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64

        5562.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5563.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에서 느타리버섯류는 가장 많이 재배되는 버섯 이다. 생산량으로는 크게 느타리, 큰느타리(새송이)로 구 분된다. 2005년 현재 버섯 총 생산량은 21만 톤이며 느타 리는 28.2%, 큰느타리는 21.4% 생산되어 거의 50%를 차지한다. 느타리버섯류는 다양한 종으로 여러 가지 자실 체 색깔을 가진다. 느타리종 자실체 갓은 일반적으로 회색 을 나타낸다. 최근 노랑느타리, 분홍느타리를 비롯하여 갓 색깔이 갈색, 백색, 흑색, 청색느타리가 개발되거나 개발 중이다. 느타리 회색계통 ASI 2194와 ASI 2487을 계통 간 균사접합으로 계통간 교잡체를 56개를 얻었다. 이들 대부분은 모균주와 동일하거니 유사한 자실체 색깔을 나 타내었다. 하지만 이 중에서 품종 '청'은 아주 균일한 청색 을 나타내었다. 어린 자실체는 진한 청색이며 성숙할수록 색깔이 옅어진다. 이 품종의 균사생장은 25∼30℃에서 양호하였고, 자실체 생장은 12∼16℃에서 양호하였다. 이 품종은 현재 품종보호출원 중이며, 일부 농가에서 확대 재배 시험 중이다. 이러한 다양한 빛깔의 느타리버섯류는 아직 소비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아 대량 소비처가 없다. 따 라서 학습농장, 버섯테마 농장, 주말농장, 음식점을 겸한 농장에 재배 활용하기를 권하고 싶다.
        5564.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에서 느타리버섯류는 가장 많이 재배되는 버섯 이다. 크게 느타리, 큰느타리(새송이)로 구분된다. 2005년 현재 버섯 총 생산량은 21만여 톤이며 느타리는 28.2%, 큰느타리는 21.4% 생산되어 거의 50%를 차지한다. 느타리는 버섯 생육 시 산소공급을 위하여 환기가 필수적 이므 로 재배사내에서 외부기온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따라서 계절에 따라 알맞은 품종을 선택하여야 에너지 절감과 생 산량을 높일 수 있다. 최근까지 보급된 느타리버섯류 77 개 품종을 계절별로 상자재배 하여 온도 적응성에 대한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봄∼여름 재배 시 높은 온도(16 이상)에 적응성이 강한 품종(내서성이 강함) 으로는 사철느타리종, 여름느타리 종, 분홍느타리종의 8개 품종들이 속하였다. 봄∼여름 재 배 시 높은 온도에 적응성이 다소 강한 품종(내서성이 다 소 강함)으로는 느타리종 51개 품종으로 나타났다. 춘추2 호는 수량성이 아주 높지만 균상재배에서 16 이상 처리 되면 자실체 발생이 급격이 줄어들면서 곧 전혀 발생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가을∼겨울 재배 시 낮은 온도(11 이 하)에 적응성이 다소 강한 품종으로는 느타리종 64품종 으로 나타났다. 원형느타리는 봄재배보다는 겨울재배에 적응성이 높았다. 원형느타리는 낮은 온도에서 자실체가 발생은 되지만 저온이 지속되면 대가 항아리처럼 굵어지 면서 짧아진다. 원형느타리는 폐면보다는 볏짚배지 재배 에서 다발성이 더 크게 형성된다. 사계절 재배 시 적응성 이 다소 강한 품종으로는 49개 품종으로 나타났다. 이 중 에서도 적응성이 높은 품종으로는 김제8호, 김제9호, 김 제10호, 부평복회, 부평흑단4호, 삼구5호, 삼구8호, 삼구 9호, 삼구황학, 수한, 신농12호, 왕흑평, 장안2호, 장안3 호, 장안5호, 장안7호, 치악5호, 치악7호, 한라1호 등이다. 큰느타리, 아위느타리, 전복느타리종은 균사생장이 느려 오염이 심하여 상자재배에서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러한 품종 특성 구명은 품종의 계절별 올바른 선택으 로 에너지 절감과 생산성 향상에 의한 농가소득에 기여할 것이며, 나아가 농가와 종균배양소간의 분쟁해소, 품종육 성자의 개발 품종에 대한 상대적 위치, 육종모본 선택, 농 가지도 사업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5565.