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강우의 ground-truth를 위해 가능한 3가지 비교방법, 즉 3가지 ground-truth설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론적인 결과는 먼저, WGR강우모형으로 모의된 3차원 강우장에 적용하여 검토하였으며, 아울러 실측자료인 관악산 레이더 자료 및 레이더 관측영역 내 건설교통부 관할 지상관측소 강우 자료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전체적인 적용결과는 이론적인 분석내용 및 모의 강우를 이용하여 수행한 내용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결
Transient expression profiles for several chimeric β-glucuronidase (GUS) gene constructs were determined in microspore-derived embryos of wheat following microprojectile bombardment. The constructs analyzed consisted of the uidA (GUS) reporter gene driven by six different promoters [Cauliflower Mosaic Virus 35S (CaMV35S), Nopaline synthase (NOS), Mannopine synthase (MAS), Chlorella Mosaic Virus Adenin methyltransferase (AMT), maize Ubiquitin 1 (UBI1), and enhanced 35S (E35S)]. The total numbers of GUS blue spot were determined manually under a dissecting microscope after histochemical staining for GUS. Results suggest that the E35S promoter is the most active and UBI1 promoter is the second active in embryos or embryogenic calli derived from wheat microspore. In addition, by flurometric assay on GUS, the E35S promoter was the best. Therefore, both UBI1 and E35S promoter are suitable for constitutive expression of the gene of interest in microspore-derived embryos of wheat. This information describing promoter functionality in wheat will be important when designing gene constructs for traits modification and when choosing appropriate cultivars for improvement through gene transfer experiments.
생쥐의 난자는 특별한 첨가물이나 난구세포 없이 체외 배양해도 성숙율이 높은 반면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매우 낮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차이의 원인을 연구하기 위하여 생쥐와 돼지 난자의 에너지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malate dehydrogenase(Mor2)의 기능을 RNAi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생쥐와 돼지 각각의 Mor2 double-stranded RNA(dsRNA)를 제작하고, 생쥐는 난구세포를 제거한 미성숙(GV) 난자의 세포질에
유아평가란 교육과정 운영계획에 따라 교육 활동을 전개하면서 교육활동 전, 교육활동 과정 중, 그리고 교육활동 후에 나타나는 유아들의 발달 상황에 대한 이해를 말한다. 유아평가는 유아의 건강, 기본생활습관, 정서적 안정감, 사회적 적응, 창의적 표현, 의사소통능력 및 탐구심 등에 중점을 두고 유아 개개인의 발달에서 진보된 부분과 지연된 부분의 발견에 초점을 두도록 해야 한다. 또한 평가는 유아의 개인적 발달 수준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학급에 속한 모든 유아의 발달 수준의 범위를 발견하기 위해서 그리고 학습의 효과 및 발달적 변화를 비교하고 다음 단계의 학습에 대한 준비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교육부, 1995).
결국 유아평가의 목적은 각 개별 유아를 더 잘 이해하는데 있으며,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에게 긍정적 도움을 주어 유아의 발달을 돕는데 있다 하겠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유아평가는 주로 검사의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따라서 평가방식도 주로 표준화된 도구를 이용한 측정방식을 따랐다. 이러한 경향에 대해 많은 유아교육자들이 비판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준화 검사에서 제시하는 검사문항은 대부분 아동에게 기계적 암기만을 강조한다는 점, 검사가 유아의 능력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 그리고 검사문항이 유아의 실제생활과 관련이 없다는 점 등을 지적하고 있으며, 아동의 상위사고기술(higher-order thinking skill)을 측정하지 못한다는 점도 약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더구나 표준화 검사는 학습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이 영향은 계속 누적된다. Paris, Lawton, Turner & Roth(1991)연구에 의하면 학습자가 검사를 받으려는 동기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 결과는 학습자가 검사 경험이 증가될수록 검사를 싫어하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학습자는 표준화 성취검사에 대해서 불쾌하게 생각하거나 불안해하며 검사결과 자체를 인정하려 하지도 않는다. 더구나 낮은 점수를 받은 학습자는 다음 검사나 시험에 성공하려는 노력을 포기하는 방법으로 검사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자아 존중감을 지키려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표준화 검사와 같은 검사에 대한 의존은 검사의 내용에 따라 교육과정의 내용이 결정되는 폐해를 가져왔다.
이러한 검사주도의 교육과정은 교육의 질을 떨어뜨리고 학습의 기회를 제한한다(Shepard, 1991). NAEYC(1988)에서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유아들은 검사지 문항에 대해 한 가지 옳은 답만을 찾도록 배웠고, 생각하도록 격려되지는 못했다"라고 개탄했다.
