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와 전각 예술은 중국 전통문화의 정수(精髓)로서, 독특한 동양적 미학과 철학적 사상을 담고 있다. 현대 디자인 맥락에서 이들의 선 리듬, 공간 구성 및 문화적 상징성은 그래픽 디자인에 풍부한 창의적 자원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서예와 전각 예술이 현대 디자인과 융합되는 과정을 분석하며, 그 미학 체계와 디자 인 변환 방법 및 혁신적 적용 방안을 탐구하였다. 서예와 전각의 미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현대 디자인에서의 변환 가치를 고찰한다. 이 과정에서 서예는 먹의 농담(濃淡), 리듬, 구조를 통해 디자인에 동적 시각 표현력을 부여하며, 전 각은 금석(金石)의 풍미, 인면(印面) 구성 및 허실(虛實) 대비를 통해 현대 디자인에 독특한 공간 미학을 도입한다. 이들의 결 합은 시각 언어의 표현 차원을 확장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의 문화적 깊이를 강화한다.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서예·전각 요소가 현대 브랜드 디자 인, 타이포그래피, 디지털 미디어 등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그 혁신 메커니즘을 규명한다. 예를 들어, 전각의 인장(印章) 형태 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에서 문화적 정체성을 강조하면서도 모던 미니멀리즘 디자인 트렌드와 조화를 이룬다. 서예의 필획(筆劃) 은 모션 타이포그래피(Motion Typography)에서 움직임의 서사 성(書寫性)을 강화하는 데 활용된다. 마지막으로, AI 생성 기술(Generative AI), 가상 현실(VR) 등 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서예와 전각 예술이 인터랙티브 디자인 (interactive design), 메타버스(metaverse) 공간 등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갈 것으로 전망한다. 디자이너는 이러한 기회를 활 용하여 동양 미학의 현대적 해석을 추구하며, 더욱 풍부한 창조 적 영역을 개척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몰입 간의 관계에서 2차 문화활동과 생 활스트레스가 어떠한 간접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규명하고, 생활스트레스가 이러한 매 개 경로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탐색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이 생활몰입으로 이어지는 심리·행동적 메커니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안녕과 삶 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활동 기반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 차문화활동의 교육적·사회 적 활용 가능성을 학문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이를 위해 전국에 거 주하는 40~60세 중년 성인 1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 정 도구로는 자기효능감 척도, 생활몰입 척도, 2차 문화활동 참여도, 생활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8 버전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매개·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 은 생활몰입에 직접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동시에 2차 문화활동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둘째, 생활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과 생활몰 입 간의 간접경로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어,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매개효과 의 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생활스트레스 수준이 낮을수록 2차 문화활동을 통한 몰입 향상 효과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 해 중년기 성인의 생활몰입 증진을 위해 심리적 자원인 자기효능감의 강화와 더불 어, 문화활동 참여 촉진 및 생활스트레스 완화가 병행되어야 하며, 중년기 성인의 생활스트레스로 인한 스트레스와 정신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현재에 집중하고 감 정을 다스리는 프로그램을 통해 일상 생활 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에 도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view assessed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chemical sterilization methods as alternatives to conventional physical sterilization methods, with a specific focus on mushroom substrate preparation. Physical sterilization methods, such as autoclaving, provides excellent sterilization efficacy, but are resource-intensive and costly, limiting accessibility for small-scale mushroom growers. This review systematically examined recent research on chemical sterilization agents, notably hydrogen peroxide (H2O2) and chlorine dioxide (ClO2), focusing on sterilization efficacy, biological efficiency (BE), residual toxicity,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Life Cycle Sustainability, LCS). The results indicated that H2O2 and ClO2, at relatively low concentrations, achieved significant microbial reduction while maintaining mycelial growth and yields comparable to those obtained with physical sterilization. However,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address the issues related to species-specific sensitivity and chemical residue safety. The development of biodegradable natural sterilizing agents and establishment of practical field guidelines are recommended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chemical sterilization methods in mushroom farming.
이 연구는 농촌돌봄농장을 대상으로 SWOT-AHP 을 분석하여 발전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농촌돌봄농장이 수행하는 사회적농업은 운영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전북의 17개 농 장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고 이중 14개 농장의 설문내용을 중심으로 발전전략을 도출하였다. 조사 농장의 일반적 특성은 남성이 64.3%, 연령은 50세 이상이 64.3%, 운영기간은 4년 이상이 71.4%로 나타났다. 우선 농촌돌봄농장의 SWOT 분석은 사례지역과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하였고 이를 기초 로 계층화 분석을 통해 SO 전략, WO 전략, ST 전략, WT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 초로 한 주요 시사점은 농촌돌봄농장의 사회적 및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객관적 가치를 마련하고 이해관계자의 협력적 네크워크 구축, 취약계층의 사회통합 촉진, 기존 복지체계와의 연계성 확보가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해 향후 농촌돌봄농장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mpares four major Korean hate speech corpora to analyze differences in target group categorization and the impact of construction method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rtions of key target groups— gender, origin, physical traits, and ideology—vary greatly depending on how the corpus was compiled. In particular, keyword-based data sets revealed a notably higher focus on gender, with the influence of data collectors’ subjectivity and contemporary social issues clearly reflected.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intersectionality and exclusivity of hate speech, we identified complex interconnections among target groups and challenges in classification arising from contextual usage. The study recommends the development of theme-specific and context-aware corpora to accurately capture these features.
