관찰한 생육양상은 새추청벼에 비해 O.latifolia, O.grandiglumi 및 O.alta는 왕성하였고, O.minuta는 비슷하였으며 O.brachyantha은 분산형으로 아래로 쳐지는 양상을 보였다. 광합성량은 O.latifolia, O.grandiglumi에서 가장 컸으며, O.minuta 이외에는 새추청벼에 비해 높은 광합성량을 보였다. 엽록소 함량은 O.latifolia, O.grandiglumi 및 O.brachyantha에서 새추청벼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카탈라아제 활성은 O.brachyantha에서 가장 낮았으며 나머지 야생벼의 카탈라아제 활성은 새추청벼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엽 횡단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야생벼와 재배벼의 유관속초의 형태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야생벼간에는 큰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53.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전 유묘 육성을 도모하고 효과적인 상토의 수분 공급을 위해 계면활성제의 농도별로 단독 및 복합처리된 상토를 밑면의 직경이 5.8㎝, 윗면 7.5㎝, 높이 6.5㎝인 용기에 상토를 충진하고 용기 밑면에 3.8㎜의 구멍을 내어 각 처리간에 물의 흡수시간, 보유수분함량 시간 및 용탈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공시종으로 일품벼와 추청벼를 최아시킨 균일한 벼 종자를 각 처리별 상토에 정식하여 어린묘 소질을 측정하였다. 관수 후 정식한 상태의 초장은 추청벼가 일품벼보다 컷으며, 그 중에서 바로커 원예상토가 제일 좋았으며, 부농경량, 부농 수도용상토, 대조구(일반 논토양)순으로 낮았다. 반면 근장은 두 품종 모두 대조구에서 우수했고 바로커, 부농경량, 부농 수도용 순으로 낮았으며 지상부 건물중은 두 품종 모두 부농 경량이 제일 높았으나 그 이외 처리구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지하부는 바로커, 부농상토 순으로 높았다. 상토별 계면활성제 농도별 처리결과 수분 흡수 경과시간은 각 처리구 모두 일반 대조구와 부농 수도용상토는 처리간에 큰 차이 없이 3~5분 사이에 흡수가 되었으나 경량 및 바로커는 무처리와 100ppm에서 500분 이상이 소요되었으나 300 및 500ppm에서 각각 370분과 470분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경량 상토의 300ppm 처리가 효과적이었다.
54.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설재배가 증가하면서 토양 중 특정 양분이 축적되고, 이로 인하여 과잉양분에 의한 작물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시험은 염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토마토의 양분흡수와 흡수된 염의 집적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립농업과학원 유리온실에서 수행하였다. 펄라이트에서 발아된 완숙토마토(품종 : 선명, 농우바이오) 건묘를 선발하여 Ross 양액에서 20일간 생육시킨 후, Ross 양액과 NaCl 및 CaCl2를 50 및 100mM로 2주간 처리하였다. 따라서 토마토 유묘를 대상으로 하여 염 종류 별 식물체 내 양분흡수 이동과 염 집적 형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염 처리 2주후에 토마토 유묘를 채취하여, 부위별(잎, 줄기, 뿌리)로 무기성분(Ca, Na)을 분석하고, 염의 집적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묘 잎을 Spurr 방법으로 전처리 한 후, SEM으로 집적형태를 관찰하였다. 토마토 유묘의 초장은 염 처리에 의해 크게 저해되었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육억제효과는 더 컸다. 염류종류에 따라 무기성분의 흡수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NaCl이 처리된 토마토는 줄기에 다량의 Na가 축적되었으며, CaCl2가 처리된 토마토는 잎에 다량의 Ca가 축적되었다. 각 부위별 무기성분함량은 무처리에 비해 약간씩 높았다. 식물체내 염의 집적형태로 Ca-oxalate crystal이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시험에서도 Ca-oxalate는 처리조건에 상관없이 관찰되었는데, 집적정도는 염 처리에 의해 다소 증가하였으며, 특히 잎의 해면조직과 뿌리의 피층 부분에서 다량이 존재였다.