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업과학기술원 응용미생물과에서 수집 보존 중 인 Paxillus curtisii 등 45속 71종의 총 71균주에 대해 육종 모본으로서의 가치를 탐색하였다. 우선 이들의 자실체의 발생 유무와 특성을 조사하기위하여 톱밥배지를 사용한 병재배를 통하여 자실체 형성을 유도 하였다. 이 중 Panus rudis(참버섯), Hericium coralloides (산호침버 섯), Coprinus verrucispermus, Collybia erythropus, Pycnoporus coccineus (간버섯), Oudemansiella mucida (끈적긴뿌리버섯) 등의 자실체 발생이 좋았으며 Gymnopilus spectabilis (갈황색 미치광이 버섯) 같은 독 버섯도 발생이 용이하였다. 또한, 이들이 분해력을 검정하 기위하여 Poly-R 시약을 이용한 간이 검정을 실시한 결 과, Criolus hirusutum가 분해력이 가장 우수하였다. Laccase 효소 활성도는 Mycena rorida, Xeromphalina cauticinalis가 가장 높았으며 Criolus hirusutum도 높은 활성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자실체발생이 용이한 Hericium coralloides, Oudemansiella mucida 등은 식용 버섯의 육종 모본으로, 난분해성 간이검정 효과결과에서 보면 Criolus hirusutum, Mycena rorida, Xeromphalina cauticinalis, Criolus hirusutum 등은 생물정화분야에 좋 은 자원이 적용되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566.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흰목이버섯 균주와 공생균을 수집하고 ITS 5.8S rDNA sequencing을 하여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였다. Gene Bank Data homology search 결과 분리된 균의 rDNA 서 열이 이 Tremella fuciformis AF042409의 rDNA 서열 과 99%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함께 분리 된 공생균은 같은 방법으로 Annulohhypoxylon stygium 으로 확인하였다. 분리된 T. fuciformis KG 103과 A. stygium KG 201 균주는 PD배지에서 각각 14 ㎜/14 days과 85 ㎜/14 days의 균사생육을 나타내었다. T. fuciformis KG 103 균주의 생육최적온도는 25℃ (14mm/14days) 이었으며, 35℃이상 고온과 15 이하 저 온에서 균사 생장이 억제되었다. A. stygium KG 201은 흰목이버섯균과 유사한 최적온도를 나타내었다. T. fuciformis KG 103 균의 생육 최적 pH는 5.0이었으며, A. stygium KG 201도 pH 5.0에서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다. 흰목이버섯 종균용 최적 배지로 참나무톱밥 77.5%, 미 강 20%, 석고 1.5%, 황백당 1% 가 선정되었다. T. fuciformis KG 103과 A. stygium KG 201혼합 종균을 제조하고 흰목이버섯 자실체생산을 위한 병속재배 방법 을 확립하였다. 콘코브(Corn cob) (77%와 52%)가 사용 한 재료 중 최적의 자실체 성장률을 나타냈으며, 콘코브 함량을 줄일수록 생육이 저조하였다. 면실박과 참나무톱 밥은 단독 사용시 생육이 저조하였고, 콘코브를 첨가시 수 율이 증대되었다. 최적수분농도는 55%로 결정되었다 .