예이츠는 헤르네의 알에 인간의 삶과 죽음의 과정에서 성취되는 수숩 티와 투리야 상태뿐만 아니라 신과 합일 과정을 인도 사상으로 재현했다. 이 극작품은 아일랜드 역사와 신화를 바탕에 두고 인도 사상을 상징과 비유로 중첩시켜서 노래한 희비극 작품이었다. 관객들은 이 작품에서 초현실적 분위기, 장난감 당나귀, 역동적인 노래와 춤, 냉소적인 유머 등의 사용을 보면서 인간의 정신이 수숩티 상태를 거쳐 투 리야 상태에서 신과 완전하게 합일되는 과정을 깊이 숙고하게 했다. 코노트 왕 콩갈의 삶과 환상, 헤르네의 여사제 어트랙타의 신인 합일 과정은 현대인들에게 물질문명보다 정신문명의 중요성을 각성시키는 동기를 부여했다. 그래서 예이츠의 헤르네의 알은 관객들이 인간의 삶과 죽음을 깊이 성찰하고 자신의 삶을 한번 되돌아볼 수 있는 시 간을 갖게 한다.
본 연구는 지역 고용 회복력에 대한 이론적 개념과 정책 적용 가능성 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회복력 개념의 유형과 진화를 정 리하고, 고용 수준의 회복 속도뿐 아니라 구조적 전환과 경로 변화까지 포착할 수 있는 측정 방식(민감도 분석, 국가벤치마크 비교, 동태적 변이 할당 분석)을 비교·정리하였다. 특히 산업 구조의 다각화, 정책 개입의 시의성, 지역 주체의 제도적 역량을 핵심 요인으로 포함하는 다층적 분 석 틀을 제시하였다. 이 틀을 바탕으로, 유럽연합(EU)의 Cohesion 정책 사례를 분석하여 회복력 중심 정책 설계의 세 가지 원칙-① 사전 예방적 대응, ②다층적 거버넌스, ③ 장기 전략 수립-을 도출하고, 이를 한국의 고용위기지역 정책과 비교하여 제도적 한계와 개선 방향을 진단하였다. 특히, 한국 정책의 중앙집중성과 단기 대응 구조가 지역의 회복 역량 형 성에 제약이 됨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지역 단위 전략 수립, 과정성과 구조적 조건을 반영한 복합 지표 체계, 산업전환을 위한 지역 경로 개척 전략의 실증 적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최근 반도체 산업은 디지털 전환과 지속가능한 발전 측면에서 글로벌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디지털 동적 역량’과 ‘기업 성과’ 간의 관계에서 ‘양손잡이 경영(탐 색과 활용)’의 매개효과를 포함하여 고찰하고자 했다. 또한, ‘환경의식’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조절 효과도 포함하여, 연구 모델을 구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 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된 설문 자료를 기반으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기본적으로 디지털 감지(sensing), 포착 (seizing), 전환(transforming)이라는 ‘디지털 동적 역량’이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 으며, 그 사이의 ‘탐색’과 ‘활용’이라는 ‘양손잡이 경영’이 갖는 매개효과도 검증하였다. 또한, 한국과 대만의 제도 적․문화적 기반이 다른 상황에 있어서, ‘환경의식’과 ‘CSR’의 (국가․제도․문화적 맥락에 따른) 조절효과도 고 찰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디지털 감지, 포착, 전환으로 구성된 디지털 동적 역량은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 모두 유의한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탐색과 활용으로 구성된 ‘양손잡이 경영’은 디지털 동적 역량과 기업 성과 사이에서, 긍정적인 ‘부분 매개(partial mediation) 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양손잡이 경영의 전략적 중요성을 시사한다. 셋째, CSR과 환경의식은 성과 유형 및 국가에 따라 조절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는 Hofstede (1984)가 제시한 문화적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한국은 사회적 신뢰와 이미지 중심의 지속가능 한 전략을, 대만은 효율성과 성과 중심의 전략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추진함에 있어 탐색과 활용의 균형을 갖춘 양손잡이 역량을 강화하고, 국가별 제도 및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CSR 및 지속가능성 전략을 수립할 때, 디지털 역량의 성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등 다양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대산재 및 남양재 원목을 표층재로하고, 금속, 유리섬유, 탄소섬유로 보강한 코르크 보드를 중층에 배열한 코르크 복합 원목마루판 의 치수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표층재에 따른 코르크 복합 원목마루판의 평균 흡수율은 백합나무(Tu)가 6.1%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티크와 멀바우가 4.7%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밀도가 낮은 온대산재를 배열한 원목마루판보다 남양재에서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중층보강재는 CM (cork board-metal) 타입이 CG (cork board-glass fiber) 및 CC (cork board-carbon fiber)타입에 비하여 높은 흡수율을 나타내어 밀도에 따른 흡수량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표층 수종에 따른 흡수두께팽창률은 백합나무가 7.2%로 가장 높은 값을, 티크(T)가 3.9%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금속 보강 원목마루판(CM)의 흡수두께팽창률은 유리섬유(CG)와 탄소섬유(CC)에 비하여 금속이 2–3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금속 보강 원목마루판을 제외한 모든 원목마루판은 목질 마루판에 관한 KS 규격 기준을 충족하는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조선업 중심 산업도시 거제시의 위기 대응 거버넌스를 분석하며, 형식적 제도의 이면에 존재하는 이해관계자 배제의 구조적 문제와 불공정한 위 험 전가가 어떻게 지역의 회복과 전환을 가로막았는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 다. Morrison(2014)의 지표를 활용하여, 대기업 중심의 종속적 산업구조와 하청 으로 위험이 전가되는 이중적 고용구조 속에서 정책들이 어떻게 파편화되고 시 너지를 잃었는지 진단했다. 분석 결과, 공식적인 협의체는 핵심 이해관계자를 배 제한 채 형식적으로만 운영되었고, 정책 수단들은 현장의 불공정한 고용구조를 외면한 채 단기 처방에 머물렀다. 