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4

        321.
        2001.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325.
        2000.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Korean Herbalogy with the plants of Polygonaceae which grow wild and is planted in Korea, the these and writings on herbalogy, from literature of successive generations, have been thoroughly investigative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nature and flavour of medicinal plants, they were classified into cold, cool; 23 each, warmth, heat; 11 each, balance 11 and unidentified 5. Thus it was noticed that cold, cool is the main in nature and flavour of medicinal plants. 2. According to the Properties and Principal curative action, they were classified into drugs for clearing up heat and toxin 18, drugs for regulating the fellow of Gi to alleviate pain 14, drugs for removing heat from the blood to stop bleeding 13, drugs for expelling wind and removing dempness 11, drugs for parasiticide 11, drugs for promoting blood circulation to remove blood stasis 10, drugs for strengthening the spleen and stomach 10, drugs for inducing diuresis to alleviate edema 9, drugs for improving acuity of vision 5 and drugs for tonifying and nourishing 4. Thus it was noticed that durgs for clearing up heat and toxin was the main kind. 3. Comparing to whole medicinal plants 47 kinds, toxic durgs include minor toxin were 12 kinds, 25% of the whole. Thus toxic durgs were slightly poisonous. From this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plants for medical purpose in Polygonaceae was 30% of the whole, in which drugs for clearong up heat and toxin was mostly abundunt and toxic plants was slightly poisonous. It is considered that many experiements and clinical approaches must be continued widely about slightly poisonous drugs.
        7,700원
        328.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determined the precise three dimensional WGS84 Coordinates and the sea level height of Seoul Radio Astronomy Observatory (SRAO).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simultaneous GPS observations at SRAO and Seoul GPS Reference Station(SGRS) of Korea Astronomy Observatory(KAO) for 3.5 hours from 17KST on October 27, 1999. We employed two different antennas, i.e., chokering antenna at SGRS of KAO and L1/L2 compact with groundplane antenna at SRAO. But we employed same type of receivers, i.e., Trimble 4000SSI at both observing places. The observed data were processed by GPSURVEY 2.30 software of Trimble with L1/L2 ION Free technique and broadcasting ephemeris of GPS Satellites because of very short baseline between SGRS of KAO and SRAO. We determined WGS84 latitude, longitude, height and the sea level height of SRAO with 37∘27′15.′6846N±0.′0004,126∘57′19.′0727E±0.′0002,204.89m±0.02m,181.38m±0.17m 37∘27′15.′6846N±0.′0004,126∘57′19.′0727E±0.′0002,204.89m±0.02m,181.38m±0.17m , respectively.
        3,000원
        330.
        1999.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nm 두께의 얇은 산화막 위에 α-실리콘과 Co/Ti 이중막을 순차적으로 증착하고 급속열처리하여 코발트 폴리사이드 전극을 만든 후, SADS법으로 다결정 Si을 도핑하여 MOS 커패시터를 제작하였다. 이때 drive-in 열처리조건에 따른 커패시터의 C-V 특성과 누설전류를 측정하여, CoSi2의 열적안정성과 도판트 (B 및 As)의 재분포가 Co-폴리사이드 게이트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700˚C에서 60~80초간 열처리시, 다결정 Si층의 도핑으로 우수한 C-V 특성과 낮은 누설전류를 나타냈으나, 그 이상 장시간 또는 900˚C의 고온에서는 CoSi2의 분해에 따른 Co의 확산으로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었다. SADS법으로 Co-폴리사이드 게이트 전극을 형성할 때, 도판트가 다결정 Si층으로 충분히 확산되는 것뿐만 아니라, CoSi2의 분해를 억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4,000원
        331.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 및 발효공업의 균체 제거에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미생물 응집체를 개발할 목적으로 토양에서 분리한 Bacillus megaterium 의 응집제 생산 특성을 조사한 결과 sucrose 2.0%, NaNO_3 0.3%, tryptone 0.01%, beef extract 0.01%, MgSO_4 0.05%, CaCO_3 0.005%가 최적 배양배지로 조사되었으며 최적배지에서의 응집활성은 257.8 unit로 기초배지에 비해 응집활성이 약 161% 증가하였다. 한편 본 균주는 탄소원 및 무기염의 첨가에 의해 응집활성이 크게 영향을 받았으나 질소원의 경우 다른 성분에 비해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어 본 균주가 생산한 응집체는 균체외 다당류의 일종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조정제 응집제에 대한 정색반응 결과 생산 응집제를 조정제한 후 정색반응 실험 결과는 비환원성 당으로 fructose를 함유하지 않은 다당의 일종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4,000원
        332.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carried out measurements of 1.2-1.6GHz radio interferences around Seoul Radio Astronomy Observatory located in the campu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e received interference signals using a pyramidal horn antenna and measured its power using a spectrum analyzer with 1MHz resolution after ~60dB amplification. In order to check the spatial characteristics, we made observations at every 30∘ 30∘ in azimuth at elevation of 30∘and60∘ 30∘and60∘ . Also, in order to check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we repeated the all-sky observations five times at every six hours.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are strong (≥−20dBm) (≥−20dBm) interferences between 1.2 and 1.4GHz. Particularly strong interferences are observed at 1.271 and 1.281GHz, which have maximum powers of -0.34dBm and -0.56dBm, respectively. (2)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ferences do not depend strongly on directions, although the interferences are in general weak at high elevation and in east-west direction. (3) The interferences appear for a very short (≤0.01s) (≤0.01s) period of time, so that the average power is much smaller than the maximum power. Strong interferences with large (≤−49.0dBm) (≤−49.0dBm) average power have been observed at 1.271, 1.281, 1.339, and 1.576GHz. At these frequencies, the interferences appear repeatedly with a period of ≤0.1s ≤0.1s By analyzing the observed power, we find that, for the strongest 1.271GHz interference, the average intensity is −171dBW/m2/Hz −171dBW/m2/Hz and that the maximum intensity is −122dBW/m2/Hz −122dBW/m2/Hz . If this interference is delivered to the detector without any shielding, then its power would be much greater than the rms noise of a typical line spectrum.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hield all the parts of receiver carefully from radio interferences. Also, without appropriate shielding, the sensitivity of a receiver could be limited by the interference.
