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주목적은 최근 국내 아스팔트 교면포장의 가장 빈번한 파손의 하나인 포트홀의 발생을 저감하기 위해 포장체내에 체류된 수분을 신속히 배수할 수 있는 배수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수시스템은 방수층과 포장층 사이에 2~3cm의 두께로 박층의 배수층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방수층의 내구성 확보와 골재 최대입경 10mm이하의 배수성 혼합물을 박층으로 시공하는 기술이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NCAT 배합설계법을 바탕으로 10mm 이하 배수성 혼합물을 개발하였고, 다양한 실내시험을 통하여 배수성 혼합물이 모든 품질기준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방수층의 경우 MMA(Methyl Methacrylate)계 방수제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저온 휨 시험, 접착인장강도 시험 등의 시험을 실시하였고 모든 물성이 기준을 만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배수시스템의 현장시공성 및 공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속도로의 1개소 교량에 시험시공을 실시하였다. 시공후 각 포장층 재료에 대한 품질확인 시험결과 모두 기준을 만족하였고 체류수가 원활히 배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국내에서는 교면포장의 파손에 따른 교량 바닥판의 열화 및 운전자 안정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기존 아스팔트 재료는 교량에서 발생하는 열악한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교량 바닥판을 보호하고 상대적으로 큰 처짐에 대하여 장기간 견딜 수 있는, 피로저항성이 우수한 고내구성 교면포장 아스팔트 혼합물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SBS 첨가물과 첨가제를 사용하여 생산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고 피로균열저항성이 뛰어난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바인더를 개발하였다. 새로운 아스팔트 바인더는 회전점도시험 (RV test), 인화점시험 (Flash point test), 동적전단시험(DSR test), 저온빔시험(BBR test) 등을 통하여 PG 70-34의 공용등급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아스팔트 바인더를 사용한 혼합물의 공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피로시험, 휠트래킹시험, 수분손상시험 등을 실시하였으며 실물크기의 윤하중시험을 통하여 소성변형 저항성 및 피로균열 저항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실내공용성 시험을 통하여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혼합물이 SBS 개질 혼합물에 비하여 3배 이상의 피로수명을 가졌다. 또한, 윤하중시험에서도 소성흐름이 발생하지 않았고, 피로균열은 250,000회 이상을 재하하여도 PG 64-22 혼합물의 38% 밖에 나타나지 않았다.
Teshima has been a quiet and beautiful island, but started to be imaged as an "island of wastes" because of the 600,000 tons of industrial wastes thrown there illegally. Now it symbolizes the problem of industrial wastes in Japan. Teshima development company, an industrial waste disposer, started to dispose industrial wastes illegally in the west side of the island, since the late 1970s. Hyogo Police Station exposed this illegal act, and arrested 6 persons of the company, including its president, in charge of having violated the Waste Disposal and Public Cleansing Law in 1991. This illegal disposition has continued for 13years until it was exposed by the police. Teshima case of industrial waste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여러 가지 원거리 사위 측정법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각각의 방법으로 측정한 사위도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대학생 48명을 대상으로 Von Graefe와 Maddox Rod 측정법은 순방향 및 역방향 측정법으로, Modified Thorington 및 Howell card 측정법은 연속 출현법 및 순간 출현법으로 Test와 Re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8가지 사위 측정법에 의한 Test와 Retest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Von Graefe측정법이 다른 측정법보다 반복 능력이 낮고, Howell 측정법이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Von Graefe법과 Maddox Rod법 모두 순방향 측정값과 역방향 측정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Modified Thorington법과 Howell법 모두 순간 출현법보다 연속 출현법에서 외사위가 높게 측정되는 경향을 보였다(p=0.000 및 p=0.009). 각각의 사위 측정법에서 두 가지 다른 조건으로 측정한 사위도의 편차 범위를 분석한 결과 프리즘을 사용하여 사위를 측정하는 Von Graefe와 Maddox Rod 측정법은 Von Graefe법(0.87△)이 Maddox Rod법(0.54△)보다 약간 크게 검출되었고(p=0.004) 눈금을 이용하여 사위를 측정하는 방법은 Modified Thorington법(0.86△)보다 Howell법(0.92△)의 편차범위가 더 컸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485). 5m에서 측정한 사위도는 Von Graefe법이 Maddox Rod법보다 외사위가 0.40△ 더 높게 측정되었으나 유의성이 없었고(p=0.191), 3m에서 측정한 사위도는 Modified Thorington법이 Howell법보다 외사위가 0.41△ 더 높게 측정되었다(p=0.003). 이상으로부터 본 연구결과는 여러 가지 사위 측정법의 신뢰도를 분석하거나, 임상에서 검출한 사위량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판단하는데 참고할 만한 자료로 활용되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인간 난관액 또는 자궁액 내에 존재하는 에너지원이 생쥐 2-세포기 배의 체외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ICR 암 생쥐에 5 IU hCG 주사 후 46~50시간에 2-세포기 배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배는 3가지 배양 조건 [대조군: 0 mM, Group A: glucose(G) 0.5 mM + pyruvate(P) 0.32 mM + lactate(L) 10.5 mM, Group B: G 3.15 mM + P 0.1 mM + L 5.83 mM]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24 시간에 상실배 출현율은 group A (72.3%)와 group B (56.6%)가 대조군(34.9%)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48시간에 배반포기 배 출현율은 대조군(51.8%)이 group A (39.8%)와 group B (28.9%)보다 유의하게 (p<0.05) 높았다. 72시간에 투명대 부착 (ZiB, 41.0~51.8%), 투명대 탈출 (ZeB, 18.1~32.5%) 및 총 배반포기 배 출현율 (68.7~73.5%)은 실험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배반포기 배의 평균 세포수와 ICM 세포수는 group A (70.8, 13.4)와 group B (64.4, 11.8)가 대조군 (53.1, 5.7)보다 유의하게(p<0.05) 많았고,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으나 group A가 group B보다 많은 경향이었다. 총 세포수에 대한 ICM 비율은 group A(22.9%)와 group B(23.7%)가 대조군(14.2%)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다. 영양배엽(TE) 세포수(34.1~45.1)는 실험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ICM에 대한 TE 비율(ICM:TE ratio)은 대조군(1:6.0)이 group A(1:3.4)나 group B(1:3.4)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다. 생쥐 2-세포기 배를 배양하여 72시간까지의 배 발달율을 살펴보면 배양액에 에너지원을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자궁액 농도보다는 난관액 농도로 에너지원을 조절했을 때 배 발생 능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돼지 혼합액상 정액을 17 정액 보관고에 보관하면서 보관일수의 증가가 따라 정자의 운동성, 정액 내 세균의 증식 여부 및 체외 수정란 생산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정자의 운동성은 1일 (78.72.4%)에 비하여 3일(78.72.4%)과 5일째(64.82.4%)는 유의적으로(p<0.05) 낮은 운동성을 나타내었다. 보관일수에 따른 정액 내 세균수의 변화는 보관 5일이 Cfu로 0일과 3일의 Cfu와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