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금속 광산 주변 경작지의 농산물에 대해 오염 실태를 파악하고 폐광산에 의한 오염방지 및 사후관리 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남지역에 분포한 광산지역 (4개 지역)을 대상으로 주변 경작지에서 7종의 농산물(상치. 양파, 감자, 무, 고추. 호박, 콩) 28건에 대해 미량금속 함유량을 조사하였으며 광산 지역별로 비교 검토하였다. 수은의 경우, 대부분의 검체에서 불검출이었으며, 일부 농산물에서 0.01 ppm이하의 양이 검출되었다. 비소는 28건의 시료중 7건에서 0.011∼0.038 ppm이 검출되었으며, 나머지 시료는 거의 불검출이었다. 납은 미량이지만 모든 검체에서 다양하게 검출되었고. 함유량은 N.D.∼0.176 ppm이었으며, 카드뮴은 거의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N.D.∼0.101 ppm). 수은, 비소. 납, 카드뮴 등의 함유량은 오염된 수준이 아닌 자연 함유량 수준으로 판단된다. 구리의 경우 두류인 콩에서 4.356∼10.624ppm으로 타시료에 비해 높은 함유량을 나타냈으며, 광산 지역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망간은 상치 (4.332∼24.385 ppm)가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아연의 경우 콩과 상치, 고추에서 높은 함유량을 나타냈다.
중금속을 처리하는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화학적, 물리적 그리고 생물학적 처리방법 등이 있다. 이중 생물학적 처리방법은 미생물들의 자연 생체기작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생체축적 (biosorption & bioaccumulation), 산화환원반응 (oxidation & reduction), 메칠화 및 탈메칠화반응 (methylation & demethylation), 금속 유기물질 복합반응 (metal-organic complexation)과 비용해성 복합
고온구조용 재료로의 사용이 기대되는 Al3Ti금속간 화합물의 연성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기계적 합금화를 통한 cubic Ll2구조의 생성거동과 Mn의 첨가 영향을 조사하였다. Al-8Mn-25Ti조성에서 20시간의 기계적 합금화를 통해 약 1.0nm 사이즈의 grain을 갖는 nanocrystalline cubic Ll2Al3Ti 금속간 화합물이 제조되었다. Mn이 첨가된 3원계 cubic Ll2Al3Ti 금속간 화합물은 2원계 cubic Ll2Al3Ti 금속간 화합물에서 보이는 Ll2구조에서 D023구조나 D022구조로의 상변태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Mn의 첨가로 인해 Ll2구조는 1200˚C가지 안정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MA 방법을 사용하여 Al3Nb 금속간화합물의 조성에 Zr을 첨가하여 Al3(Nb1-x )Zrx 합금분말을 제조한 후 이에 따른 상변화 거동 및 미세구조특성을 분석하였다. MA는Al3(Nb1-x )Zrx의 조성으로 Al, Nb, Zr 원료분말과 arc meltinly된 Al3Nb, Al3Zr 금속간화합물 분말을 사용하여 300rpm의 회전속도로 20시간 동안 MA하였다. 이때의 정상상태의 원료분말은 약 4μm의 평균입도와 약 12~18nm의 결정립크기를 가졌으며, arc melting된 분말은 약 2μm의 평균입도와 약 14nm의 결정립크기를 가지는 분말을 얻을 수 있었다 원료분말과 금속간화합물 분말의 MA 기구는 상이한 거동을 나타내었으며, 분말의 내부변형량은 원료분말이 금속간화합 분말보다 내부변형량이 더 많이 축적되었다. 이는 원료분말의 MA 경우 냉간 압접과 파괴가 반복적으로 진행되었지만 금속간화합물 분말은 취약한 화합물상이어서 냉간압접 보다는 파괴가 지배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원료분말을 MA하였을 경우에는 Al (Nb.Zr)2상이 형성되었으나 금속간화합물 분말로 MA하였을 경우에는 3원계 화합물상이나 비정질상으로 상변태 되지 않고 단지 두 합금상이 분쇄되어 나노복합화 되었다. 후속 열처리에 의해 원료분말인 경우에는 Al3(Nb.Zr)의 화합물상이 쉽게 형성되었으나, 금속간화합물 분말의 경우에는 새로운 상 생성은 얼었고 단지 열처리 전의 분말내부에 쌓여있던 내부변형에너지가 약 60% 정도 감소하였다.감소하였다.
