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5

        10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정시설 수용으로 인해 수용자들이 경험하게 되는 가장 큰 손실 중 하나는 친밀한 사람들과의 접촉 및 교제에 손상을 입게 된다는 점이다. 수용자들의 가족유대는 구금생활을 성공적으로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범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이 논문에서는 수용자의 가족 유대를 유지할 수 있는 한 방법인 가족방문에 초점을 맞추어서 가족방문의 실태 및 영향에 대해 성별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기혼 남녀수용자 5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결과를 보면, 가족의 접견빈도는 남녀 모두에게서 출소후 변화욕구, 출소후 가족관계 전망, 출소후 가족지원정도에 대한 인식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의 경우에는 가족접견유무, 자녀(미성년자녀 포함)의 접견유무가 출소후 가족관계 전망 및 가족지원 정도에 대한 인식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성의 경우에는 미성년자녀가 접견한 적이 없는 경우 접견을 희망하지 않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출소 후 긍정적 변화욕구가 더 컸다. 이런 결과를 볼 때 자녀가 받을 상처 등을 고려해서 자녀접견을 희망하지 않는 여성이 많은 것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에 기반해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성별에 관계없이 접견빈도가 긍정적 영향을 가지므로, 접견을 돕기 위한 경제적 지원 특히 빈곤층의 방문을 위한 경제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남성의 경우에는 자녀를 포함한 방문 자체를 돕는 것이 더 필요하며, 여성의 경우에는 방문을 돕는 것과 더불어 방문에 장애가 되는 심리적 문제 등을 다룰 수 있는 정서적 지원이 더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6,300원
        10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업의 소유와 경영에 관한 논의는 기업의 사회적 역할과 윤리의식이 결부되면서, 기업과 사회 환경이 소유와 경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계를 모색하고자 하는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가 진행되는 이유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면서 기업의 경영체제가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경영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이슈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경영에는 여러 가지의 유형이 있지만, 그 중 하나가 가족경영(family busine
        4,600원
        10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이혼율의 증가로 한부모가족이 크게 늘고 있다. 정부에서는 한부모가족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을 위하여 2007년 한부모가족지원법을 개정하는 등 한부모가족의 지원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심리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가족 지원체계로서의 리더십코칭접근의 가능성을 검토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한부모가족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한부모가족지원체계로서의 리더십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한부모가족과 리더십코칭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리더십코칭의 한부모가족을 위한 지원체계로서의 접근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4,600원
        104.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재발율이 높고, 장기간 동안 보호와 치료가 필요한 정신장애인에게 가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정신장애인의 가족이 질환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적극적인 치료적 태도를 갖는 것은 환자뿐 아니라 가족의 욕구 충족과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주므로 궁극적으로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자원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서에서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특성과 정신장애가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정신장애인을 대하는 가족들의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위해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심리 교육적 접근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세부적으로는 정신건강교육, 의사소통기술훈련, 문제해결기술훈련, 지지적 가족 상담의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5,500원
        107.
        200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paid Family Worker is blind area of industry safety. Danger of industrial accident is some high but because was excepted in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pplication. In most case, because paltry Unpaid Family Worker is no opportunity to take safety education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and there are few safety facility and safety equipment, etc., among business, it may be said that probability to suffer industrial accidents on a trifling mistake or carelessness is higher than general worker of business. Consider such difficult actuality of Unpaid Family Worker and our country must give these benefit of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pplication, as opened the door of insurance application in recognition of worker position by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Law" to middle·smaller enterprise's business proprietor or special form labor employees.
