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24

        1101.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study of Impulse Thermography was carried out on a concrete specimen with in-placed artificial defects at different depths and dimensions. Then, all the data were processed by Pulse Phase Thermography technique by performing Fast Fourier Transformation.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absolute contrast method.
        1102.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have identified the subway of structures as subway station users complained of vibrations from a structures when they walked through middle stairs of escalator. As a result of converting the vibration level to the conversion rate, it was measured at 3.846mm/s(82.7dB) on the B1st floor and 0.966mm/s(70.7dB) on the B2nd floor. These results are higher than the domestic standard of 65dB and lower than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under 5mm/s. It is felt well with the human body, but the structure is considered to be harmless. Therefore, it is deemded the structure is safe to usue. A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national frequency, the stairs on the B1st floor to be 3.01Hz and the stairs B2nd floor to be 5.36Hz. We consider that the users feel discomfort and anxiety on the B1st floor, where displacement and vibrations are higher.
        1103.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ntegrity evaluation of offshore wind turbine substructure was carried out. The strain values obtained by strain gauges circularly installed on upper part of the substructure was converted into vertical and moment load. Considering directions of the moment load through FEM, the most conservative P-M interaction diagram of the model was graphed. Obtained load values were evaluated by utilizing P-M interaction diagram.
        1104.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리모델링 시장이 커짐에 따라 품질이 우수한 건축물의 내장재 및 외장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개발된 내장재 및 외장재를 건축물의 구조체에 시공하기 위해서 구조체에 하지 철물을 설치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내장재 및 외장재 설치, 데크, 무대 및 마루 등의 시공 시 지지해주 는 하부 구조물을 하지철물이라 한다. 하지 철물은 수평재와 수직재를 현장에서 용접 접합을 하여 구조체에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일반적인 용접접합 방식의 시공은 용접 불씨에 의한 화재 발생으로 인명 및 재산 손실 문제와 전문용접공 부족으로 인한 비전문 용접공 시공에 따른 내구성 저하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하지철물의 시공방법도 안전사고 및 시공의 용이성을 위하여 용접 접합 방법에서 무용접 접합 방법 으로 개선되어지고 있다. 이는 화재예방 가설재와 소화장비 및 인원이 불필요하고 볼트조립으로만 시공이 가능하여 인건비 절감과 공기단축 이 가능하다. 이에 용접을 사용하지 않는 무용접 하지 트러스 공법을 이용하여 접합부 거동을 실험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무용접 접합방 법으로 시공 시 볼트 체결부분에서 틀어짐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여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각관, 유격방지 브라켓, 파스터, 홈볼트 체결을 통 하여 일반 볼트접합인 각관, 화스너, 홈볼트 조립방법에서 좌우간의 틀어짐 현상을 방지하고 부재간의 미끄러짐 현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적용하여 접합부의 거동을 평가하고자 한다. 그 결과 무용접 접합방식의 하지철물 골조는 지진하중저항시스템에서 내진등급에 따라 요구되는 허용 층간변위각 0.01∼0.02 보다 매우 큰 부재각까지 변형한 것으로 나타나 충분한 변형성능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105.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볼접합부를 갖는 원형강관의 좌굴실험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국내외 압축재 설계규준과 비교 평가함으로써 부재의 좌굴내력 및 좌굴길이 계수의 안전성과 합리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좌굴성능 평가를 위해 선정된 원형강관은 ∅48.6×2.8t와 ∅60.5×3.2t 및 ∅ 76.3×3.2t이다. 국내외 압축재 설계를 위해 우리나라의 하중저항계수 설계법(LRFD), 일본의 한계상태 설계법(LSD) 및 영국의 BS5950 규준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실험결과와 국내외 설계규준과의 좌굴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각 국의 압축재 설계규준에서 부재의 전체길이를 좌굴길이로 적용한 결과 실험에 의한 좌굴내력의 64%∽89% 정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현재 설계 규준식에 준하여 부재설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실험결과 측정된 좌굴내력은 우리나라, 일본 및 영국의 압축재 설계규준에서 좌굴길이를 순수 원형강관만으로 고려한 좌굴내력 값에 비해 1.02배∽1.4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페이스 프 레임 구조물 설계에 있어 개별부재 좌굴내력은 절점 간 길이가 아닌 순수 원형강관의 길이로 좌굴계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1106.