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재배 농업인들에게 기술지원을 하고, 소비자들에게 우리 쌀의 안전성을 널리 알리고자, 2005년-2006년 “탑라이스” 생산단지 및 인근 관행재배 지역에서 토양, 볏짚, 왕겨, 쌀겨, 현미, 및 백미 시료를 채취하여 미국 EPA 7473 규격을 만족시키는 자동수은분석기(DMA8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우리나라 논 토양의 수은함량은 평균 0.031 mg/kg로 토양환경보전법상 우려기준(4 mg/kg)과 대책기준(10 mg/kg) 대비 1/25-1/65 이하로 매우 안전한 수준이었고, 탑라이스를 포함한 우리 쌀 중 수은잔류량은 평균 0.0018 mg/kg로, 중국의 잔류허용기준(MRL) 0.02 mg/kg 및 대만의 잔류 허용기준(MRL) 0.05 mg/kg과 비교할 때 1/10-1/30 이하의 수준으로 수은에 의한 우리 쌀에 대한 안전성 우려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탑라이스 생산단지 토양의 수은함량은 평균 0.02788 mg/kg, 볏짚 0.00896 mg/kg, 정조 0.00182 mg/kg, 왕겨 0.00189 mg/kg, 현미 0.00166 mg/kg, 쌀겨 0.00452 mg/kg, 그리고 백미 0.00145 mg/kg 수준이었다. 토양 중 수은농도 대비 비율로 계산해 보면 볏짚 0.321 >> 쌀겨 0.162 >> 왕겨 0.068 ≥ 정조 0.065 > 현미 0.060 > 백미 0.052 순으로 볏짚 및 쌀겨의 수은농도가 높았다. 잔류수은의 흡수이행 기울기는 볏짚 >> 쌀겨 >> 왕겨 ≥ 정조 > 현미 > 백미 순으로 기울기가 크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흡수이행량이 크다는 것으로 해석되며, 지상부로 흡수된 총수은량의 83.8%는 볏짚에 존재하였으며, 정조에 16.2%, 왕겨에 2.8%, 현미에 12.4%, 쌀겨에 3.5% 및 백미 9.7%가 분포하였다. 결론적으로 “탑라이스” 생산단지를 포함한 인근의 관행재배지역 토양은 수은에 오염되지 않았으며, 여기에서 생산된 우리 쌀은 매우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Bacillus thuringiensis with selected high toxicities against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were isolated from domestic soils. When being observed under a phase-contrast microscope, the insecticidal crystal proteins were showed a bipyramidal crystal types. New CAB 109 isolate was identified to B. thuringiensis subsp. aizawai in the H serotype. As a results of insecticidal activities between CAB 109 isolate and 3 existing ready-made products against 3rd larva of S. litura, CAB 109 isolate showed 100% mortality with spore concentration (1.3×10⁷ cfu/㎖). It was a very high insecticidal activity compared with a existing ready-made B. t. products. LD₅₀ values of CAB 109 isolate was 9.78×10⁵, 6.87×10⁶ and 1.83×10⁷ cfu/㎖ spore concentration against 2nd, 3rd and 4th larva of S. litura, respectively. Unlike Plutella xyfostella, S. litura was slowly died after application up to 7 days. The weight of S. litura larva applied with CAB 109 isolate were 6-7 times less than controlled group. Even though it didn"t die, it did not grow into next larva. The result observ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as that CAB 109 isolate of B. t. aizawai formed a typical bipyramidal crystal protein type. Otherwise, when CAB 109 isolate was examined with SDS-PAGE and with trypsi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AB 109 strain and ready-made products of B. thuringiensis.
