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60

        1861.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통공학 분야에서 비상사태와 기후 변화로 인한 교통망의 영향을 연구하는 주제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는 도심지역 교통망에 대해서는 비상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적절한 교통운영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통망 수요와 공급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했을 때, 영향권 내에 있는 차량들의 신속한 대피와 그 근방 지점으로 접근 하는 차량들에 대한 우회경로 정보제공 전략 개발을 위한 다양한 시뮬레이션 모형이 개발되어 왔다. 비상사태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교통운영관리 전략 및 대응방안이 달라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최근 들어 유비쿼터스 (ubiquitous) 통신 및 센서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하여 비상사태 발생 시 개별 맞춤 정보제공을 통해 교통운영관리의 실효성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이 개발 중에 있다. 신속하고 정확한 비상사태 관련정보의 수집, 연계, 제공으로 교통운영관리에 대한 관리기반을 확보하고, 보다 체계적인 교통운영의 상황조치와 모니터링으로 교통운영관리의 시스템 안전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필요한 핵심 사항 중 비상사태 발생 시 차량에 대한 대피 및 우회정보 제공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은 비상사태 발생 시 교통망에 근거한 동적 대피 및 우회경로 제공을 위해 동적 최단경로 탐색기법과 동적 통행배정모형을 기반으로 하였다. 이를 서울시 강남구 도로망에 적용하였고 가상 시나리오(테러 발생)에 따라 모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4,200원
        1862.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information on customers for cosmetic companies to develop goods and promotion strategy by examining facial images of university women and their recognition level about cosmetics brand personal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women with their lips and eyes was very high, while lowest in skins. Second, factors of brand personality of three kinds of foreign cosmetics brands and three kinds of domestic brands were sincerity, beauty, renovation, reliability and ruggedness. In beauty, reliability and ruggedness, they preferred foreign brands to domestic ones, while they preferred domestic ones in sincerity and renovation. Third, the satisfaction level with fa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importance of face and cosmetic brands, while the importance of face had to the beauty of the brand. In the interrelationship among facial images and the factors of brand personality, they had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s, provided beauty and ruggedness, and reliability and ruggedness had no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4,500원
        1863.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mato sauce, which is widely used in Western cuisine, according to tomato variety. The plum tomato sauce treatment had the highest pH at 4.13 while sauces made with Seo gwang and Young gwang tomatoes exhibited the lowest pH level of 4.07 (p〈0.05). Sweetness was highest in the plum tomato sauce at 9.80˚Brix. This might have been due to the fact that the plum tomato variety was the sweetest among the different tomato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in terms of reducing sugars, salinity, or viscosity. A color difference analysis indicated that redness (a-value) was highest in the plum tomato sauce, which contained a high level of lycopene. Sensory evaluations were performed by 15 professional panelists with scoring tests for color, flavor, taste, aftertaste, viscosity,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plum tomato sauce received the best scores in every evaluation, except for viscosity. These comparative results will support the development of better quality tomato sauce using plum tomatoes.
        4,000원
        1868.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낙동강 물금 지역에서 채집된 동물플랑크톤 중 윤충류인 Keratella 속을 대상으로 10년 전후(1995, 1997, 2005 그리고 2007)의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고, 피갑형태에 다양한 변화를 보이는 K. cochlearis의 피갑 크기, 후돌기의 발현 여부 및 길이 그리고 후두돌기 길이의 연도와 계절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였다. Keratella 속의 밀도는 봄에 높고 겨울에 낮은 뚜렷한 계절성을 보였다. 군집 내에서 K. cochlearis가 우점종이었으며 상대풍부도는 1995년과 1997년보다 2005년과 2007년에서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 K. cochlearis의 피갑 폭은 유사하였으나, 피갑 길이의 경우 여름에 감소하고 겨울에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모든 연도에서 후돌기를 발현하는 개체의 비율이 낮았고 특히 여름과 가을에 출현빈도가 낮았다. 후돌기의 평균 길이는 여름에 짧고 겨울에 길었으며 후두돌기 평균 길이는 겨울에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869.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870.