이러한 전통적인 검사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좀 더 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 이해를 교수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유아평가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 성과의 하나가 포트폴리오 평가이다. 학자에 따라서는 이를 참 평가(authenticassesment), 대안평가(auternativessessment),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등으로 부른다. 포트폴리오나 수행 평가방법은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결과물이다. 포트폴리오 평가란 유아가 하고 있는 작업 활동과 그 활동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관찰하고, 기록하고, 진술하는 과정이며 이것은 유아에게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교육적 결정을 하게 될 때 기초가 될 수 있다(NAEYC & NAECS/SDE, 1991, p21).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말단기에 이중결합 생성이나 고리열림반응 없이 저분자 히알루론산(oligo HA)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oligo HA의 화장품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 및 그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fibroblast, keratinocyte 및 SIRC cell을 이용하여 독성을 평가하였고, Caco-2 cell과 인공피부를 이용하여 피부 투과도를 평가하였다. Oligo HA는 fibroblast와 keratinocyte cell에서 각각 300 g/mL 및 1,000 g/mL까지의 농도에서 독성이 없었으며 in vitro ocular test에서도 2,000 g/mL의 높은 농도에서까지 자극에 의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Caco-2 cell을 이용한 세포 투과실험에서는 HA는 거의 투과되지 않는 것에 비해 oligo HA은 16.0 %까지 투과되었고, 인공피부를 이용한 세포투과 실험에서도 약 90 %의 상당히 높은 투과도를 보였다. 사람 피부에서 보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oligo HA를 함유한 제형을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 수분량과 경피수분 손실량을 측정한 결과 HA와 비슷하게 우수한 보습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체 피부 누적 첩포 실험 결과, 특별한 피부 자극이 확인되지 않았다. Oligo HA는 HA의 우수한 보습력을 유지하면서 높은 피부 투과도를 갖는 보습소재로써 화장품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자연 계절의 분포와 변화 경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975~2004년의 기간에 대해 국내 68개의 기상청 지상 관측소의 일 평균 기온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체로 남부 지방으로 갈수록 봄ㆍ가을ㆍ여름 기간은 길어지고, 겨울의 기간은 짧아지나 지리적 특성에 따라 지역적으로 비교적 큰 차이를 보인다. 내륙과 해안을 비교했을 때 해안에 비해 내륙은 겨울의 지속 기간이 길다. 산간 지방의 경우에는 해발고도의 영향으로 여름 기간이 짧고 겨울 기간이 더 길다. 계절의 시기는 대체적으로 여름의 시작은 일러지고 끝은 늦어지며, 그 결과로 전반적으로 여름 기간이 증가하는 경향이다. 겨울은 시작이 늦어지며 끝이 급격히 일러져 겨울 기간이 감소하는 경향이다.
RPG게임에서의 캐릭터와 몬스터간의 전투는 RPG게임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게임플레이 과정이며 게이머가 느끼는 재미부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다. MMORPG로의 발전은 기존의 RPG가 가지고 있었던 반복성을 탈피하여 지속적인 확장성과 게임플레이의 다변화를 통해서 게이머에게 다양한 재미를 제공하고 있으나 여전히 기본적인 캐릭터와 몬스터간의 전투를 통한 게임플레이 과정은 변함이 없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구현 이전의 게임기획 초기단계에서 캐릭터와 몬스터간의 능력치 설정과 전투에 필요한 각종 공식을 대입해서 전투과정을 미리 테스트 해봄으로서 전투결과 및 전투에 소요되는 시간을 도출하는 시뮬레이터를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몬스터의 설정과 그에 따른 맵의 몬스터 구성을 통해 기획자가 의도하는 최적의 전투 플레이시간을 구성하는 테스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나 도시유역에서와 같은 소유역의 배수시스템에서 적정량의 설계 규모를 결정하기 위해 지속시간 10분 이하의 강우강도-지속시간-재현기간 관계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모포마 분포에 근거한 것이며, 그 적용성을 서울지점 자료에 대한 적용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1분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빈도해석을 수행한 결과 기존 건설교통부 (2000)에 의해 제
천연 약재식물인 옻나무 수피와 그 발효 옻나무 수피의 휘발성 유기성분을 SDE방법으로 추출하고 GC/MS로 분석하여 각각 51종, 27종의 휘발성 유기성분을 확인하였다. 옻나무 수피의 주요 휘발성 유기성 분으로는 2-methyl-3-buten-2-ol, 3-methylbutanal, 1-octen-3-ol, 3-methyl-2-butanone, pentanal, hexanal, ethyl lactate, ethanol 등이 주요 성분으로 전체 성
본 연구는 한방화장품의 원료로써 사용이 되는 약용식물들의 부위별 및 추출용매에 따른 추출물의 효능의 차이를 기술하였다. 기존의 단일성분 분석법보다 실제로 성분의 복합체인 추출물에 대하여 항산화와 UV흡수 관련 효능효과 시험법을 적용하였다. 약효를 가지는 약용식물들을 추출할 때 고려해야 할 조건이 있다. 같은 약용식물이라도 채취시기, 채취장소, 채취부위와 같은 채취조건들과 용매의 종류, 추출시간, 추출온도와 같은 추출조건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조건 중에서 추출용매와 채집부위는 효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약용식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여러 가지의 채취조건과 추출조건을 연구하여 한방원료의 개발에 있어 좀더 다양한 적용이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용과 식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식물(Terminalia chebula, Syzygium aromaticum, Paeonia lactiflora, Morus alba, Scutellaria baicalensis)을 선정하여 추출용매와 채집부위를 변경시킴으로써 용매와 부위에 따른 효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로 추출시 적당한 조건을 선택한다면 사용되는 약용식물의 양을 줄이거나 좀더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실내 사육수조에서 자연산란 후 수정된 난을 대상으로 수온에 따른 난 발생속도와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부화에 이르기까지 각 수온조건에서 소요된 시간은 에서 상실기 이후 발생이 진행되지 않았고, 18, 21, 24, 에서 각각 70시간 30분, 44시간 10분, 29시간 10분 그리고 24시간 30분이 소요되었다. 부화율은 에서 0%였고, 18, 21, 24 그리고 에서 각각 , , 그리고 로 뚜렷한 차이 없이 에서 다소 높았고 21와 에서 비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