        4,000원
        333.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임해매립지에서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수목식재를 위한 합리적인 토양관리에 관한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토양조사는 시화매립지의 시흥공단에서 녹지조성 예정지를 중심으로 토지이용별 및 토심별로 실시되었다. 조사지역에서 개흙은 전기전도도와 치환성나트륨 백분율이 높은 염류알칼리성 토양 특징을 갖고있었다. 임해매립지에서 토양 pH 평균값은 7.8~5.7범위이었고, 주거/공단 완충녹지 토양에서 전기전도도와 치환성나트륨 백분율은 각각 3.76Sm-1와 35%로 조사지역 중에 가장 높았다. 토양 50cm 깊이에서 치환성 Na+의 평균함량은 1.76~2.80cmol+/kg으로 조사되었고, 치환성 Na+의 평균함량은 치환성 Ca2+보다는 낮았으나 치환성 Mg2+과 K+보다는 높았다. 토심별 염분농도는 50cm보다 100cm 깊이에서 높게 조사되었으며, 주거/공단 완충녹지는 전토심에서 염분농도가 수목에 영향을 주기에 충분할 정도로 높았다.
        4,000원
        336.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337.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39.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인이 섭취하는 식이섬유질원중 장내 균총의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탐색된 사과, 머위, 미역, 쑥을 건조분말화하여 식이섬유의 함량이 식이량의 5%와 15%가 되도록 첨가시켜 제조한 식이를 12개월된 노화쥐에 4주간 급여한 후, 이들의 대장내용물로부터 총균수와 주요 장내미생물의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노화쥐에서 4종류의 식이섬유질원을 섭취시킨 결과 총균수와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의 수는 각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으나 장내 우세균중 Peptococcaceae는 사과 5% 시험군이 타실험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은 경향을 보였고, Streptococcus는 쑥 15% 섭취군에서만 타실험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은 경향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쥐에게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보고되었던 Cl. perfringens가 노화가 진행된 흰쥐에게 나타났으며 Clostridium속균은 사과 5%에서 유의적으로 많은 경향을 보였다. 5% 식이섬유 첨가군이 15% 첨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은 경향을 보였다. Staphylococcus는 섬유질원이 첨가된 모든 실험군들이 셀룰로즈 첨가군보다 더 적은 경향을 보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실험에 사용된 실험군에서 쑥 15% 섭취군이 장내 균총 개선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식이섬유질원으로 판단된다.
        4,000원
        340.
        1998.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코발트 폴리사이드 게이트 전극을 형성할 때, 원주형(columnar)과 입자형(granular)다결정 Si 및 비정질 Si 기판위에 Co 단일막(Co monolayer)또는 Co/Ti 이중막(Co/Ti bilayer)을 사용하여 형성한 CoSi2의 열정안정을 비교하여 기판의 결정성과 CoSi/ sub 2/ 형성방법이 열적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900˚C에서 600초까지 급속열처리하였을 때 , 기판을 비정질을 사용하거나 기판에 관계없이 Co/Ti 이중막을 사용하면 열적안정성이 향상되었다, 이는 평탄하고 깨끗한 기판 Si표면과 지연된 Co확산으로 인해,조성이 균일하고 계면이 평탄한 CoSi2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CoSi2의 열적안정성에 가장 중요한 인자는 열처리 초기 처음 형성된 실리사이드의 조성 균일성과 기판과의 계면 평탄성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