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volution of sinterability,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for the spark plasma sintered(SPS) Ti from commercial pure titanium(CP-Ti) was studied. The densification of titanium with 200 mesh and 400 mesh pass powder was achieved by SPS at under 10 MPa pressure and the flowing +Ar mixed gas atmosphere. The microstructure of Ti sintered up to consisted of equiaxed grains. In contrast, the growth of large elongated grains was shown in sintered bodies at with the 400 mesh pass powder and the lamella grains microstructure had been developed by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The Vickers hardness of 240~270 HV and biaxial strength of 320~340 MPa were found for the specimen prepared at .
In an attempt to optimize the magnetic properties of (Nd, Dy)-Fe-B sintered magnets, hydrogenation and post-sintering heat treatment processes were investigated at various hydrogenation temperatures and heat treatment temperatures. The coercivity of (Nd, Dy)-Fe-B sintered magnets hydrogenated at increased to about 1.2 kOe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 on the remanence. Moreover, the coercivity of the magnets was enhanced further by a consecutive and step heat treatment. These results eventually leaded to the reduction of the Dy content in a high coercive (> 30 kOe) (Nd, Dy)-Fe-B sintered magnets, as much as 10%.
배 주요해충인 꼬마배나무이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배나무 단과지에 월동 성충이 이동시기인 2월 하순~3월 상순, 5월 중순 및 7월 상순에 기계유유제와 살 충제를 혼용하여 방제효과를 비교하였다. 월동성충 이동시기에 기계유유제와 살 충제 혼용살포는 혼합약종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었으며 처리 7일후 살충율이 약 92~95.6%를 보였고, 살충제만 처리하였을 경우는 약 30~65%, 기계유유제만 살포한 경우는 살충제와 혼용하여 살포하는 것과 유사한 95.9%를 보였다. 5월 중 순과 7월 상순에 기계유제 200배와 디노테퓨란수화제 추천농도, 100배와 디노테 퓨란수화제 추천농도를 혼용 처리한 결과, 5월 중순 처리 10일후 기계유제 농도에 따라 각각 살충율이 93.8%, 95.0%를 보였고, 7월 상순에는 각각 90.6%, 80.8%를 보였다. 기계유제 200배, 100배를 5월 중순 살포시 처리 10일 후에 91.7%, 93.3%, 7월 상순에는 83.2%, 76.0%를 보여 7월 상순 방제 효과가 다소 낮았는데, 이는 꼬 마배나무이가 배설물인 감로에 덮여 생활하는 생태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 된다. 더불어 배나무 잎이 있는 상태에서 기계유제 살포는 약해가 발생될 수 있고 광합성 효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추후 보다 정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2010년에 사과 주산지인 장수지역에서 19개 사과원을 포함한 인접 25개 지점과 거창지역에서 9개 사과원을 포함한 인접 19개 지점에 발생예찰용 성페로몬 트랩 을 설치하고 복숭아순나방은 4~10월, 복숭아심식나방은 5월하순~9월에 유살되 는 수컷 성충의 수를 조사하였다. 복숭아순나방 발생시기는 장수지역에서 해발 300m지대는 4월중순, 500-700m지대는 4월하순에, 거창지역에서 4월중순에 최초 발생하였고, 제1세대는 5월상중순, 제2세대는 6월하순-7월상순, 제3세대는 8월상 중순, 제4세대는 9월중하순이 발생피크기였으며, 9월하순-10월상순에 최종발생 하였다. 복숭아심식나방 발생시기는 장수지역에서 해발 300m지대는 6월중순, 700m지대는 6월하순에, 거창지역에서 6월상중순에 최초발생하였고, 제1세대는 7 월상순경, 제2세대는 8월중하순이 발생피크기였으며, 9월하순에 최종발생하였다. 복숭아순나방 연간발생량은 사과원별로 차이가 많아서 장수는 24~1,085마리, 거 창은 163~1,134마리였고, 복숭아심식나방도 장수는 8~383마리, 거창은 3~ 529마리였다. 발생량 차이는 장수지역의 경우 사과원 관리 및 주변환경 영향이 커 서 무농약 인증 사과원 > 자두․복숭아 과원 및 인근 사과원 > 집단재배 사과원 > 독 립 사과원 순이었고, 거창지역은 읍면별로 차이가 많았는데 거창읍 > 남상면․남하 면 > 고제면 순이었다.