55.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귀리는 가축 기호성 및 사료가치가 높기 때문에 축산농가가 선호하며, 생육속도가 빨라 다른 작물과 연계한 작부 도입 용이한 장점이 있다. 국내에는 생태형 및 용도에 따라 하파, 추파용 및 쌀귀리 등 다양한 귀리품종이 개발되어 있으나 우수품종의 홍보 및 재배기술 개발 미흡으로 축산농가는 종자를 도입 품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도입 귀리 종자를 국내품종으로 대체하고, 조사료 연중 생산을 위해 작부체계상 적기에 적품종이 공급 재배되도록 국내 육성품종의 작기별 생육 반응 검토하였다. 시험재료는 하이스피드, 다크호스, 스완(하파용, 8월 중순 파종, 10월 중순 수확), 삼한, 동한, 조한(추파용)및 선양, 대양, 조양(쌀귀리)이었고, 이들을 3월 상순부터 11월 상순까지 한 달에 2회 총 16회를 파종하여 생육, 조사료 수량 및 사료가치를 평가하였다. 각 절기에 따른 귀리 생태형별 건물수량은 춘파에서는 하파>쌀귀리>추파용 귀리, 하파에서는 하파>쌀귀리>추파용 귀리, 추파에서는 추파>쌀귀리>하파용 귀리 순으로 높았고, 계절별로 조사료 생산성이 우수한 품종은 하이스피드, 조양, 다크호스(춘파), 하이스피드, 다크호스, 스완(하파), 삼한, 동한, 동한(추파)순이었다. 그리고 여름 재배(5월 하순 ~8월 초순 파종)에서는 하고와 습해 등 생육장해로 인해 모든 생태형에서 조사료 생산이 불가능하였다. 기타 이들의 출수반응과 사료가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56.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총체용 유연 보리의 종실 및 건물 수량에 대한 제초제 처리효과를 구명하고자 2007년 10월 10일 충남대학교 전작 포장에 줄뿌림하고2일 후에 제초제 유제를 1,000배액으로 희석하여 살포하였다. 1차 제초효과는 무처리에서 냉이의 경우 총 37개체, 마세트(유) 6.7, 알라(유) 5.3이었으나, 2차 조사시에는 무처리 28점, 마세트(유) 2.0개, 알라(유) 2, 3개로 1차시보다 전체적으로 개체수가 적게 나타났다. 이들 각각에 대한 생체중은 1차 조사시 무처리 17.9g, 마세트 3.9g, 알라 1.3g인 반면에 건물중은 무처리 3.23g, 마세트 0.71g, 알라 0.24g으로 이들 중 알라(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2차인 경우 무처리의 건물중은 10.8g, 마세트 2.3g, 알라 1.7g으로1차 조사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이외 밭뚝외풀 역시 같은 경향이었으나 둑세풀은 무처리를 제외한 처리구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 각 처리에 대한 작물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분얼수의 경우 1, 2차 모두 처리구에서 4.6개로 동일하였으나 무처리는 1차 보다 2차에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생체중 및 건물중은 1차보다 2차에서 크게 증가 하였다. 10a당 종실수량은 무처리보다 처리구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나 처리간에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57.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mount of salt to make seed sorting solution for rice of the specific gravity of 1.13 was reconsidered and determined as 3.8 kg salt in 18L water, which is lower amount than currently used. Various rice (Oryza sativa L.) cultivars were used to examine seed specific gravity effect on germination, seedling emergence, and early growth. Percent germination and seedling emergence were not different. Seedling emergence rate of Japonica varieties, Nampyungbyeo and Daerypbyeo-1 were 87% and 95% under specific gravity of 1.13, respectively. Seedling emergence rate of Tongil type variety, Dasanbyeo was as high as 67% in specific gravity of 1.06. Seedling emergence rate of waxy rice, Hwasunchalbyeo and Aranghangchalbyeo were examined. Seedling emergence rate was 94% in both cultivars in specific gravity of 1.04. Seedling emergence rate was same in specific gravity of 1.08 which is generally used for selecting seed currently. Early growth (plant height, leaf number, and dry weigh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specific gravity within species. In all cultivars except waxy rice, highest seedling emergence rate was observed in specific gravity of 1.13 which is currently used for selection and decreased as specific gravity is lowed. However, considering total amount of seeds in each group of specific gravity, amount of seed in lower specific gravity group is relatively small and total seedling emergence rate within variety dose not show big difference. As a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selecting seeds with water (larger than specific gravity of 1.00) instead of salt solution will not make large reduction in seedling emergence rate and have no effects in early growth.