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수송선박의 대형화에 따라 기존 항만 시설의 접안 깊이 확보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증심공법은 기존 항만시설의 접 안 깊이를 확보하는 방법으로, 필요 깊이만큼 사석마운드를 굴착한 후 그라우팅을 통해 보강한다. 이 연구에서는 사석마운드 보강을 위한 그라 우팅 재료로 가소성 그라우트를 사용할 경우 보강성능과 충진성능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2가지 가소성 그라우트 배합에 대해 압축강도 실험을 수행하여 지반보강효과를 검토하였고, 직경 400 mm, 높이 530 mm 크기의 실린더형 실험체 5개를 제작해 충진성능을 평가하였다. 구 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요구되는 개량체의 소요강도는 6 MPa이며, 이 연구에서 사용한 가소성 그라우트 배합 모두 재령 7일에 9 MPa 이상 으로 소요강도를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충진성능 평가 실험체의 충진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이 연구에서 목표로 설정한 사석 채 움 높이까지 가소성 그라우트가 잘 채워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110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으로, 원전구조물은 다량의 철근이 사용되어 시공과정에서 여러 잠재적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구조부재의 연결부위는 수많은 갈고리철근, 매입철물과 주변 철근 등에 의해 심각한 과밀현상이 발생하므로 여타 다른 부위보다 콘크리트 타설에 더 큰 어려움이 야기 된다. 원전구조물에 사용되는 일반강도(ASTM A615 Gr.60)의 대구경(43 mm & 57 mm) 표준갈고리 철근을 대신하여 고강도(ASTM A615 Gr.80)의 대구경(43 mm & 57 mm) 확대머리 철근을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기준을 개정하여 철근 과밀배근 문제를 해결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확대머리 철근을 원전구조물에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정착성능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그 이상으로 증가시키면서 사용 제한요건을 완화는 방안을 찾아야 하므로 철근직경, 철근 항복강도, 측면피복 두께와 같이 확대머리 철근의 사용을 제한하는 변수 영향을 검토할 수 있는 실험결과를 분석하여 정착성능을 평가하였다.
        1108.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spite of bulk literature about the tuning of TMD, the effectiveness of TMD in reducing the seismic response of engineering structures is still in a row. This paper deals with the optimum tuning parameters of a passive TMD and simulated on MATLAB with a ten-story numerical shear building. A weighted multi-objective optimization method based on computer experiment consisting of coupled with central composite design(CCD) central composite desig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 was applied to find out the optimum tuning parameters of TMD. After the optimization, the so-conceived TMD turns out to be optimal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seismic event, hence allowing for an optimum reduction in seismic response. The method was employed on above structure by assuming first the El Centro seismic input as a sort of benchmark excitation, and then additional recent strong-motion earthquakes. It is found that the RSM based weighted multi-objective optimized damper improves frequency responses and root mean square displacements of the structure without TMD by 31.6% and 82.3% under El Centro earthquake, respectively, and has an equal or higher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ly designed dampers with respect to frequency responses and root mean square displacements and when applied to earthquakes.
        1109.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case of fluid storage structure, hydrostatic pressure acts on the structure due to fluid surge during an earthquake. At this time, hydrodynamic pressure of the fluid charge not only by the strength of the earthquake but also by the sloshing height of the fluid.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load include the size, width and height of the fluid storage structure and height of fluid, time-history shape, etc. This paper wan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thquake shape and fluid free surface shape. The sloshing height measured the height of the fluid by applying earthquake to a tank whose width 500mm and comparison of the experiment and analysis.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luid free surface was measured while varying the shape of earthquake and effective of the shape of earthquake of the fluid was analyzed.
