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probiotic properties such as acid resistance, bile tolerance, intestinal adhesion and fat accumulation inhibi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develop probiotics effective anti-adipogenic effects. Among the 120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42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being to acid resistance, 35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being to bile resistance, and 24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being to both acid resistance and bile resistance were selected. These 24 types were tested for the intestinal adhesion ability which is an essential factor of probiotics’ function and L. rhamnosus GG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in this test. 10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having the intestinal adhesion ability were selected. The selected 10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treated in 3T3-L1 cells and intracellular fat was stained with Oil Red O reagent to measure fat accumulation. As a result, in the group tre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OS-15, 48, 102 and 120, fat accumul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non-treated group. And the strain OS-48 showed the greatest inhibitory effect on fat accumulation. The lactic acid bacterium OS-48 was identified as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by analysis based on 16S rRNA sequencing and was named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OS-48.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 plantarum OS-48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as probiotics with anti-obesity effect in the food industry such as fermented food and functional food.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differences in urban regeneration independently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and Seoul based on related laws and ordinances, and to draw out the implications of Korean urban regeneration’s direc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oul has constantly responded to the revis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Act by adjusting and specifying the contents of ordinances, and especially, there have been efforts to enhance regional characteristics suitably for the circumstances of Seoul. Second, in the urban regeneration of Seoul, the budgets including the matching ratio of national and local subsidies shall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the MOLIT in changing designating places after the selec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by the ministry, and this procedure and these implementation methods cause confusion to Seoul and local government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budgets and support methods of the “Gaggum Housing Project” of Seoul and “New Deal Housing Repair Project” of the MOLIT, which caused conflicts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project implementation and support standards, and the arbitrary interpretation of the guidelines. Although the urban regeneration greatly contributed to the revelation and conserv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it might be necessary to establish systems that can enhance citizens’ awareness and compensate the efficient contents needed for each region in the future.
목적: 이 연구는 다면적 관점을 적용하여 발레 분야에서의 라이프스킬 개념 구조를 탐색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 자는 총 35명이었으며 다면적 관점을 적용하기 위해 발레 전공 여학생 15명(Mage=17.13, SD=.74), 발레 지도자 10명(남성=2명, 여성=8명; Mage=52.20, SD=6.94), 그리고 발레 전공생의 어머니 10명(Mage=48.70, SD=2.05)으로 구분하였다. 사전 조사를 통해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질문지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라이프스킬의 개념 구조는 개인 차원과 대인 차원으로 분류하였다. 세 집단으로부터 도출된 결 과를 종합한 발레에서의 라이프스킬 개념 구조를 탐색한 결과, 개인 차원 라이프스킬에는 자기 관리하기, 자신감 갖기, 목표 설정하기, 자기이해하기, 긍정적 생각하기, 창의적 생각하기, 감정 조절하기, 스트레스 대처하기, 시간 관리하기, 그리고 문제 해결하기 등 10개 구성 요소가 포함되었다. 한편, 대인 차원 라이프스킬에는 협동하기, 공 감하기, 갈등 해결하기, 의사소통하기, 관계 맺기, 리더십 등 6개 구성 요소가 포함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발레 를 통해 습득 및 발달할 수 있는 라이프스킬을 다면적 접근 방법을 적용하여 발레에서의 개념 구조를 도출하였 으며, 이러한 결과는 발레를 통한 라이프스킬 교육프로그램 개발이나 평가 도구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에 따른 한국 학생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에 대한 태도를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총 6,32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급에 따라 AI에 대한 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적용하였다. 또한, 학교급, 성별, AI 직·간접 경험, AI 교육 경험, AI 관심, 프로그래밍 언어 경험, AI 활용 빈도에 따른 AI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급과 성별, AI의 직·간접적 경험, AI에 대한 관심, 프로그래밍 언어 경험은 AI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급이 높으며, 성별이 남성이며, AI의 직, 간접적 경험이 있으며, AI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블록과 텍스트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를 모두 경험한 학생일수록 AI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AI 교육 경험과 AI 활용 빈도는 AI에 대한 태도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 학생의 AI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요인을 학교급에 따라 분석하였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봄 식물계절지수와 기온지표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9년간(2010년-2018년) 대구수목원, 팔공산, 주왕산, 가야산에 공통적으로 생육하는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진달래, 생강나무, 당단풍나무 6종을 대상으로 발아, 개화, 개엽의 봄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 경향과 기온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기온의 변화는 9년동안 2월 보다 3~4월의 월평균 기온이 증가하였으며, 지역별로 수목원과 팔공산의 평균기온이 높았다. 발아, 개화, 개엽은 수종별로 생강나무가 가장 빠르며 소나무가 가장 느렸고, 지역별로 수목원에서 가장 빨리 식물 계절시기가 도래하였다. 봄 식물계절시기는 –1.267~-6.151일 /9년 정도 앞당겨지고 있는 경향을 보이는데 소나무(–6.151일/9 년)가 가장 크며, 진달래(–1.267일/9년)의 변화율이 가장 낮았다. 발아, 개화, 개엽에서 모두 유의한 값을 보이는 수종은 진달래와 소나무로서 이들은 1월~3월 평균기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봄 식물계절지수(SPI)의 시계열 변화를 확인한 결과 4개 지역의 변화율이 모두 음의 값으로 식물계절 시기가 모두 빨라지고 있었다. 그 중 수목원, 팔공산 및 가야산과 같은 내륙지역일수록 변화율이 컸으며, 다소 거리가 떨어진 주왕산의 경우 변화율이 조금 낮게 나타났다.
