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verruculosum의 xylanase는 iodine, NBS, DEP, 그리고 2, 3-butanedione에 의해 실활되는 것으로 보아 활성중심에 tyrosine, histidine, tryptophan 및 arginine 잔기가 존재함으로서 효소활성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금속이온들 중 Hg^2+와 Mn^2+에 의해서 현저히 활성이 저해되었으나 Cu^2+에 의해서는 반대로 활성이 크게 증가되었으며 Hg^2+에 의한 활성의 저해효과는 β-mercaptoethanol의 첨가에 의해 보호되었다. P. verruculosum으로부터 분리한 β-xylosidase는 NBS와 SDS에 의해 효소활성이 크게 저해되는 반면 실험에 사용된 다른 수식제들에 의해서는 별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금속이온들 중 Hg^2+에 의해서 크게 활성이 저해됨으로써 효소활성에 tryptophan잔기가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탁, 약주의 양조에 사용되고 있는 국균인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i로 쌀 koji를 제조할 때에 유기산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본 균의 발아최적온도는 36℃이었고, 이 때의 발아소요시간은 8시간이었다. 증미의 수분함량이 40% 이상일 때는 발아가 잘 이루어졌으나 35% 이하일 때에는 발아지연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유기산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온도는 32 이었고, 36℃ 및 40℃에서는 유기산 생산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배양개시 후 20∼25시간까지 36℃로 배양을 하고 그 이후에 32℃로 배양을 했을 때는 유기산의 생산량도 높고 당화효소의 생산량도 높았다. 증미의 수분함량이 40%일 때 유기산 생산량이 가장 높았고, 30%이하일 때는 유기산 생산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국균 포자의 접종량이 적을 때에는 배양초기의 유기산 생산량이 낮았으나 배양말기에는 차이가 없었다. Koji의 두께가 두꺼울 때는 유기산의 생산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A site 복합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인 (Na1/2 La1/2)TiO3 세라믹스의 고주파 유전특성을 조사하였다. 1000˚C에서 4시간 하소하고 1350˚ ~ 1450˚C에서 소결했을 때 치밀한 소결체가 되었다. NLT의 겉보기 밀도는 4.95g/cm3, 상대밀도는 96.4%였으며, 격자상수(a)가 3.873Å인 단순 입방정 구조였다. NLT의 유전율은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품진계수 Q는 평균 결정립 크기가 커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1400˚C에서 4시간 소결한 NLT는 εr=125, Q=2842(fo=3 GHz), τf=465의 유전특성을 나타내었다.
Wilbrink 본뜨기에서 모우드 라킹 현상과 소모적 궤적의 두 경우에 대한 일반화차원 D 하(n)을 수치 해석적으로 계산하였다. 투닝변수 z=0.03, 소모변수 b=0.9, k 하(d)=0.272313668의 값으로 주어진 소모적 Wilbrink 본뜨기에서 모우드 라킹현상의 경우에는 n~20일 때 D 하(-20) =0.924202의 값을 갖으며, 소모적궤적에서는 D 하(-20) =0.63292와 D 하(+20) =1.89877의 값으로 주어진다. 이때의 값들은 n→∞감에 따라 Circle 본뜨기의 D 하(±∞) 값들과 근사적으로 일치한다.
전북의 일부 도시지역 고등학교 기숙사에 기거하는 남·녀 학생 80명을 대상으로 1990년 8월중에 이들의 영양섭취 실태를 3일간 조사하였다. 에너지 섭취량은 1일 평균 남학생의 경우 2, 246.9㎉ 여학생의 경우1, 584.9㎉로 권장량에 크게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 점심, 저녁의 에너지 섭취량은 남학생이 각각 553.5㎉, 683.4㎉, 1, 023.0㎉이었고 여학생이 372.9㎉, 391.8㎉, 820.2㎉로 모두 저녁식사량이 많은 것으로 타나났다 단백질 섭취량은 남학생이 1일 평균 95.3g, 여학생이 62.9g이었고 탄수화물 섭취량은 남학생 368.1g 여학생 259.6g 이었다. 지방 섭취량은 남학생 45.6g, 여학생 32.8g이었다. 총열량 섭취 구성 비율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남학생의 경우에 각각 65.0, 16.8, 18.2%이었고 여학생이 65.5, 15.9, 18.6% 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substrate removal characteristics with the variation of the hydraulic retention time in an anaerobic filter. The feed concentration of synthetic wastewater used in the experiment was $10,000mg/l$ glucose. As media, the porosity of volcanic stones in Jeju island were 76%. The conditions of the experiment were as follows; HRT ranging from 1 day to 3 day, loading rates ranging from 3.33kg $COD_{er}/void\;m^3.day$ to 10kg $COD_{er}/void\;m^3.day$ and a temperature $35^{\circ}C$.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COD removal efficiency was 98~99% in $COD_{er}$ method with loading rates ranging from 3.33kgCOD/void $m^3.day$ to 10kg COD/void $m^3.day$ and HRT ranging from 1day to 3 day. The produced quantity of gas equivalant to a porosity volume was $1.332~3.756Nm^3/void\;m^3.day$. The relationship between $COD_{er}$ loading rates and gas produced quantity equivalant to a porosity volume was well fitted with the equation of $Nm^3/void\;m^3.day{\cdot}=0.359L_0+0.179$($L_0=COD$ loading rate). Judging from the removal efficiency in this experiment, We concluded that anaerobic filter using Volcanic stones is one of improved and effective. As media, practical value of volcanic stones is sufficient.