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halys Stal))는 노린재목(Hemiptera) 노린재과 (Pentatomidae)의 곤충으로서 감귤을 비롯해 감, 복숭아등 과수와 콩과식물을 가 해하는 작물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썩덩나무노린재 방제약제선발, 유 인물질 연구 등에 이용하고자 실내 개체군을 수립하였으며 산란행동을 구명하였 다. 2009년 10월~11월 제주시 유기농 감귤원에서 채집한 약 20마리 썩덩나무노린 재 성충을 초기 개체군으로 시작하였다. 아크릴 케이지(크기 110×70×55cm)에 자 율적으로 먹이에 접근하도록 하였고 최대한 인위적인 노력이 투입되지 않도록 관 리하였다. 산란재료 및 수분공급을 위한 식물재료로 칼랑코에 및 페페(소형 포트 20개)를 제공하였다. 주먹이로는 검은콩 및 생땅콩을 충분히 제공하였고, 사육실 온도 25±1℃, 상대습도 40~70%, 광 16L:8D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초기 개체군이 효과적으로 정착하여 규모화 된 실내 개체군(2010년 9월 현재)을 유지 시킬 수 있었다. 교미행동 관찰결과 수컷이 더듬이 및 머리 앞부분을 이용 뒤쪽에서 암컷의 복부 끝을 두드리고, 이 때 암컷이 교미를 수락하는 경우 복 부 끝을 들어 올리게 되며, 그러면 수컷이 돌아서서 교미에 성공하였다. 산란은 적 게는 13개에서 많게는 39개까지 무더기로 알을 낳았고, 난괴 당 평균 알 수는 28.5 개 이었다. 알을 낳는데 걸리는 시간은 1개의 알을 낳는데 2분 27초에서 2분 32초 사이가 걸렸고, 총 산란시간은 1시간 18분에서 21분까지 소요되었다.
보행보조로봇은 고령화 사회에 노인 복지 및 중증 신경계 손상을 입은 환자에게 이동을 도울 수 있는 반드시 필요한 장비이다. 특히, 하지 마비 환자를 위한 보행보조로봇의 편리성을 위해서는 환자의 보행 의도를 내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환자 의지에 따라 로봇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보행 의도 감지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 먼저 저항 센서와 기울기 센서의 융합을 통하여 3족 보행 모델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보행 의도를 분석하였다. 저항 센서는 사용자의 양쪽 손바닥과 발바닥에 각각 부착되어, 부착된 위치의 압력을 센싱하였다. 양쪽 손바닥의 신호는 보행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발바닥의 신호는 보행 단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기울기 센서는 몸의 움직임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사용자의 등 부분, 요추에 부착되어 상체의 움직임(roll, pitch)을 센싱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자가 지팡이를 바닥에 짚을 때 양 손바닥에서 측정되는 2개의 저항 신호만으로 기본적인 보행 의도를 파악할 수 있었으나, 기울기 센서 정보를 함께 이용함으로써 오른발 뻗기, 왼발 뻗기 등의 움직임을 시작하려는 상태 등에 대한 보행 의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저항센서와 기울기 센서의 융합에 기반한 사용자의 보행 의도를 감지할 수 있었다.
Mushrooms(Pleurotus ostreatus, Agaricus bisporus and Flammulina velutipes) are popular food sources in Korea, and have been reported as therapeutic foods, useful for preventing various diseases. In this study we researched HPLC conditions for the determination of nucleic acids in extracts of the three type of mushrooms. The method for nucleic acids analysis of mushrooms was developed using HPLC with UV detection. To determine the nucleic acids, mushroom extracts were extracted in hot water at 90℃ by reflux extraction for 1 hr. Then, the extracts were hydrolyzed by enzymes RP-1G and 50000G. The HPLC conditions were simple, rapid, and sensitive, and were applicable for the analysis of 4 nucleosides (cytidine, uridine, guanosine and inosine) and 3 mono-nucleotides(5`-CMP, 5`-UMP, and 5`-IMP) in the mushrooms. The nucleic acids in the mushrooms were cytidine, guanosine, inosine, uridine, 5`-CMP, 5`-IMP, and 5`-UMP. The analysis results for total nucleic acids in the mushroom extracts(Pleurotus ostreatus, Agaricus bisporus, and Flammulina velutipes) indicated levels of 25.28, 27.75, and 19.87㎎/g,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s method can be used successfully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nucleic acids in Pleurotus ostreatus, Agaricus bisporus, and Flammulina velutipes.