        5567.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의 건물의 동향을 보면 아름다움을 강조하여 비틀리고, 경사지고, 테이퍼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건물에 대응하는 구조시스템으로 대형 대각가새 구조시스템이 등장하였다. 이 구조시스템은 건축적인 요구사항을 만족하면서 구조물량 절감의 가능성이 있지만 다수의 부재가 만나는 접합부에 대한 구조성능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형 단면을 이용한 대형 대각가새 구조시스템의 접합부에 대한 단조가력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하중 및 변형능력을 평가하였다. 주요 변수로는 부위별로 용접방법 및 웨브의 이음길이를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완전용입용접에 대하여 국부적으로 부분용입용접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해 보면 구조성능에는 차이가 없었고, 웨브의 중첩길이는 웨브사이 이격거리에 100%에 해당하는 길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5568.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양송이 단위면적당 생산성의 감소원인을 재배 품종의 퇴 화로 판단하여 품종을 대체하였으나, 생산성은 증가되지 되지 않았다. 그래서 그 원인을 배지재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 상호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현장 조사와 시 험을 수행하였다. 양송이 재배농가의 입상시 퇴비량은 표준입상량 120∼ 150kg/3.3㎡보다 작은 100∼120kg/3.3㎡으로 배지 두 께가 기존보다 30∼40% 정도 감소된 것으로보였다. 입 상전 양송이퇴비의 질소함량은 최고 1.81%, 최저 1.37% 로 1농가를 제외하고 표준 전질소 함량 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현상은 근본적으로 첨가제량이 적거나, 인건비를 절감하기위하여 모든 첨가제를 볏짚더미 위에 올려놓고 포크레인으로 혼합하는 과정에서 볏짚배지에 고르게 혼합되지 않고 바닥으로 떨어져 질소함량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며, 농가에 따라서는 전질소 함량이 반복 간 에 편차가 ± 0.4%로 매우 심한 경우도 있었다. 전탄소 함량 역시 31.4∼42.0%로 농가간 그 편차가 심하였다. 질소함량별 및 배지량별 농가현장 시험에서는 배지조합 시 질소원 수준이 1.5%, 배지량은 150kg에서 수량이 가 장 높았으며, 3주기에 연부병의 발생으로 높은 수량을 얻 지 못하였다. 이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배지에 따라 생산 성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5569.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양송이 단위면적당 생산성의 감소원인이 병해충의 발생 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 상호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병해충발생 및 미생물 밀도를 조사하였다. 재배농가에서 주로 발생하는 병해는 먹물버섯과 연부병 의 발생이 가장 심하였으며, 그 외에 푸른곰팡이병, 부패 병, 갈반병, 찻잔버섯, 세균성갈반병 등 다양한 병해가 발 생하고 있으며, 기존의 발생병해인 마이코곤 및 괴균병 등 과는 다른 발생양상을 보이고 있다. 해충으로는 버섯파리 와 응애가 발생하였고 특히 버섯파리는 계절에 관계없이 다발생하고 있으며, 그 피해가 심각하다. 재배사 공기중 미생물 밀도조사에서는 대조구인 해안가의 세균밀도는 1.3cfu/100ℓ, 곰팡이는 0cfu/100ℓ으로 매우 낮으나, 재배사 내부의 세균과 곰팡이는 135.7cfu/100ℓ, 285.0cfu/100, 외부는 53.0cfu/100ℓ, 83.0cfu/100으로 세균보다 곰팡이 밀도가 더 높았다. 재배사내의 곰팡이 밀도가 높은 것은 병발생 퇴비, 복토 및 자실체의 방치, 재 배사 바닥 곰팡이 발생, 냉풍유도 터널 바닥 및 환풍기의 오염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이들의 방역을 위해서는 위해 성이 낮은 살균 소독제의 선발이 시급하다. 소독약제로는 재배사 공기중 분리세균을 대상으로 0.005% 처리에서도 저지원을 나타내는 벤잘코늄액이 살 균효과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5570.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ombination ratio of oyster mushroom cultivation supplements have used poplar sawdust(PS) 50% : beet pulp(BP) 30% : cotton seed(CS) 20%. we substituted cotton seed and beet pulp for dry wastes(DW) 10, 20. 30% respectively. In case of mixing DW 10% except from CS, mycelial growth was inhibited a little, but mycelial density was accelerated a little. The more DW contents increase, the more mycelial growth was inhibited, but mycelial growth was accelerated a little, respectively. In case of mixing DW except from CS, mycelial growth was inhibited a little bit. In case of mixing DW except from CS and BP, mycelial growth was inhibited remarkably. CHUNCHU variety developed resistance to DW than SUHAN variety.