        1110.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균열에 사용되는 주입형 누수보수재료의 품질관리 방안으로 규격화된 국제표준 ISO TS 16774, Part 2 Test method for chemical resistance를 이용하여 현재 우리나라 누수보수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입형 누수보수재료 2계열 (합성고무계, 시멘트계), 3종류 씩, 총 9 종류의 보수재료에 대한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이 처한 화학적 환경의 저항 안정성을 연구·검토하였다. 그 결과, 합성고무계는 RG-3를 제외하고, 산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는 재료적 검토가 필요하고, 시멘트계는 수산화나트륨, 염화나트륨에 대한 저항을 높일 수 있는 재료적 검토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화학적 환경에서의 보수재료 선정 시 기본 지 표로 사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추후에 연구 개발 되는 보수재료의 품질 향상에 반영할 수 있는 기준 자료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1111.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recent increasing interest from both safe society expectation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fields of sensors, microelectonics, and wireless communication, nondestructive monitoring technologies based on wireless solutions have been researched in many structures for constructi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infrastructure durability inspection. To support robust wireless monitoring system, there are still technical barriers to overcome, such as low power consumption, battery-less operation, robust wiress communication and small system size. In this paper, recent research trends and challenges in infrastructure durability monitoring technology with wireless communication will be reviewed.
        1112.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 cause of corrosion in reinforced concrete is diffusion of degradation factors such as chloride ions, carbon dioxide, and sulfate ions. To monitor the extent of the corrosion in reinforced concret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nd track the diffusion of degradation factors. In this paper, we suggest thin-film iron sensorto measure the penetration of chloride ions. The sensor indicates results as electrical resistance and change in electrical resistance. The sensor and contact pad are connected by an anisotropic conducting film (ACF) bonding in order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contact electrical resistance. The sensor’s electrical resistance increases with corrosive behavior and external chloride ion concentration. Use of these thin-film iron sensors enables measurement and monitoring of the depth of chloride ion diffusion in concrete.
        1113.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it is described for the technology trends of Durability Health Monitoring (DHM) using sensors and monitoring Methods. Specially, the chloride ion penetration sensor, carbonation depth sensor, corrosion sensors for embeded rebar and wireless sensor monitoring system is described in order to enhance the durability of buildings and infrastructures.
        1114.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a method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effectivity of maintenance. It is necessary to build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BIM throughout the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structure. In order to apply BIM, it was introduced structural record management from the design stage. And It help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maintenance.
        1115.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umber of expressway structure management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aging of structures is proceeding rapidly.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expressway structures, we propose improvement methods such as advancement of structure management system, lifetime improvement methods such as prevention of structure deterioration, and the preemptive reflection of the structure maintenance budget.
        1116.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steel has been very frequently chosen in building many civil infra-structures including bridges due to its several beneficial advantages as compared to concrete structures. However, for the most cases, damage such as section reduction, that is resulted from corrosion, was natural and inevitable. Therefore, it becomes very important to evaluate the structural safety and to estimate the life for the worst cases. In this study, the corrosion behaviors of mock-up specimen with box girder were examined by visual inspection.
        1117.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mpressive strengths of concrete in old drainage structures were measured by core test and non-destructive testing, and the neutralization depths were estimated. There are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core and non-destructive testing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carbonation depth.
        1118.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70~80년대 급속한 경제성장기에 구축된 사회자본시설은 최근에 와서 노후화가 급속히 진행되 면서 기존구조물에 대한 유지관리와 활용방안에 대해서 관심이 높다. 지금까지 콘크리트 구조 물의 유지관리에 대해서는 관심이 높은 분야는 아니였지만, 적절하고도 전략적인 유지 관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항상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태에 대해서 주의하고 여러 분야(점검, DB, 분석 및 예측 등)의 고도 기술을 집약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효율적 관리 및 사용하기 위한 구조물 자 산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1119.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s data that can be used to establish an efficient maintenance system for the corrosion of off-shore structures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present offshore concrete and steel structure corrosion sensors and monitoring techniques under development.
        1120.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ny of the structures constructed since the 1970s have begun to deteriorate. As a result, safety inspection / diagnosis and maintenance are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and long-term and systematic measures are urgently needed to prepare for the aging of major infrastructures. Currently, the safe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structure is carried out by the method based on the utilization of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manager's experience, but the reliability and the accuracy are still insufficient. In other words,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state change of bridges, such as abnormal behavior and gradual damag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n accurate and reliable monitoring process using new techniques and systems. For this reas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cloud and big data in the field of infrastructure safety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