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고속(Lentinula )에 속한 종들의 배양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국내 미기록종인 L. aciculospora, L. boryana, L. raphanica 3균주와 대조군으로 국내 기록종인 L. edodes 1균주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군인 L. edodes 균주는 ME1배지에서 91.8 ㎜/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4℃, 최적pH는 6으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Glucose와 Malt extract, 최적비타민은 Myo-inosiol로 나타났다. 첫 번째 국내 미기록종인L . aciculospora 균주는 PDA 배지에서 36.5 ㎜/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2℃, 최적pH는 6으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Glucose와 Malt extract, 최적비타민은 Myo-inosiol로 나타났다. 두 번째 L. boryana 균주는 MCM 배지에서 55.0 ㎜/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2℃, 최적pH는 7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Glucose와 Urea, 최적비타민은 Riboflabin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L. raphanica 균주는 ME1 배지에서 70.0 ㎜/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8℃, 최적pH는 5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Sucrose와 Potassium nitrate, 최적비타민은 Riboflabin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derly drivers' driving performances at the intersections, suggested by Bao and Boyle(2009), according to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of elderly drivers were measured
SMA 혼합물은 소성변형 저항성이 매우 큰 혼합물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실내 시험에서는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법이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성변형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가지는 SMA 혼합물의 변형강도치와 반복주행시험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SMA에 변형강도의 적용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MA 혼합물의 배합설계를 거쳐 최적 아스팔트함량의 혼합물에 대하여 변형강도 시험과 반복주행 시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변형강도는 SMA 혼합물의 소성변형 특성을 보이기에는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김테스트에 의한 변형강도는 간접인장강도나 마샬 안정도와 마찬가지로 SMA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을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반복주행시험의 결과인 동적안정도나 최종침하깊이도 역시 SMA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을 평가하는데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 dark brownish pigment from fruit body of Auricularia auricula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in this report. The pigment was obtained with a yield of 0.61%(w/w) by alkaline extraction and subsequent purification steps. It showed the positive FeCl3 test which was the ind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A synthetic melanin showed a similar spectrometric characteristics to the pigment extract regarding a characteristic UV absorption between 200-250 nm and infrared absorptions profiles in the finger print region including absorption peaks at 1701 and 1624 cm-1. Its element analysis indicated that its atomic copmposition is close to that of DOPA melanin (eumelanin). With the result of its antioxidant activity in the TNBT (5-thio-2-nitrobenzoic acid) assay, we concluded that the dark brownish pigment from A. auricula is a melanin-like compound having a powerful antioxidative activity.
흑목이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열수추출에 의해 얻은 조다당 분획물은 흑갈색 색소를 함유하였으므로 활성탄에 의한 탈색공정이 검토된 바 있다. 하지만 활성탄에 흡착된 색소 성분의 회수 및 활성탄의 재사용이 필요하였으므로 용매추출법을 이용한 용출 실험을 실시하였다. 증류수, 중성용매(3종) 및 알칼리 용매(4종) 등 8종 용매에 의한 1단 침출 실험 결과, 색소성분의 용해성은 1 M KOH 용액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러한 최적 용매인 1M KOH 용액을 이용하여 용액의 부피 및 시간에 따른 용출효과를 조사한 결과, 용액의 부피는 활성탄 1 g당 45 mL에서 최적의 용출량을 보였으며, 10분 이내에 빠르게 용출평형에 도달하였고, 용출공정의 용출속도는 2차 속도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또, 25oC에서 1 M KOH 용액에 의한 다단침출의 실험 결과, 7단계 침출에서 최종 용출효율은 88.9%이었다. 그러나 온도가 증가할수록 용출효율이 급격히 높아져 95oC에서는 단일용출만으로 82.6%의 용출효율을 보였다. 한편, 용출 후의 재사용된 활성탄의 흡착효율(75.3%)은 신선한 활성탄(78.5%)과 거의 비슷하였고, 다당 정제율도 거의 비슷하여(1.21-1.25배) 재생 가능함을 보였다. 