        5571.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잣버섯(Lentinus lepideus)은 분류학적으로 느타리과 (Pleurotaceae) 잣버섯속(Lentinus)에 속하며, 이른여름 부터 가을에 걸쳐 침엽수의 그루터기, 고목, 생나무에 단생 또는 속생하는 목재갈색부후균으로 전세계적으로 분포하 는 버섯이다. 야생에서의 형태적 특성을 보면, 갓크기는 5∼15㎝로 처음에는 평반구형이나 차차 편평형이 되고 표면은 백색에서 담황갈색이며 황갈색의 인피가 있다. 주 름은 홈형이며 약간 빽빽하고 백색을 띤다(박, 1996). 한 편, 잣버섯은 항암성분인 lentinan과 lepidan을 함유하고 있어 항종암 항바이러스, 면역증강 또는 조혈, 혈압강화 등 의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었다(진 등, 1999). 이에 국내 및 국외로부터 35개의 균주를 수집하여 유전적 분석을 통하여 10 균주를 선발하여 균사배양에 적합한 온 도, 배지, 영양원 등을 분석하여 대량생산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균사배양에 적합한 배양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감자추 출배지(PDA) 등 5종의 배지중에서 균사 생장량을 조사 한 결과, 고체배지에서는 PDA와 MCM(완전배지)에서 균 사생장길이가 길었으나 균사 생체중과 건조중은 GPYM 배지(글루코스1%, 펩톤1%, 효모추출물1%, 맥아추출물 1.5%)에서 우수하였다. 균사배양에 적합한 온도는 26∼29℃ 범위로 중고온성을 나타내었으며, 10개의 균주를 선발하 여 pH별로 균사생장량을 분석한 결과, KME66003, 66022, 66023과 66034는 pH3.0∼4.0이 적합하였고, KME66028은 pH7.0에서 균사생장량이 우수하였으나 KME66010, 66015, 66017, 66026, 66035 균주는 pH 에따른 균사 생장량의 차이가 없어 균주에 따라 적정 pH 범위가 달랐고 , 또한 배지의 pH는 균사생장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배지의 주요 영양원인 탄소원과 질소원 각각 9종류를 최소 배지에 일정농도로 첨가하여 액체배양하여 균체건조중량 을 비교한 결과, 균주별 약간의 차이는 보이지만 탄소원은 이당류인 Fructose, 질소원은 유기태의 일종인 Tryptone 에서 우수하였다. 선발된 탄소원 Fructose 의 농도가 높 을수록 균사생장량도 증가하였으나, 선발된 질소원 Tryptone의 농도에 따른 균사생장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 아 잣버섯은 질소원보다는 탄소원이 균사생장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잣버섯 재배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적정 C/N율 선발과 대량균체생산을 위한 적정 액체배지개발 나아가 우수균주 선발에 관한 연구가 앞으로 요구된다.