This study was followed up asthma incidence rate in primary schools indoor air quality. To investigate the history and prevalence rate of allergic diseases(asthma, atopy dermatitis, allergic rhinitis and conjunctivitis), the standardized and generally used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ISAAC) questionnaire was used to conduct the symptom survey for all participating subjects. The concentrations of major indoor air pollutants(dust mite allergen, aldehydes , VOCs, TBC, phthalate) were observed from April to May 2007. Sampling was undertaken at 19 primary schools. The sampling sites of air pollutants are classroom’s indoor and hallway. Dust mite allergen part it was detected from the case classroom and infirmary. The exposure quality of aldehyde and the place pollution level was indoor>outdoor>hallway, which whole is disease incidence rate high group appears more highly the low group than. The partially result of formaldehy and VOCs, the concentration of high environmental disease incidence rate showed also high. However, house dust allergen, TBC and phthalate measurement school was not the effect where the comparison of dif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friendly environmental control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that is too hard to control in the field, 25 insecticides were chosen from 58 registered to the beet armyworm, and bioassayed. There are 12 insecticides with neurotoxical activities, 10 with insect growth regulators and 3 Bacillus thuringiensis products. Among 12 insecticides with neurotoxical activities, mortality of S. exigua was 100% with emamectin benzoate (EC) and indoxacarb (WP) within 3 and 5 days after application, respectively. Otherwise, WG and SC of indoxacarb, Indoxacarb + etofenprox (WP) and pyridalyl (EW) were showed up to 91%. Methoxyfenozide + spinosad (SC) was better than any other insect growth regulator as 100% mortality within 3 days after application. And methoxyfenozide (WP), tebufenozide (WP) and methoxyfenozide (SC) were 92% by 5 days. However, 3 kinds of B. thuringiensis products were showed under 35% mortality within 5 days from first spray.
목적 :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태도 및 감각처리 정도를 비교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양육태도와 감각처리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각각 20명)를 대상으로 감각처리 질문지(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SP)와 어머니 양육태도에 관한 설문지(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를 실시하였다. 질문지의 작성 시간은 ASP 15분, MBRI 10분, 총 25분이 소요되었고, 2007년 9월, 10월 두 달간 설문이 실시되었다. 양육태도와 감각처리 점수는 평균을, 양육태도와 감각처리 점수와의 상관성은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비교해 본 결과, 일반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더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5). 감각처리 비교에서도 장애아동 어머니가 일반아동 어머니에 비해 평균적으로 점수가 낮았으며, 특히 자신에 맞게 환경적 자극이나 감각을 찾는 능동적인 행동이 많이 부족하였다. 양육태도와 감각처리와의 관련성 비교에서는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 모두 감각처리의 4가지 영역과 상관성 있게 나타났다(p<.05).
결론 : 환경적 자극의 인식과 민감성, 자극에 대한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는 부모일수록 아동에게 더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태도와 감각처리와의 관계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부모의 양육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지연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치료 적용 후의 변화를 감각통합능력평가(TSI)와 운동처리기술평가(AMPS),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을 통하여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작업수행요소와 작업수행기술 사이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평가 및 치료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충남 서산, 홍성, 당진 지역의 아동 치료 시설에 작업치료서비스를 의뢰한 만 3세에서 13세 사이의 발달지연아동 30명을 대상으로 총 20회∼24회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였다. 대응표본 t 검정(paired-t test)을 통하여 치료 전/후의 점수변화를 알아보았다. 작업수행요소와 작업수행기술 사이의 상관분석은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결과 : 감각통합치료 전/후의 점수 변화는 TSI, AMPS, COPM의 모든 평가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COPM의 수행도와 만족도 사이에 높은 양의 상관관계(r=.840)를 보인 것을 제외한 나머지 평가도구들(TSI, AMPS)의 각 영역별 상관관계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아동의 감각통합능력 향상과 운동기술 및 처리기술의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부모가 느끼는 아동의 수행도 및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작업수행요소(TSI)와 작업수행기술(AMPS, COPM) 사이의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검증할 때에는 두 가지 평가를 함께 실시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형상이 일정하지 않은 구조에 충돌하는 차량의 탑승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그 구조물의 앞에 공간이 허용하는 한도의 깊이만큼 충격을 흡수하는 재료로 만든 모듈을 쌓아두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충격흡수모듈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재료가 충분한 에너지 흡수능력을 가져야 하고 동시에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흡수능력과 더불어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충격흡수재료가 가져야 할 조건을 설명하고 auard-Guard 시스템 모듈, 샌드백, 재활용 타이어, 지오컨테이너, 지오셀 그리고 EPS 블록에 대한 정적압축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30kg/m3의 밀도를 갖는 EPS 블록이 쿠션모듈로 사용되기 적합한 재료임을 보였다. 한편 시속 35.6km/h까지의 충돌조건으로 Drop Test를 실시하여 EPS블록의 정적특성과 동적특성간 큰 차이가 없음을 보여 주었으며 쿠션모듈로서의 성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EPS 블록에 공극을 두는 방안을 제안하고 공극이 있는 EPS블록에 대하여 Drop Test를 실시하여 EPS 블록을 이용한 충격흡수시설의 설계에 필요한 재료적 특성치를 제시하였다.