58.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산화 효과가 있는 분말용 보릿잎의 생산에 적합한 재배법 연구와 이를 산업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새강보리 품종을 재료로 하여 N, P, K를 각각 표준시비의 0, 40, 60, 80, 100%로 처리의 변화를 주어 수량, 기본성분과 항산화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보릿잎의 생체중은 표준시비의 N은 80%, P는 100%, K는 60% 시비하였을 때 가장 많았다. 단백질, 수분, 회분의 경우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Chlorophyll과 Carotenoid의 경우에는 질소시비가 증가함에 따라서 그 함량도 같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SOD-liked activity는 표준시비의 N은 60%, P는40%, K는 100% 시비하였을 때 가장 높았고, DPPH (1, 1-diphenyl-2picrylhydrazyl) 의 경우, 표준시비의 N은60%, P는0%, K는 100%를 시비하였을 때 그 함량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항산화 효과의 경우에는 표준시비와 비교하였을 때, N과 P는 적게 시비하였을 때, K는 표준 시비하였을 때 항산화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9.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휴경 후 재경작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막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관리 방법은 휴경 답을 매년 경운 후 경관작물을 파종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관리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어 저비용과 생력적인 관리 방법을 찾고자 몇 가지 지피식물을 충북 제천과 청원 두 지역에 2005년 가을 벼를 수확한 후 지피식물(헤어리베치,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들묵새, 자운영) 4종을 무경운 산파하여 2007년까지 방임한 처리와 비교하여 본 결과 지피식물의 월동 생존율은 13~23%범위였으며, 자운영은 두 지역 모두 거의 생존개체가 없었다. 지피식물의 하고 전 토양표면 피복율은 파종 후1년차의 경우 청원, 제천 모두 들묵새가 79~89%범위로 최고를 나타냈으며, 파종 후 2년차는 자운영을 제외하고는 지피식물 간의 차이가 적어져 청원이 37~45%, 제천이 59~64%의 피복율을 보였다. 지피식물의 잡초발생 억제 효과는 하고 전에는 두 지역 모두 파종 후 1년차에는 들묵새, 파종 후 2년차는 이탈리안라이그라스에서 높은 억제 효과를 보였으나 파종 후 2년차의 효과는 비슷하거나 현저하게 떨어졌다. 하고 후의 잡초발생 억제효과 또한 들묵새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에서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나, 파종 후 2년차에는 그 효과가 현저히 떨어졌다.
60.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벼 등숙기간의 고온에 따른 쌀의 품질을 알아보고자 주남벼를 이용하여 등숙기 고온처리를 출수기~출수후10일, 출수기~출수후30일, 출수후10일~출수후20일, 출수후20일~출수후30일에 각각 온실에서 처리하였다.등숙초기의 고온처리에서는 천립중,등숙율, 이삭무게에 대해서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현미립의 두께와 품위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었다.등숙중기의 고온은 천립중,등숙율, 이삭무게, 현미립의 두께,품위 모든 부분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고,등숙후기의 고온은 현미품위에서만 차이가 있었고, 다른 부분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등숙 전기간의 고온에서 쌀 품질에 가장 영향을 미쳤고, 세부적으로는 등숙초기나 후기보다는 등숙중기의 고온에서 쌀 품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쳤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