Li의 양과 Al의 양을 달리한 α(HCP) 단상 및 α(HCP)+β (BCC) 2상 조직인 Mg-Li-Al합금을 시료로 하여 이 합금의 가공성과 시효경화륵성을 조사한 결과 α단상보다는 α+β 2상 조이,α+β 2상조직에서는 Al양이 많을수록 가궁성이 증가하였으며 Mg-8.08Li-4.26Al의 경우 가공한계값은 62%였다. 이와같이 가공성이 증가한 이유는 basal plane뿐만 아니라 pyramidal plane과 prism plane에서도 슬립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α단상의 경우 MgLi2 Al(θ)의 석출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α+β 2상 조직의 곁우 β상 내에서 θ의 석출에 의한 피크경도같이 나타났으며, 2상 조직의 경우 경도값은 Al양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Al양의 증가에 따른 Al Partition에 의한α 상의 강화와 β상에서의 석출물 증가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1978년 2월에 소곡주의 시험양조를 행하고 발효과정중의 성분변화와 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밑술의 발효에서 3일만에 젖산균의 최우세미생물이 되고 술덧의 pH는 4.2로 낮아졌다. 그러나 7일에 가서는 최우세미생물이 젖산균에서 효모로 바뀌고, pH는 3.6이 되었으며, 술덧의 당화효소 활성도는 초기의 10에서 3.6으로 줄어들었다. 덧술의 발효과정중 pH와 산도는 큰 변화없이 pH 3.5∼3.7 및 산도 8.0∼8.8을 유지하였다. 20일까지는 에탄올 발효가 왕성하게 진행되었으나 40일 이후에서는 에탄올 18.5%에서 발효가 정지상태를 맞이하면서 발효하지 못한 환원당을 술덧에 남기기 시작했다. 술덧의 당화효소 활성도는 발효말기까지 지속되긴 했지만 너무 미약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60일간 발효기켜 여과한 소곡주 최종제품은 에탄올 18.8%, 환원당 5.0%, 총산 0.44%, 휘발산 0.057%, 아미노산 0.206% 및 extract 7.3%를 함유하였다. 관능 검사에서 소곡주는 시판되는 법주나 청주와 비슷한 수준의 좋은 평가를 받았다. 색은 담황색이고, 누룩의 맛과 냄새가 부드럽게 느껴지며, 신맛이 약간 강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낮은 음의 온도계수를 갖는 저온 소결 유전체에 대해 연구하였다. 새로 개발된 재료의 조성은 TiO2(100-X) CuOx(X=1~5wt%)에 미량의 MnO2를 첨가 하였다. CuO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저온 (900˚C) 에서 소결이 진행되지 않았다. CuO 함량이 증가할수록 저온에서 소결이 가능하였으나, 유전율이 낮아지고 유전손실은 증가 하였다. MnO2를 0.6wt% 첨가한 경우 유전율과 Q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performed to develop an automatic irrigation control of system for effective water management in greenhouse. The automatic irrigation control system is composed of an IR-RED optical sensor in tensiometer and an One-chip micro controller.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 1. A practical IR-RED optical sensor in tensiometer, which shows the starting point of irrigation, was developed. 2. The automatic irrigation system with the optical sensor and One-chip micro controller was developed and also designed to be able to combine with the control system for temperature, curtain opening, etc. 3. A multiple irrigation control system for several greenhouses were suggested. 4. The results of the system test with the driving program for automatic water management were excell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