The HACCP evaluation standards for the meat packaging plant are divided into general scale HACCP evaluation standard and small scale HACCP evaluation standard. There are 69 evaluation items in the general scale HACCP evaluation criteria, of which 54 items in the prerequisite management and 15 items in the HACCP management are included. The number of small scale HACCP evaluation items are 20 and about 29% of the general scale HACCP evaluation items. This may not be enough to produce a safety livestock products for the purpose of implementing the HACCP system due to the nature of the meat packaging plant, which does not show much difference in the production process or method of product depending on the scale. To improve the small scale HACCP evaluation standard, the importance of each item was compared with the small scale HACCP evaluation based on the rate of non-compliance and the severity levels in the general scale HACCP evaluation items. As a result of the study, 8 items were derived from the prerequisites management, 2 items were derived from the HACCP management, and some similar evaluation items were grouped together. Finally, 10 items were added to the 20 items of the existing small scale HACCP evaluation items. In this study,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of domestic livestock products are continuously carried out,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safety livestock products to consumers and contributes to securing competitiveness of domestic livestock industry.
본 연구에서는 기존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 및 수밀성을 향상하기 위해 기존의 현장에서 사용하는 초속경 시멘트에 PVA 분말수지, 나일론 섬유를 혼입한 보수재료를 개발하고 개발된 보수재료로 보수된 흄관의 보수 후 휨거동 평가를 수행하였다. 주요 실험변수는 PVA 분말수지, 나일론 섬유 혼입률 및 손상유형이며, 성능 실험으로는 압축강도와 보수재료 후 휨거동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개발된 보수재료는 PVA 분말수지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모든 배합에서 보수재료의 요구 성능을 충분히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된 관 시험체들의 휨강도 실험결과, 나일론 섬유를 혼입하고 PVA분말을 적정량을 첨가하여야 보수재료의 성능이 최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시험체들의 휨거동은 다소 철근비가 작은 구조부재에서 나타나는 휨거동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의 흄관에 배근되는 철선량이 다소 부족함을 추정할 수 있었다. 즉, 철선의 배근량이 다소 적어 콘크리트와 철선의 거동이 극한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고 곧바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초과하여 파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폭발과 같은 극한 하중이 가해지는 콘크리트의 역학적 거동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극한 하중을 받는 콘크리트는 정적 하중을 받을 때보다 증가하며, 동적 강도와 정적강도의 비를 동적증가계수(Dynamic Increase Factor)로 나타낸다. 동적 증가계수는 지금까지 하나의 변수를 가지고 다루어져 왔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설계 및 분석에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에 동적 증가계수에 영향을 주는 여러 변수를 찾아 베이지안을 통해 분석하여 폭발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전기, 전자 및 화학 플랜트 혹은 반도체 공정 등에 사용한다면 피해가 줄어들 것이다.