Government evaluate annually a performance of government's R&D(Research & Development) and decide a budget and progress. So, a performance target setting of R&D is very important at the planning, The basic performance target setting of railroad R&D is clear. However, a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target setting of railroad R&D is very difficult and a reasonable level of it can not be judged. Therefore, this study will suggest a solution for a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target setting of railroad R&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f successfully finished railroad R&D, after judging a reasonability of a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through comparing railroad R&D with the other R&D.
뱀딸기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항암활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뱀딸기(D. chrysantha) 부위별 항산화활성을 비교해본 결과 전초 > 지상부 > 열매의 순으로 전초가 Ascorbic acid(34.72μg/ml)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열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항염활성은 전초 > 지상부 > 열매의 순으로 항산화활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항암활성은 인체 자궁경부암세포 HeLa에 대해서 열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초는 낮게 나타났다. 간암세포 SKHep1에 대해서 지상부와 전초가 비슷한 활성으로 열매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oxocara (T.) canis, round worm of dogs and cats, is probably the most common gastrointestinal helminthes of domestic canid and is ascarid nematodes in the order Ascaridida, family Toxocaridae. The prevalence of patent toxocariasis is highest in the young dogs and much less common in adult dogs. There are few reports on the status of T. canis prevalence of dogs in Korea. Few cases of human visceral larva migrans also reported in Korea. However, as far as we know, there is no report on the canine toxocariasis case determined by pathological findings in Korea until now. In this research, we diagnosed canine toxocariasis by fecal egg test and pathologic findings in 2-month old two Pointer dogs. Typical T. canis eggs were detected in the fecal test. Numerous adult ascarids in the lumen of small intestine and stomach in one dog and multifocal white necrotic lesions in lung, liver, and kidney in another dog were observed grossly. Histologically, multifocal necrosis, eosinophilic inflammation and intralesional ascarid larva were prominent findings in the lung, liver and kidney.
한국의 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분양받은 40점과 국내에서 수집되어진 28점을 포함한 총 68점의 아주까리 유전자원에 대한 종실특성과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구명하고, 그 상호관계를 파악하여 육종 및 재배기술의 기초자료로 이용고자 수행하였으며 요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실 100립중의 평균은 26.6 g이었으며, 그 범위는 최소 20.1 g부터 최대 37.1 g이었다. 종실 1 l중의 평균은 481.1 g이었으며, 범위는 407.2~531 g이었다.
2. 종실길이의 평균은 12.3 mm이었으며, 범위는 10.1~14.9mm이었고, 종실넓이는 평균 5.7 mm이었으며, 범위는 4.8~6.4mm이었다.
3. 유전자원의 지방함량의 평균은 47.8%이었으며, 그 범위는 최소 41.6%에서 최대 57.2%이었고, 지방함량이 50%이상인 자원은 6종으로서 IT032142, IT104010, IT104993, IT162783, CCB056 및 CCB057이었다.
4.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16:0)와 stearic acid(18:0)의 함량의 범위는 각각 0.9~1.8%와 1.0~2.1%이었다.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18:1)의 함량의 범위는 3.6~6.5%이었고, linoleic(18:2) 및 linolenic acid(18:3) 함량의 범위는 각각 4.7~7.3% 및 0.5~1.2%이었다. Ricinoleic acid(18:1-OH) 함량의 평균은 86.2%로 아주까리의 지방산에 있어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범위는 82.5~88.7%이었다.
5. 종실의 지방함량,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및 linolenic acid는 ricinoleic acid 및 불포화지방산과는 부의상관, 포화지방산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ricinoleic acid는 포화지방산과는 부의 상관, 불포화지방산과는 정의 상관이었고,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과는 부의 상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