        4,200원
        108.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후 연하곤란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연하곤란관리 교육을 제공한 후 변화를 알아보고 효과적인 환자의 연하관리 및 가족지지를 위한 중재 전략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환자의 가족 78명(실험군 39명, 대조군 39명)을 무작위 추출하여 연하곤란관리 교육 전과 후 지식과 실천 및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결과 : 지식은 환자와의 관계, 일평균 돌봄 시간과, 실천은 연령, 월평균 수입, 질병과, 스트레스는 연령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05), 지식과 실천 및 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제공 후 실험군의 지식과 실천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대조군은 지식, 실천, 스트레스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제공 후 실험군의 지식은 섭식방법, 총 돌봄 기간과, 실천은 건강상태, 질병, 섭식방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지식과 실천 및 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연하곤란관리 교육은 가족들에게 지식과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었으나 스트레스에는 변화를 보이지 않아 교육 외에도 다양한 정서적 지지가 함께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지식과 실천 및 스트레스에 열악한 대상일수록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 후 지속적인 실천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여러 대체 및 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4,200원
        109.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용자 교화 및 관리에서 가족건강성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기초 연구로 가족건강성 관련요인을 발굴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용자 가족건강성 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기혼 남녀수형자 556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용자의 가족건강성을 가족의 구조(혼인관계 안정성, 가족과 접촉정도)와 가족의 질적인 면(가족관계)으로 정의하였으며, 가족건강성이 수용자의 사회인구학적(성별, 연령대, 교육수준, 가족의 경제적 수준) 및 형관련 특성(입소경력, 복역기간)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였다. 수용자 가족의 건강성은 구조적·질적인 면에서 모두 수용자의 성별, 교육수준, 가족의 경제적 수준, 입소경력, 복역기간 등과 대부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발견사항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은 여성에 비하여 혼인관계가 안정적이지만 가족과의 접촉 및 가족관계에서 더 부정적이며, 수용자의 교육수준이 낮거나 가족이 빈곤한 경우, 그리고 입소경력이 있거나 시설 수용으로 가족과 분리된 기간이 길어질수록 가족건강성의 구조적·질적인 면 모두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에 있어 남성과 여성간의 차이가 많아 가족건강성 강화정책은 수용자의 성적인 특수성에 기반하여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셋째,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수용자와 그 가족이 가족건강성에 관한 우선적인 정책 대상이 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넷째, 수용자 가족의 건강성은 구조적인 면보다는 가족관계의 질적인 측면을 강화하는데 보다 비중을 두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제안하였다.
        6,000원
        110.
        200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경우는 단일민족, 순혈주의에 대한 자긍심으로 인해 다문화 및 다인종에 대해 배척의 역사였다. 그러나 결혼의 만혼화, 미혼농촌남성들의 증가 등으로 1991년 “농촌 총각 결혼시키기” 사업에서 시작된 국제결혼은 1995년을 기점으로 하여 급격히 증가하였다. 통계청에 의하면 2007년 현재 11만 명의 결혼이주자가 존재하며 2020년에는 결혼이주가족이 전체 가족의 2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반면 결혼의 증가와 더불어 이혼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2007)이 발표한 “한국인과 외국인 부부의 총 이혼 건수”는 8,828건으로 전년도의 6,280건과 비교해 40.6%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주여성긴급전화 1366의 상담도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한 상담내용으로는 가정폭력, 부부갈등과 더불어 가족갈등이 5,681건으로 전체의 28.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나 가족 및 배우자와의 갈등이 결혼생활에 가장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방적인 한국의 문화와 남성중심의 가족이데올로기를 강요하는 데서 파생되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그 해결방안과 관련하여서는 다음의 6가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각 출신국의 언어를 전공한 대학생 및 동아리와 사회복지전공 자원봉사자를 발굴하여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육성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학계 및 실천가들이 협력하여 “다문화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 커리큘럼 및 모형개발을 늦었지만 시급히 마련되어야 하겠다.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개별적 욕구를 반영하여 프로그램개발과 지속적인 사례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선배 결혼이주여성들과 후배 결혼이주여성들과의 “멘토링 관계구축”과 더불어 지역사회 관련 기관의 사회복지사에 의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하는 방안이다. 넷째, 결혼이주여성들의 “자기정체성 확립”을 도울 수 있는 역량강화프로그램의 개발로의 전환이 시급하며, 양국 간의 협력체계구축을 통해 국제결혼의 시작부터 끝까지 지원해줄 수 있는 움직임이 정부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겠다.다섯째, 개입에 있어 그들의 욕구와 자기결정권을 존중해주고 당사자 중심주의가 전제되어야 하며, 인종차별 금지 및 사회참여의 기회균등과 관련한 법적․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겠다.여섯째, 가족 및 사회전반을 대상으로 이주여성들의 출신국가와 한국문화가 쌍방향으로 소통하고 타문화에 대한 수용성증진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4,900원
        112.