A sensor element array for combinatorial solution deposition research was fabricated using LTCC (Low-temperature Co-fired Ceramics). The designed LTCC was co-fired at 800˚C for 1 hour after lamination at 70˚C under 3000 psi for 30 minutes. SnO2 sol was prepared by a hydrothermal method at 200˚C for 3 hours. Tin chloride and ammonium carbonate were used as raw materials and the ammonia solution was added to a Teflon jar. 20 droplets of SnO2 sol were deposited onto a LTCC sensor element and this was heat treated at 600˚C for 5 hours. The gas sensitivity (S = Ra/Rg) values of the SnO2 sensor and 0.04 wt% Pd-added SnO2 sensor were measured. The 0.04 wt% Pd-added SnO2 sensor showed higher sensitivity (S = 8.1) compared to the SnO2 sensor (S = 5.95) to 200 ppm CH3COCH3 at 400˚C.
The micro-structural changes,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micro-fractural behaviors at the joint interface between a Sn-4.0wt%Ag-0.5wt%Cu solder ball and UBM treated by isothermal aging are reported. From the reflow process for the joint interface, a small amount of intermetallic compound was formed. With an increase in the isothermal aging time, the type and amount of the intermetallic compound changed. The interface without an isothermal treatment showed a ductile fracture. However, with an increase in the aging time, a brittle fracture occurred on the interface due mainly to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intermetallic compounds and voids. As a result, a drastic degradation in the shear strength was observed. From a microshear test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generation of micro-cracks was initiated from the voids at the joint interface. They propagated along the same interface, resulting in coalescence with neighboring cracks into larger cracks. With an increase in the aging time, the generation of the micro-structural cracks was enhanced and the degree of propagation also accelerated.
Fibro-osseous lesion(FOL) has been known a lesion that normal bone is replaced by cellular fibrous connective ti ssue and nonfunctional bone, FOL has been classified and revised by several investigators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 For correct diagnosis and treatment, it is necessary to classify FOL precisely, Compared to the class ificat ion by WHO in 1992‘ the new version of 2005 makes it simpler to classify ,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classifying FOL by the WHO classification in 1992 and compare it with the new ve1'sion in 2005 The material was 1'e tl‘ ieved f l'om the cases which were diagnosed as FOL from 1992 to 2005 in the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Dentistl'Y, Clinical, rad iological and pathological observations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Comparing WHO classifi cation in 1992 with the one in 2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regarding clini cal, radiological a nd hi s tological f indings in each classified disease entity of both osteogenic neoplasm and non neoplastic bone lesion , Hence, the new classification by WHO in 2005 would be a useful yardstick for correct diagnosis and treatment , For the differential diagnos is between osteogenic neoplasm and non neoplastic bone lesion, it is important to observe the degree of cell ularity microscopi cally and definiteness of the border radiographically,
버즈풋 트레포일의 줄기에서 뿌리를 유도함에 있어, 최적의 유도조건을 확립하고자 배양토 종류별, 복합희토 처리 농도별, IBA 처리 농도별로 뿌리 유도율을 조사하였다. 원예농상토, 마사토, 강모래 등 3종류의 배양토에서 뿌리 유도율을 조사한 결과, 마사토(77.8%), 강모래(70.0%), 원예용 상토(41.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사토와 강모래에서 복합희토 용액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뿌리 유도율을 조사한 결과, 마사토에서는 복합희토 용액 60 pp
박물관은 과거의 단순한 유물의 수장과 전시라고 하는 전통적 개념에 더하여 일반 대중에게 휴식과 교양을 제공하는 문화시설로서 현대인의 심리를 충족시키는 사회교육기관으로까지 그 기능이 확대 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비하여 현존하는 지역 박물관은 기능을 충족하기 어려운 현실이고 이를 해결할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 박물관의 문제점을 지역 사회의 특징을 고려하지 않은 사업 시행의 결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박물관의 계획 및 기존 박물관의 리모델링에 있어서 기초적으로 고려하여 야 할 사항을 문화 정책과 장소 마케팅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조사를 토대로 지역 박물관의 계획의 중요 요소를 도출하여 기초 자료로서 제안하고자 한다.
