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87

        44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키위 ‘Halla Gold’, ‘Sweet Gold’ 및 ‘Enza Gold’ 품종에서 꽃가루 품종 및 희석 비율이 과실 품질 및 종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1. 화분관은 인공수분 2일 또는 3일 후에 밑씨에 도달하였는데, 그 양상은 꽃가루 품종과 희석 비율에 따라 차이가 있 었다. 화분관 신장은 ‘Halla Gold’와 ‘Sweet Gold’에는 ‘Bohwa’가 ‘Enza Gold’에는 ‘Chieftian’이 좋았으나 ‘Enza Gold’에서는 반대의 경향이었다. 중국산 꽃가루 희석 비율에 따른 화분관 신장은 20배 희석에서 다소 낮은 경향이었다. 2. ‘Hall Gold’, ‘Sweet Gold’ 및 ‘Enza Gold’에서 과중과 건물 률은 ‘Bohwa’로 수분했을 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종자 수에 있어서 ‘Halla Gold’와 ‘Sweet Gold’에서는 과중과 건물률과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Enaza Gold’에서는 반대의 경향을 나타냈다. 3. ‘Enza Gold’에서 중국산 수입 꽃가루 희석비율에 따른 과중 및 건물률은 1~10배에서는 큰 차이가 없이 높은 편이나 20배에서는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 종자 수 및 100립 중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4,000원
        444.
        201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형저서동물에서 우점하고 있는 갯지렁이류는 퇴적층의 유기물 섭취를 통하여 저질환경개선 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양식기술이 개발된 바위털갯지렁이를 이용하여 갯 벌 퇴적층의 유기물 제거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입자특성이 다른 세종류의 저질환경 (S1: 강사질, S2: 해사질, S3: 니사질)에서 해수 및 퇴적층의 TOC를 측정하였다. 바위털갯지렁이 는 세종류의 입자특성에서 모두 유기물 제거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입자가 클수록 제거율이 높 았다. 유기물 정화능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 바위털갯지렁이는 각 저질별로 강사질에서 3.9856 ppm g-1d-1, 해사질에서 2.8021 ppm g-1d-1, 그리고 니사질에서 28.1142 ppm g-1d-1의 제거능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바위털갯지렁이가 다양한 저질에서 유기물 제거에 기 여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4,000원
        453.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Quality changes in yakgwa (such as color, moisture contents, acid value, rheological properties, and viable cells) using different types of frying oils was examined for 5 weeks.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of all samples were increas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dness. After 5 weeks of storage, rice bran oil showed the least color differ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oisture contents of all samples except for grape seed oil, while the moisture contents of yakgwa fried with grape seed oil was decreased. The acid value in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regardless of the type of frying oil, and yakgwa fried with rice bran oil and grape seed oil showed a low acid value. The hardness was in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hardness between the samples. The adhesiveness and resilience were decreased and the chewiness was increased. The total cell count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as the storage period, and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in the total cell count between the samples. There was a high level of yeast and mold in comparison to total cell count, and the colony of bacteria was not detected.
        4,000원
        456.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사는 발전 플랜트, 오수처리장, 취수, 정수, 배수장, Oil Plant 등 국가 기간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전동 액추에이터를 제조하고 있다. A사가 각 수요처별로 각기 다른 기능을 필요로 하는 Order에 대응하여 제품을 생산하고자 기존의 A사가 적용하고 있는 생산방식인 라인로트생산방식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시장과 고객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셀 생산방식으로 변경을 통하여 생산유연화와 생산성향상을 이룰 수 있었다. 이러한 개선을 통하여 다변화하는 고객의 요구에 실시간으로 대응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생산성향상과 그에 따른 이익창출을 이뤄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A사의 생산 작업자의 업무 능력배양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일을 하는 재미와 이에 따른 보상의 기대치를 높일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457.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ressure-retarded osmosis (PRO) is one of the promising candidates to reduce the reliance on fossil fuels by harnessing energy from the salinity gradient between high-saline and low-saline water. Based on recent advances in the membrane technologies, PRO has re-emerged as a potentially viable energy option. However, several challenges still remain before PRO can reach the commercial stage. Within this contex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assess the techno-economic feasibility of PRO and PRO-hybrid processes. In particular, model-based performance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PRO-hybrid systems.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colloidal fouling on the performance of PRO process was further investigated.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ould help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PRO-hybrid processes thereby activate further development.
        458.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ven though chlorine dioxide (ClO2) is utilized in a pre-treatment due to its effective sterilizing activity for microorganisms and its safety for food, it has a limitation in maintaining freshness of the food product. In this study, a low-concentration ClO2 gas was produced in a packaging form of air-permeable gel pack so that it could be released continuously over several days. The amount of ClO2 gas emission and microbial inactivation effect against foodborne pathogens were measured during the release of ClO2 ga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of color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chlorine dioxide gas was eluted in the form of a sustained release, the yellow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at higher gel pack concentration and higher value during storage periods. The slow-released ClO2 gel-pack showed clear inactivation effect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with 99.9% inactivation efficiency.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terilization effect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gas, the sterilization effect wa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refore, the slow-released ClO2 gel-pack is feasible to apply for industry usages.
        4,000원
        459.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FMD)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는 발생 시 살처분 및 이동제한과 같은 방역조치로 인하여 막대한 사회적, 경제적 피해가 우려되는 제1종 가축전염병이다. FMD와 HPAI의 확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한데, 우리나라의 경우 축산차량의 빈번한 축산시설 방문과 고밀도 사육방식 등이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조류인플루엔자의 경우 야생조류 서식처까지의 거리가 확산 위험요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 역시 제기되고 있다. 축산차량의 방문목적별 방문빈도나 농가밀도와 같은 요인들이 질병발생 및 확산에 미치는 영향력 수준은 지역별로 공간적 편차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병원성 가축질병 발생빈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요인들의 지역별 영향력 수준을 가늠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발생한 구제역 및 조류인플루엔자를 대상으로 공간가중회귀모형(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을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가축질병 발생과 관련된 요인들은 그 영향력에 있어서 뚜렷한 지역적 편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지역별 상황을 반영한 정교한 방역정책 수립 및 지원을 위한 기초정보로 써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200원
        460.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NaCl 농도가 수리취의 무기이온 함량, 효소활성, 광합성 반응 및 생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NaCl 농도는 4가지 처리로 조절하였다(0, 50mM, 100mM, 200mM). NaCl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최대광합성속도, 순양자수율, 탄소고정효율과 같은 광합성 활성이 감소하 였으나 수분이용효율은 증가하였다. 또한 엽면적, 엽건중, 엽면적비, 줄기길이 및 T/R율이 감소하였는 데 특히 100mM NaCl 농도조건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염분스트레스 처리시 이온유출량, H2O2 함량 및 지질과산화(MDA)가 증가하여 세포막의 피해가 커졌으나 염분스트레스에 대응하기 위해 삼투조절물질인 proline 함량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소거하기 위해 APX와 GR의 활성 역시 증가하였다. NaCl 농도가 증가할수록 엽과 뿌리의 Na 함량도 증가하였으나, Ca, K 및 Mg 함량은 이와 반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수리취는 비교적 염분 스트레스에 민감한 식물로 특히 NaCl 100mM에서 산화피해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