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 Ag, Au, Cu, Cd, Co, Fe, Ni, Pb, Zn등의 금속은 해수 중에 미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미량금속이라고 하며 일부는 미량영양소로서 생명체의 생리활동에 필요하지만 정해진 한계값을 초과할 때는 독성을 나타낸다. 미량금속(중금속)은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성 오염물질로 분류되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해수와 담수 등 자연수 중의 미량금속 측정은 정확도와 정밀도에 있어서 큰 오차를 가지고 있음이 장기간 인식되어 왔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1975년 이후 미량금속의 해수 중 농도가 과거에 인지된 농도의 1/10~1/1,000 정도로 낮아졌으며, 수직 분포는 생물, 물리, 지화학적인 과정들이 반영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부분 미량금속에 대한 분석방법과 기기의 발전에 기인하며, 시료 채취, 보관 및 분석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제거해야 하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많은 해양환경 관린 조사 및 연구에서 정확성이 결여된 자료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미량금속 분석에 있어서 시료의 채취, 보관, 분석에 대한 정착한 인식 및 이해 부족은 자료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해양환경 연구 및 환경평가에 활용하기 위하여 자연수 중 미량금속의 정확한 자료를 획득하는 주요 과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4,000원
        1871.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world-leading companies are aware that Environment and Health and Safety Issues are critical to the product quality and sustainable growth of their company. Environment-friendly efforts are seen in almost all aspects of business operations in an adva
        4,300원
        187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리니지를 선두로 한국 온라인게임은 IT기술력과 그동안 게임개발의 경험을 통한 게임엔진 및 그래픽 표현의 수직적인 상승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는 온라인게임 개발 국가로 성장하였다. 최근 들어 어려운 경제위기속에서도 게임 산업은 사상최대 실적을 올리고 있는 상황이다. 타플랫폼 게임에 비해 짧은 역사를 가지고 급속히 성장한 국내 온라인게임은 앞으로 약육강식이 가열화 되는 글로벌게임환경에서 성공하기위해서는 그동안 만들어진 온라인게임의 기획요소들을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4,200원
        1873.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fulfill the design requirement from the Algeria owner, Hull form development of a trawl fishing boat was performed. Model test at CWC in INHA Technical collage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sistance characteristics and CFD analysis using FLUENT was performed to examine flow patterns and pressure distribution around hull etc. The designed hull form satisfies speed-power requirement of 10.5 knots at installed power.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feature of trawl fishing boat and evaluates the model test results and CFD results. The design constraints for Algeria trawl fishing boat were explained and the speed of the ship was compared with sea trial results.
        4,000원
        187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속류도로 합류영향구간에서는 본선과 다른 교통특성을 가진 연결로교통류의 합류로 차로변경 및 가감속과 같은 차량간의 불규칙한 상호작용이 발생하여 교통류의 난류현상을 야기한다. 따라서, 난류현상은 운행상태를 고려하여 연속된 지점간의 불안정한 교통특성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합류영향구간에 차로-지점별 검지기를 설치하여 시공간적으로 연속된 교통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지점간에 유의한 속도변화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최소유의차(LSD) 통계값을 산정하여 난류현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합류영향구간 난류현상은 운행상태에 따라 발생권역 및 심각도가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난류현상에 의한 최대 합류영향권역은 교통량이 증가하는 혼잡전 운행상태에서 보여지며, 속도변화특성에 따라 상류 100m~하류 100m의 "감속구간"과 하류 100m~하류 400m의 "감속속도유지 및 가속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4,300원
        1876.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eries of fishing experiments was carried out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from January, 2002 to March, 2003, using gill nets of different mesh sizes (m 180, 210, 240, 270 and 300 mm) to determine the size selectivity of gill net for female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The catch of experimental gears was mostly snow crab (97%), Chionoecetes opilio. The maximum carapace length (RL) of each female snow crab caught in the fishing experiments was measured. The master selection curve was estimated by applying the extended Kitahara s method. The selection curve showed that the gill nets of larger mesh size allowed more female crabs of small carapace size to escape. The optimum values of RL/m for 1.0 of retention probability was 0.563 and RL/m was estimated to be 0.249, 0.290, 0.319, 0.344 and 0.367 when the retention probability were 0.1, 0.2, 0.3, 0.4 and 0.5, respectively.