        200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현대 가족의 건강한 가족생활을 위한 가족 내ㆍ외적 자원의 지지와 활용이 가능하도록 돕고, 가족의 변화에 적응하고, 새로운 가족의 가치를 창출하고, 가족이 리더로서의 역량을 발휘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리더십 코칭의 이론적 틀을 구축하고, 그 적용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족리더십 코칭을 위한 이론적 접근으로서 가족의 역량강화를 위한 기법으로서 코칭 접근의 가능성, 리더십 및 가족리더십 코칭의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가족리더십 코칭의 실제적 접근에서는 가족리더십 코칭의 모델, 셀프리더십 코칭(7가지 습관), 4가지 리더의 역할(4RL)에 따른 가족통합성장 코칭, 가족리더십 코칭 질문을 제시하였다. 이상을 통해 가족의 역량을 지지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질문을 통해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가는 코칭 대화식 기법과 가족역량강화를 위한 강력한 질문의 일부를 도출해 내었으며, 앞으로 가족코칭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5,500원
        113.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at first reviewing the international principles and domestic law and rules for juvenile inmates' contact with their family members.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he U.N. rules for the protection of juveniles deprived of their liberty stress the role of family contact and family strengthening strategies in achieving successful reentry and reintegration of inmates. And the Correction law and the Regulation for treatment of juvenile inmates define family strengthening program such as letter sending, visitation in person, family reunion events, telephone service but do not give more detailed directions for juvenile inmates. Based on the notion that the role of family contact and family solidarity is more significant meaning in psychological, mental development of youthful offenders, more active family involvement is inevitable for juvenile inmate's reentry. This article also shows current status of family contact of juvenile inmates with a small survey results. Most of them appear to maintain family contact via letter, telephone, and in-person visitation but, as expected, the frequency decreases as prior criminal records and the sentencing length increase. However, regardless of frequency of family contact, juvenile inmates expect that their family helps them in reintegrating into society. In that point, we need to think offender's family as necessary resources for successful reentry of inmates.
        6,100원
        114.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가 퇴원 후 가정에서 필요한 작업치료가 무엇인지 가족을 대상으로 가정작업치료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았다. 앞으로 가정작업치료사 제도를 보건․의료정책 제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2004년 7월부터 8월까지 뇌졸중을 경험한 환자의 가족 168명에게 가정에서 필요한 작업치료가 무엇인지 직접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가정작업치료 요구도로서 37문항의 4점 척도였다.결과 : 대상자 168명 중 가정작업치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가족은 149명(88.6%)이었다. 대상자의 직업이 있는 경우, 가정경제가 보통인 경우 가정작업치료 요구도가 높았다. 뇌졸중 환자의 질병 특성에 따른 요구도를 보면 언어장애, 시각장애, 배뇨문제, 연하곤란이 있는 경우 가정작업치료 요구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장애등급 1급이 2, 3급에 비하여 가정작업치료 요구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01). 범주별 가정작업치료 요구도 순위는 운동성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이동성 요구도, 수단적 ADL 요구도, 자조활동 요구도, 사회성훈련하기 요구도 등의 순위였다.결론 :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뇌졸중 환자의 가족은 가정작업치료를 매우 필요로 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가정작업치료는 우리에게 수행되어야 할 많은 연구의 전망을 가져다주고 있다.
        4,500원
        116.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seems that macro-history has no relationship with family history at first glance. A close look at macro-history reveals that people in the micro-history are helplessly governed by macro-history regardless of their willingness. John Montague, a contemporary Northern Irish poet, has sought to investigate his tragic, painful familial history resulting from the macro-history of Northern Ireland which also turns out to be in predicament in political, religious, and educational terms. He was born in Brooklyn, New York, where his father had to be in exile because of his involvement in political activities in Ulster, Norther Ireland. Yet when Montague was quite young, he was sent to Garvaghey, Northern Ireland, his father's hometown. He was brought up there under the tutelage of his aunt. His early experience of separation from his parents has become the central theme of his poetry along with the political turmoil in Belfast. Thus, a number of his poems address his familial distress as well as his own. This essay seeks to examine how the poet recreates in his poems his painful experience involved in his family members, the victims of Northern Ireland's history. Many poems in Rough Field and Dead Kingdom are evaluated to be successful in terms of maintaining his temper even if they deal with painful matters of his family. As Montague himself reveals in his proses and interviews, his poetry seems to place its focus not only on praise but on liberation from his burdensome family history. To Montague, writing poetry is an inevitable means to overcome harsh realities given to his own family, himself and Northern Irish history. Particularly in his later poems, Montague arrives at reconciliation with the two corresponding histories he had to face.
        8,700원
        117.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118.
        200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300원
        120.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has been developed to find policy implications and to suggest suitable correctional programs for adult inmates and their families based upon the importance of family ties between those two parties. Keeping good family ties can be a valuable resource for inmates, families and the government. The study has reviewed existing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family factors on prison lives and recidivism rate. It has been suggested that famil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habilitating prisoners and re-entry into the community after their release. The empirical studies showed consistently that good family ties during incarceration can contribute inmates' positive prison lives and reduce new offence after prison. After looking at the empirical studies and Korean correctional policy situations, this study recommended the correctional policies and the programs that could maintain stability and improve relations between inmates and their families. The policy directions with two objectives were suggested by this study. The first thing was to establish and activate the tying programs between the inmates and their families. That included increasing contact programs between the two parties, and enhancing familyhood through education. The second thing was the improvement of the economic conditions of the inmates' families and personal supports for the children with imprisoned parents. It concluded that more assistance programs and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for inmates and their families to enhance family ties.
        6,400원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