목적 : 감각 처리 질문지인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ASP)을 사용하여 한국 성인의 감각 처리 정도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성인에서의 감각 통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2세에서 38세의 건강한 성인 남(160명), 여(190명)를 대상으로 ASP 설문을 실시하였다. ASP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질문지를 완성한 후, 설문지를 대상자들에게 직접 나눠주고 수거하였다. 총 350부 배부하여 300부가 회수되었다(85%의 회수율). ASP 설문의 총 소요 시간은 15분 정도이고, 총 설문기간은 2007년 2월~3월이었다. 한국 성인의 감각 처리 정도는 평균과 빈도 분석을, 한국 성인의 감각 처리 평균 점수와 미국 표준치의 차이는 일 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 한국 성인의 감각 처리 4가지 영역 중 ‘낮은 감각 등록(Low Registration)’, ‘감각 민감성(Sensory
Sensitivity)’, ‘감각 회피(Sensation Avoiding)’의 평균 점수는 ‘대부분의 사람들과 유사한 성향(Similar to Than Most People)을 나타낸다’에 해당되는 점수 분포였다. 반면 ‘감각 찾기(Sensation Seeking)’의 평균 점수는 평균보다 낮아 대부분의 사람들 보다 수동적인 행동 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빈도 분석을 통해 감각처리 정도를 살펴 본 결과 응답자의 약 57% 을 제외하고는 감각 처리에 부분적인 문제를 나타내었고, 한국성인의 평균값과 미국 표준치 비교에서도 유의한(p<.05)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기존의 작업 치료에서는 감각 통합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아동에 국한되어 강조되어 왔으나,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일반 성인들에게서의 감각 처리 성향을 알 수 있었고, 한국 표준치 제시의 필요성도 인식할 수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한국의 표준치 제시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감각 처리에 문제를 가진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development of Surface Flow PIV for velocity measurement of surface flow. The new Velocity measurement method for surface flow using video-taped images is presented. Velocity distributions are calculated by the correlation method after the transformation of images to the non-distorted ones. The method to transform oblique-angled images to normal ones as well as its accuracy is discussed in detail.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velocity measurement of an ocean current velocity distribution of saemangeum sea-wall model using Surface Flow PIV.
This Study is about structural analysis of ball valve for controlling cryogenic LNG's flow or stop in normal temperature. The used valve is demanded safety resistance for inner pressure and temperature variation caused by using it in cryogenic, high pressure surrounding. This study evaluates for safety resistance for inner pressure and temperature variation by heat transfer analysis in cryogenic surrounding, heat stress analysis in temperature variation and deformation analysis in high pressure.
In this study, the vibration characteristic of marine N2 generator is improv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and experimental test. The vibration test adopted the rule of KR(Korean Register of Shipping) for the type approval. We investigate 4 type of design using finite element method and choose the best candidate. After making prototype we also test it using excitor and choose that for final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