        5572.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업과학기술원에서는 농업생명공학연구원, (주)마크로 젠, 건국대학교, 한경대학교, 상지대학교, 경북대학교 연 구팀과 함께 국내토종 팽이버섯에 대하여 유전체 완전염 기서열 해독 및 버섯유전체의 기능분석을 위한 연구를 바 이오그린21사업의 유전체개발이용연구단 과제로 수행하 고 있다. 팽이버섯 형질전환 연구는 이 프로젝트의 하나로 서 유전자 기능분석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과제로 국내에 서 수집된 야생팽이균주 (KACC42777)를 대상으로 Agrobacterium을 매개로 한 형질전환을 수행하여 변이 체 pool을 작성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팽이버섯 의 형질전환을 위하여 hygromycin 저항성 스크린의 가능 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실체 주름조직을 이용한 Agrobacterium 형질전환 체계를 확립하였다. 형질전환 용 벡터 strain은 hygromycin 저항성과 gpd promoter를 가지고 있는 AGL1 pBGgHg을 사용하였으며 항생제 농 도 30ug/ml에서 13.3%의 효율로 형질전환체 156개를 얻었다. 형질전환체는 PCR에 의하여 확인하여 유전자삽 입이 확실한 균주는 균총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형질전 환체 자실체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병재배를 수행하였 다. AMT 방법으로 형질전환되어 얻어진 균주는 Hygromycin resistance gene이 삽입된 위치 주변의 염 기서열을 찾기 위해서 Inverse-PCR 조건을 구명하였다. 염기서열 완전해독으로 얻어지는 정보와 이들 염기서열 정보는 유전자의 기능을 대량분석하는데 유용하게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모든 형질전환체 는 이후의 연구에 사용하기 위하여 특성을 DB화 하고 장 기보존되고 있다. 이 연구과제를 통하여 팽이버섯의 대량 유전자 분리 및 기능분석 기술 확립으로 유용유전자 발굴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새로운 분자육종 소재를 발굴하 여 제공하고, 팽이버섯 형질전환기술의 확립으로 Postgenome 연구 tool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팽이버섯 유전체 해독정보를 기반으로 한 약리작용 및 발현·대사 관련 유전자 기능분석으로 고부가성 생물소재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573.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병재배 버섯 안정생산을 위한 배지 재료 선택의 폭을 다 양화하고 각종 유기성 부산물의 버섯배지 로서 대체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 를 보고하고자 한다. 첫째, 톱밥 대체를 위한 실험결과 배지종류별 pH는 미송 톱밥과 코코피트가 5.1이었고, T-C는 미송 톱밥이 55.3%, T-N의 함량은 콘코브가 0.86%, C/N은 미송톱 밥이 291로 다른 주재료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배지재 료 혼합비율별 화학성으로 pH는 T5가 6.5로 가장 높은 반면에 T3는 5.6으로 약산성을 나타내었으며, 전체 처리 구의 C/N율은 27∼34였다. 배지재료 혼합비율별 균사생 장속도는 T4가 13.9mm/일로 대조와 동일하였으며, 배양 율은 T3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99%이상이었고, 측 발이율은 T4가 1.1%로 가장 낮았다. 배양기간은 T4, T5 에서 20일로 대조와 동일하였으며, 초발이소요일수도 T4, T5가 4일로 대조와 같았으며, 생육일수는 T4에서 6 일로 대조와 동일하였다. 배지재료 혼합비율별 생육특성 은 T4의 경우 갓크기/대길이 비율이 0.4, 대굵기가 9.6mm로 대조와 유사한 경향이었고, 유효경수는 20.7개, 수량은 133.4g/850cc병 으로 대조와 대등하였다. 또한 생물학적 효율은 76.8%로 혼합배지 중 가장 컸다. 둘째, 면실박 대체배지 재료의 T-N함량은 대두박이 12.0%로 가장 많았고, 면실박은 8.2%, 케이폭박이 2.4% 로 가장 적었다. 혼합배지의 T-N의 함량은 대두박 처리 에서 3.2%로 가장 높았고, 케이폭박처리는 2.5%로면실 박처리의 2.4%와 비슷하였으며, C/N율은 대두박처리가 16으로 가장 낮았고, 야자박처리에서 29로 가장 높았다. 혼합배지별 배양율은 대두박처리를 제외한 전처리 모두 양호하였으나, 케이폭박처리에서 99.5%로 가장 높았으 며, 혼합배지내 질소함량이 가장 높았던 대두박에서는 61.8%로 현저히 저하되었다. 초발이소요일수는 야자박 이 4일로 가장 빨랐고, 면실박, 케이폭박처리에서 5일 소 요되었으며, 채종박과 면실박+대두박처리에서는 6일로 가장 오래 소요되었고, 대두박처리는 발이 및 자실체 발생 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혼합배지별 생육일수는 큰 차이가 없었다. 자실체 수량은 케이폭박처리에서 144.6g/ 병으로 가장 높아 면실박 122.0g/병보다 우수하였고 생물 학적 효율도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체배지로서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확기 자실체 유효경 수는 케이폭박처리에서 43.2개/병으로 현저히 많았고, 야 자박, 면실박+대두박처리에서 30.3, 23.5개/병으로 발이 가 불량하였으며, 갓직경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수확기 갓의 색도는 면실박+대두박처리에서 L값은 46.7로 가장 높았고, a값은 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b값은 채종박 처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배지종류에 따라 갓색이 미 세하게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병버섯 느타리버섯의 톱밥은 코코피트, 면실박은 케이폭박이 사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5574.