        4,000원
        1877.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흑목이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열수추출에 의해 흑갈색 색소를 함유한 조다당(crude polysaccharide)을 분획하였고, 이 조다당 분획의 흑갈색 색소 성분을 탈색 제거하기 위해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공정을 검토하였다. 흡착 평형은 10분 이내의 빠른 시간에 도달하였으며, 최적의 흡착 조건은 pH 7.0 및 온도 40oC에서 조다당 용액 1 mL당 활성탄 16.7 mg을 첨가하였을 때 얻어졌다. 이 때의 최대 흡착효율은 약 80%이었고, 색소 성분의 제거로 다당은 정제되어 1.25배의 정제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활성탄에 의한 색소의 등온흡착은 Langmuir 등온식에 따랐으며, 흡착속도는 2nd order model 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또, 흡착은 확산을 통해 조절되는 물리적 흡착공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흑목이 버섯 조다당으로부터의 활성탄에 의한 색소흡착 공정은 그동안 보고된 바 없으며, 경제적이고 간편하여 향후 흑목이 버섯 조다당의 색소 제거와 정제 및 이에 의한 다당 정제공정으로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4,000원
        1878.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벼 재배지에서는 친환경적 잡초관리를 위해 주로 왕우렁이, 쌀겨 및 오리를 이용하고 있다. 이런 유기농업은 화학농약 40% 감축목표 및 농촌 고령화에 따른 일손부족 등 사회경제적 이유로 인해 해마다 재배면적이 증가 되고 있으나 한편으론 병해충 및 잡초의 발생도 더불어 증가하고 있다. 경남 창녕지역은 최근 따오기 복원 사업 등 우포 생태공원 조성에 따른 벼 유기농업면적이 ‘08년 420ha까지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 지역의 주 유기농법 인 쌀겨 이용 벼 재배지에 최근 자귀풀 발생량 증가와 주로 콩에 발생하는 가로줄노린재 등이 많이 발생하여 주변 벼에도 피해를 주고 있다. 창녕군내 쌀겨 및 왕우렁이 이용 벼 유기농업지에 발생하는 주요 잡초는 피, 올방개, 가막사리, 여뀌바늘, 자귀풀 등이었다. 벼 수확기 전후에 발생된 잡초 우점종 은 올방개 및 피로 각각 m2당 13.0 및 6.0본이었고, 자귀풀은 m2당 0.3본으로 발생량은 적었다. 쌀겨이용 벼 유기농업 재배단지인 창녕 우포 및 신기 두 지 역간 노린재 발생량은 9월 상순까지는 자귀풀보다 콩에서 발생량이 더 많았 으나 9월 하순에는 자귀풀에서 노린재 발생량이 더 많았다. 특히 9월 하순 우 포 및 신기지역 자귀풀 10주당 노린재 발생량은 우포가 889마리, 신기 131마 리로 우포가 월등히 많았고, 노린재에 의한 자귀풀 주변 벼의 반점미율도 우 포 및 신기에서 각각 12.7%, 4.3%로 우포에서 더 높았다. 자귀풀에 발생된 노 린재 종류는 가로줄노린재, 풀색노린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였고, 가장 우점 종은 가로줄노린재였다.
        1879.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자운영에서 알팔파바구미 성충은 3월 중순경부터 발생되어 5월 상순에 발 생최성기를 나타내었으며, 6월 상순경부터 하면처로 이동하였다. 알팔파바구 미에 의한 녹비작물의 피해는 자운영>크림슨크로바>헤어리베치의 순으로 많 았다. 자운영 재배답 주변작물에서 알팔파바구미에 의한 피해는 콩>감자>취나 물>배추>무>고추의 순으로 심하였다. 몇 가지 화학농약과 친환경 제제인 아자디락틴 유제에 의한 알팔파바구미 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ethofenprox 유제, fenitrothion 유제 및 fenthion 유제 를 4월 중순에 1회 살포한 경우 처리후 7일차의 방제가는 각각 약 96, 95 및 97%로 매우 높았다. 하지만 neem 추출액인 아자디락틴 유제를 4월 중순에 1 회 및 4월 중순과 하순에 2회 처리한 경우 방제효과는 각각 약 30 및 63% 이 었다. 하지만 녹비작물은 화학비료를 대체하는 작물로 친환경 농업에서 규정 한 친환경 작물생산을 위해선 화학농약을 살포할 수 없으며, 아자디락틴 유제 는 친환경 제제이지만 화학농약에 비하여 방제효과가 낮아 자운영의 생체량 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금후 알팔파바구미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 리할 수 있는 친환경 제제가 조속히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1880.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콩의 새로운 문제 해충인 콩꼬투리혹파리의 발생양상, 콩 꼬투리 피해 및 약제에 의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콩꼬투리혹파리는 구골나무에서 월동하 였으며, 봄철의 구골나무 열매에서 콩꼬투리혹파리의 출현율은 약 9.0% 이었 다. 콩포장에서 콩꼬투리혹파리의 발생은 개화기부터 발생되어 9월 중순경에 최고의 발생량을 보였으며, 콩꼬투리혹파리에 의한 콩 꼬투리의 피해률은 9월 상순경에 가장 높았다. 콩의 노린재 방제약제로 등록된 ethofenprox 유제의 살포횟수 및 시기에 따 른 콩 꼬투리의 피해는 1회 약제살포시의 경우 R2.5>R2>R3>R3.5>R4>R4.5의 순으로 피해가 적었으며, 2회 약제살포시의 겨우 R2.5+R3>R2.5+R3.5, R2.5+R4, R2.5+R4.5>R2+R3>R2+R4>R3+R4의 순으로 피해가 적었다. 따라서 약제살포에 의한 콩꼬투리혹파리의 방제효과는 1회 약제살포의 경우 R.25에서 약 93%로 가장 높았으며, 2회 약제살포의 경우 R2.5+R3에서 약 98%로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