이에 본 연구는 효과적인 산업 전환을 위해서 는 분절된 정책의 양적 투입을 넘어, 노동 현장의 구조적 불공정을 해결하고 모 든 주체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통합적 거버넌스의 제도화가 구조적 전환을 위한 핵심 조건임을 실증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병-19(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는 위장관 침범을 통해 급성 췌장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바이러스의 췌장 직접 침투 및 사이토카인 폭풍에 의한 간접 손상이 주요 기전으로 제시되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COVID-19 관련 췌장염은 중증도와 사망률이 더 높고 다른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러나 아직 병태생리와 인과 관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며 향후에 COVID-19와 췌장염의 인과 관계 및 그 임상 양상을 밝히기 위해서는 다른 질환을 최대한 많이 배제하려고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12주간의 맨손 근력운동 수행이 복부비만 여성노인의 혈청지질, 인슐린 및 C-peptide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운동군(EG, n=13), 대조군(CG, n=13)으로 구분하여 실시하 였다. 맨손근력운동 강도는 주관적 운동 자각도(rating of perceived exertion; RPE)를 사용하였으며, 1-4 주, RPE 12-13, 5-8주, RPE 13-14, 9-12주, RPE 14-15로 설정하여 주 3회, 1회 운동시간 60분 실시하 였다. 자료처리는 측정항목에 대한 평균값(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그룹 및 시기 간 상호작용 효 과검증은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를 실시하였다. 상호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그 룹 내 시기 간 차이 검증은 paired t-test를 실시하였고, 그룹 간 차이 검증은 independent t-test, 각 항목 별 통계적 유의수준은 통계 방식에 따라 .05와 .025로 각각 달리 설정하였다. 그 결과, TG(p<.01) 및 HDL-C(p<.05)에서 상호작용 효과, 인슐린(p<.05) 및 C-peptide(p<.01)는 시기 간 주효과가 나타났다. 이 상의 결과, 12주간의 운동이 혈청지질 중 TG, HDL-C를 개선이 나타났고, 이는 혈관 및 대사 기능의 측 면에서 매우 중요한 결과라 생각된다. 하지만, 인슐린과 C-peptide에서는 운동군보다 대조군이 더 많이 증 가하여, 맨손근력운동에 대한 긍정적인 개선은 기대하기 힘들었다. 이는 복부비만 여성노인의 나이가 고령 임을 감안하였을 때, 비교적 짧은 저항운동 기간으로는 인슐린과 C-peptide의 변화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점을 시사한다. 하지만, 맨손근력운동은 노인이 부상의 위험없이 실시할 수 있으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다 양한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자연재난 생존자의 심리적 회복과 관련된 개인적, 사회적, 제도·환경적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 해 2019년 태풍 ‘미탁’ 당시 심리적 고통을 경험했다고 보고한 280명의 재난피해자들을 대상으로, 재난 발생 3년 후 2022년 8월 8일부터 10월 7일까지 약 2개월간 이들의 심리적 회복 상태를 추적 조사하였다. 로지 스틱 회귀분석 결과, 회복탄력성과 일과 사회적 적응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회복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상 노출, 사회적지지, 공동체 회복력은 회복 여부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못 했다. 제도적·환경적 요인 중에서 정부지원금에 대한 만족도와 재난 대응 만족도는 회복 가능성을 높이는 반면, 부채 증가와 지역 안전에 대한 과 도한 낙관적 인식은 회복 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 안전에 대한 과도한 낙관적인 인식은 인지적 방어 기제의 작동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난 이후의 심리적 회복을 촉진하기 위해 서는 경제적 안정성 확보, 제도에 대한 신뢰 구축, 그리고 개인 내 심리 적 자원의 강화가 핵심 전략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현대 사회에서 건강기능식품은 건강 유지와 증진을 위 한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한국의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과 함 께 부작용 사례도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들에게 잠재적 건 강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 권을 포함한 5개 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69세 이하의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대 한 인식과 구매 및 섭취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데이터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주요 결과로는 응답자의 68.9%가 면역 기능 강화를 위해 건강기능식품 을 섭취하고 있었다. 또한, 소비자들은 주로 온라인 채널 을 통해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정보 습득 경로로는 가족 및 친구, TV 프로그램, SNS 등이 주 요했다. 그러나, 응답자 중 21.2%가 부작용을 경험하였으 며, 이는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나타낸다 . 