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5575.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 analysed strength, weakness, opportunities and treats of Korean mushroom industry on the various aspects. There are approximately 30,000 mushroom farmers in Korea. Mushroom production is occupied with 2.3% of agricultural production. Especially mushroom have abundant strength and opportunities as well-being health food than any other agricultural products. I selected 30 kinds of urgent strategic items. Namely, mushroom variety breeding for UPOV, system establishment of spawn supply, diagnosis and clinic, acceleration of mushroom consumption , marketing prior to production, cheap supplements developments, fundamental tariff reduction, information and PR activation, machinery development for labor reduction, recycling of post harvest media, mushroom clinic and diagnosis kit development for popular complaints, functional mushroom developments, demand and supply system development of mushroom, mushroom extension organization establishment, advance of Agaricus bisporus, advance of breeding technic, standard of mushroom quality, establishment of mushroom research institute, PR of mushroom superiority. counter plan of nature disaster, tax exemption application of oil, second grade electric tax application, side effect of government assistance project, mushroom study and training institute establishment, hobby field enlargement of mushroom, diversification of mushroom consumption, competition power enlargement of shelf cultivation farmers, heightening of GAP awareness and harmony of organization groups.
        4,000원
        5576.
        200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13-year-old, male mixed breed dog was presented to Veterinary Medical Center,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enlarged mass in right inguinal region. On hematological test, monocytes and neutrophils were slight increased, but other hematological values were normal. On radiological finding, opacity and size of mass in right inguinal region were increased. The mass and testis were removed surgically. Removed mass was oval-shpae and bulky with 5.6×7.6×5.2 cm. Histopathological finding of the mass revealed large and round to polyhedral cells and it was diagnosed as malignant seminoma. That was diffuse type seminoma near to malignant tumor without metastasis. During the follow-up for 13 months, patient showed normal contition without recurrence.
        4,000원
        5577.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포도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Sheridan'과 'Muscat Bailey A' 품종을 전해산성수 가습처리와 오존수 살균처리 및 전해산성수 살균처리하여 0±1℃에서 90±2%의 상대습도에서 60일간 저장하면서 포도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저장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중량감모율, 비정상과 발생률, 탈립율, 당도 및 진균수 억제 효과는 처리구별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전해산성수 가습처리하여 포도를 저장하였을 때 중량감모율이 가장 적게 변화하여 좋은 효율을 나타내었고, 오존수 살균처리 및 전해산성수 살균처리 방법에서 비정상과 발생률, 탈립율, 당도 및 진균수에 대한 억제 효율을 나타내었는데, 오존수 살균방법보다 전해산성수 살균방법에서 높은 효과를 나타났다. 유리당과 총산 함량은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며, 과피의 anthocyanin 함량도 약간 증가하였다. 본 실험결과 전해산성수 가습방법과 살균방법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00원