이 연구는 압출성형으로 생산되고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HCS)의 휨 성능을 평가하고자 단면의 높이를 변수로 휨 실험을 수행하였다. HCS는 단면의 높이에 따라 총 2체를 제작하였으며, 1,000kN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4점 가력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HCS의 휨강도는 예측결과에 대한 실험결과의 비가 평균 1.01 ∼ 1.04를 나타내어 현행 설 계기준에서 요구되는 구조성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presents a 6-DOF relocalization using a 3D laser scanner and a monocular camera. A relocalization problem in robotics is to estimate pose of sensor when a robot revisits the area. A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is designed to regress 6-DOF sensor pose and trained using both RGB image and 3D point cloud information in end-to-end manner. We generate the new input that consists of RGB and range information. After training step, the relocalization system results in the pose of the sensor corresponding to each input when a new input is received. However, most of cases, mobile robot navigation system has successive sensor measurements. In order to improve the localization performance, the output of CNN is used for measurements of the particle filter that smooth the trajectory. We evaluate our relocalization method on real world datasets using a mobile robot platform.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균열은 수축, 수화열 및 외부하중 등에 의해 발생하는 불가피한 현상으로, 외부 유해인자를 콘크리트 내부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내구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최근 스스로 균열을 치유하는 자기치유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균열을 제어하여, 그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자기치유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VA 섬유를 혼입한 자기치유 모르타르를 제작하였다. PVA 섬유 혼입율에 따른 압축강도 및 휨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흡수율 실험을 통해 자기치유 성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시간에 따라 균열 폭의 감소로 흡수되는 수분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기치유 생성물 분석을 통해 PVA 섬유 혼입에 의해 탄산칼슘 침전이 더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IPA를 활용하여 학교현장 실습 전· 후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역량 중요도와 실행역량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4학년 106명(A대학 40명, B 대학 66명)이다. 이를 위해 교사역량 질문지를 사용하여 중요도와 실행역량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빈도분석과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유아와 직접적인 상호작용, 교육과정과 수업계획, 일과운영, 교사로서의 열정은 학교현장실습 전과 후, 중요도와 실행역량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 후에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한 계획, 교직윤리관 형성이 중요도와 실행역량을 높게 인식하였다. 유아관찰과 평가, 건강과 영양지도, 실습 후 교육활동 목표 내용 평가와 문서양식에 적합한 내용 기술, 지역사회 기관, 전문가와의 협력 역량은 개선과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방법, 평가결과 기록, 평가의 활용,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역량은 중요도와 실행역량 인식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실습전과 후에 모두 실행역량에 대한 인식이 높고 상대적인 중요도는 낮게 인식한 역량은 다양한 흥미영역 구성이었으며,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한 계획과 목표 유아흥미 개선이 포함된 마무리와 평가는 유지 또는 개선이 필요한 역량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원 양성 교육과정에서 학교현장실습 전 교육과 실습 후 어떠한 교육과 지원방안이 필요한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내진 성능 학보를 위해서는 신축이음장치가 지진력에 대하여 적절한 변형이 발생하여 신축이음장치의 파괴를 방지하여야 하는데 최근에 국내에서 신축이음장치의 핑거부에 힌지를 설치하여 교축방향의 지진력에 대한 변위 저항성을 확보한 신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가변형 핑거 조인트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실물규모의 교축직각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최대 수평변위는 기존 신축이음 실험체의 경우 약 21.1mm, 내진 신축이음 실험체의 경우 51.00mm로 나타났으며, 기존제품은 추가적으로 16.5mm의 솟음이 발생되었다. 기존 신축이음 실험체는 어느 정도의 교축직각 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저항한 후, 핑거의 휨 및 전단 변형이 과도하게 발생되며 파단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에 내진 신축이음 실험체의 경우, 교축 직각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하중에 대한 변형을 핑거의 힌지가 흡수하여 신축이음장치 및 상부구조에 응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다만 하중 작용방향으로의 수평 변형만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Background : Development of new real-time PCR diagnosis method for simultaneous diagnosis of Cylindrocarpon destructans and Fusarium solani, causative fungi of ginseng root rot disease. C. destructans and F. solani are known to be the major pathogens of ginseng root rot disease. Root rot caused by these pathogens is a disease that is difficult to control because the disease progresses slowly and it is difficult to diagnose early and even when symptoms of plant seeding are present, the disease is already spread in the roots. Diagnostic methods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ginseng roots rot fungi in soil before ginseng cultivation are currently being used as a method for controlling. However, commercialized soil extraction kits and PCR diagnostics have cost, diagnostic time, and single diagnostic problems, and need to develop new diagnostic methods.
Methods and Results : Primers and probes in the beta-tubulin 2 gene were designed for species-specific detection. In silico analysis, the detection rate of C. destructans was 100% and the detection rate of F. solani was 95%. The multiplex real time PCR optimization conditions including the internal control were established. The analytical sensitivity using positive samples was 10 copies/㎕ for C. destructans and 10 copies/㎕ for F. solani. As a result of performance comparison test with conventional PCR diagnosis method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multiplex real time PCR method has the same or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sensitivity. In the developed soil extraction kit, the extraction time was reduced and the extracted DNA quality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used soil extraction kit.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we expect that the developed C. destructans / F. solani multiplex real time PCR diagnosis method and soil extraction kit will be useful for real-time monitoring of ginseng root rot pathogenic fungi in the soil of ginseng cultivation area and diagnosis of suitability of ginseng cultivation area.
This paper presents the mechanical response of concrete composites subject to extreme loadings including blast. In general, the dynamic strength of the concrete was greater than the static strength of the concerete so the dynamic increase factor (DIF) was defined as a ratio of the dynamic strength to the static strength and greater than one. Since the DIF was a function of strain rate, it was hard to apply the DIF to the analysis and/or design of concrete. Therefore, the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