이번 연구에서는 소비자 교육과 정보 제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건강기능식품의 올바른 선택과 섭취를 위한 체 계적인 교육과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이러 한 노력은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 하고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AlN thin film is highly valued for use as a high-temperature material because of its excellent heat resistance,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mechanical strength. In addition, it is known as a replacement material for ZnO, because it can be applied to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high-frequency filters using piezoelectric properties or sound velocity. In this study, an alternating sputtering method was used to fabricate an AlN thin film with excellent film quality. The c-axis orientation and residual stress of the fabricated AlN thin film were measured using an X-ray diffraction method. Nitrogen gas pressure and target electrode conversion time are important deposition conditions when producing a thin film using the alternating sputtering method. The AlN thin film fabricated on the glass substrate using the alternating planar magnetron sputtering method exhibited a crystal structure in which the c-axis was preferentially oriented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surface. The c-axis orientation was better when the target electrode switching time was short under the condition of low nitrogen gas pressure. Residual stress is tensile stress in the very low nitrogen gas pressure range (PN ≤ 0.3 Pa), compressive stress in the low nitrogen gas pressure range (0.3 < PN < 0.9 Pa), and in the high nitrogen gas pressure range (PN ≥ 0.9 Pa), it becomes tensile stress. Residual stress shows tensile stress when the switching time is short, tensile stress decreases as the switching time increases, and becomes compressive stress when the switching time is sufficiently long (300 to 600 s). Compared to the simultaneous sputtering of two targets, the use of the alternating sputtering method can produce a high-quality thin film with excellent c-axis orientation and low residual stres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key operational factors on traffic performance in long underground expressways.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increasing policy interest in underground expressway infrastructure as a solution to chronic surface-level congestion in dense urban regions. A scenario-based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was conducted using VISSIM considering combinations of traffic volume, proportion of heavy vehicles, and longitudinal slopes. A total of 72 scenarios were simulated, and the weighted average speed and total throughput were analyz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entry traffic volume and longitudinal gradient significantly affected the average speed, particularly in uphill exit segments. The heavy vehicle ratio also contributed to consistent reductions in speed. However, the overall throughput remained relatively stable despite variations in heavy vehicle proportions, suggesting that speed is more sensitive to flow composition than to volume capacity. Although interaction effects were not statistically tested, the combined scenario trends suggested that steeper slopes and high heavy-vehicle ratios jointly intensify speed reduction. These findings support the early-stage design and traffic planning of underground expressway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bacterial brown blotch in Agaricus bisporus by analyzing environmental factors using sensors and growth factor characteristics. We found no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CO2 concentration and bacterial brown blotch among the evaluated cultivation environmental factors. However, maintaining the CO2 concentration at 500–2,000 ppm during the harvest period increased the hardness of the mushrooms. Ventilation for 40 min at dawn every day during this period helped prevent the development of bacterial brown blotch by reducing water condensation inside the grower. The incidence of browning disease was reduced to 1% when the medium layer humidity index was decreased to approximately 10 at harvest time and the leaf sensor moisture index was maintained at 430–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