        5578.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타리버섯류의 새로운 품목을 개발하기 위하여 느타리 계통간 교잡으로 청색 느타리를 개발하였다. 단포자를 분리하고 균사접합 방법을 이용하여 느타리 4개 계통에 의한 3개 교잡조합으로 166개의 교잡주를 육성하였다. 이중에서 2487 × 2194, 2194 × 2344, 2183 × 2344의 교잡주 166개중에서 조합별로 각 1개의 청색 자실체 교잡주가 나타났다. 이들 중 청색 특성이 우수한 2487과 2194 교잡주 Po 2005-4121호를 선발하여 새로운 품종 '청'을 육성하였다. 주요 특성으로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5 ∼30℃,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는 12∼16℃ 원기형성을 위하여 저온처리가 필요하며 여름철을 제외한 봄부터 가을까지 재배하기에 적합한 품종이다. 자실체의 갓 색깔은 청색에서 청회색이며 자실체 형태는 다발형으로 기존 느타리종의 품종과 동일하다. 균사체 배양기간을 포함한 생육일수는 37일로 2487계통과 유사하다. 자실체 형태는 깔때기형이며 유효 경수는 병당 29개, 대굵기는 11mm로 다른 느타리 종에 비해 다소 굵고, 개체중은 10.2g 으로 갓이 보통이고 수량은 병당(850ml) 102.7 ± 12g 이다. 생육온도를 13-16℃로 유지하여야 자실체의 갓색을 청색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고품질의 버섯을 생산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 색깔이 다양한 웰빙 식품이 각광을 받음에 따라 버섯의 칼러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청느타리는 시각적 효과가 뚜렷하여 버섯요리 개발과 판촉행사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궁극적으로는 새로운 버섯의 수요 창출로 농가소득에 이바지 하게 될 것이다.
        4,000원
        5579.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도 소득증대와 시장 확대 등에 따라 기능성 식품에 대한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유아용 및 노인용 식품제조에 적합한 유산균 제제의 개발과 함께 선발된 유산균의 생육을 위한 특정 생장촉진물질의 탐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두유수유아의 분변으로부터 분리, 선발된 Bifidobacterium 균을 생균제로서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Bifidobacterium 균의 성장요인으로 알려져 있고,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 올리고당의 첨가에 따른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기능성 올리고당이 첨가된 배지에서 증식이 더 빠르게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GOS가 5%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빠르게 증식하였다. 또한, 기능성 올리고당을 첨가한 경우 α-galactosidase와 β-galactosidase의 활성이 더 좋아졌고, 균체의 세포막 지방산 조성을 비교해본 결과 Oleic acid (C18:1 ω9C) 함량 또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pH 변화와 총산도 실험을 수행한 결과, 기능성 올리고당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pH 5.79의 0.873%를 나타낸 반면, 5% GOS 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pH 3.6의 1.188%, 3% IMO는 pH 3.69의 1.134%, 그리고 FOS는 pH 3.71의 1.098%등으로, 현저히 낮은 pH를 나타냈다. 내담즙성의 실험결과 , 기능성 올리고당 중 5% GOS가 가장 높은 나타냈으나,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병원성균 성장저해 실험을 한 결과, 5% GOS를 첨가한 배지에서 자란 Bif. breve PBH-30이 E. coli O157,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등과 같은 병원성 균을 더 효과적으로 저해하였으며, 특히 E. coli O157의 생육이 효과적으로 저해되었다. In vitro 부착능을 실험한 결과, 대부분의 Bif. breve PBH-30이 Caco-2 cell의 세포외막의 굴곡을 따라 부착되었음을 확인 하였다.
        4,000원
        5580.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이오피드백 기술은 인간의 신체적인 신호들로부터 나온 신호들을 통하여 신체의 신호를 제어하고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최근 자율신경계의 컨트롤도 훈련을 통하여 스스로 가능하다는 사실이 입증되면서 감성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반응이나 뇌파를 통하여 스스로 게임을 통한 스포츠 시뮬레이션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이오피드백 훈련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바이오피드백 게임 콘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뇌파, 심전도, 호흡, 맥파, 피부전기반사의 통합 생리지표를 분석하였다. 또한 보다 사실적인 훈련이 가능하도록 실제 양궁선수들의 신체적 감성을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일반인들도 쉽게 양궁선수들과 같은 상태의 생체 감성을 스스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