해조류의 최적생장 조건과 내성범위는 그 발달단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초기 정착단계에서의 생장은 성체로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녹조 구멍갈파래 (Ulva pertusa)의 생식세포와 발아체를 이용하여 무기영양염류와 중금속이 발아와 발아체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의 내성범위 및 최적조건을 구하고자 하였다. 먼저 광량에 따른 발아율은 동해와 서해해수 조건 모두에서 광량이 증가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inorganic metals in soft drinks distributed locally in markets. 6 trace metals (Fe, Ca, Zn, Na, Mg, and K) were detected in 16 kinds of drinks, 80 sample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inorganic metals in vegetable drink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mixed drinks or carbonated drinks. The concentration of calcium, which is advisable inorganic metals for the growth of skeleton and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hypertension, was very high and needed to be careful for the consumer who is suffer with lithiasis. Although carbonated drinks are very popular with the children and adolescence owing to the unbalance of the intake of Ca and P, habitual drinking could cause obstruction in skeletal growth and metabolism of Fe, Cu, and Zn. So, it is suggested that more practical study is needed for the intake of inorganic metals.
The analysis of hazardous heavy metals, such as Pb, Cd and As, was conducted from the porcelain dinnerwares. Total 374 samples of those products in the domestic market were purchased for the study. All the samples were extracted by 4% acetic acid solution, followed by the analysis with AAS(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As a result, Pb and As were detected maximum 8.63 ㎍/ml, 2.58 ㎍/ml, respectively. Cd was found in a sample as 0.10 ㎍/ml.
본 연구는 한국조립금속업체들의 對中후속투자가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어 왔는가를 조직학습관점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우선 Logit Model을 통해 어떠한 초기 조건하에서 후속투자가 수행되는가를 분석한 다음, Repeated Hazard Model을 통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여러 독립변수들이 후속투자 결정에 어떻게 다른 상대적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Logit Model 분석 결과, 시장 및 환경요인들 보다는 모기업의 국제활동 경험, 모기업의 매출액, 대기업 소속여부 등과 같은 기업요인 변수들이 초기투자기업들의 후속투자 결정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peated Hazard Model 분석 결과, 기업요인의 경우 조직학습을 통한 지식·경험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볼 수 있는 모기업의 국제경험, 자회사 현지경험, 계열기업여부, 진입방식 등의 변수가 후속투자 결정에 유의하면서도 상대적으로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회사의 매출액, 자회사의 매출액변수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모기업의 국제화 경험이 많을수록, 자회사의 현지시장 경험이 많을수록, 그리고 대기업에 속해 있는 자회사일수록 모기업과 여타 계열사의 국제화 경험·지식 등의 활용가능성이 높아 후속투자 가능성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시장요인과 환경요인의 경우 소비증가 변수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한국조립금속업체들이 중국내 시장환경 변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하면서 후속투자를 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광주광역시에서 생산·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총 80개 품목(양파, 파, 마늘, 상치. 배추, 고추, 시금치. 무, 배, 복숭아)을 구입하여 중금속 및 미량금속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수은은 모든 검체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비소는 0.001 ppm이하의 결과를 보였다. 카드뮴과 납의 경우 각각 N.D.∼0.088 ppm과 N.D.∼0.096 ppm으로 검출되어 자연 함유량 수준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산물의 생육에 필수 원소로 작용하는 구리, 망간과 아연의 함유량은 0.109∼l.072 ppm, 0.829∼6.195 ppm, 0.731∼6.176 ppm으로 검출되었다.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on the possibility whether the ball-milling process of low energy could successfully improve the packing density and flowability for MIM application in W-20wt%Cu system. In this study, W-20wt%Cu powder mixture was prepared by ball-milling. W powder was not fractured by low mechanical impact energy used in the present work during the critical ball-milling time, but the ductile Cu powder was easily deformed to the 3 dimensional equiaxed shape, having the particle size similar to that of W powder. The ball-milled mixture of W-20wt%Cu powder had the more homogeneous distribution of each component and the higher amount of powder loading for molding than the simple mixture of W-Cu powder with an irregular shape and a different size. Accordingly, the MIM W(1.75)-20wt%Cu powder compacts were able to be sintered to the relative density of 99% by sintering at for one hour.