따라서, 흑목이 버섯의 흑갈색 성분의 탈색 후 흡착된 활성탄으로부터 용매추출을 이용한 효율적인 색소성분의 회수 및 활성탄 재생 공정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school uniform, focusing on Ewha Woman's University of Seoul, reflected present trend as well as characteristic and symbol of school and developed uniform design for advertising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uniform that can be discriminated from that of other university and increase advertisement effect with mental superiority and pride in university by trying uniform design development, which can provide school and student with satisfaction, and reflecting present trend as well as characteristic and symbol of school. The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can be basic materials for various uniform designs, connecting function, symbol and trend to uniform development. The uniform for school advertisement was manufactured in a way to reflect characteristic and image of school, escape from fixed idea preferring traditional design in the past and reflect trend. It is expected that the uniform created with symbolic image of school will give high advertisement effect and improve school image by providing student with sense of coherence and discriminated feeling in various events and the meeting with other school students. Moreover, the student wearing the uniform with splendid design will feel mental superiority and have pride in school at the same time. In conclusion, the uniform reflecting trend is proper for the uniform of advertisement helper representing school as long as it can reflect characteristic and image of school. It will be also helpful for developing wider design and more splendid uniform because the study can create the motive to apply trend to other uniform that does not adopt tre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6 Sigma on menu management, work commitment and quality in the culinary division of hotels and family restaurants. In addition,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effects of menu management, work commitment and quality performance on customer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u management and culinary quality was evaluated here. The subjects evaluated in this study were employees of culinary division of hotels and family restaurants that implemented or were about to adopt the 6 Sigma program. A total of 38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a reliability test, a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6 Sigma program influenced menu management, work commitment and culinary quality. Moreover, menu management, work commitment and culinary quality performance were found to impact customer satisfaction and culinary quality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culinary divisions of hotels and family restaurants should incorporate the 6 Sigma program as soon as possible. To implement this program, faultless data for the 6 Sigma program should be collected using sufficient preparation procedures. After the data were collected, a task force team should be developed, experts should be cultivated and employees should be trained as necessary. Finally, the current level of product and services should be measured and reported to all employees in the culinary division and a challenge spirit should be brought with understanding for the reason for implementation of the 6 Sigma program. In implementing the 6 Sigma program, the leadership of the top manager and the head of the culinary division is very important.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남덕유지역 낙엽활엽수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2007년 5월부터 2008년 9월까지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구배분석을 실시하여 임분의 구조와 특성을 비교하였다. 남덕유지역의 낙엽활엽수림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철쭉꽃하위군락, 그늘사초하위군락), 졸참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굴참나무하위군락, 서어나문하위군락), 서어나무군락, 들메나무군락 및 층층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군락간에는 종조성, 계층구조 및 식피율 등 생태적 특징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군락에서 나타난 중요치는 신갈나무가 가장 높고(67.8) 다음으로 들메나무(44.8), 졸참나무(24.5), 당단풍(17.0), 층층나무(15.9), 쇠물푸레(11.5), 철쭉꽃(11.0), 까치박달(11.0), 쪽동백나무(10.9), 함박꽃나무(10.4), 서어나무(9.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는 정규분포형의 밀도를 나타내고 있어 당분간은 이들 수종의 우점 상태가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들메나무는 계곡부에 한정적으로 출현하며 어린 개체의 밀도가 높아 지형적인 극상림으로 발달될 것으로 판단된다. 졸참나무는 어린 개체와 중간 개체의 밀도가 높아 앞으로 계속 높은 우점도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남덕유지역의 낙엽활엽수림 식생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하여 분류된 5개 군락과 11개의 환경 요인으로 DCCA ordination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양이온치환용량과 전질소(C.E.C, T-N)가 많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들메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수분과 치환성양이온(Ca, Mg, K)이 많은 곳에 분포하였으며, 졸참나무군락과 서언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양이온치환용량과 전질소가 적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층층나무군락은 타 군락과 비교해 볼 때 중간지역에 분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